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진묵 설화의 기록화와 그 의미

        김기종 한국불교학회 2015 韓國佛敎學 Vol.75 No.-

        As an in-depth study on the monk Jinmuk, this study examined his biography and analyzed differences between events presented in it and events described in folktales that have been passed down orally. Buddhist Monk Jinmuk’s Yujeokko (the title of his biography) is a collection of folktales that contains 17 episodes about his life. In these episodes, divine guardians, mountain gods, Vajrapani, arahats and others controlled by or serving Jinmuk, appear and tell us that Jinmuk was the incarnation of Shakyamuni. It also tells us about Jinmuk’s relationships with various characters including a Confucian scholar, a maidservant, a hunter and a young boy. In addition, all of these events are supported by the historical research of the biography’s author, Choui, and by validation of the scriptures (經證) of the Shakyamuni Inji. Oral folktales handed down to the present hardly indicate that Jinmuk was the incarnation of Shakyamuni, nor do they contain such Buddhist teachings as the prohibition against killing (不殺生), the concept of “non-attachment” (無着) or references to Buddhist entitiies such as arahats, divine guardians and Vajrapani. Rather, oral folktales about Jinmuk create interest in him as a historical Buddhist figure. They also present Jinmuk and Bonggok as being in a competitive or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In particular, in folktales that describe the reason for Jinmuk’s death, they depict Bonggok as a hostile man who kills Jinmuk. The fact that folktales of this type were included in Jeung-san Kang’s Daesujeongyeong suggests that such stories were widely told throughout the Honam region in the mid and late 19th century. 이 글은 『震默祖師遺蹟攷』의 내용 및 성격을 살펴보고, 현재까지 채록된구비설화와의 차이점을 검토한 뒤, 16ㆍ17세기의 인물인 진묵의 행적이 19세기에 기록된 이유와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금까지의 논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문헌설화집의 성격을 띠고 있는 『진묵조사유적고』의 본문에는 17편의 일화가 수록되어 있다. 이들 일화는 진묵의 부림을 받거나 진묵을 도와주는 신장ㆍ금강역사ㆍ나한 등의 등장과, 유학자ㆍ계집종ㆍ사냥꾼 등의 다양한 인물과 진묵의 관계 맺음을 통해, 진묵이 석가의 화신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이러한 진묵의 형상은 편찬자인 초의의 ‘고증’과 「釋迦如來因地」의 ‘經證’으로 인해 역사화 되고 있다. 구비설화의 경우는, 석가 화신으로서의 진묵 형상화가 나타나 있지 않고, 나한ㆍ신장ㆍ금강역사 등의 불교적 인물 역시 보이지 않는다. 대신 흥미성이보다 강화되어 있고, 진묵이 불교를 대표하는 인물로 인식되고 있으며, 진묵과 봉곡이 경쟁 내지 대립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특히 ‘진묵이 죽은 이유’의설화 유형은 진묵을 살해하는 적대적인 인물로 봉곡을 묘사하고 있다. ‘진묵이 죽은 이유’가 강증산의 구술로 『대순전경』에 실려 있다는 점은 이유형의 설화가 19세기 중ㆍ후반에 이미 향유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진묵조사유적고』 간행의 기획자인 儒士 김기종과 편찬자인 초의 또한 이 설화의 존재를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김기종은 그의 서문에서 진묵 관련이야기들을 ‘보존’하기 위해 이 책의 간행을 기획한 것임을 밝히고 있다. 보존의 이유로는 진묵과 봉곡의 교유 사실과, 진묵의 효심이 제시되어 있다. 결국, 19세기에 이루어진 진묵 설화의 기록화는, 儒ㆍ佛을 적대적 관계로 표현하고 있는 설화들의 유행에 대한 유ㆍ불 지식인의 문학적 대응으로, 교정 내지 순화의 성격을 띤다고 하겠다. 그리고 석가 화신으로서의 진묵 형상화는 호남지역이 석가가 출현했던 불교의 ‘聖地’라는, 당시 호남 불교계의 융성ㆍ발전에 근거한 ‘海陽後學’으로서의 초의의 자부심이 표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Needs for Continu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Career of Physiotherapists

        김기종,진영 대한통합의학회 2019 대한통합의학회지 Vol.7 No.4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continuing education (CE) for physiotherapists and especially to draw attention to the perception and need of the education so that the present study aimed to provide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education program. Methods : The study obtained information from CE of the Korea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held in Gwangju on April 12 and July 19, 2015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and needs of CE. Present study showed that 431 out of 563 people who answered to the survey, with a 76.5 % response rate. Among them, 350 people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for questionnaires whose responses were insufficient. Among them, the level of perception of CE was 238, excluding 112 people who did not receive an education in 2014. Results : The perception of CE according to experience showed a weak positive correlation in questions 1 (r=0.244), 5 (r=0.244) and 10 (r=1.129) (p<.05).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in questions 2, 3, 4, 6, 7, 8, and 11 (p>.05). The needs of CE according to experience showed weak negative correlations in musculoskeletal system (r=-0.141), nervous system (r=-0.136), geriatric (r=-0.117), oriental physical therapy (r=-0.130), and other new technologies (r=-0.232)(p<0.05). Basic education, pediatric, cardiopulmonary system, sports, physical agents, and women's field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p>.05) (Table 3). Conclusionˇ:ˇ There was little or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needs for the CE based on physical therapists' experiences. Current research suggests that for a CE for physical therapists, the perception of education should first be renovated, and then the quality of education should also be improved based on the need of them.

      • KCI등재

        김태흡의 대중불교론과 그 전개

        김기종 한국선학회 2010 한국선학 Vol.26 No.-

        본고는 근대 대중불교운동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의 일환으로, 김태흡의 대중불교론과 그 전개 양상을, 불교 인식 및 대중화 방안과 찬불가․희곡의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지금까지의 논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김태흡의 주요 논설을 대상으로 그의 불교인식과 불교대중화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김태흡의 대중불교론은 자각에 근거한 각타의 ‘구세주의’와, 자각과 각타의 실천에 있어서는 僧俗의 구분이 없다는 ‘승가’의 사상에 기반하고 있다. 그는 이를 바탕으로 산간불교에서 대중불교로의 전환을 위한 다양하고도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그는 포교 공간․포교방식․부속기관의 문제에 주목하여, 각각 전당식 포교당에서 회관식으로의 전환, 찬불가․한글 경전 등 시대에 맞는 포교방식의 도입, 그리고 유치원․야학교 등의 부속기관 설치를 주장하였다. 그리고 포교방식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강설․문서․의식․특별․감화포교․불교단체 조직 등의 여섯 가지 항목을 설정하고 있다. 김태흡의 이러한 방안은 불교의 사회적인 역할과 활동에 중점을 둔 것으로, 근대 불교계의 가장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대중화 방안이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김태흡이 대중불교운동의 일환으로 창작한 찬불가와 희곡의 내용 및 성격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의 찬불가는 여타의 종교시가와 달리 독자에 대한 권계나 당부가 없고, 佛傳 및 佛典의 내용을 노래하고 있으며, 희곡작품 역시 대부분 佛傳․경전․불교설화의 내용을 각색한 것이다. 또한 김태흡의 찬불가와 희곡은 장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인격적인 성자․지자로서의 불타 형상화’와 ‘마음 또는 자각의 강조’라는 공통된 특징을 갖는다. 불타와 마음의 강조는, 그의 불교 인식이 사원․포교당․학교라는 대중불교의 현장에서 구체화된 것으로, 그가 전개한 대중불교운동의 이념적 지향으로 볼 수 있다. 이렇듯, 불타와 마음으로 ‘불교’를 단순 명료화하여 이를 노래와 연극을 통해 적극적으로 대중에게 확산시키고 있는 점은, ‘儒佛不二’라는 절충론으로 ‘숭유억불’에 대응했던 근대 이전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This study examined Kim Tae heup’s theory of popular Buddhism and its development focused on people’s perception of Buddhism,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and the contents of Buddhist hymns and drama as one of earnest studies on modern popular Buddhism movements. Kim Tae]heup’s theory of popular Buddhism is based on the idea of ‘Sangha’ that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priests and laymen in practicing the awakening of the self and others. Based on this idea, he suggested various specific ways for the transition from mountain Buddhism to popular Buddhism. In particular, paying attention to problems in preaching spaces, preaching methods, and involved institutions, he proposed the transformation of temple]type halls to assembly halls, the introduction of modernized preaching means such as Buddhist hymns and sutras in Korean, and the installation of institutions such as kindergartens and night schools. With regard to preaching methods, furthermore, he suggested six items including lecture, literature, ceremony, special event, reformatory preaching, and the organization of Buddhist groups. These proposals by Kim Tae heup, which focused on the social roles and activities of Buddhism, are considered the most specific and systematic strategies for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in the modern Buddhist circle. Buddhist hymns and dramas created by Kim Tae heup, though different in genre, have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configuration of Buddha as a personal saint and wise man’ and ‘emphasis on mind or awakening.’ Emphasis on Buddha and mind is the concretization of his Buddhist perception in the fields of popular Buddhism such as temples, assembly halls and schools, and can be considered the ideological direction of his popular Buddhism movement. His efforts to simplify ‘Buddhism’ into Buddha and mind and spread it actively among people through songs and drama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are distinguished from the premodern compromise that coped with the government’s policy of ‘supporting Confucianism and suppressing Buddhism’ through the theory ‘Confucianism and Buddhism are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