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고대 중국인의 우환의식(憂患意識)과 하이데거의 염려(Sorge) 개념의 교육학적 의미 비교

        김석완(Kim, Suk-Wa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8 敎育思想硏究 Vol.32 No.2

        이 연구는 고대 중국인의 ‘우환의식’과 하이데거(M. Heidegger)의 ‘염려’ 개념의 교육학적 의미를 비교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시공(時空)을 격절(隔絶)한 양자를 비교의 대상으로 삼 은 뜻은 두 사유가 상이한 문화적 배경에서 등장했음에도 오늘날 전 인류가 당면한 지구적 위기를 극복하고 보다 사려 깊게 공존하는 인간을 교육하기 위해 화두로 대두되고 있는 ‘영성’, ‘초월’, ‘인간 중심성의 탈피’, ‘지속가능성’ 등의 주제들에서 의미 있는 접점을 형성하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세계를 인간의 이성적 인식의 한계 안에 가두지도 않고 또 종교적 신성(神聖)에 귀의하지도 않으며, 세계 전체의 연관과 통일을 강조하고 인간의 능력을 넘어선 초월적이고 보편적인 권위를 인정하며, 존재자들 사이에서 인간 중심성과 그 이익 추구에 민감한 경계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두 사유는 인간과 세계를 파악하는 근본 입장에서 상당한 친근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구체적인 비교·분석에 들어가면 두 사유 서로 다른 역사적·문화적 배경이 배태한 문명적 특징 때문에 내용면에서 상당한 차이가 엿보인다. 두 사유방식 사이의 이러한 유사성과 차이는 양자의 대화를 풍요롭게 하고 인간과 세계에 대한 해석을 둘러싸고 이질적인 지평 사이의 생산적인 대화를 통해 서로의 통찰을 보완함으로써 새로운 지평의 융합을 시도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he comparison of the educational meanings of the awareness of misfortune of the Ancient Chinese and the concept of the care of M. Heidegger. I think to compare the two ones which surpass time and space would be meaningful to overcome the Global crisis faced by all human kind today and educate people who are more thoughtfully coexisted although two thoughts came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Both share common themes in today’s education, such as spirituality, transcendence, escape from human centricity, sustainability. The awareness of misfortune was the attitude of the life of the ruling group of Zhou dynasty that emerged through the revolution. The people of Zhou thought the mandate from Heaven was not solid, the world anxious and human destiny helpless. Nevertheless, they did not take refuge in God and made a decision to choose the ethics of life to take the responsibility for themselves and world refraining and sticking with effort. M. Heidegger consider the rational thinking and scientific analysis to be the revealment of beings based on the human being’s own interests, not one of the truth of Being itself. That is an extremely human-centered act to observe, analyze, manage, control and dominate objects for human convenience. Heidegger says that people must break this way of thinking and restore the original health of human life.

      • KCI등재

        교육사상(敎育思想)의 학문적 정체성 Ⅱ

        김석완(Kim Suk Wa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5 敎育思想硏究 Vol.29 No.3

        이 논문은 "교육사상의 학문적 정체성"(교육사상연구, 27-1)의 후속 연구이다. 교육사상은 하나의 논리와 통일적 설명으로 해명하기 어려운 속성을 지니는 말이다. 따라서 교육사상이라는 낱말의 단일한 본질이나 그것이 가리키는 지시적 대응관계가 아니라 교육사상이라는 표현이 그 구체적 사용의 맥락에서 드러내 보이는 의미작용의 다양성과 복잡성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아이 기르기와 관련된 느낌이나 감정, 풍속이나 습관, 신념이나 사유 그리고 지성, 상상이나 공상이 일상의 삶 속에서 만들어내는 다양한 의미작용과 그것이 낳는 관습적ㆍ제도적 결과 모두 교육사상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교육사상 연구는 추상적 개념이나 이론이 아닌 구체적 보편을 추구한다. 이것은 고유한 생명 현상을 다루되 초월적 보편성을 지향한다. 교육사상 연구의 심층구조는 크게 세 가지 계기로 이루어진다: 첫째, 교육사상의 배경이 되는 구체적 현실에 대한 분석과 이해하고, 둘째, 연구자의 현시대적 수용과 평가의 과정을 거쳐야 하며, 셋째, 궁극적으로 자아전환을 목표로 한다. 교육사상 연구는 인간의 주체성과 도덕성을 긍정하되 시비선악을 가리거나 가치를 판단하지 않고 객관적이며 가치중립적인 설명과 이해를 추구한다. 이것은 칸트의 철학적 사유의 틀이 교육사상 연구와 관련하여 제안하는 내용이다. 교육사상 연구는 인간의 자유의지를 긍정하는 실천이성을 전제한 가운데 사변이성의 직관과 개념, 감성과 지성, 경험과 이성을 통해 생명 현상으로서의 교육적 삶을 해명할 필요가 있다. It looks difficult to clarify the expression 'educational ideas' with unified explanation. Because this phrase has been formed through diverse paths. So it'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its signification depending on specific contexts. The research object of educational ideas covers from feelings and emotion, customs and practices, belief and thinking and intellect to imagination and fiction with regard to educating children. Research of educational ideas, however, is not oriented to abstract universality of objects or phenomena with concept and theory, but aims to concrete universality that is specific to life. The deep structure of research of educational ideas consists of three elements, that is: first,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concrete reality that is the background of educational ideas, second, current acceptance and evaluation of researcher about the research on historical contemporary, third, self conversion. Research of educational ideas is oriented to objective and value-neutral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affirming subjectivity and morality. This is what Kant's philosophy is to suggest about research of educational ideas.

      • KCI등재

        하이데거의 터있음(Dasein)의 교육

        김석완 ( Suk Wan K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연구 Vol.34 No.1

        하이데거는 ``존재사유``를 통해 서양문명의 가장 근본적인 가치와 전제들을 문제시하면서 인류가 지금까지 경험해보지 못했던 전인미답의 새로운 지평으로 인간의 삶과 사유를 인도하고 있다. 이 존재사유의 한가운데에 이 존재를 사유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자인 세계-내-존재(in-der-Welt-sein)로서의 터있음(Dasein)이 자리 잡고 있다. 이 연구는 하이데거의 존재사유의 여정을 따라 가면서 그의 인간에 대한 존재 규정인 터있음(Dasein) 개념을 통해 우리가 옹호하고 육성하고 완성해야 할 인간성의 의미와 구조 그리고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교육의 의미를 새롭게 재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인간성에 대한 전통적인 이해와 이에 근거한 교육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하이데거의 비판을 살펴 볼 것이다. 이어서 하이데거의 주저인 『존재와 시간』을 중심으로 터있음 개념의 등장과정과 그 개념의 구조와 의미에 대한 이해를 시도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규명된 터있음 개념에 근거해서 교육의 의미를 새롭게 재구성하는 시도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educational meanings of Heidegger`s Dasein. The ultimate goal of Heidegger`s philosoph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being. He makes a distinction between being and beings. While beings are specific ways in which things in the world are understood in a general sense, being is the fact itself that beings are there. Therefore being is always the being of beings. According to Heidegger the human being is the one and only beings that have an understanding of being, namely Dasein, which means the ``there`` of being. Dasein is being-in-the-world, which means it is never separable from world involvement. Heidegger argues that Dasein is beyond the immanent consciousness and exists in the world. The concept of Dasein provides a new foundation of education that replaces the modern educational found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consciousness." Philosophy to seek truth of being, for Heidegger, has the broadest and deepest pedagogical meaning because he thinks it is possible to recover humanity only after all beings recover their essential meaning and position in the world. Traditional humanism and education wanted to control beings as objects that man can make produce and transform at one`s disposition. But it becomes barriers to realizing authentic human being, or makes the nature of humanity instrument. Heidegger describes this characteristic of modern technology as "enframing". Heidegger`s ontological education doesn`t seek a fund of knowledge, development of mind and reason, individual excellence, or civil virture, but guides students into dignity and depth of being to disapprove theoretical and technological attack. First of all, man has to teach the new way of thinking for this, namely thinking of being. The educated man in Heideggerian sense is a man who looks for ones dignity at defending and protecting truth of being. And the educated man is a man who empowers oneself responsibility to live as neighbor of beings. It is, for Heidegger, philosophy and education.

      • KCI등재

        이념형(Idealtypus)과 실재형(Realtypus)

        김석완(Kim, Suk-Wa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4 敎育思想硏究 Vol.28 No.1

        Die Arbeit hat eine methodologische Anwendung des Idealtypus und Realtypus, die im Allgemeinen für die Methodologien der Sozial- und Kulturwissenschaft betrachtet wurden, an den Gedanken der Erziehung zum Ziel. Dafür, das Studium des Gedankens der Erziehung zum Objekt einer autonomen Wissenschaft zu legen, kommt es darauf an, eine Methodologie zu systematisieren. Der Idealtypus und Realtypus repräsentieren zwei theoretische Formen, dass der Mensch durch Sprache die Welt greift. Der Idealtypus geht von der Auswahl eines Teils der unendlich heterogenen Wirklichkeit durch den beschränkten menschlichen Geist an. Er ist künstliche Begriffsgestaltung dafür, Erfahrungswirklichkeit durch eine logisch geltende Konstruktion von Begriffen zu ordnen und verstehen. Dagegen behauptet der Realtypus, keine Lücke zwischen dem menschlichen Geist und der Welt zu sein, und es ist möglich, totale Wirklichkeit zu greifen. Während der Idealtypus einen begrifflichen Apparat ist, dadurch Wirklichkeit besser zu verstehen und erkären, Begriffe mit der Wirklichkeit zu vergleichen, setzt der Realtypus Begriff und Theorie zusammen, um Wirklichkeit selbst wahrheitsgemäss zu greifen.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학 및 문화과학의 연구방법론인 이념형과 실재형을 교육사상 연구 방법론에 적용가능한지를 검토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론을 체계화하는 것은 교육사상을 독자적인 학문연구의 영역으로 정립하기 위한 절실한 과제이다. 교육사상의 개념적 의미와 지시대상은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방법론의 적용을 통해 점차 명료히 드러나고 또 이렇게 밝혀진 교육사상 연구의 의미와 의의는 더욱 다양하고 정교한 방법론을 요청한다. 이념형과 실재형은 인간이 언어를 통해 세계를 파악하는 가장 대표적인 두 이론적 유형을 보여준다. 이념형은 무한히 이질적인 요소들의 연관으로 이루어진 현실을 유한한 인간정신이 전면적으로 파악할 수 없고 단지 그 일부만을 선택해서 다루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념형은 경험적 현실을 논리적으로 타당한 방식으로 사유를 통해 정돈하고 질서화함으로써 현실을 인식하기 위한 인위적 개념구성물이다. 실재형은 인간 정신과 세계 사이의 간극을 인정하지 않고 언어를 통해 경험적 현실을 파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관찰이나 연구를 통해 구성한 개념이나 이론으로부터 현실을 유추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념형이 개념과 현실을 비교하고 측정함으로써 현실을 보다 잘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한 도구적 장치인 반면 실재형은 현실의 있는 그대로의 실상을 포착하기 위해 개념과 이론을 구성한다. 이념형적으로 구성된 교육사상은 특정 시공간의 교육문화를 개개인의 행위에 대한 이해와 인과적 설명에 근거해서 규명하는 방법론적 개인주의의 성격을 지닌다. 반면, 실재형적 교육사상은 교육사상을 배태한 경험적 현실의 객관적 본질이나 심층구조가 존재하며 이를 이론이나 법칙으로 정립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건강한 신체에 건전한 정신이 깃든다’ - 교육사상사적 고찰

        김석완(Kim Suk-Wan) 한국교육철학회 2007 교육철학 Vol.32 No.-

          The motto ‘A sound mind in a sound body’exercises its authority and influence in the history of Western education for more than two thousand years. This maxim is a sentence in which the essence of life is contained and expresses the educational ideal of human beings in a compact form. Also, its worth has not faded and is still on everybody"s lips even today. But the meaning of this motto has implicated various contents according to historical situations and social conditions. In the result of that it has had diverse education meanings.<BR>  This expression has formally twice appeared on the documents in the Western history. The poet of the Roman empire, Juvenalis mentions in his Satire 10 what mankind should pray for is“a sound mind in a sound body”as he examines the ambitions of mankind and shows that they all lead to disappointment or danger. John Locke begins his Some Thoughts Concerning Education with this sentence. Locke says, it is“a short, but full description of a happy state in this world.”<BR>  But if we go back to the origin of the thinking in this motto, we meet the ideal of life for which the ancient Greek searched. The perfect development and the harmonious combination of body and mind(kalokagathia) is none other than the core of the Greek culture and the educational ideal at the same time. They imposed the task of developing the body on gymnastike and of developing the mind on the mousike. That means gymnastike and mousik are a epitome of the Greek education.<BR>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this motto implicates various educational meanings in each period. More particularly,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ain the meaning of‘sound body’and‘sound mind’, the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both.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논박술(elenchos)과 플라톤의 방법론

        김석완 ( Suk Wan Kim )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8 No.-

        지금까지 소크라테스의 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플라톤의 초기대화편이 역사적 소크라테스에 대한 기록이라는 검증되지 않은 가설에 근거해서 이루어져 왔다. 『소크라테스의 변론』에서 『메논』까지를 초기대화편으로 설정하고 이 대화편들을 관통하는 일정한 패턴을 탐구함으로써 사람들에 대한 캐물음과 검사를 통해 혼을 염려하고 사람들을 도덕적 삶으로 이끄는 소크라테스 방법론의 실체를 규명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초기대화편이 허구적 성격을 띤 문학적 창작의 산물이며 따라서 역사적 소크라테스를 회상하고 그의 실제 모습을 객관적 기록으로 남기기보다 플라톤 자신의 철학을 전개하기 위한 의도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는 주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주장에 따르면 역사적 소크라테스에 대한 비교적 사실적인 기록은 『소크라테스의 변론』이 유일하며 나머지 작품들에서는 소크라테스의 철학과 그 상속인을 자처하는 플라톤의 사유가 혼재되어 그 경계를 확정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하지만 연구자는 초기대화편이 문학적 허구의 성격을 지닐 뿐만 아니라 초기대화편에서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사유와 철학 방법론을 구분할 수 있고 또 마땅히 구분되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주장에 근거해서 지금까지 역사적 소크라테스와 등장인물 소크라테스의 방법론을 구분하지 않고 무원칙하게 혼재시키는 오류를 비판하고 역사적 소크라테스의 논박술을 `실존적 방법`으로, 플라톤의 철학적 방법론을 `전문가적 방법`으로 새롭게 재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Socrates` elenchos. The research into elenchos up to the present has been based on the unverified hypothesis that Plato`s dialogues of the early period are the historical documents about Socrates. It would have been thought that one can find out the substance of the Socratic method, if one investigated a regular pattern through the earlier works. But Charles Kahn puts forward the claim that Plato`s earlier writings are a fictional form in which there is no reason to look for the philosophy of the historical Socrates are a literary fiction, and in which Plato intended to develop his own philosophy instead. According to his opinion the only one document about the historical Socrates is just Apology. I`ll try to reconstruct elenchos, the philosophical method of the historical Socrates, criticizing the misinterpretation to mix Socrates` with Plato`s method imprudently. In Apology Socrates insists that he has no wisdom about good life and the unexamined life, however, is not worth living. He obviously has a few of standards to which he appeals in making his examinations of others: his interlocuters must say only what they believe; the discussants must agree on the moral proposition of Socrates-one must not in any circumstances do wrong; eventually he examines their lives. Socrates is interested, not merely in the truth or falsehood of what people say or believe, but rather in the ways in which they live. This examining method of life is called elenchos, the practical method which aims at perfection of the Self through anxiety about soul and care for the Self. Elenchos is not a systematic but a very individual method which is applied according to ones personal history and character differently. I will call it `existential method`. Plato identified oneself as the heir of Socratic philosophy, but had to solve its dilemma at the same time. He needed to bridge the discrepancy between his ignorance of wisdom and his moral belief and practice on the one hand, to develop the personal and unsystematic method of Socrates on the other hand. Plato proposed craftsman`s method as an alternative of his individual method, succeeding the Socratic life to search for wisdom. As trainer and doctor care for bodily health by making advantage of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so Plato`s method needs a specialist to care for health of soul with his moral knowledge. This method had already been conceptive for the dialogues of definition which announce the idea of the good as nature and essence of virtu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