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통합적 다중오믹스 기술을 활용한 숙주-병원균 Clostridioides difficile 대사 상호 작용 분석 연구
클로스트리디오이드 디피실은 전 세계적으로 항생제 관련 감염을 일으키는 절대 혐기성 장내 병원성 세균이다. C. difficile 감염증은 일반적으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불균형이 발생한 숙주의 장에 발생하고, 설사와 같은 경미한 증상부터 염증성 장 질환의 원인이 된다. 그러나 C. difficile 감염증의 정확한 병인과 인간 장 상피 세포와 C. difficile 사이의 생물학적 상호작용에 대한 지식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제한적이다. 본 연구팀은 Caco-2 세포와 C. difficile 사이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Mimetic Intestinal Host-Microbe Interaction Coculture System을 통해 체외 C. difficile 감염증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C. difficile 감염증의 초기 단계에서 숙주와 C. difficile 사이의 대사 상호작용을 조사하기 위해 통합적 다중 오믹스 접근법을 적용했다. 먼저, Caco-2 세포의 생활성과 C. difficile의 독소 측정을 통하여 우리의 C. difficile 감염증 모델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감염의 진행에 따라 발생하는 체내 독소 매개 현상들인 (액틴 필라멘트의 분해 및 장 상피 장벽 파괴)이 제작된 C. difficile 감염증 모델에서도 유도되는 것을 검증하였다. 더불어, 감염 초기 발생한 단백질 스트레스에 대항하여 스트레스 유도성 샤페론 단백질들의 상향조절 및 유비퀴틴-프로테아좀 경로의 증가가 확인되었고,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손상에 따른 전자전달계와 ATP 합성 효소에 포함되는 단백질들의 하향조절이 관찰되었다. 이는 Caco-2 세포의 해당과정과 TCA 회로에 속하는 대사체의 감소를 통해서 숙주 세포의 에너지 대사 억제가 입증되었다. 종합하면, 우리의 체외 C. difficile 감염증 모델은 혐-호기 조건에서 감염 초기 C. difficile에 의한 숙주 세포의 새로운 생물학적 대응 경로를 분자수준에서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차후 C. difficile 감염증 기초 대사 연구를 통한 치료제 개발 연구에 있어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lostridioides difficile is an obligate anaerobic enteropathogenic bacterium that causes antibiotic-associated infections worldwide. C. difficile infection usually occurs in the intestine of a host with an imbalance of the gut microbiome, and causes from mild symptoms such as diarrhea to inflammatory bowel disease. However, knowledge of the exact pathogenesis and biological interaction of C. difficile and human gut epithelial cells is still limited despite its importance. Here, we developed an in vitro C. difficile infection model via the Mimetic Intestinal Host–Microbe Interaction Coculture System to simulate the direct interactions between Caco-2 cell and C. difficile. Also, it was applied multiomics approaches to investigate the metabolic crosstalk between the host and C. difficile at the early stage of C. difficile infection. C. difficile infection model was validated through the induction of disaggregation of the actin filaments and disruption of the intestinal epithelial barrier as the toxin-mediated phenotypes progressed as the infection progressed. In addition, an upregulation of stress-induced chaperone and an increase in the ubiquitin proteasomal pathway were identified against protein stress that occurred in the early stage of infection, and a downregulation of proteins contained in the electron transfer chain and ATP synthase was observed.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host cell energy metabolism is inhibited through glycolysis of Caco-2 cells and reduction of metabolites belonging to the TCA cycle. Taken together, our C. difficile infection model suggests that a new biological response pathway in the host cell by C. difficile at the early stage of infection at the molecular level under anaerobic-aerobic conditions. Therefore, this study has the potential to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future therapeutics through basic metabolic studies of C. difficile infection.
Background: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baPWV) is an indicator of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risk and/or vascular damage. To identify subjects with coronary atherosclerosis before the onset of angina pectoris or myocardial Infarction will be desirable. The aim of our study i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baPWV and the severity of coronary artery disease. Methods: We measured ankle-brachial index (ABI) and baPWV (Colin Co) in 350 p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CAD). Virtual Histology intravascular ultrasound (VH-IVUS) imaging was available in target lesions of 134 pts with symptomatic CAD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PWV >1600cm/sec (75 pts) and baPWV <1600cm/sec (59 pts). Results: Pt age was 66.6±8.38 yrs in baPWV >1600cm/sec group vs 56±10.45yrs in baPWV <1600cm/sec group (p<0.0001). While lesion length, plaque burden, and remodeling index were similar, minimal lumen area (MLA) was smaller in baPWV >1600cm/sec (p=0.037, Table). VH-IVUS analysis of coronary artery plaque composition showed %max NC was similar (p=0.94), but %max calcium was higher in the baPWV >1600cm/sec group (p=0.01), and %maximal calcium correlated with baPWV (r=0.253, p=0.003). Conclusion: High baPWV indicated more severe CAD (smaller MLA) and greater atherosclerosis disease complexity (more calcified coronary plaque) 배경: 상완-발목 동맥 맥파속도는 동맥 경화성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 혹은 혈관 내 손상의 척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환자에게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이 발생하기 이전에 관상동맥 경화증을 규명하는 것은 가치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상완-발목 동맥 맥파속도와 관상동맥질환의 중증도와의 상관관계 여부를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관상동맥질환으로 진단된 총 350명의 환자들에서 발목-상완 지수와 상완-발목 동맥 맥파속도를 측정하였다. 이 환자들 중 134명에서 대상 병변에 대한 혈관 내 초음파 분석이 가능하였고 다음과 같이 두 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baPWV >1600cm/sec (75 pts) 와 baPWV <1600cm/sec (59 pts). 결과: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baPWV >1600cm/sec 군에서 66.29±8.38세였고 baPWV <1600cm/sec 군에서 56.54±10.45세였다 (p<0.0001). 병변의 길이, 경화반 면적율, 혈관 재형성 지표는 두 개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혈관 내 최소 면적은 baPWV >1600cm/sec 군에서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37). 혈관 내 초음파 분석 을 이용한 관상동맥 경화반의 조직소견의 비교 결과 %최대 괴사성 핵은 두 개군 간에 유사하였으나 (p=0.94), %최대 칼슘은 baPWV >1600cm/sec 군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p=0.01) %최대 칼슘 값은 baPWV 값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0.253, p=0.003). 결론: 높은baPWV 값은 더 심각한 관상동맥질환 (혈관내 최소 면적의 감소)의 존재 및 동맥경화성 질환의 복잡성 (관상동맥 경화반의 석회화의 증가)를 의미한다.
'불안'의 극복을 주제로 한 회화표현 연구 : <Phobia>시리즈를 중심으로
권지은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본 논문은 혼란스러운 현실 속에서 필연적으로 형성된 불안과 공포를 받아들이는 연구자의 태도와 그것이 과연 어떻게 예술로 승화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넘쳐나는 사회문제와 개개인의 현실문제들은 인간 내면에 불안과 공포 같은 부정적 감정을 자리 잡게 했다. 그러한 감정들은 대게 타인 혹은 자신에게 위험하고 위협적인 형태로 표출되기 마련이며, 악순환이 되어 또 다른 불안과 공포를 만들어 낸다. 연구자 또한 이러한 현상에 있어서 예외일 수 없으므로, 예술행위의 주체로서 작품으로 승화하는 방식에 집중하게 되었다. 정신분석학자인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1939)는“예술가란 현실 속에서 충족되지 못한 가장 개인적인 소망과 환상을 변형하여 예술로 승화시키는 사람이다.”라고 하였다. 어린 시절 경험한‘트라우마’에 대한 기억은 연구자가 내적불안과 공포 등의 감정에 집중하는 시작점이 된다. 예상치 못한 극도의 공포상황을 경험한 연구자에게 현실은 위험한 곳이 되었으며, 불안은 당연한 정서로 자리 잡게 된다. 무의식에 남아 있던 불안과 공포는 성장과정에서 연구자의 심리에 계속해서 영향을 주었으며, 이 과정은 자연스럽게 내면을 들여다보는 통찰로 이어지게 했다. 그리고 그것들의 표출방식으로‘예술로의 승화’라는 방식을 택하게 되는데, 이로써‘승화’는 연구자의 삶에서 필연적인 불안과 공포를 이겨내는 수단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자의 심리가 표현된 작품의 주제가 의미하는 바와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고, 그에 대한 예술적 가치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우선 연구자의 작품 창작 원인이 되는 불안과 공포의 정서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예술로의 승화과정에 대해 연구해 볼 것이다. 신프로이트학파인 아들러(Alfred Adler, 1870~1937)의 ‘창조적 자아’개념으로는 승화 주체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그리고 승화의 수단이 되는 '상상력'은 사르트르의 연구를 통해 살펴보며, 궁극적으로 연구자가 작품을 통해 나아가고자 하는 극복과 치유의 과정을『장자』에 나오는‘유(遊)’개념으로 설명해 보고자 한다. 또한 작품 속에서 불안과 공포의 감정을 상징하는 이미지인 얼룩말로 다층적 공간을 조형화하여 표상화된 내면의 심층적 자아에 대해 분석해 볼 것이다. 형식적으로는 반복적 행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치유효과와 더불어 이미지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초현실주의의‘데페이즈망(depaysement)’기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본 논문을 통해 연구자는 심리기저에 깔린 과거의 트라우마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의지가 작품창작의 동인이 되었고, 예술가의 내재적 심리는 작품의 내용이나 형식에 그대로 반영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hobia>시리즈 작품의 주제는‘내면의 불안과 공포’이며,‘은유적 대상이 되는 얼룩말로 창조되는 초현실적 공간을 통한 치유와 극복의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본 논문이 연구자가 궁극적으로 소망하는 정신적 자유에 다가가는 초석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traces back to my speculation over how I face and accept anxiety and fear ― inevitable by-products of confusing real life ― and how they can be transformed into artworks. Overflowing social issues and real-world problems within oneself invoke negative feelings like anxiety or fear in inner self. Such emotions often express themselves in a manner that poses a danger and threat to oneself or others, creating a vicious cycle where one fear and anxiety give birth to another fear and anxiety. I am no exception to these inner workings of mind, which made me focus on the way to turn such emotions into artworks as an actor of art form. Sigmund Freud (20th century psychoanalyst, 1856 ~ 1939) once put an artist “the person who transforms his or her most personal wishes and fantasies that were not fulfilled in reality into art.” Memory of childhood trauma provides a good starting point for me to focus on fearful and unstabilizing emotions. I have experienced extreme fear beyond any expectation in the past. This experience made me realize the world as a dangerous place and defaulted my mental state into anxiety. Such fear and anxiety remaining in my unconscious world kept affecting workings of my mind while growing up, which in turn resulted in reflection in inner-self. I chose 'sublimation to art' as a way to express those emotions. This has made sublimation to art a measure to overcome inevitable anxiety and fear from life. I explored the meaning of my artworks that describe my mentality, identified theoretical backgrounds to support the findings, and contemplate their artistic value. First of all, I broke down anxiety and fear, source of my artistic cre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Freud’s psychoanalysis and studied how these emotions are sublimated to art form. I deepen the understanding about who sublimates those emotions into art by tapping into Alfred Adler (Neo-Freudian psychotherapist, 1870 ~ 1937)'s creative self. I looked through imagination, driver of the sublimation through studies conducted by Sartre. Lastly, I explained the process of overcoming and healing that I intend to achieve by working on artworks by borrowing the concept of Chuang-tzu's Yu (遊; playing, amusing). Another subject of my artwork that I looked into in this study is zebra as a symbol of anxiety and fear. Zebra symbolized the inner-self deep inside me by shaping an image of multi-layered space. My study in this regard is dedicated to therapeutic effect of repeated action and depaysement (adding a new meaning to an image in surrealism).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at past traumatic experience deep in my mind and the will to overcome them fueled creation of artworks, and artists’ inner workings of mind is reflected in artworks’ messages and forms. The theme of Phobia series is anxiety and fear of inner-self and the process of healing and overcoming through a surreal space that zebra, an item for metaphor, creates. I hope this study would bring me to the ultimate destination I have pursued―the mind free of anything.
남극 북빅토리아랜드 테라노바만 지역 토양의 지화학적 특징
습윤하지만 기온이 낮은 남극 해안지역에서의 토양형성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동남극 북빅토리아랜드 테라노바만 지역에서 채취한 지표 토양시료들에 대해 퇴적학적 및 지화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장보고과학기지가 위치한 연구지역은 혼성편마암을 기반암으로 하며, 인접 지역에서 기원한 화강암질의 빙하퇴적물이 발달하고 있다. 연구지역 토양은 자갈과 모래가 우세하며, 해안가로 갈수록 분급이 낮고 조립질인 특성을 보인다. 연구지역 토양의 주원소 조성은 퇴적물을 공급하는 인근 화강암질 암석의 조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토양시료의 총유기탄소(TOC)와 P2O5 함량은 특히 조류의 뼈와 둥지가 발견되는 해안가 쪽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나, 연구지역의 토양형성과정에서 생물학적 영향이 크지 않았을 것이다. 연구지역 토양은 평균 1.6의 높은 ICV 값과 평균 55.7의 CIA 값으로, 화학적 풍화 정도가 약한 조성적으로 미성숙한 토양으로 해석된다. 이는 연구지역이 해안가의 습윤한 지역이지만 낮은 기온의 영향이 더 컸으므로 화학적 풍화보다는 물리적 풍화가 우세했음을 지시한다. 연구지역 토양의 REE 패턴에서는 기반암인 편마암과는 다르게 뚜렷한 음의 Eu 이상이 관찰되며, 다른 화강암질 암석의 경향과 유사한데 이는 토양이 화강암질 퇴적물의 조성을 반영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pedogenesis in the humid but cold Maritime Antarctica, sedimentary and geochemical analyses on surface soil samples collected from Terra Nova Bay in Northern Victoria Land in East Antarctica were carried out. The study area is composed of migmatitic gneiss as a bedrock, and granitic moraines originating from the adjacent area are partially covered on them. The soil of the study area is predominantly gravel and sand. In general, soils near the coast are more poorly sorted and coarser than those of inland area. Based on the geochemical analyses, the major element compositions of the soil in the study area seem to reflect the composition of the nearby granitic rocks that supply sediments. The total organic carbon (TOC) and P2O5 content of soil samples show a high correlation, especially in the coastal area where seabird bones and nests are observed. But, the biological effect on pedogenesis in the study area was not likely to be significant. The TNB soils have high ICV (av. 1.6) and CIA (av. 55.7) values, indicating compositionally immature soil with weak chemical weathering. This suggests that, although the study area is located in humid coastal area, physical weathering prevailed over chemical weathering due to the cold climate. In RE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oil samples, the distinct negative Eu anomalies were observed, unlike gneiss (bedrock), and it is similar to the pattern of granitic rocks. Therefore, the composition of TNB soils is interpreted to reflect the composition of granite that supply sediments.
유아교육기관용 비대면 영상영어학습 프로그램의 학습몰입 요인 연구
권지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유아교육기관에서 COVID19 상황 이후로 주목받고 있는 일명 ‘교실영어’ 라고 불리우는 비대면 영상영어학습 프로그램이 학습성취도 면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이고 있는지 확인하고, 디지털 콘텐츠에서 아동들의 학습몰입감(learning engagement)을 증가시키는 장치 또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도권 유치원 만 5세 학급 15명의 아동을 약 4주의 기간에 관찰하였고 담임교사, 파견영어강사, 유아교육전문가가 연구에 참여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영상 아동 영어학습프로그램은 학습성취도 면에서 분명한 성과를 보여주었다. 생활주제와 관련된 학습 주제와 커리큘럼 선정, 반복학습이 진행될수록 학습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콘텐츠 내에서 등장한 또래 아동들과 함께 학습 진행, 단어나 문장발화 학습에 있어 연관되는 율동을 함께한 활동, chant의 활용, 알파벳 픽토그램 캐릭터의 흥미로운 스토리 활용, 원어민 교사와의 수업 진행 등 다양한 요소들이 아동들의 학습몰입을 증가시키는 요인들로 관찰되었다. 이들 콘텐츠 요소들은 모두 아동이 수동적으로 학습을 받아들이는 것이 아닌 직접적인 참여와 소통을 유도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셋째, 콘텐츠를 다루는 영어전문 파견강사의 대면 수업시간은 최소 60% 이상 축소되었으나 그 역할은 여전히 중요하다. 영어전문 강사가 주 1회 또는 2회 진행하는 대면수업시 언어적, 비언어적인 지시사항이나 강조했던 활동, 보상이나 피드백들이 이후 비대면 상황에의 아동들의 학습태도와 학습몰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COVID19 상황으로 인해 대면수업이 어려워지고 이에 장기화된 휴원, 휴교와 격리로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비대면 수업이 하나의 자연스러운 환경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때문에 이후 팬데믹 상황이 완전히 종료된 후에도 이 현상이 완벽하게 사라질 것으로 예측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비대면 영상영어학습 프로그램의 연구는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유아교육기관의 아동들의 특성상 비대면 영상영어학습 프로그램과 같이 집단으로 학습을 하는 것이 때로는 더 효율적일 수 있다. 이는 Vygotsky의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 이론과 연결시킬 수 있고, 교실에서 함께 학습하는 아동들을 모델링하며 잠재적 발달 수준을 실제적 발달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교육기관의 교실 상황에서의 아동집단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기반 교육은 학습몰입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요소들과 함께 계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In recent years, especially since the COVID-19 outbreak, ‘untact’ media-based English programs for children have attracted the attention of numerous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vi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se programs have generated positive outcomes in terms of learning achievement, and identify mechanisms and factors of digital contents that enhance children’s learning engagement.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after observing 15 children in a five-year-old class at a kindergarte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or four weeks and consulting classroom teachers, dispatched English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First, untact meda-based English programs clearly increased children’s learning achievement. Programs with topics and curricula related to everyday life had greater effect, and the effect on achievement increased with the number of repetitions. Second, this study identified various elements that enhance children’s engagement, including: learning with peers appearing in the contents; activities including group dances for learning words and sentence utterance; use of chants; use of interesting stories delivered by alphabet pictogram characters; and classes with native English speakers. All of these elements encourage children to actively participate and communicate, rather than passively accepting what is taught. Third, the face-to-face class hours of dispatched teachers who deliver the digital contents declined by at least 60%. However, their roles still hold great importance. This study found that the verbal and non-verbal directions, emphasized activites, rewards, and feedbacks provided by these teachers during weekly or semiweekly face-to-face classes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attitude and enagement of children in subsequent non-face-to-face situations. The COVID-19 pandemic put strain on face-to-face classes, and prolonged shutdown and quarantine have made digital-based ‘untact’ classes a natural part of the learning environment. This trend is not likely to die out even after the current pandemic ends, which means continued need for studies on media-based English learning programs discussed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may mean that, in some cases, group learning based on untact media-based programs may be more efficient. This may be explained by Vygotsky’s theory on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 and may allow these institutions to model children learning together at classrooms and realize their full developmental potential. As such, we need continued R&D efforts for digital-based group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classroom settings, along with elements that may increase their learning engagement.
본 연구는 조선시대에 건축된 경북지방 반가(班家)에 설치되어있는 난간을 대상으로 난간의 유형과 세부 구성요소들을 분석하여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반가에 설치되는 난간은 장식적인 ‘미(美)’와 ‘실용성’을 동시에 고려한 것이 특징이다. 그렇지만 난간이 건물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적어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연구가 적은 것이 한계이다. 그럼에도 반가에 설치되는 난간은 안전상의 이유뿐 만아니라 미(美)적인 요소로서 건축물의 입면에 있어서 중요도가 높은 의장적 요소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므로 난간의 유형을 살펴보고 특징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난간이 가지는 가치와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통해 첫째, 반가에 설치되는 평난간과 계자난간은 각각의 모든 구성부재들이 필수적으로는 사용되지 않음을 확인했다. 둘째, 안채에 설치되는 평난간과 사랑채 및 별당에 설치되는 평난간은 세부유형과 설치위치가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계자난간은 주로 사랑채 및 별당에 설치되고 공간의 위계에 따라서도 설치되는 난간의 유형이 다름을 고찰할 수 있었다. 이는 반가의 공간특성과 연관성이 있으며 각각의 공간 특징이 난간에도 반영됨을 확인했다. 넷째, 다음으로는 난간의 시기별 변천양상을 살펴보았으며 평난간과 계자난간이 시기별로 나타나는 유형과 특징이 다른 것을 확인했다. 다섯째, 난간의 지역성은 안동, 경주, 봉화지역에서 선호하는 유형과 형식이 지역별로 조금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고찰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북지방 반가에 설치되어있는 평난간 및 계자난간의 특징, 시기별 변천양상, 지역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기존 전통난간의 유형을 세분화하여 이전 연구에서 미흡했던 반가 내 난간을 고찰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며 앞으로 난간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고등학교 수학 교과를 통한 진로 교육과의 연계 방안 연구 : 수학문제와 연계한 대학 전공별 정보탐색 교재계발
권지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현재 우리나라의 진로지도 경험은 다른 나라에 비해 현저하게 적다. 교사들의 인식부족, 교육과정과 분리된 진로교육, 현장과 밀착되지 못한 진로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올바른 진로선택의 기회를 주지 못하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고 최근 강조하고 있는 통합교과학습을 잘 활용하여 교과를 통한 진로선택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고,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능동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학문적 체계성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흥미까지 동시에 만족시키는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본 연구는 수학교과를 통한 진로교육의 연계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학 교과에서의 2007 개정교육과정의 몇 가지 사항을 보면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인 태도를 개선시키고, 수학과 관련된 국가, 사회적인 요구로써 학생들의 진로와의 연계성을 강화한 수학학습을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이와 관련된 수학과 7차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대학 전공, 진로교육에 대한 의미를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효과적인 수학교육을 위한 교과교육과 진로교육의 연계 필요성을 논의하고 수학교과와 연계된 대학 전공탐색을 위한 교재를 제시할 것이다. 교재는 5개의 과를 임의로 선택하여 학과 소개와 함께 수학문제, 과별 진로정보 등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진로탐색의 기회를 주고 수학의 유용성 및 실용성을 소개하여 교과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유발할 것이다. 그리고 개발된 교재가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와 진로 선택에 어떤 도움이 되는지 검증하고 궁극적으로 고등학생들의 수학학습에 도움을 주기를 희망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고등학교 학생, 학부모, 교사의 진로의식의 변화를 유도하고, 국가적으로도 세계 직업 시장의 구조와 흐름을 재조명하여, 그들의 열정과 잠재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사회적인 구조를 만드는데 본 연구자의 연구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CNC/gelatin 조성 비율에 따라 제조된 나노단섬유를 적용한 scaffold의 기계적 물성과 세포배양 특성
조직 공학 분야에서는 결손 조직의 기능을 회복, 유지, 개선할 수 있는 대체물 개발을 위한 다양한 방식의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조직 공학 대체물의 대상이 되는 것이 ECM(Extracellular matrix)이라는 형태이다. ECM은 단백질 다당류와 같은 유기 고분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유기 고형물질이며 체내 속 세포 사이의 틈을 메워 물리적으로 조직을 지지하여 세포가 살아가기 위한 환경을 조성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ECM을 인공적으로 구현한 것을 Scaffold라고 하며 체외 세포배양을 거쳐 체내 세포배양을 진행하는 순서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Scaffold는 생체 내 높은 안전성으로 키토산을 활용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낮은 기계적 강도로 키토산 단독 사용으로는 scaffold를 구현하지 않고 추가로 다른 고분자와 함께 활용되어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계적 강도와 세포부착성을 높여줄 수 있는 CNC, gelatin 전기방사를 통해 나노웹을 활용하여 호모지나이저에 적용해 나노단섬유를 제조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더하여 나노단섬유를 키토산 용액에 적용시켜 새로운 스펀지 형태의 scaffold를 제조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나노단섬유의 scaffold 형태분석을 위해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분석, 생체내의 기계적 강도를 확인하기 위해 PBS용액에 침지시켜 압축강도, 팽윤도, 분해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CNC의 조성이 높을수록 높은 압축강도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팽윤도, 분해성 분석에서는 CNC 조성이 낮을수록 형태유지력이 낮아 팽윤도와 분해도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포배양 분석에서는 gelatin 함량이 가장 많은 scaffold의 세포배양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In the field of tissue engineering, various approaches are being made to develop alternatives that can restore, maintain, and improve the functionality of defective tissues. The substitute for tissue engineering is ECM (Extracellular matrix). ECM is an organic solid substance mainly composed of organic polymers such as protein polysaccharides, which fills gaps between cells in the body and physically supports tissues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cells to live in. Scaffold is an artificial embodiment of such ECM, and research is underway in the order in which in vitro cell culture is carried out. Scaffold has been studied with high safety in vivo using chitosan, but with low mechanical strength, scaffold is not implemented in chitosan alone, but is further used with other macromolecules. Therefore, in this study, a study was conducted to manufacture nanoweb using CNC and gelatin electrospinning machine that can increase mechanical strength and cell adhesion, and to manufacture nanofibers using homogenizers. In addition, nano chopped fibers were applied to a chitosan solution to prepare a new sponge-type scaffold, and analysis was performed. Scaffold was immersed in a phosphate buffer solu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SEM analysis and compressive strength, swelling, and decomposit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CNC composition, the lower the degree of swelling and decomposition, and the higher the compressive strength. In cell cultur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caffold with the highest gelatin content showed high cell culture.
위탁 공공도서관 사서를 위한 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
권지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The entry into the modern society, where the validity period of knowledge has been shortened, emphasizes the response to environmental changes to librarians. In the face of uncertainties in the new information environment, librarians need to share knowledge and resources through mutual exchange, and update knowledge to lead change is required. However, as a result of reviewing previous studi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systems depending on the affiliation of librarians. In the case of librarians in public libraries affiliated with outsourced institutions, unlike a school library librarian or government librarian, there is a tendency for motivation to weaken as continuous education is not mandatory.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provide continuous and systematic education due to concerns over work gaps and lack of institutional devices. However, since the number of entrusted public libraries is steadily increasing every year and the number of librarians belonging to them is steadily increasing, measures should be prepared so that they can continue to participate in education. As an alternative, small-scale learning communities are being formed, where librarians engage in self-directed learning. A learning community refers to a group of individuals with shared interests who come together to set goal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through learning and knowledge sharing. Such activities can generate new knowledge,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individuals and the community, and foster a sense of solidarity and communal consciousness within the group, thereby helping to create a flexible and cohesive organiz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create a learning environment where librarians can continue to share knowledge and skills and cooperate to grow together, the current status of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was checked and the effect was identified. We wanted to confirm that these activities could be an alternative to librarian education, and in addition, we sought ways to revitalize the learning community.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case studies, and surveys at the same time. Prior research on the learning community of public library librarians was very insufficient, and further studies on the opera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of other professional groups were examined. Through thi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community were identified, the educational status of the entrusted public library librarian was checked to confirm the need for continuous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brarian's learning community were derived. In the case study, the public library entrusted by Gangnam-gu, Seoul, which has been steadily operating the learning community since 2018,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the activity records of the learning community were examined.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wice, consisting of 13 questions on the activity scale, 13 questions on satisfaction and usefulness, 5 questions on learning achievement, 12 questions on job satisfaction changes, 5 questions on the desired direction of opera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and 8 questions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librarians belonging to the Gangnam-gu Library from May 20, 2023 to May 22, 2023, and an onlin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librarians who had participated in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t least once. A total of 101 copies were distributed and 81 copies were recovered, and the recovery rate was 80.2% using all responses as analysis data. The collected data used the SPSS Statistics 27.0 program, calculated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and examined differences in responses through t-test, one-way ANOVA,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Scheffé verification was performed by post-analysis, and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confirmed for reliability te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community operated in Gangnam-gu through case studies and surveys are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community in which librarians were participating was operating relatively well for a purpose. In the activity scale question, an indicator of how the learning community is operated, the average score was generally higher than 4 point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confirmed that librarians sympathize with the need fo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Second, job satisfaction changes were significant in new librarians with less than one year of experience and librarians with more than 10 years and less than 15 years of experience. For them,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had a positive and new impact and served as an opportunity to satisfy their self-realization needs. Third, librarians were mostly satisfied with the current direction of opera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The response to the members' organizational method, number of operations, and operating hours was the same as the current operation. However, the operation method appeared to be a different answer from the present. Currently,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re mainly conducted in the form of idea sharing and practice, but librarians wanted instructors' feedback on whet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were proceeding in the right direction. Fourth, the activity scale had a positive (+) effect, which is a direct relationship with changes in satisfaction and usefulness, learning achievement, and job satisfaction, which are the effects of learning activitie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better the bond with fellow librarians is formed, the greater the effect of the learning community. On the other hand,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in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the parts that were confirmed to need improvement or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ffect of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The effect was not high depending on the period of activity experience, but the content of the activity, the bond with fellow librarians, and the degree of active participation affected the effect of the learning community. Second, questions about joint research had a negative (-) effect, an inverse relationship with changes in job satisfaction. It can be judged that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felt a burden on librarians and had a negative effect. Third, the question with the lowest average score among all questions is about budget support. librarians generally think that they are not receiving sufficient budget fo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nd responded that budget support is needed for the learning community to operate well.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 propose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for librarians' learning, and a plan to revitalize them is as follows. First, a culture that promotes collaboration should be formed. Creating an emotional environment that can build trust among members and support each other can help form a flexible organizational structure for change and improve the quality and effectiveness of library services tailored to the changing times. In addition, managers' concerns are needed so that group activities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changes in job satisfaction, and librarians' efforts to form group expertise through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re needed. librarians should seriously think about what they want to learn and gain through exchanges, and they need an attitude and attitude to match their values as librarians. Second, the librarian'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is needed. In order to cultivate this attitud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mpathy and understanding of librarians by sharing the vision and value of learning activities. This can be a central point that clarifies the direc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process of evaluating and refluxing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Practical case sharing is an opportunity for librarians to check their activities on their own and evaluate their learning achievement through comparisons with other groups. However, as there is a lack of positive response to this, sufficient understanding and agreement from librarians are needed. Third, institutional support is needed. By recruiting professional instructors suitable for the group's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nd purposes, they should be able to receive checks and feedback on whether the current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re proceeding in the right direction. It will help librarians expand their knowledge and set a new direction for learning, and will be able to inspire new interest in learning. In addition, if sufficient budget is provided to ensure the diversity and autonomy of activity topics, librarians will be able to further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individuals and groups through sufficient exploration and learning of intellectual areas. This study sought to confirm that a small learning community could be an alternative amid the importance of continuing education and retraining of librarians. Accordingly, it is meaningful in that it grasped the current status through case studies and surveys and sought solutions. Mandatory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can be a good education for someone, but a burdensome education for someone else.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re a useful tool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libraries as well as individual expertise by promoting cooperation and knowledge sharing among librarians. Organizing a learning community among librarians belonging to the same autonomous region has sufficient advantages in that it is flexible to coordinate activity hours and can select customized learning topic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brary. Therefore, as an education to strengthen the characteristics and capabilities of individual librarians, it will be necessary to find various ways of activities in the learning community that can be accompanied by willingness and pleasure in learning. 지식의 유효기간이 짧아진 현대사회로의 진입은, 사서에게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을 강조하고 있다. 새로운 정보환경의 불확실성에 직면한 사서는 상호 교류를 통한 지식과 자원의 공유가 필요하며 변화를 이끌어나가기 위한 지식의 최신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사서들의 소속에 따라 교육의 기회와 제도에 차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위탁 기관 소속 공공도서관 사서의 경우, 사서교사나 사서직 공무원과 달리 계속 교육이 의무화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동기부여가 약화되기 쉽다. 또한, 업무 공백의 우려와 제도적 장치의 미흡으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나 위탁 공공도서관은 해마다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소속된 사서들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이 지속적으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소규모 학습공동체를 형성하여 스스로 학습하는 사서들이 늘어나고 있다. 학습공동체란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과 공유를 통해 공동체로서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집단이다. 이러한 활동은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여 개인과 공동체의 경쟁력을 제고 할 수 있으며, 집단 내 유대감과 공동체 의식의 함양을 통해 유연한 조직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서들이 지속적으로 지식과 기술을 공유하고 협력하여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학습환경을 조성하고자, 학습공동체 활동 현황을 점검하고 그 효과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활동이 사서 교육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 사례 조사, 설문 조사를 병행하였다. 공공도서관 사서의 학습공동체에 관한 선행연구는 매우 부족하였으며, 이에 다른 전문직군의 학습공동체 운영에 관한 연구를 추가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학습공동체의 개념과 특성을 파악하였고, 위탁 공공도서관 사서의 교육 현황을 점검하여 계속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사서의 학습공동체 특징을 도출하였다. 사례 조사는 2018년부터 학습공동체를 꾸준히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강남구 위탁 공공도서관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학습공동체의 활동 기록을 살펴보았다. 설문지는 2회의 사전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활동 척도에 관한 문항 13개, 만족도 및 유용성에 관한 문항 10개, 학습 성취도에 관한 문항 5개, 직무 만족 변화에 관한 문항 12개, 희망하는 학습공동체 운영 방향에 관한 문항 5개,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 문항 8개로, 총 6부문 5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 조사는 강남구립도서관 소속 사서를 대상으로 2023년 5월 20일부터 2023년 5월 22일까지 진행하였으며, 학습공동체 활동에 한 번이라도 참여한 경험이 있는 사서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총 101부를 배포하여 81부를 회수하였으며, 모든 응답을 분석 데이터로 활용하여 회수율은 80.2%로 나타났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Statistic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량을 산출하고,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응답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사후분석으로 Scheffé 검증을 하였으며, 신뢰도 검사를 위해 Cronbach’s Alpha 계수를 확인하였다. 사례 조사와 설문 조사를 통해 강남구에서 운영하고 있는 학습공동체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들이 참여하고 있는 학습공동체는 비교적 목적에 맞게 잘 운영되고 있었다. 학습공동체 운영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인 활동 척도 문항에서, 평균 점수가 대체로 4점 이상을 상회하는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다. 학습공동체 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사서들이 상당 부분 공감한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둘째, 1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신입 사서와 10년 이상 15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사서에게서 직무 만족 변화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들에게 학습공동체 활동은 긍정적이며 새로운 영향을 주었고, 자아실현 욕구를 충족하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사서들은 현재의 학습공동체 운영 방향에 대부분 만족하였다. 구성원의 조직 방법, 운영 횟수, 운영 시간에 대한 응답이 현재의 운영과 동일하게 나타났다. 다만, 운영방식은 현재와 다른 답변으로 나타났다. 현재는 학습공동체 활동이 주로 아이디어 공유 및 실습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사서들은 학습공동체 활동이 올바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강사의 피드백을 원했다. 넷째, 활동 척도는 학습활동의 효과인 만족도 및 유용성, 학습 성취도, 직무 만족 변화에 대부분 정비례 관계인 정(+)적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학습공동체 활동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동료 사서와의 유대감이 잘 형성될수록 학습공동체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각 변수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개선이나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된 부분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학습공동체 활동 효과에 대부분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활동 경험의 기간에 따라 효과가 높은 것이 아니라, 활동 내용이나 동료 사서와의 유대감, 적극적인 참여 정도가 학습공동체 효과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활동 척도에 관한 문항 중에서 공동연구에 관한 문항은 직무 만족 변화에 반비례 관계인 부(-)적 영향을 주었다. 협력적 학습활동이 사서들에게 부담으로 느껴져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할 수 있다. 셋째, 모든 문항 중 가장 낮은 평균 점수를 기록한 문항은 활동 척도에 관한 문항 중에서 예산 지원에 관한 문항이다. 사서들은 대체로 학습공동체 활동에 필요한 충분한 예산을 지원받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며, 학습공동체가 잘 운영되기 위해서는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서의 학습을 위한 학습공동체 활동을 제안하며, 이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협업을 촉진하는 문화를 형성해야 한다. 구성원 간에 신뢰 관계를 구축하고 서로를 지지할 수 있는 정서적 환경의 조성은, 변화에 유연한 조직구조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고 시대변화에 맞춘 도서관 서비스 품질과 효과성 향상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그룹 활동이 직무 만족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도록 관리자의 고민이 필요하며,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집단전문성을 형성하려는 사서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사서들은 교류를 통해 무엇을 배우며 얻고 싶은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야 하고, 사서로서의 가치와 자신의 가치를 일치시켜나가는 태도와 자세가 필요하다. 둘째, 사서의 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태도를 함양하기 위해서는, 학습활동에 대한 비전과 가치를 공유하여 사서들의 공감과 이해를 높여야 한다. 이는 학습공동체의 지향성을 명확히 해주는 구심점이 될 수 있다. 또한, 학습공동체 활동에 대한 평가와 환류 과정에 보완이 필요하다. 실천적 사례 공유는 사서들이 스스로 활동을 점검하고, 다른 그룹과의 비교를 통해 자신의 학습 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하지만 이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부족한 만큼 사서들의 충분한 이해와 합의가 필요하다. 셋째,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그룹별 학습공동체 활동의 목적에 맞는 전문 강사를 섭외하여, 현재의 학습공동체 활동이 올바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과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사서들이 견문을 확대하고 학습의 방향을 새롭게 설정하는 것과 학습에 대한 흥미를 새롭게 고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활동 주제의 다양성과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충분한 예산이 지원된다면, 사서들이 지적 영역에 관한 충분한 탐구를 하고 이를 통해 개인과 집단의 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사서의 계속 교육과 재교육의 중요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소규모 학습공동체가 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사례 조사와 설문 조사를 통해 현황을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의무적인 학습공동체 활동은 누군가에게는 좋은 교육이 될 수 있지만, 다른 누군가에게는 부담스러운 교육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학습공동체 활동이 사서들 간의 협력과 지식 공유를 촉진하여 개인의 전문성은 물론 도서관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같은 자치구에 속한 사서들끼리 학습공동체를 조직하는 것은 활동 시간의 조율이 유연하다는 점과 도서관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학습 주제를 선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충분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사서 개개인의 특성과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으로, 학습에 대한 의지와 즐거움이 동반될 수 있는 다양한 학습공동체 활동에 대한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