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올라이트/활성탄 복합 소재를 이용한 수중 질소화합물 제거에 관한 연구

        김서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for simultaneous removal of nitrogen such as ammonium and nitrate in water using zeolite/activated carbon mixture(commercial name, zeocarbon). In general, the application of zeocarbon to water treatment was not easy because of weak strength to water treatment and high pH value of effluents after water treatment. Therefore, we have proposed that the surface modification of zeocarbon. For the surface modification, we carried out the acid treatment by 1N HCl. As a result of modification, strength of the modified zeocarbon was enhanced about 62% in comparison with the zeocarbon. And, the functional group was created on the surface of zeocarbon and mesopore was formed in the zeocarbon. This indicates that the modified zeocarbon was suited to our purpose for application of water treatment. The removal efficiency for ammonium and nitrate of the modified zeocarbon showed about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zeocarbon. Also, the modified zeocarbon was not influenced about temperature and pH. In the result, the modified zeocarbon showed the excellent removal efficiency of TN(total nitrogen). The value of efficiency of zeocarbon showed about 49% higher than that of zeolite and about 63% higher than that of activated carbon. Consequently, the modified zeocarbon was possibility of application for water treatment, and was effective for simultaneous removal of ammonium and nitrate from aqueous solution. Therefore, our results present the basic data for the design of one-stage ammonium/nitrate simultaneous removal system.

      • 화법교육의 정체성과 방향 : 고등학교 <화법>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서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간이 갈수록 화법 역량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확대되고 있다. 화법 역량 자체는 물론이고, 개인의 잠재력을 증명할 수 있는 것이 화법이다. 이처럼 사회에서 필히 요구되는 반면, 학교 교육에서 타 교과에 비해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는 과목 역시 화법이다. 국어과 교육 내 중요도에서 화법 교육의 낮은 위치는 화법 교과의 정체성이 확립되지 못했다는 것과 타 교과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내용 및 목표의 일관성과 체계성이 낮다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국어과 화법 교육의 역사를 통해 화법 교육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바람직한 화법 교육의 방향을 찾는 데 목표를 두었으며,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목표와 내용 체계를 기준으로 각 교육과정기의 교과서의 내용 선정 및 조직 원리를 비교·분석하여 각 교과서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화법 교육이 어떻게 교과에 구현되어 어떤 목적과 목표를 두고 있는지, 그에 따른 내용은 무엇인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화법 교육에 요구되는 요소들을 고찰해본 후, 화법 교육이 확립해야 할 정체성을 제시하고, 그에 따라 화법 교과가 중심적으로 다루어야 할 교육 목표와 내용을 탐구하였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과 연구 방법 및 대상, 그리고 선행 연구를 다루었다. 화법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확대됨에 따라 학교 교육은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으며, 보다 체계적인 화법 교육과정과 그에 따른 교과서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화법 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화법 교육의 교육과정의 변화와 그에 따른 교육 목표 및 내용을 각 차시별 교육 과정과 교과서를 통하여 비교·분석하여 화법 교육의 정체성과 방향을 논의하였으며, 그와 관련하여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교육과정의 변화와 그에 따른 교육 목표 및 내용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앞으로 화법 교육이 추구해야 할 방향을 모색해보았다. 제2장에서는 화법 교육 과정의 변천 과정을 살폈다. 제1차 교육과정부터 제5차 교육과정까지의 교육과정 변화를 통하여, 제6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 변화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제1차 교육과정 시기에는 국어 공통 과정 내에서 말하기, 듣기 교육의 기능적이고 기술적인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학문 중심 교육 과정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5차 교육과정까지 이어진다. 제6차 교육과정도 국어과의 도구 교과적 성격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같으나, 교육에 있어서 다양성을 고려하고자 공통 과목으로 국어를, 선택 과목으로 독서, 작문, 문법, 문학과 함께 화법을 구성한다. 이처럼 5차 교육과정에서 6차 교육과정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가장 큰 특징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은 바로 독립된 교과를 편찬하였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또한 화법 교과 자체적인 내용으로 구체성을 띠기 시작했다. 2015 교육과정은 현재 구체적으로 실행되지 않았으나, 가장 최근 교육과정의 목표 및 내용과 중요시되는 요소의 최근 경향을 알 수 있다. 2015 교육과정은 인성 요소를 중요시하고 있으며, 내용 체계에 있어서는 새로운 시도로서의 정리가 엿보이는데, 이 또한 인성과 관련하여 사회·문화적 요소와 연관 지을 수 있다. 제3장에서는 제6차 교육과정 이후의 교과서를 살펴보았다. 제6차 교육과정기의 교과서는 기능적·도구적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특징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화법’의 교과 필요성을 깨달아 펼쳐 낸 교과서라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제7차 교육과정기의 교과서는 ‘본질’, ‘원리’, ‘태도’, ‘실제’를 바탕으로 한 7차 교육과정의 틀을 바탕으로 구성하고 있는데, ‘실제’가 나머지 요소들을 아우르는 입체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6차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서 ‘태도’가 추가된 형태인데, 이러한 형태와 같이 교과서 역시 태도와 관련하여 미미하나 의사소통 과정에서 중요한 말하는 이, 듣는 이의 태도의 중요성에 강조점을 두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다. 부록의 구성에 있어서도 6차 교육과정보다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 사회·문화적 요소를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2007 교육과정기의 교과서는 화법과 작문Ⅰ, Ⅱ’이라는 통합된 교과서가 두 권으로 나누어져 있다는 것이 특징인데, Ⅰ에서는 ‘지식’과 ‘기능’, Ⅱ에서는 ‘실제’를 다루고 있다. 2007 교육과정기의 교과서는 7차 교육과정에서 재구성된 수준의 교육과정이나 보다 사회·문화적인 요소를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2009 교육과정기의 교과서는 이전 교육과정의 틀에서 벗어난 내용 체계를 교과서에 구현하였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전 교육과정과는 다른 자체적인 영역을 설정하였으며, 이 가운데 사회·문화적 요소 및 인성의 함양을 위한 내용을 하나의 영역으로서 동등하게 배치하였다는 것이 큰 특징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기존의 교육과정에서 화법 교육은 제6차 교육과정 이후 선택 교과로 <화법>을 둔 이래, 기능적인 차원에서 목표와 내용이 설정된 경향이 강하다. 이를 고려할 때 2015 교육과정의 화법 목표 및 내용에서는 선행 교육과정에 비해 ‘의사소통성’과 ‘관계성’을 강조한 면이 있을지라도, 내용 면에서 기능적 차원을 중심으로 다룰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특징들을 통하여 살펴 본 6차 이후 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화법 교육과정의 방향성을 살펴보았고, ‘화법’이라는 단독 교과서를 편찬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화법교과만의 특성을 살린 목표와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성교육을 반영하기에 적합한 화법교육의 특징과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짚어봄으로써 화법교육의 정체성과 방향을 살펴보았다. 현재 <화법과 작문>으로 화법, 작문교과가 통합되어 편찬되어 있는데, 이를 분리시키고, 화법교과만의 목표와 내용을 구성하며, 화법교육에 반영할 인성 함양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의 연구가 필요하다. There is an increasing social demand for speaking and listening competence today. Speaking and listening can also demonstrate potential for individual ability. Despite such high demand, speaking and listening is not treated as important in school curriculum. The fact that speaking and listening is being underestimated in Korean class is confirmed by the fact that clearly defined curriculum for speaking and listening is absent and, compared to other subjects,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lacks consistent goal and systematic plan. This research aims to define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by surveying the history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in Korean class and find the goal of and direction for future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The research will focus on how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is being implemented in curriculum, what their educational goals and objectives are, and what the contents of such curriculum is like by analyzing the current Korean textbooks and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ir contents and organizing principles for each curriculum period based on the goals and contents proposed by current curriculum system. The research will examine various aspects of the current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Then, it will propose the definition of the ideal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and explore what its main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should be. Chapter 1 describe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research method and subjects used, and previous researches done on the subject. With increase demand for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education must reflect such demand by creating more systematic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and the textbooks needed for such education. Accordingly, this research tries to provide the definition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and explore its future direction. This research discussed the definition and the direction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changes in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corresponding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against each level of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textbooks used for the curriculum. The research also examined previous researches done on the related subject.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 investigated how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corresponding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have changed and explored the future direction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The chapter 2 surveyed the history of changes in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By surveying the changes in educational curriculum from the 1st Curriculum to the 5th Curriculum, the research tri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curriculum from the 6th Curriculum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1st Curriculum made possible the awareness of functional and technical necessity for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across Korean education. The curriculum tends to place heavy emphasis on academics, and such characteristics continued until the 5th Curriculum. Although the 6th Curriculum is similar to the previous programs, it also took into consideration diversity and introduced speaking and listening as well as reading, writing, grammar and literature for optional class in addition to required Korean class.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 of the transition from the 5th Curriculum to the 6th Curriculum was the introduction of speaking and listening as independent curriculum. The creation of independent curriculum was then specifically implemented in terms of creating the contents of educ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speaking and listen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as not been put into implementation. However, it is possible to infer from it the goal of the most recent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issues that are considered most crucial.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tresses the importance of character. It also contains a new experimental element in terms of contents. This could be related to socio-cultural elements pertaining to character education. The chapter 3 surveyed the textbooks introduced after the 6th Curriculum. The prominent characteristics of the 6th Curriculum is that it focused on functional/pedagogical aspect role of textbook. Most of all, the textbooks was created with the need for “speaking and listening skill” in mind. Textbooks in the 7th Curriculum are composed based on the framework of the 7th Curriculum, which is based on ‘essence’, ‘principal’, ‘attitude’ and ‘actuality’, in which the ‘actuality’ has a dimensional form that embraces the remaining elements. Also, ‘attitude’ is added to the content structure of the 6th Curriculum, which implies that textbooks also started to put emphasis, although insignificant, on the importance of the attitude of speaker and listener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In terms of the composition of supplements, textbooks in the 7th Curriculum started to emphasize the social and cultural elements more than the 6th Curriculum. The textbooks for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re divided into Speaking and listening and Writing I and Ⅱ. The I pertains to “knowledge” and “function” and the Ⅱ pertains to “practice”. The 2007 Revised Curriculum is a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However, it places more emphasis on social and cultural elements. On the other hand, the textbooks for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nclude the contents that are outside that of the previous curriculum programs. It contains its own independent realm tha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curriculum programs,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 of which is the introduction of the contents designed to incorporate socio-cultural elements as well as character education with equal weight. Under the circumstance, since the “speaking and listening” was selected as curriculum in the 6th Curriculum, the goal and the contents of the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in the existing educational curriculum focused on practical aspects. Considering this, although the goal and the contents of the speaking and listening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ended to place more emphasis on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compared to the prior curriculum program, the contents are likely to focus on practical aspects. The research examined the direction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6th Curriculum. It also created an independent textbook called “Speaking and listening,” suggesting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cluding goals and contents that are uniq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peaking and listening skills. Also, by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to reflect character education and the need for character development-oriented education, the research studied the definition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and its future direction. Today, “Speaking and listening and Writing” is a textbook that incorporates both speaking and listening skills and writing. The future researches must separate them and create a textbook that specializes in speaking and listening only, thus making it easier for speaking and listening to contribute to enhancement of character education.

      • 돈에 대한 생각과 시간적 거리가 소비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 타협효과와 유인효과를 중심으로

        김서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람들은 시간적 거리가 멀어질수록 고차원적 해석(high-level construal)을 수행하여 타협효과 감소 및 유인효과 증가 현상이 나타난다(Khan, Zhu, and Kalra 2011). 이러한 타협효과와 비대칭적 지배대안에 의한 유인효과가 발생하는 이유는 타협대안이나 비대칭적 지배대안이 다른 여러 대안에 비하여 합리화하기 쉽고, 속성간의 상쇄(trade-off)에 의한 갈등을 해소시키기 때문이다(Dhar and Simonson 2003; Simonson 1989).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간적 거리와 금전점화가 제품 속성 특성에 따라 타협대안과 비대칭적 지배대안 선택비율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소비자는 시간적 거리가 멀 때 가까울 때에 비해 실행가능성 속성(feasible attribute)보다 바람직성 속성(desirable attribute)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Trope and Liberman 2003). 본 연구는 제품 속성 특성이 바람직성 속성과 실행가능성 속성으로 이루어진 경우, 시간적 거리가 멀어질수록 바람직성 속성이 우수하지만 실행가능성 속성이 열등한 대안의 선택비율이 증가하고 또한 제품 속성 특성이 바람직성 속성만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시간적 거리가 멀어질수록 두 바람직성 속성 중 바람직성이 더 우수한 대안 선택비율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실험 1>에서는 제품 속성 특성을 바람직성 속성과 실행가능성 속성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금전점화 여부와 상관없이 시간적 거리가 먼 경우 시간적 거리가 가까울 때에 비해 타협대안 선택비율은 감소하고 비대칭적 지배대안 선택비율은 증가하였으며, 타협대안 선택 집합 내에서는 시간적 거리가 멀 때 바람직성 속성은 우수하지만 실행가능성 속성은 열등한 대안의 선택비율이 증가하였지만 비대칭적 지배대안 선택 집합 내에서는 시간적 거리에 따른 비율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 2>는 제품 속성 특성을 바람직성 속성으로만 조합하여 진행하였으며, <실험 1>에서 시간적 거리에 따른 타협대안 및 비대칭적 지배대안 선택비율 차이가 명백했기 때문에 금전점화 상황에서 바람직성 속성만으로 이루어진 선택 집합에서도 시간적 거리가 작동하는지 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제품 속성이 바람직성 속성으로만 이루어진 경우에도 금전점화 조건에서 시간적 거리가 멀 때에 가까울 때에 비해 타협대안 선택비율 감소 및 비대칭적 지배대안 선택비율 증가 현상이 나타났고, 타협대안 선택 집합 내에서만 시간적 거리가 멀 때 두 바람직성 속성 중에서 바람직성이 더 우수한 대안 선택비율이 증가하는 것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Khan, Zhu, and Kalra(2011)의 이론을 바탕으로 타협대안 및 비대칭적 지배대안 선택비율이 제품 속성 특성(바람직성 속성 vs. 실행가능성 속성 혹은 바람직성 속성 vs. 바람직성 속성)의 상쇄가 작동하는 상황에서 금전점화 여부와 시간적 거리에 의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People tend to conduct high-level construal when their temporal distance becomes farther. As a result thereof, compromise effect will be decreased, whereas attraction effect will be increased(Khan, Zhu and Kalra 2011). The compromise and attraction effect occurs when compromise alternatives or asymmetrically dominating alternatives can be rationalized more easily than other alternatives, and when they are able to address the conflicts associated with the trade-off between attributes(Dhar and Simonson 2003; Simonson 1989). Hereup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emporal distance and money priming affect the choice ratio of compromise and asymmetrically dominating alternatives in accordance with product attribute characteristics. Consumers tend to assess desirable attributes more positively rather than feasible attributes in far distant future purchase situations than in near future situations(Trope and Liberman 2003). This study predicted that when product attributes consisted of desirable and feasible attributes, choice ratio of superior desirable attribute but inferior feasible attribute alternative would increased in far distant future situations. Moreover, the choice ratio of an alternative having a higher degree of desirability would increase when temporal distance became farther in the case that product attributes consisted of only desirable attribute characteristics. In <Study 1>, product attributes were classified into desirable attribute and feasible attribut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of, the choice ratio of compromise alternative decreased in far distant condition regardless of whether money priming was present. However, the choice ratio of asymmetrically dominating alternative increased. In the choice set of compromise alternative, superior desirable attribute but inferior feasible attribute alternative increased when temporal distance became farther,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atio depending on temporal distance in the choice set of asymmetrically dominating alternative. In <Study 2>, product attribute characteristics consisted of only desirable attributes.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the choice ratio of compromise alternative and asymmetrically dominating alternative depending on temporal distance in <Study 1>. On that accoun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temporal distance would play a critical role in the choice set consisting of only desirable attributes even in the case of money priming. As a result thereof, the choice ratio of compromise alternative decreased and the choice ratio of asymmetrically dominating alternative increased in far distant condition under the condition of money priming even when product attributes consisted of only desirable attributes. Only in the choice set of compromise alternative, the choice ratio of an alternative having a higher degree of desirability increased in far distant condition. This study confirmed,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Khan, Zhu, and Kalra (2011), that the choice ratio of compromise alternative and asymmetrically dominating alternative varied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money priming and the level of temporal distance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trade-off of product attribute characteristics(desirable attribute vs. feasible attribute or desirable attribute vs. desirable attribute) was valid.

      • 청소년의 대인관계 능력과 다문화 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김서아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다문화적인 사회환경 속에서 청소년의 대인관계 능력과 다문화 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 함양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 파주 지역의 (신)도시 소재 고등학교 2개교와 농촌 소재 고등학교 2개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능력 및 다문화 경험, 다문화 수용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40부를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1.0을 이용하였다. 통계기법은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분석을 위한 빈도 분석, 변수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집단 간 차이 분석을 위한 t-test, One-way ANOVA, 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을 위한 상관관계 분석, 변수 간 영향력 검증을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대인관계 능력과 다문화 수용성은 지역별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다문화 경험은 지역별 차이가 있었고, 농촌 지역의 학생들이 다문화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개인적인 상황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대인관계 능력과 다문화 수용성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으며, 다문화 교육을 받은 학생과 자원봉사 활동을 하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부모의 학력 수준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청소년의 대인관계 능력과 다문화 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의 차원별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에서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인 통제변수(형제․자매수, 부·모학력, 가정형편)와 독립변수인 대인관계 능력과 다문화 경험을 투입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인관계 능력은 다문화 수용성의 하위영역 중 문화 개방성, 교류 행동 의지, 세계시민 행동 의지에서 다문화 경험은 교류 행동 의지에서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대인관계 능력은 다문화 수용성의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 차원과의 영향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다문화 경험은 관계성 차원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 향상을 위해서는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을 확대 시행할 필요가 있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안정적인 다문화 교육을 위해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수준 및 단계별로 세분화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행정적·재정적 지원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예비교사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을 필수 이수 과정에 포함하는 제도적 개선이 요구된다. 미국의 다수 주에서는 교사 자격 인증 과정에 다문화 교육이 필수 이수 사항으로 포함되어 있다. 교사는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적 태도에 상당히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기 때문에 다문화적 가치관 정립과 역량 강화는 필수적이다. 이러한 점에서 다문화 인식 제고를 위해 교사 대상의 다문화 교육이 필수 이수 과정으로 시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청소년의 대인관계 능력 향상 및 다문화적 경험 확대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대인관계 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 형제․자매맺기 프로그램 등을 도입하여 학교 현장에서 시행할 필요가 있으며, 실질적인 다문화적 경험 기회의 제공을 위해 선호도 높은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참여도를 증진하고, 지속적·체계적 운영을 위한 적극적인 제도적 지원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dolescents'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multicultural experiences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a multicultural social environment, and to seek ways to foster youth'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interpersonal competence, multicultural experience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or 2 high school students in urban high schools and 2 high schools in rural areas, in Paju, Gyeonggi Province, and used 240 copies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21.0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Statistical techniques include frequency analysis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variables, t-test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groups,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to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factor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relationship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influence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regional differences i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ere not confirmed,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regional multicultural experiences, and it was found that students in rural areas had many multicultural experiences. Second,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ere higher among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and those who receive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volunteer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Differences by parents' educational level were not significant. Third,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multicultural experiences on each sub-division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control variables(number of brothers and sisters, parents' education, family circumstances), which ar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multicultural experiences, which are independent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zes were conducted with input of experience. As a result of analysis, interpersonal competen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ulticultural experiences in cultural openness, willingness to exchange, and willingness to act globally among the sub-area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other words,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elation to the diversity, relationship, and universality dimension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al experiences were significant in relational dimens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mprove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implement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all student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need to actively seek ways to provid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uch as training professional manpower for stabl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that are segmented by level and stage. Second, institutional improvement is required to include multicultural education as an essential course for pre-service teachers. In many states in the United States, multicultural education is included in the teacher qualification certification process. Teachers exert a significant influence on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o strengthening multicultural values and competencies is essential. In this regard, in order to raise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eachers needs to be implemented as an essential course. Third, a variety of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operated to improve adolescents'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expand multicultural experience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collective counseling programs, peer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s, brother and sisterhood programs to improve interpersonal skills and implement them at school sites, and to promote participation by developing various activity programs with high preference for providing practical multicultural experience opportunities, and to suggest active institutional support for continuous and systematic operation.

      • 수원 화성 문화재 이해를 위한 가상현실(VR)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김서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endeavors to develop a program that synergistically integrates Suwon Hwaseong, a distinguished UNESCO World Heritage site, with cutting-edge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to curate immersive online exhibitions. The program was specifically implemented among high school students with the primary objective of facilitating a deeper comprehension of the cultural distinctiveness of Suwon Hwaseong and local cultural heritage. Additionally, the program was thoughtfully designed to foster an appreciation for the art historical value of Suwon Hwaseong and to cultivate a heightened awareness of cultural heritage, as well as digital literacy, through the meticulous curation of virtual reality exhibitions. Suwon Hwaseong, an architectural marvel, amalgamated state-of-the-art technologies of its time, uniting the mountain fortress and the plain fortress through fortified walls. Its historical significance lies not only in the comprehensive documentation of its construction, meticulously recorded in written accounts and illustrations, but also in its intrinsic ability to harmoniously blend nature and architecture. Beyond serving as a mere military facility, Suwon Hwaseong stands as a testament to our cultural heritage, embodying the coexistence of humankind and the natural environment. The protracted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has expedited the advancement of online exhibitions, offering unparalleled flexibility in exhibition viewing unconstrained by physical space or environmental limitations. Consequently, a surge in art enthusiasts seeking to engage with art and culture through online platforms has been witnessed. In response to these prevailing cultural trends, this thesis endeavors to develop a program that not only enhances our understanding of art and culture but also harnesses the indispensable potential of digital technologies crucial for our future society. Chapter 2 of this thesis delves into a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Suwon Hwaseong and virtual reality (VR), encompassing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underpins Suwon Hwaseong, the significance and methodologies of exhibition planning, empirical case studies of VR exhibition planning, as well as the artistic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VR exhibition curation. Consequently, an incisive comprehension of the artistic significance of Suwon Hwaseong was established, accompanied by the formulation of effective strategies and methodologies for VR exhibition planning specifically tailored to Suwon Hwaseong. Furthermore, the research identified an imperative necessity to foster digital pedagogical approaches in the domain of art and cultural heritage education.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art textbooks and an assessment of contemporary classroom practices, the pivotal role of local art and cultural heritage education was duly acknowledged. Chapter 3 focuses on the selection of subject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program, building upon the research conducted in Chapter 2. The study examines the relevance of the revised 2015 and 2022 art education curricula and establishes instructional and learning plans to construct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Consequently, two distinct programs are developed: the "Virtual Reality Exhibition Planning and Production Program for Understanding Suwon Hwaseong Fortress" and the "Virtual Reality Exhibition Planning and Production Program for Understanding Hwaseong Haenggung Palace." These programs aim to facilitate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regarding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Suwon Hwaseong and Hwaseong Haenggung Palace, followed by the utilization of virtual reality platforms to plan and create virtual reality exhibitions. By implementing these programs, learners ga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local cultural heritage epitomized by Suwon Hwaseong and Hwaseong Haenggung Palace. Engaging in the activities of designing and producing virtual reality exhibitions allows learners to partake in creative and interdisciplinary artistic endeavors while fostering the ability to appreciate and comprehend Suwon Hwaseong. Through collaborative group activities, learners also cultivate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nd expand their thinking by valuing and integrating diverse perspectives. Chapter 4 examines the educational effects and proposes measures to activate and maximize the program's impact. The observed educational effects are as follows: Improved historical understanding of Suwon Hwaseong cultural heritage: Learners develop a nuanced historical understanding encompassing the artistic significance of Suwon Hwaseong. Enhanced ability to plan cultural heritage-related exhibitions and create virtual reality programs: Learners enhance their capacity to autonomously explore cultural heritage, plan exhibitions, and create virtual reality experiences aligned with chosen themes using online platforms. Improved understanding of art museums and appreciation of virtual reality exhibitions: By leveraging the spatial structure of virtual exhibition halls and organizing artwork placement, learners deepen their comprehension of art museums and refine their ability to appreciate artworks. Overall,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yields positive educational effects, including heightened historical understanding, proficiency in exhibition planning and virtual reality production, and an enriched appreciation and comprehension of art museums and virtual reality exhibitions. After implementing this program, a realization arose regarding the need to expand learning opportunities for understanding Suwon Hwaseong. Consequently, the integration of Suwon Hwaseong Museum, Hwaseong Fortress trail experiences, and AR programs was identified as crucial to broaden Suwon Hwaseong education.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enhance facilities and devices to expand digital media learning opportunities. An exploration of the diverse materials available at Suwon Hwaseong Museum and their incorporation into classroom instruction is essential to broaden the scope of understanding and facilitate experiential learning. Moreover, leverag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during the exploration and investigation of Suwon Hwaseong can significantly enhance comprehension and interest in cultural heritage, fostering a creative and integrated educational experience. Additionally, expanding digital facilities and devices can help nurture digital literacy skills, contributing to the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of cultural heritage.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program is to deepen learners' understanding of local cultural heritage and enable them to engage in art education that seamlessly integrates with virtual reality. Through this program, learners are empowered to recognize and internalize aesthetic values, thereby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creative talents for the future. It is our aspiration that this program will serve as a catalyst for art education, empowering learners to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local cultural heritage. 본 논문은 세계문화유산인 수원 화성과 가상현실(VR)을 접목하여 온라인에서 가상현실 전시를 기획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을 통해 수원 화성의 문화적 특수성과 지역 문화재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또한, 학습자가 프로그램을 통해 수원 화성의 미술사적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전시를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문화재 감상 능력과 디지털 문해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수원 화성은 축성 당시 선진 기술을 도입하여 산성과 읍성을 잇는 평산성의 형태로 건설하였다. 건설 시 축성에 대한 모든 기록을 글과 그림으로 엮어 정리하였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크다. 더불어 자연과 건축물의 조화를 통해 수원 화성이 단순한 군사 시설물이 아닌 인간과 자연이 중심이 된 문화유산임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수원 화성의 위대성을 보여준다. 코로나 팬데믹 상황이 길어지면서 온라인 전시가 이전보다 발달하게 되었고 온라인 전시는 전시 공간이나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도 전시 관람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온라인 전시를 통해 미술 문화를 향유하고자 하는 관람객들이 증가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이러한 문화적 흐름 속에서 우리 미술 문화를 이해하고 미래 사회에 필요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의 제2장에서는 가상현실과 수원 화성의 이론적 배경, 전시기획의 의미 및 방법, 가상현실 전시기획의 사례, 가상현실 전시기획의 미술 교육적 의의 도출을 통해 수원 화성과 가상현실, 전시기획을 전반적으로 탐구하였다. 이어 수원 화성의 미술사적 의미를 이해, 수원 화성의 가상현실 전시기획 전략 및 제작 방법 습득, 미술 문화재 이해를 위한 디지털 교수법 활용 능력 함양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미술 교과서와 실제 수업 현황 분석 과정에서 교육 현황을 확인하여 지역 미술 문화재 수업의 중요성을 인지할 수 있었다. 제3장에서는 제2장에서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기 위해 연구 대상과 절차를 선정하였다. 또한 2015/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의 관련성과 교수·학습 계획, 교수·학습 방법에 따른 수업 모형을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수원 화성 성곽 이해를 위한 가상현실 전시기획 제작 프로그램’과 ‘화성행궁 이해를 위한 가상현실 전시기획 제작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수원 화성과 화성행궁의 미술사적 특징, 역사적 의의 등을 학습한 후 이를 가상현실 플랫폼을 사용하여 가상현실 전시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활동이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결과 학습자는 지역 문화재인 수원 화성과 화성행궁에 대해 이해하였고, 가상현실 전시 제작 활동을 통해 창의·융합적인 미술 활동을 할 수 있었으며 수원 화성을 이해하고 활용하여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게 되었다. 모둠 활동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기르고, 타인의 의견을 존중하며 수용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학습자의 사고를 확장 시킬 수 있었다. 제4장에서는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에 나타나는 교육적 효과 및 활성화 방안을 분석하였다. 활동 후 나타나는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원 화성 문화재에 대한 역사적 이해 능력이 향상되었다. 수원 화성의 미술사적 의의를 포함한 역사적 이해 능력이 함양되었다. 둘째, 문화재 관련 전시기획 및 가상현실 프로그램 제작 능력이 향상되었다. 문화재를 자기주도적으로 탐색하고 전시를 기획하는 활동을 통해 가상현실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주제와 부합하는 가상현실 전시를 제작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미술관에 대한 이해 능력 및 가상현실 전시 감상 능력이 향상되었다. 가상 전시관 공간 구조의 활용 및 작품 배치 등을 통해 미술관을 이해하는 능력과 작품을 감상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본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에 수원 화성 이해를 위한 학습 기회 확대의 필요성을 느꼈다. 따라서 수원 화성 박물관 및 화성 둘레길 체험과 AR 프로그램을 연계한 수원 화성 교육 확대, 디지털 매체 학습 기회 확대를 위한 시설 및 기기를 확충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수원 화성 박물관에 있는 다양한 자료를 조사하고 이를 수업에 활용하여 이해의 폭을 넓히고 실제로 경험이 가능한 학습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수원 화성을 조사하고 탐색할 때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다면 문화재에 대한 이해도와 흥미도를 높이고 창의·융합적인 교육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디지털 시설과 기기를 확충한다면 디지털 문해력을 기르고 문화재의 보존과 유지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프로그램은 학습자들이 지역 문화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미술과 가상현실이 연계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프로그램을 통해 미적 가치를 인식하고 내면화하여 창의적인 미래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미술교육에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 니오비움 질화물 기반의 분리막을 이용한 장수명 리튬-황 이차전지 개발

        김서아 포항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화석연료의 고갈과 이산화탄소 발생으로 인한 환경 오염 문제가 대두되면서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가 지난 수 십 년간 전세계적으로 크게 각광받고있다. 전기화학적으로 에너지를 저장하는 다양한 이차 전지가 개발된 가운데 그 중에서도 리튬-황 이차 전지가 높은 이론 에너지 밀도(2600 W h kg-1) 와 낮은 가격으로 가장 경쟁력 있는 시스템으로 주목받고있다. 하지만 리튬-황 이차 전지의 상용화를 위하여 극복해야 할 문제점이 존재한다. 리튬-황 이차 전지는 양극 소재로 황을 사용하고 음극 소재로 리튬 금속을 사용하여 방전 과정에서 고리 구조의 S8이 선형의 리튬 폴리설파이드(Li2Sx, x = 4~8)로 변환되고 완전히 환원되면 리튬 설파이드(Li2S)가 생성된다. 이 때, 리튬 폴리설파이드가 유기 전해액에 방전 과정 중에 지속적으로 용해되어 양극 활물질의 양이 감소하고 수명 특성이 감소한다. 또한 황의 전기전도도가 낮은 특성 때문에 단독으로 양극 재료로 사용하지 못하고 전도도가 높은 물질과 복합체를 이루어야 한다. 복합체를 도입하게 되면 셀의 전반적인 에너지 밀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황을 담지 할 수 있으면서도 상용화 가능한 조건을 지닌 복합체를 만드는 것이 굉장히 어렵다. 뿐만 아니라 황과 전해질이 잘 접촉해 있어야 고용량이 발현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리튬 폴리설파이드가 전해질에 녹아 음극 쪽으로 넘어가버린다는 모순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황 전극 복합체의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에 몇몇 선두적인 연구에서 기능성 분리막을 도입하여 리튬 폴리설파이드의 용출을 막고 수명 특성과 가역 용량을 향상 시키려는 전략이 시도되었다. 전기 전도도가 높은 탄소계 물질을 분리막에 코팅하여 용출되는 리튬 폴리설파이드를 물리적으로 막아줄 수 있는 기능성 분리막을 도입하여 리튬-황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켰으나 극성의 리튬 폴리설파이드와 비극성 탄소계 물질간의 화학적 결합이 존재하지 않아 완벽한 차단이 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극성의 무기물은 대부분 전기 전도도가 낮기 때문에 리튬 폴리설파이드와의 강한 결합력과 높은 전기전도도 특성을 모두 가진 소재는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니오비움 질화물을 전략적으로 디자인하여 일반 분리막에 도입함으로써 기능성 분리막을 개발하였고 리튬-황 전지에 도입하여 수명 특성과 가역 용량의 향상을 도모하였다. 니오비움 질화물은 리튬 폴리설파이드와의 화학적 결합 능력이 우수하며 높은 전기전도도를 지닌 물질로 이를 고표면적의 꽃 형태를 지닌 물질로 합성하였다. 이러한 뛰어난 특성으로 인하여 분리막에 도입하였을 때 순수한 황 양극 전극을 사용하여 0.5C 전류 밀도 (1C = 1675 mA h g-1)에서 100사이클 충방전 이후 631 mA h g-1 의 높은 가역 용량을 보였고 초기 용량대비 80.1%의 용량을 유지하였다. 반면에 일반 분리막을 사용한 경우 동일 조건에서 402 mA h g-1 의 가역 용량과 46.5 %의 용량 유지 정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처음으로 니오비움 질화물을 통한 리튬-황 이차전지 성능 향상 효과를 증명하였고 형상 제어를 통해 전기화학적 성능 향상 능력을 극대화하였다. 이를 통해 금속 질화물 기반의 물질을 이용한 리튬-황 이차전지 분리막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Eco-friendly clean energy has attracted world-wide attention during last decades. Among the various rechargeable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systems, lithium-sulfur batteries (LSBs) are considered as the most promising candidate of post-lithium ion batteries due to their ultrahigh theoretical energy density (2600 W h kg-1) and low cost. However, there are several critical issues to impede the commercialization of LSBs, such as inevitable dissolution of lithium polysulfide (LiPS) (Li2Sx, x = 4~8) into electrolyte so called "shuttle effect" and electrical insulating property of sulfur, resulting low columbic efficiency and reversible capacity. To cope with above concerns, the development of conductive host materials for sulfur which can facilitate the electron transfer and physically block the shuttling LiPS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over the decades. However, the introduction of sulfur host in cathode is not enough to satisfy the strict qualification for commercialization of LSBs. Because fabrication of identical sulfur host materials is complicate and expensive. Besides, sulfur host could not completely suppress the dissolution of LiPS. To overcome these issues, some pioneering research groups have shown the promising potential of the use of functional separator to further enhance the cycle stability and reversible capacity of LSBs. In this work, we presented strategically designed functional separator by coating flower-like niobium nitride (f-NbN) on the commercial polypropylene separator. The f-NbN coated separator has excellent capability of LiPS trapping via chemical interaction,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large surface area increasing the adsorption site of LiPS. With these superior properties, the assembled cell with f-NbN coated separator and pure sulfur cathode exhibits the high capacity of 631 mA h g-1 and superior retention ratio of 80.1 % to initial capacity even after 100 cycles at 0.5 C rate with a capacity fade of only 0.197 % per cycle.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it is the first time to elucidate the role of NbN surface on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LSBs and to develop the functional separator using morphology controlled high surface area NbN. We believe that this work greatly contributes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metal nitrides for functional separator in LS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