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돌봄의 윤리를 위한 미감적: 윤리적 패러다임

        공병혜 한국간호과학회 2002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9 No.2

        -Aesthetical-ethical Paradigm of Care Ethics in Nursing Kong, Byung-Hye*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find aesthetical-ethical paradigm of care ethics by understanding the unique moral character of care as an art and to suggest the optimal direction of nursing ethics. Method: This study used meaning-heuristic and -interpretive methods of hermeneutics based on philosophical aesthetic theory; Baumgarten's aesthetics, Schiller's theory of aesthetical education and Kant's theory of aesthetical judgement. Result: The concept of care implied aesthetical and ethical character; caring as an art was related to moral feeling based on human dignity und emotional communication in interpersonal-relationship. Caring as an art was interpreted as a moral ideal for the promotion of the humanity und the interaction in personal-relationship according to nursing theories. Philosophical aesthetics could provide the theoretical base for the interpretation of caring as an art. The proper paradigm of care ethics in nursing could be found in character-trait ethics and communication ethics according to the philosophical aesthetics. Conclusion: This study could show aesthetical-ethical paradigm of care ethics in nursing by the heuristic interpretation of caring as an art according to the philosophical aesthetics

      • KCI등재

        간호에서의 보살핌에 대한 철학적 탐구- 리쾨르(Ricoeur)의 이야기 윤리에 기초하여 -

        공병혜 한국간호과학회 2005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5 No.8

        Purpose: This paper was aimed to inquire into Ricoeur's self -hermeneutics and narrative ethics, and apply it to personal identity constituting caring and care ethics in the practice of nursing. Its purpose is to provide a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caring in nursing. Method: According to Ricoeur's narrative identity, ontological caring was interpreted as personal identity constituting caring. His ethics were described as care ethics, which contributed to preserving and promoting the personal dignity of the client, as self in search for the good life in the nursing practice. Results: Narrative understanding of the client pointed to the ontological role of care in the constitution of personal identity. From an ethical aspect of the narrative, respect for personal identity and personal dignity of the client was crucial to an ethical caring attitude, promoting self-esteem in the nursing practice.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ed that Ricoeur's ethics could provide a philosophical basis for understanding ontological and ethical caring in nursing. This contributed to protection of the client from the threat of personal identity, as well as respecting their personal dignity

      • 생명의료 윤리학과 간호

        공병혜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간호과학연구소 2001 중앙간호논문집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problem of biomedical ethics and to investigate the classification, methods and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and ultimately to distinguish ethics of nursing from biomedical ethics and to identify the unique character of nursing ethics as care ethics in practice for healthcare. Chief theme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Ethic problems of the applied science, medical technology and genetic engineering were diagnos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biomedical ethics as applied ethics was emphasized in practice for healthcare. 2. Classification of the biomedical ethics was inquired according to the circle of human life(from birth to death). 3. Methodology of the biomedical ethics was described and evaluated: deductive method, inductive method, casuistry and reflective Equilibrium. 4. Ethics of nursing was distinguished from biomedical ethics and the unique character as care ethics was identified. 5. According to the ethics of nursing, a case study for ethical nursing process was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쇼펜하우어의 예술철학과 회화

        공병혜 한국칸트학회 2019 칸트연구 Vol.44 No.-

        Schopenhauers Kunstphilosophie übernimmt eine metaphysische Tätigkeit der Welterkenntniss. Die metaphyisische Tätigkeit der Kunst zielt eine reine ästhetische Erkenntnis des innersten Wesens der Welt als Wille frei von der Vorstellungwelt des Subjekts, die unter dem Satz von Grunde, nämlich Raum und Zeit und Kausalität liegt. Diese ästhetische Erfahrung der Kunst ermöglicht die Erkenntnis der Ursache des Leidens als das Wesen der Welt und diese Wirking auf dem Subjekt bereitet sich auf dem ethischen Weg zur Befreiung von dem Leiden vor. Hier stellt sich nun die Frage, auf welche Weise eine Anverwandlung von Schopenhauers Kunstphilosophie besonders in der bildenden Kunst möglich wird. Die ästhetische Erfahrung von Kunst von Marc bringt den willenlosen Zustand der kontemplation des Subjektes frei von dem Selbstbewusstsein und dadurch erweitert das Gemüt zur Erkenntis des wahren Wesens der Welt. Und Die Zeichnungen von Klinger und metaphysische Malerei von Chirico erhellen die tragische Welterkenntnis, dass der Wille selbst die Ursache des Leidens des Daseins ist, daher aufgehoben werden soll. Sie lassen die Nichtichkeit des Lebens deutlich erkennen, leiten dann durch ‘die Quietive des Willens’ zur Regignation über, bewirken dem Publikum das Erhabene. Diese Kunsterfahrung erweckt durch ihre ästheische Wirkung das Mitleiden mit allen leidenden Mitmenschen, das sich auf einer ethischen Wendung zum Tugenden vorbereitet. 쇼펜하우어의 예술철학은 세계의 본질을 인식하는 형이상학적 활동을 넘겨받는다. 예술의 형이상학적 활동이란 바로 주관의 근거율에 의해 표상된 현상의 세계를 벗겨내고, 그 세계의 근원인 의지가 표현된 세계에 대한 본질을 순수하게 인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술은 또한 의지의 형이상학적 활동을 통해서 자아의 집착으로부터 벗어나 세계의 근원인 보편적 의지를 향해 마음을 넓혀 주어 윤리적 세계로 나아가게 하는 교량적 역할도 한다. 이 글은 예술가의 고유한 방식으로 쇼펜하우어의 의지의 형이상학이 예술작품, 특히 회화를 통해 어떻게 드러났는지 살펴본다. 쇼펜하우어의 예술철학으로부터 강력한 영향을 받은 그와 동시대의 그리고 현대의 조형 예술가들의 작품들은 독자에게 의지가 객관화된 세계의 본질에 대한 미적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마르크의 예술작품에 대한 미적 경험은 자의식에 갇혀서 대상을 대하는 태도를 벗어나 전체 세계의 생명력을 향해 확장되는 마음의 변화를 가져다준다. 또한 크링거의 소묘와 키리코의 형이상학적 회화는 감상자로 하여금 세계의 본질인 고통에 대한 비극적 인식과 함께 의지의 체념을 통해 마음의 평정상태에 이르게 하는 숭고의 감정을 일으킨다. 이러한 예술작품에 대한 숭고의 경험은 삶의 고통의 근원인 의욕의 집착에서 벗어나 윤리적 세계로 다가가게 하는 통로를 제시해 주는 것이다.

      • KCI등재

        한나 아렌트의 탄생성과 21세기 생명정치

        공병혜 범한철학회 2019 汎韓哲學 Vol.95 No.4

        Die Entwicklung der Gentechnologie und Biomedizin lässt eine Bio- politik zum Vorschein kommen, die nicht nur in den Reproduktiven Prozess sondern auch die Lebensprozess für die Gesundheit und Verlängerung des Lebens eingreifen kann. Heutige Biotechnologie verändert die meschlichen Genome für die optimale Geburt und Optimierung des Lebens in Form von optimaler Merkalsplanung. Das biologische Individum, das sich mit seinem Genom identifiziert, kann anhand dieser Kenntnisse lebenslang seine zukünftige Krankheit oder Gesundheit rechnen und kontrollieren. Heutige Bio-politik mag in der Aktivierung der Bio-ökonomie aufgefunden werden, die der Erfüllung der tierischen Bedüfniss des menschen dient. Hannah Arendt sieht die Natalität als eine Fähigkeit des politischen Handelns an, wo der Mensch im Zusamenleben mit den anderen im öffentlichen Raum immer mit der ‘Wer’ Frage neu beginen kann. Her Gedanken kann das Risiko der heutigen Biopolitik warnen, die die menschlische Gebürtigkeit auf den Machenprozess und das biologische Ereigniss reduziert, wo das menschliche Handeln nur auf die Erhaltung des tierischen Lebens zielt. Der Gedanke der Natalitat steht gegen den bio-technischen Totalitarismus und gegen den Bio-kapitalismus in dem 21.Jahrhundert. Dieser Gedanke fordert die Fähigkeit des menschlichen Handelns als einen neuen Beginn, die seine personale Identität in öffentlichen Bereich zum Ausdruck bringen lässt. Denn die Unabsehbarkeit des Ereignisses dieser bio-politischen Macht eröffnet eine ungewisse Zukunft, wo sie die Natatität als die Fähigkeit zum Handeln angrifft. Angesicht dieses bio-politischen Angriffs vermag besonders der Akt des Versprechens etwas Voraussehbares als ‘Wegweiser’ zu werfen, damit er einen neuen Beginn der Politik und den Vertrag oder Abkommen für das menschlische Zusmmenleben in Anspruch nehmen kann. 유전공학과 생의학의 발달은 인간생명 탄생의 과정은 물론 삶의 전반적 과정에서 개입하여 건강과 수명연장을 위한 생명정치를 출현시키고 있다. 유전공학은 더 이상 생명과정을 기록하고 보고하고 발견하는 과학이 아니라, 생명을 창조하고 유기체를 능동적으로 변형시키는 과학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유전학적 지식에 근거하여 유전적 정체성을 지닌 생물학적 개인은 삶의 과정동안 현재시점에서 건강과 수명연장을 위해 자신의 몸의 질병을 미래에 이르기까지 예측하여 관리한다. 21세기 생명정치는 이러한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생명 경제의 활성화속에서 발견할 수 있다. 아렌트는 인간이 본성적으로 타고 나온 탄생성이란 다른 사람과 함께 사는 공적 공간에서 자신의 인격을 드러내며 항상 시작할 수 있는 행위능력에 있으며, 이것을 인간의 실존적, 정치적 조건으로 사유한다. 아렌트의 탄생성에 대한 사유는 오늘날 생의학과 의료기술이 인간의 탄생과 삶의 과정을 단지 제작과정이나 혹은 생물학적 사건으로 환원시켜 모든 인간 활동의 목적을 생존보존과 건강과 복지로 환원시킬 수 있는 생명정치의 위험을 경고한다. 아렌트의 탄생성에 대한 사유는 21세기 생명정치의 특징인 인간의 생명 과정을 관리하고 통치하는 과학기술전체주의와 생명자본주의의 경향에 맞서서 이 세상에 탄생한 자들이 다른 탄생한 자들과 함께 하는 공적 공간에서 어떻게 자신의 인격을 드러내며 살아갈 수 있는 지에 대한 사유의 방향을 제시해 준다. 특히 아렌트의 새로운 시작으로서 행위에 잠재된 약속의 능력은 타인과 함께 사는 공동의 세계에서 미래에 이르기까지 인간답게 살기 위한 정책이나 제도 등의 새로운 변혁을 요구한다. 왜냐하면 이 약속의 능력은 예측할 수 없는 미래의 인간행위의 결과에 대해 공동선을 위한 구속력을 갖게 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죽음에 대한 애도와 용서

        공병혜 대동철학회 2020 大同哲學 Vol.92 No.-

        이 글은 우리의 삶에서 불가피하게 직면할 수밖에 없는 고인의 죽음을 기억하는 애도와 용서하는 과정에 대해 고찰해 보기로 한다. 애도란 고인이 된 그를 기억해야만 한다는 기 억의 의무 속에서 작동 한다.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애도는 인간의 사멸성의 깨달음과 동 시에 사랑하는 사람을 온전한 타자로 받아들어 새로운 연민의 주체로 태어나게 할 수 있 다. 그러나 진정한 애도란 고인과의 상처받은 기억을 치유하는 용서의 과정을 통해서이다. 애도하는 자는 고인에게 상처를 준 과거의 행위에 대해 책임을 묻고 이를 인정하며 이와는 다른 행위를 할 수 있는 주체가 될 수 있다는 다짐을 해야 한다. 용서란 오로지 이러한 죄 책을 받아들이고 새로운 다짐을 약속하는 자에게만 베푸는 고인의 선물인 것이다. 또한 고 인으로부터 상처 받은 기억은 인간 사멸성 과 너는 너의 행위보다 낫다 는 인간 행위의 취 약성에 대한 공감을 통해서 고인에 대한 조건 없는 용서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용 서를 구하는 자와 베푸는 자 모두 인간의 사멸성과 인간행위의 취약성에 대한 자각을 전제 로 한다. 그때 비로소 애도하는 자는 고인에 대한 기억의 상처에서 벗어나 미래의 삶의 지 평위에서 다시 시작할 수 있는 행위능력을 부여받을 수 있다. 용서란 애도의 끝이 아니라 매번 새롭게 왔다가 사라지는 사건이며, 애도하는 자에게 매번 삶을 시작할 수 있게 하는 힘을 지니게 한다. 이러한 애도는 결국 고인의 기억을 나의 삶속에 지속적으로 살게 함으 로써 미래를 향해 새로운 삶을 약속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consider the process of mourning and forgiveness while remembering a deceased loved one. The mourner overcomes the feelings of loss in himself, and accepts the mortality a human being, which comes to him as well as to the deceased loved one. This process of mourning can make a mourner born into a new subject of compassion. But a true mourning must be able to give him a power of new life through forgiveness that heals the memories of his deceased past. The mourner reflects on the memories that hurt the deceased, experiences guilt, accepts himself as an actor of the wrong act, and then promises to start a new act. Being able to do something different from your own fault, that is, the idea of you are better than your actions, is a condition for the forgiveness experienced by those who feel guilty. In the process of mourning, sympathetic selfawareness of human mortality and vulnerability of human behavior leads to unconditional forgiveness for those who ask for forgiveness and those who give. The forgiveness appears as a kind of gift or a miracle in a mourners memory, restoring him the power to act and promising a new life for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