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통합적 다중오믹스 기술을 활용한 숙주-병원균 Clostridioides difficile 대사 상호 작용 분석 연구

        권지은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클로스트리디오이드 디피실은 전 세계적으로 항생제 관련 감염을 일으키는 절대 혐기성 장내 병원성 세균이다. C. difficile 감염증은 일반적으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불균형이 발생한 숙주의 장에 발생하고, 설사와 같은 경미한 증상부터 염증성 장 질환의 원인이 된다. 그러나 C. difficile 감염증의 정확한 병인과 인간 장 상피 세포와 C. difficile 사이의 생물학적 상호작용에 대한 지식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제한적이다. 본 연구팀은 Caco-2 세포와 C. difficile 사이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Mimetic Intestinal Host-Microbe Interaction Coculture System을 통해 체외 C. difficile 감염증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C. difficile 감염증의 초기 단계에서 숙주와 C. difficile 사이의 대사 상호작용을 조사하기 위해 통합적 다중 오믹스 접근법을 적용했다. 먼저, Caco-2 세포의 생활성과 C. difficile의 독소 측정을 통하여 우리의 C. difficile 감염증 모델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감염의 진행에 따라 발생하는 체내 독소 매개 현상들인 (액틴 필라멘트의 분해 및 장 상피 장벽 파괴)이 제작된 C. difficile 감염증 모델에서도 유도되는 것을 검증하였다. 더불어, 감염 초기 발생한 단백질 스트레스에 대항하여 스트레스 유도성 샤페론 단백질들의 상향조절 및 유비퀴틴-프로테아좀 경로의 증가가 확인되었고,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손상에 따른 전자전달계와 ATP 합성 효소에 포함되는 단백질들의 하향조절이 관찰되었다. 이는 Caco-2 세포의 해당과정과 TCA 회로에 속하는 대사체의 감소를 통해서 숙주 세포의 에너지 대사 억제가 입증되었다. 종합하면, 우리의 체외 C. difficile 감염증 모델은 혐-호기 조건에서 감염 초기 C. difficile에 의한 숙주 세포의 새로운 생물학적 대응 경로를 분자수준에서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차후 C. difficile 감염증 기초 대사 연구를 통한 치료제 개발 연구에 있어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lostridioides difficile is an obligate anaerobic enteropathogenic bacterium that causes antibiotic-associated infections worldwide. C. difficile infection usually occurs in the intestine of a host with an imbalance of the gut microbiome, and causes from mild symptoms such as diarrhea to inflammatory bowel disease. However, knowledge of the exact pathogenesis and biological interaction of C. difficile and human gut epithelial cells is still limited despite its importance. Here, we developed an in vitro C. difficile infection model via the Mimetic Intestinal Host–Microbe Interaction Coculture System to simulate the direct interactions between Caco-2 cell and C. difficile. Also, it was applied multiomics approaches to investigate the metabolic crosstalk between the host and C. difficile at the early stage of C. difficile infection. C. difficile infection model was validated through the induction of disaggregation of the actin filaments and disruption of the intestinal epithelial barrier as the toxin-mediated phenotypes progressed as the infection progressed. In addition, an upregulation of stress-induced chaperone and an increase in the ubiquitin proteasomal pathway were identified against protein stress that occurred in the early stage of infection, and a downregulation of proteins contained in the electron transfer chain and ATP synthase was observed.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host cell energy metabolism is inhibited through glycolysis of Caco-2 cells and reduction of metabolites belonging to the TCA cycle. Taken together, our C. difficile infection model suggests that a new biological response pathway in the host cell by C. difficile at the early stage of infection at the molecular level under anaerobic-aerobic conditions. Therefore, this study has the potential to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future therapeutics through basic metabolic studies of C. difficile infection.

      • 고등학교 수학 교과를 통한 진로 교육과의 연계 방안 연구 : 수학문제와 연계한 대학 전공별 정보탐색 교재계발

        권지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나라의 진로지도 경험은 다른 나라에 비해 현저하게 적다. 교사들의 인식부족, 교육과정과 분리된 진로교육, 현장과 밀착되지 못한 진로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올바른 진로선택의 기회를 주지 못하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고 최근 강조하고 있는 통합교과학습을 잘 활용하여 교과를 통한 진로선택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고,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능동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학문적 체계성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흥미까지 동시에 만족시키는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본 연구는 수학교과를 통한 진로교육의 연계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학 교과에서의 2007 개정교육과정의 몇 가지 사항을 보면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인 태도를 개선시키고, 수학과 관련된 국가, 사회적인 요구로써 학생들의 진로와의 연계성을 강화한 수학학습을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이와 관련된 수학과 7차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대학 전공, 진로교육에 대한 의미를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효과적인 수학교육을 위한 교과교육과 진로교육의 연계 필요성을 논의하고 수학교과와 연계된 대학 전공탐색을 위한 교재를 제시할 것이다. 교재는 5개의 과를 임의로 선택하여 학과 소개와 함께 수학문제, 과별 진로정보 등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진로탐색의 기회를 주고 수학의 유용성 및 실용성을 소개하여 교과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유발할 것이다. 그리고 개발된 교재가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와 진로 선택에 어떤 도움이 되는지 검증하고 궁극적으로 고등학생들의 수학학습에 도움을 주기를 희망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고등학교 학생, 학부모, 교사의 진로의식의 변화를 유도하고, 국가적으로도 세계 직업 시장의 구조와 흐름을 재조명하여, 그들의 열정과 잠재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사회적인 구조를 만드는데 본 연구자의 연구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CNC/gelatin 조성 비율에 따라 제조된 나노단섬유를 적용한 scaffold의 기계적 물성과 세포배양 특성

        권지은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직 공학 분야에서는 결손 조직의 기능을 회복, 유지, 개선할 수 있는 대체물 개발을 위한 다양한 방식의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조직 공학 대체물의 대상이 되는 것이 ECM(Extracellular matrix)이라는 형태이다. ECM은 단백질 다당류와 같은 유기 고분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유기 고형물질이며 체내 속 세포 사이의 틈을 메워 물리적으로 조직을 지지하여 세포가 살아가기 위한 환경을 조성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ECM을 인공적으로 구현한 것을 Scaffold라고 하며 체외 세포배양을 거쳐 체내 세포배양을 진행하는 순서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Scaffold는 생체 내 높은 안전성으로 키토산을 활용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낮은 기계적 강도로 키토산 단독 사용으로는 scaffold를 구현하지 않고 추가로 다른 고분자와 함께 활용되어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계적 강도와 세포부착성을 높여줄 수 있는 CNC, gelatin 전기방사를 통해 나노웹을 활용하여 호모지나이저에 적용해 나노단섬유를 제조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더하여 나노단섬유를 키토산 용액에 적용시켜 새로운 스펀지 형태의 scaffold를 제조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나노단섬유의 scaffold 형태분석을 위해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분석, 생체내의 기계적 강도를 확인하기 위해 PBS용액에 침지시켜 압축강도, 팽윤도, 분해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CNC의 조성이 높을수록 높은 압축강도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팽윤도, 분해성 분석에서는 CNC 조성이 낮을수록 형태유지력이 낮아 팽윤도와 분해도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포배양 분석에서는 gelatin 함량이 가장 많은 scaffold의 세포배양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In the field of tissue engineering, various approaches are being made to develop alternatives that can restore, maintain, and improve the functionality of defective tissues. The substitute for tissue engineering is ECM (Extracellular matrix). ECM is an organic solid substance mainly composed of organic polymers such as protein polysaccharides, which fills gaps between cells in the body and physically supports tissues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cells to live in. Scaffold is an artificial embodiment of such ECM, and research is underway in the order in which in vitro cell culture is carried out. Scaffold has been studied with high safety in vivo using chitosan, but with low mechanical strength, scaffold is not implemented in chitosan alone, but is further used with other macromolecules. Therefore, in this study, a study was conducted to manufacture nanoweb using CNC and gelatin electrospinning machine that can increase mechanical strength and cell adhesion, and to manufacture nanofibers using homogenizers. In addition, nano chopped fibers were applied to a chitosan solution to prepare a new sponge-type scaffold, and analysis was performed. Scaffold was immersed in a phosphate buffer solu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SEM analysis and compressive strength, swelling, and decomposit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CNC composition, the lower the degree of swelling and decomposition, and the higher the compressive strength. In cell cultur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caffold with the highest gelatin content showed high cell culture.

      • 위탁 공공도서관 사서를 위한 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

        권지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ntry into the modern society, where the validity period of knowledge has been shortened, emphasizes the response to environmental changes to librarians. In the face of uncertainties in the new information environment, librarians need to share knowledge and resources through mutual exchange, and update knowledge to lead change is required. However, as a result of reviewing previous studi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systems depending on the affiliation of librarians. In the case of librarians in public libraries affiliated with outsourced institutions, unlike a school library librarian or government librarian, there is a tendency for motivation to weaken as continuous education is not mandatory.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provide continuous and systematic education due to concerns over work gaps and lack of institutional devices. However, since the number of entrusted public libraries is steadily increasing every year and the number of librarians belonging to them is steadily increasing, measures should be prepared so that they can continue to participate in education. As an alternative, small-scale learning communities are being formed, where librarians engage in self-directed learning. A learning community refers to a group of individuals with shared interests who come together to set goal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through learning and knowledge sharing. Such activities can generate new knowledge,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individuals and the community, and foster a sense of solidarity and communal consciousness within the group, thereby helping to create a flexible and cohesive organiz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create a learning environment where librarians can continue to share knowledge and skills and cooperate to grow together, the current status of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was checked and the effect was identified. We wanted to confirm that these activities could be an alternative to librarian education, and in addition, we sought ways to revitalize the learning community.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case studies, and surveys at the same time. Prior research on the learning community of public library librarians was very insufficient, and further studies on the opera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of other professional groups were examined. Through thi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community were identified, the educational status of the entrusted public library librarian was checked to confirm the need for continuous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brarian's learning community were derived. In the case study, the public library entrusted by Gangnam-gu, Seoul, which has been steadily operating the learning community since 2018,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the activity records of the learning community were examined.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wice, consisting of 13 questions on the activity scale, 13 questions on satisfaction and usefulness, 5 questions on learning achievement, 12 questions on job satisfaction changes, 5 questions on the desired direction of opera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and 8 questions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librarians belonging to the Gangnam-gu Library from May 20, 2023 to May 22, 2023, and an onlin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librarians who had participated in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t least once. A total of 101 copies were distributed and 81 copies were recovered, and the recovery rate was 80.2% using all responses as analysis data. The collected data used the SPSS Statistics 27.0 program, calculated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and examined differences in responses through t-test, one-way ANOVA,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Scheffé verification was performed by post-analysis, and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confirmed for reliability te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community operated in Gangnam-gu through case studies and surveys are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community in which librarians were participating was operating relatively well for a purpose. In the activity scale question, an indicator of how the learning community is operated, the average score was generally higher than 4 point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confirmed that librarians sympathize with the need fo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Second, job satisfaction changes were significant in new librarians with less than one year of experience and librarians with more than 10 years and less than 15 years of experience. For them,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had a positive and new impact and served as an opportunity to satisfy their self-realization needs. Third, librarians were mostly satisfied with the current direction of opera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The response to the members' organizational method, number of operations, and operating hours was the same as the current operation. However, the operation method appeared to be a different answer from the present. Currently,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re mainly conducted in the form of idea sharing and practice, but librarians wanted instructors' feedback on whet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were proceeding in the right direction. Fourth, the activity scale had a positive (+) effect, which is a direct relationship with changes in satisfaction and usefulness, learning achievement, and job satisfaction, which are the effects of learning activitie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better the bond with fellow librarians is formed, the greater the effect of the learning community. On the other hand,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in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the parts that were confirmed to need improvement or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ffect of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The effect was not high depending on the period of activity experience, but the content of the activity, the bond with fellow librarians, and the degree of active participation affected the effect of the learning community. Second, questions about joint research had a negative (-) effect, an inverse relationship with changes in job satisfaction. It can be judged that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felt a burden on librarians and had a negative effect. Third, the question with the lowest average score among all questions is about budget support. librarians generally think that they are not receiving sufficient budget fo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nd responded that budget support is needed for the learning community to operate well.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 propose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for librarians' learning, and a plan to revitalize them is as follows. First, a culture that promotes collaboration should be formed. Creating an emotional environment that can build trust among members and support each other can help form a flexible organizational structure for change and improve the quality and effectiveness of library services tailored to the changing times. In addition, managers' concerns are needed so that group activities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changes in job satisfaction, and librarians' efforts to form group expertise through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re needed. librarians should seriously think about what they want to learn and gain through exchanges, and they need an attitude and attitude to match their values as librarians. Second, the librarian'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is needed. In order to cultivate this attitud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mpathy and understanding of librarians by sharing the vision and value of learning activities. This can be a central point that clarifies the direc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process of evaluating and refluxing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Practical case sharing is an opportunity for librarians to check their activities on their own and evaluate their learning achievement through comparisons with other groups. However, as there is a lack of positive response to this, sufficient understanding and agreement from librarians are needed. Third, institutional support is needed. By recruiting professional instructors suitable for the group's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nd purposes, they should be able to receive checks and feedback on whether the current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re proceeding in the right direction. It will help librarians expand their knowledge and set a new direction for learning, and will be able to inspire new interest in learning. In addition, if sufficient budget is provided to ensure the diversity and autonomy of activity topics, librarians will be able to further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individuals and groups through sufficient exploration and learning of intellectual areas. This study sought to confirm that a small learning community could be an alternative amid the importance of continuing education and retraining of librarians. Accordingly, it is meaningful in that it grasped the current status through case studies and surveys and sought solutions. Mandatory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can be a good education for someone, but a burdensome education for someone else.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re a useful tool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libraries as well as individual expertise by promoting cooperation and knowledge sharing among librarians. Organizing a learning community among librarians belonging to the same autonomous region has sufficient advantages in that it is flexible to coordinate activity hours and can select customized learning topic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brary. Therefore, as an education to strengthen the characteristics and capabilities of individual librarians, it will be necessary to find various ways of activities in the learning community that can be accompanied by willingness and pleasure in learning. 지식의 유효기간이 짧아진 현대사회로의 진입은, 사서에게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을 강조하고 있다. 새로운 정보환경의 불확실성에 직면한 사서는 상호 교류를 통한 지식과 자원의 공유가 필요하며 변화를 이끌어나가기 위한 지식의 최신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사서들의 소속에 따라 교육의 기회와 제도에 차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위탁 기관 소속 공공도서관 사서의 경우, 사서교사나 사서직 공무원과 달리 계속 교육이 의무화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동기부여가 약화되기 쉽다. 또한, 업무 공백의 우려와 제도적 장치의 미흡으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나 위탁 공공도서관은 해마다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소속된 사서들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이 지속적으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소규모 학습공동체를 형성하여 스스로 학습하는 사서들이 늘어나고 있다. 학습공동체란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과 공유를 통해 공동체로서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집단이다. 이러한 활동은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여 개인과 공동체의 경쟁력을 제고 할 수 있으며, 집단 내 유대감과 공동체 의식의 함양을 통해 유연한 조직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서들이 지속적으로 지식과 기술을 공유하고 협력하여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학습환경을 조성하고자, 학습공동체 활동 현황을 점검하고 그 효과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활동이 사서 교육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 사례 조사, 설문 조사를 병행하였다. 공공도서관 사서의 학습공동체에 관한 선행연구는 매우 부족하였으며, 이에 다른 전문직군의 학습공동체 운영에 관한 연구를 추가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학습공동체의 개념과 특성을 파악하였고, 위탁 공공도서관 사서의 교육 현황을 점검하여 계속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사서의 학습공동체 특징을 도출하였다. 사례 조사는 2018년부터 학습공동체를 꾸준히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강남구 위탁 공공도서관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학습공동체의 활동 기록을 살펴보았다. 설문지는 2회의 사전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활동 척도에 관한 문항 13개, 만족도 및 유용성에 관한 문항 10개, 학습 성취도에 관한 문항 5개, 직무 만족 변화에 관한 문항 12개, 희망하는 학습공동체 운영 방향에 관한 문항 5개,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 문항 8개로, 총 6부문 5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 조사는 강남구립도서관 소속 사서를 대상으로 2023년 5월 20일부터 2023년 5월 22일까지 진행하였으며, 학습공동체 활동에 한 번이라도 참여한 경험이 있는 사서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총 101부를 배포하여 81부를 회수하였으며, 모든 응답을 분석 데이터로 활용하여 회수율은 80.2%로 나타났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Statistic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량을 산출하고,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응답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사후분석으로 Scheffé 검증을 하였으며, 신뢰도 검사를 위해 Cronbach’s Alpha 계수를 확인하였다. 사례 조사와 설문 조사를 통해 강남구에서 운영하고 있는 학습공동체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들이 참여하고 있는 학습공동체는 비교적 목적에 맞게 잘 운영되고 있었다. 학습공동체 운영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인 활동 척도 문항에서, 평균 점수가 대체로 4점 이상을 상회하는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다. 학습공동체 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사서들이 상당 부분 공감한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둘째, 1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신입 사서와 10년 이상 15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사서에게서 직무 만족 변화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들에게 학습공동체 활동은 긍정적이며 새로운 영향을 주었고, 자아실현 욕구를 충족하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사서들은 현재의 학습공동체 운영 방향에 대부분 만족하였다. 구성원의 조직 방법, 운영 횟수, 운영 시간에 대한 응답이 현재의 운영과 동일하게 나타났다. 다만, 운영방식은 현재와 다른 답변으로 나타났다. 현재는 학습공동체 활동이 주로 아이디어 공유 및 실습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사서들은 학습공동체 활동이 올바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강사의 피드백을 원했다. 넷째, 활동 척도는 학습활동의 효과인 만족도 및 유용성, 학습 성취도, 직무 만족 변화에 대부분 정비례 관계인 정(+)적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학습공동체 활동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동료 사서와의 유대감이 잘 형성될수록 학습공동체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각 변수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개선이나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된 부분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학습공동체 활동 효과에 대부분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활동 경험의 기간에 따라 효과가 높은 것이 아니라, 활동 내용이나 동료 사서와의 유대감, 적극적인 참여 정도가 학습공동체 효과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활동 척도에 관한 문항 중에서 공동연구에 관한 문항은 직무 만족 변화에 반비례 관계인 부(-)적 영향을 주었다. 협력적 학습활동이 사서들에게 부담으로 느껴져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할 수 있다. 셋째, 모든 문항 중 가장 낮은 평균 점수를 기록한 문항은 활동 척도에 관한 문항 중에서 예산 지원에 관한 문항이다. 사서들은 대체로 학습공동체 활동에 필요한 충분한 예산을 지원받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며, 학습공동체가 잘 운영되기 위해서는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서의 학습을 위한 학습공동체 활동을 제안하며, 이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협업을 촉진하는 문화를 형성해야 한다. 구성원 간에 신뢰 관계를 구축하고 서로를 지지할 수 있는 정서적 환경의 조성은, 변화에 유연한 조직구조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고 시대변화에 맞춘 도서관 서비스 품질과 효과성 향상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그룹 활동이 직무 만족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도록 관리자의 고민이 필요하며,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집단전문성을 형성하려는 사서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사서들은 교류를 통해 무엇을 배우며 얻고 싶은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야 하고, 사서로서의 가치와 자신의 가치를 일치시켜나가는 태도와 자세가 필요하다. 둘째, 사서의 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태도를 함양하기 위해서는, 학습활동에 대한 비전과 가치를 공유하여 사서들의 공감과 이해를 높여야 한다. 이는 학습공동체의 지향성을 명확히 해주는 구심점이 될 수 있다. 또한, 학습공동체 활동에 대한 평가와 환류 과정에 보완이 필요하다. 실천적 사례 공유는 사서들이 스스로 활동을 점검하고, 다른 그룹과의 비교를 통해 자신의 학습 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하지만 이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부족한 만큼 사서들의 충분한 이해와 합의가 필요하다. 셋째,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그룹별 학습공동체 활동의 목적에 맞는 전문 강사를 섭외하여, 현재의 학습공동체 활동이 올바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과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사서들이 견문을 확대하고 학습의 방향을 새롭게 설정하는 것과 학습에 대한 흥미를 새롭게 고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활동 주제의 다양성과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충분한 예산이 지원된다면, 사서들이 지적 영역에 관한 충분한 탐구를 하고 이를 통해 개인과 집단의 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사서의 계속 교육과 재교육의 중요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소규모 학습공동체가 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사례 조사와 설문 조사를 통해 현황을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의무적인 학습공동체 활동은 누군가에게는 좋은 교육이 될 수 있지만, 다른 누군가에게는 부담스러운 교육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학습공동체 활동이 사서들 간의 협력과 지식 공유를 촉진하여 개인의 전문성은 물론 도서관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같은 자치구에 속한 사서들끼리 학습공동체를 조직하는 것은 활동 시간의 조율이 유연하다는 점과 도서관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학습 주제를 선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충분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사서 개개인의 특성과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으로, 학습에 대한 의지와 즐거움이 동반될 수 있는 다양한 학습공동체 활동에 대한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 이진 데이터에 대한 잠재 변수 모형 비교 연구

        권지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잠재 변수 모형(Latent Variable Model)은 수치화가 어려운 개념을 측정하는 데 활용되는 통계적 모형이다. 본 논문은 관측 변수가 이진형이고 잠재 변수가 연속형일 때 잠재 변수 분석 방법으로서, 사분 상관을 이용한 요인 분석(Factor Analysis with Tetrachoric Correlation)과 로지스틱 문항 반응 모형(Logistic Item Response Model)을 비교한다. 모의 실험을 통해 잠재 변수 개수, 표본 크기, 잠재 변수 분포에 따라 두 모형의 성능이 어떻게 변하는지 검증하였다. 모수 추정 측면에서 문항 반응 모형이 요인 분석 모형보다 효율적이었다. 그러나 문항 반응 모형은 표본 크기와 잠재 변수의 수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했다. 또한, 잠재 변수의 정규성 가정 이탈이 두 모델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application of the latent variable model, a pivotal statistical tool in the social sciences for quantifying abstract concepts. It specifically focuses on comparing factor analysis with tetrachoric correlation and the logistic item response model, as methods for latent variable analysis when the observed variable is binary and the latent variable is continuous. Through simulation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performance of these two models varies with changes in the number of latent variables, sample size, and the distribution of latent variabl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in terms of parameter estimation, the item response model generally exhibits greater efficiency compared to the factor analysis model. However, the performance of the item response model is notably sensitive to variations in sample size and the number of latent variables. Additionally, deviations from the normality assumption significantly impact both models. These results highlight important considerations for researchers in the social sciences when selecting appropriate methods for latent variable analysis.

      • 한국 유아용 그림책 표지의 일본어 번역판에서 나타나는 디자인 변형의 문제점 분석 : 파라텍스트와 일러스트레이션의 변형된 차이점을 중심으로

        권지은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한국 유아용 그림책이 세계적으로 명성을 날리면서 저작권이 해외로 수출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1990년부터 꾸준히 번역 출판되고 있으며 가장 많은 책이 번역 출판되었다. 하지만 번역 출판되는 과정에서 언어만 바뀌는 것이 아니라 디자인의 변형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런 현상은 표지디자인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한국 유아용 그림책 표지가 일본어 번역판에서 어떻게 변형되어 나타나고 있는 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제 2장에서는 그림책의 개념과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고 표지디자인의 개념 정의 및 특성 및 유아용 그림책 표지디자인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 유아용 그림책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일본 아동문학으로부터 어떠한 영향을 받아 변천해 왔는지 그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제 3장에서는 한국 유아용 그림책 65권과 일본어 번역판 65권의 표지를 파라텍스트와 일러스트레이션으로 크게 두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세부항목으로 파라텍스트부분에서는 제목과 제목 외 파라텍스트로 구분하고 일러스트레이션부분에서는 일러스트레이션과 배경 이미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파라텍스트 중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제목의 글꼴유형에서 가장 많이 변형이 나타났으며, 글꼴의 색과 레이아웃에서도 변형이 나타났다. 둘째, 일본어 번역판에 부제를 추가하여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었고, 저자이름과 번역자 이름은 비교적 잘 명시되고 있지만 출판사명이 삭제된 경우가 많았다. 셋째, 대부분 동일한 일러스트레이션의 사용하였지만 판형과 레이아웃의 변형으로 인한 일러스트레이션이 사용되는 범위가 달랐다. 넷째, 바탕 이미지에 부분적으로 색상을 추가하는 경우가 있었다. 제 4장에서는 변형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글과 그림에 있어서 원저자의 제작의도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문화적 요소를 간과하는 번역 출판은 지양되어야 한다. 한국어 원본의 표지디자인을 세세히 탐색하여 나타내고자 하는 것을 독자들에게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표현하고 그 외에 보완할 부분을 수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유아용 그림책 표지가 일본어 번역판에서 어떻게 변형되어 나타나고 있는 지 알 수 있었다. 변형으로 인한 문제점을 밝히고 개선방안을 제안함으로써 한국 유아용 그림책의 저작권 수출 시 표지디자인 편집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As Korean picture books for children are getting more and more popular around the world recently, there is increase in exports of relevant copyrights. Korean picture books have been steadily translated and published since 1990 in Japan which is the largest importer of Korean children's picture books. In the translation process, however, not only the language but also the design is changed, which is also the case for cover design. Therefore, there needs to look into how covers of Korean picture books for children are transformed in Japanese translations. In chapter 2, the concept and the function of picture books are described along with the definition of cover design concept, its characteri- stics and the role of cover design. Furthermore, the chapter explains how Korean children picture books have developed so far and what impact Japanese children's literature has brought about on Korean books. Chapter 3 analyzes covers of 65 Korean picture books and their 65 Japanese counterparts by dividing those into paratext and illustrations. In detail, paratext is also sub-divided into titles and other paratext whereas illustrations are categorized into illustrations and background images. First, the biggest change is found in the title font which plays a vital role in paratext and the font color as well as the layout is also transformed. Second, a subtitle is added in Japanese translations to help readers understand a book. The names of an author and a translator are relatively well stated while a publisher's name is deleted in paratext. Third, as for most of the books, the same illustrations are used but the scope where the illustrations are used differs due to the transformed book size and the layout. Fourth, some translations partially add colors to background images. Chapter 4 analyzes issues incurred from transformation and thus suggests improvement methods. Translation that overlooks cultural elements that original authors want to convey through pictures and texts should be discouraged. The chapter presents how to best express what original Korean cover designs want to show to readers in translation and how to correct and improve potential issues. This research helps understand how covers of Korean picture books for children are transformed in Japanese translations, thereby identifying problems resulting from modified cover designs in translation and further suggesting how to improve. This will help edit cover designs in exporting copyrights of Korean picture books.

      • 장소성을 구현하는 문화매개자로서 "로컬크리에이터" 연구

        권지은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 series of activities by local creators. They discovers placeness based on locality and reprocesses this into consumer goods by materialization. To this end, this paper organized the theory of placeness and cultural mediation, and looked at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implementation between these two. In-depth interviews with local creators aimed at studying what values they express and what implications they have at these points. Placeness is the identity of a place where an individual has given meaning to a place, which is based on everyday life. Meanwhile, the daily lives of people living in a particular region accumulate and shape the locality of the region. Therefore, the placeness of certain region is based on locality. Local creators accumulate and embody these placeness in their own way. Next, they reprocess the attractive elements of the region that they are well aware of so that the public can feel it. Through this, placeness is realized in a form that can be consumed by the public, allowing the public to experience placeness while consuming such consumer goods. In other words, local creators carry out a series of intermediate processes between the region and the public, conducting place-cultural mediation, and allowing the public to enjoy the region as one type of culture. Recognizing that they are the leaders of the industry doing these activities, local creators have taken responsibility for spreading local culture, but have not lost their image as businessmen. They are spreading local culture as "styled entrepreneurs" based on their communities and their abilities. The activities of local creator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rediscover hidden local identities rather than obvious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hat they produce placeness as consumer goods so that the public can consume placeness without visiting the area in person. This is in line with the fact that place-cultural mediation allows people to access more diverse culture of the region. However, judging from the interviews in this study, local creators now tend to rely on policy support because they do not have an economically independent foundation to maintain such businesses. The foundation for generating profits for the creative industry is not being formed by the fact that they focus only on the process of discovering, reprocessing and materializing their placeness.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self-reliant and long-term ecosystem of local creators will be maintained so that various regions can convey their local charm to the public, and that this study will be a small step toward this. 본 논문은 로컬크리에이터라고 불리는 이들이 지역성을 토대로 발견한 장소성을 재가공하여 이를 소비재로 구현하는 일련의 활동에 대한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장소성과 문화매개의 이론을 정리하고 장소성을 구현하는 것과 문화매개 활동에 대한 접점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로컬크리에이터라고 불리는 이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러한 접점에서 이들이 어떠한 가치를 발현하고 어떤 함의를 가지는 지를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장소성은 개인이 어떤 장소에 대해 의미를 부여한 장소의 정체성인데, 이는 일상성에 기반한다. 한편, 특정 지역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일상이 축적되어 그 지역의 지역성이 형성된다. 따라서 한 지역의 장소성은 지역성을 바탕으로 한다. 이러한 장소성을 로컬크리에이터들은 그들만의 방식대로 축적하고 체화하게 된다. 다음으로 그들은 그들이 잘 알고 있는 지역에 대한 매력적인 요소들을 대중들이 잘 느낄 수 있도록 재가공한다. 이를 통해 장소성은 대중들이 소비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되게 되는데, 대중들은 이러한 소비재를 소비하면서 장소성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 즉, 로컬크리에이터는 이와 같이 지역과 대중을 매개하는 일련의 과정을 진행하며 장소 문화매개 활동을 수행하며 대중들에게 지역이라는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한다. 로컬크리에이터는 자신들이 이러한 활동을 하는 산업의 선두주자임을 인지하여 지역문화 전파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면서도 사업가로서의 면모를 잃지 않았다. 이들은 이들이 속한 커뮤니티와 자신의 능력을 토대로 ‘스타일이 있는 창업가’로서 지역의 문화를 전파하고 있는 것이다. 로컬크리에이터의 활동은 지역의 뻔한 특성 보다는 숨겨진 지역 정체성을 발굴하여 장소성을 재발견한다는 점, 그리고 그 장소성을 소비재로 구현하여 대중들이 직접 지역을 방문하지 않아도 장소성을 소비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이는 장소 문화매개가 지역이라는 문화에 대해서 더 다양하고 더 많은 사람에게 닿을 수 있도록 한다는 점과 상통한다. 그러나 본 연구의 인터뷰로 미루어보았을 때 현재 로컬크리에이터가 이러한 사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이 갖춰지지 않았기에 정책적 지원에 의존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이들의 장소성을 발견하고 재가공하고 구현하는 과정에만 집중하여 창조산업의 이윤을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이 형성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연구자는 로컬크리에이터들의 자립적이고 장기적인 생태계가 유지되어 다양한 지역이 그 지역다운 매력을 대중에게 전달할 수 있기를 바라며, 본 연구가 이를 위한 작은 걸음이 되었으면 한다.

      • 청소년 사별 후 대처척도 개발 및 타당화

        권지은 충북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bereavement coping scale for adolescents based on the dual process model(Strobe & Schut, 2010), a psychological model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dealing with bereavement. The study used semi-structured interviews, surveys, and questionnaires to collect data from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loss of family member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a 3-factor, 17-item scale. The three factors were labeled as follows: 'acceptance of bereavement (7 items)’, 'reestablishment of relationship with the deceased (5 items)’, and 'positive perspectives (5 items)’. ‘Acceptance of bereavement’ is a process of acknowledging and accepting the loss, and ‘reestablishing a relationship with the deceased’ reflects one’s effort to maintain a psychological connection with the deceased. 'Positive perspectives' refers to a positive attitude and emotion toward the future and oneself. The factors of acceptance of bereavement and reestablishment of relationship with the deceased align with the loss-oriented coping in the dual process model, while the factor of 'positive perspectives' aligns with the restoration-oriented coping. The Bereavement Coping Scale for Adolescents demonstrated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Also, satisfactory convergence validity, prediction validity, and incremental validity were obtained for the scale. In conclusion, the Bereavement Coping Scale for Adolescents, a 17-items self-report measure is a suitable measure for assessing coping in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loss of family members. 본 연구의 목적은 사별에 대처하는 개인차를 설명하는 모델인 이중과정모델(Stroebe & Schut, 1999; 2001)을 기반으로 청소년 사별 후 대처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족과 사별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 개방형 설문, 설문을 실시하였다. 반구조화 면담과 개방형 설문을 통해 수집한 경험적 자료와 기존 척도의 문항을 참고하여 청소년 사별 후 대처척도의 예비문항을 제작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3요인, 17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를 개발하였고, 각 요인은 ‘사별에 대한 수용’‘고인과의 관계 재정립’‘긍정적 관점’으로 명명하였다. ‘사별에 대한 수용’은 사별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과정이며, ‘고인과의 관계 재정립’은 고인과 심리적으로 연결되어있는 상태를 지속하려는 노력이다. ‘긍정적 관점’은 미래와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정서를 의미한다. ‘사별에 대한 수용’과 ‘고인과의 관계 재정립’은 이중과정모델의 상실지향적 대처와 ‘긍정적 관점’은 회복지향적 대처와 부합한다. 청소년 사별 후 대처척도의 내적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양호하였다. 또한 본 척도의 수렴타당도, 예측타당도, 증분타당도가 타당함이 증명되었다. 즉, 본 연구에서 개발한 3요인, 17문항(사별에 대한 수용 7문항, 고인과의 관계 재정립 5문항, 긍정적 관점 5문항)으로 구성된 본 척도가 사별을 경험한 청소년의 사별 후 대처를 측정하는데 적절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현대 남성패션에 나타는 메트로섹슈얼 현상에 관한 연구

        권지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람들은 태어나는 순간 남자와 여자라는 성을 갖게 되고 점차적으로 사회적인 성(genger)을 획득하게 된다. 이런 과정에서 남자는 남성성을 여자는 여성성을 가져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당연시하였고 이러한 구속은 복식에 의해 강화되어 왔다. 그러나 패션에 항상 이런 고정관념이 적용되어 온 것은 아니다. 근대까지 간헐적으로 이성적 이미지의 복식이나 이성의 복식을 착용하기도 하였다. 최근에 나타난 메트로섹슈얼 현상 역시 패션에 있어서의 성적 가치관을 변화시켜 남성복에 장식성을 부여함으로써 남성복이 여성화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을 뿐 아니라 남성들도 이전보다 그들의 자유로운 감성과 미적인 기분을 표현함으로써 새로운 남성의 라이프 스타일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모색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21세기의 트렌드를 예측하는 단서가 되는 메트로섹슈얼 현상을 분석함에 있어 변화하는 남성패션의 표현양상과 남성 패션이 여성화된 요인을 사회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메트로섹슈얼 현상의 속성인 남성의 여성화 경향은 근대 이전부터 있어온 개념으로 각 시대의 사회 문화적 배경의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메트로섹슈얼 현상 역시 이러한 역사적으로 축적된 남성의 여성화 경향의 표출이며 시대적 상황의 요구의 표현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현대 남성패션에 나타난 메트로섹슈얼 현상은 여성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복식요소들(색채, 실루엣, 디테일, 액세서리)로 인해 남성의 여성화 경향을 가속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셋째, 현대 남성패션이 여성화된 요인은 남성의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와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문화의 퓨전화, 개성추구로서의 개인주의, 감성중심 사회, 성의 무경계성으로 나누어지고, 이들 각 요인들간에도 영향을 주고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패션에서의 메트로섹슈얼 현상은 단순히 시대정신을 담아내는 문화의 한 부분뿐만 아니라 문화를 이끄는 역할을 하게 되었으며, 이는 사회 문화적 분위기와 맞물려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앞으로 사회의 변화와 미의 변화에 따라 메트로섹슈얼 현상 역시 다양한 양상으로 재해석되어 나타날 것이라고 기대된다. When people are born, they have their own gender, man or woman and then they get gradually their social gender. In the process, people have naturally a stereotype that men should have masculinity and women should have femininity. This kind of curb has been intensified by clothes. However, the stereotype has not always been applied to fashion. Until modern times, people had occasionally worn the clothes with the image of the opposite sex or the clothes of the opposite sex. A metrosexual trend which appears recently has changed people's sexual value system in fashion. As decorations are used for men's clothing, it shows a tendency that men's clothings have been feminized. Besides, men are representing their new lifestyle by expressing more free emotion and aesthetic feeling. As a way of this search, this study analyzed the metrosexual phenomenon, which became a clue to predict the trend of the 21th century, and it arranged the expressive aspects of changing male fashion and its factors of feminization on the basis of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as follows. Firstly, the feminization trend of men, which is a property of metrosexual phenomena, is a concept which has existed since before the modern times and it has been affected by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day. The phenomenon is also a manifestation of the tendency toward the feminization of men which has historically been piled up and an expression of situational demand of the day. Secondly, the metrosexual phenomenon of the modern men's clothing is accelerating the tendency toward the feminization of men with the factors of clothes(color, silhouette, detail and accessories) which represent feminine images. Thirdly, the factors by which the modern men's fashion are feminized are divided into changes in men's lifestyle, postmodern feminism, fusion of cultures, individualism as a pursuit of personality, emotion-centered society and broken boundary in gender. And these factors have affected one another. Through this study, we can find out that the metrosexual phenomenon is a culture to deal with time spirit and it leads the culture as well. It turns out that the phenomenon has been formed with social and cultural mood. It is anticipated that the phenomenon will be reinterpreted in various aspects according to social and aesthetic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