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宋時烈 祭享書院 건립과 權尙夏의 역할

        고수연(Gho, Soo-yeon) 한국사학회 2019 史學硏究 Vol.0 No.133

        權尙夏는 조선 후기 西人-老論계의 宗匠인 宋時烈과 정치적·학문적 궤를 같이했던 嫡傳제자이다. 권상하는 조선 후기사에서 정치·학문·사상 등 다양한 방면에 중요한 영향력을 미친 인물이다. 그러나 사상과 학문에 비해 권상하의 정치적인 부분을 다룬 논문은 전무하다.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던 권상하의 경우에 당시 사회에서 권상하의 정치적 위상과 활동을 상징하는 것은 바로 서인-노론계의 종장인 스승 송시열을 제향한 서원 건립 등을 통한 추숭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전국의 송시열 제향서원을 검토한 후 서원 건립 및 운영 과정에서 권상하의 역할을 검토하여 권상하의 정치적 활동의 일면을 확인하였다. 먼저 Ⅰ장에서 전국의 송시열 제향서원 현황을 검토하였다. 이 과정을 통하여 48개로 알려져 있던 송시열 제향서원을 4개 더 찾아내어 52개의 서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단일 인물 제향서원으로 송시열 제향서원의 갯수는 압도적인 1위였다. 그리고 송시열 제향서원의 건립이나 추배 시기가 권상하 생전에 집중(63%)되어 있는 것과 송시열 제향서원의 분포가 권상하가 주로 머물렀던 충청도에 집중(40%)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기와 지역이 집중된 부분이 바로 송시열 제향서원의 건립 및 추배에 제자 권상하가 적극적으로 노력했음을 보여주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권상하가 송시열 제향서원의 건립과 추배에 개입한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52개 서원을 모두 검토해야 한다. 그러나 모든 송시열 제향 서원에 자료가 남아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Ⅱ장에서는 권상하의 문집인 『한수재집』 기록을 기초로 하여 권상하가 송시열 서원 건립과 추배 그리고 운영에 개입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그 결과 추배에 적극 참여한 기사가 가장 많았다. 이처럼 권상하가 적극적으로 송시열의 추배를 추진한 것은 좀 더 손쉽게 창건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고, 첩설금령을 피하는 방법이 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서원 건립에 관여한 기사가 많았는데, 특히 권상하는 남인계의 성향이 강하거나 특별한 당색이 없는 지역에 송시열 제향서원을 건립함으로써 새롭게 노론 세력을 扶植시키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건립 이후에도 권상하는 이건 및 중건 役事를 주도하기도 하고, 서원 位次를 바꾸기도 하였다. 또한, 서원 院規나 祭享禮 같은 서원 운영에 중요한 규례를 직접 정해 주면서 송시열 제향서원에 지속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이같은 송시열 제향서원 건립과 운영과정 속에서 서인-노론계의 적전인 권상하가 의도한 정치·사회적 의미는 분명했다. 먼저, 송시열은 朱子와 合享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는데, 이것은 권상하가 송시열 제향서원 건립이나 추배를 통하여 주자-송시열로 이어지는 道統 정립을 시도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 송시열을 제향한 서원이 창건되거나, 기존 서원에 추배되었을 경우 그 지역의 노론 세력이 강해졌다. 이것은 교육과 향촌 교화 기능을 지니고 있던 서원이 노론 세력의 지역 부식 도구 중 하나로 변질된 모습을 보여주며, 송시열 제향서원 건립이나 추배는 송시열의 伸冤이라는 의미에 더하여 노론계의 지역 거점 확보에 하나의 방법이 되었던 것을 뜻한다. 송시열 적전제자인 권상하의 적극적인 역할로 인하여 송시열 제향서원은 비약적으로 많아졌고, 당쟁에 있어서 노론의 정치적 입장과 명분을 합리화해 주는 상징물이 되었다. 이로 인하여 권상하가 활약했던 숙종대 이후에는 각 당파마다 서원 남설화가 잇따르며, 서원은 교육적 기능보다 당파적 성격이 가중화 되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 KCI등재

        『推案及鞫案』에 기록된 戊申餘黨 謀反事件의 樣相

        고수연(Gho, Soo-yeon) 호서사학회 2019 역사와 담론 Vol.0 No.92

        朝鮮 後期 英祖 4년(1728)에 일어난 戊申亂은 老論 · 少論 · 南人의 정치적 갈등이 兵亂으로 폭발한 사건이었다. 반란이 진압된 이후에도 무신란을 지지하고 표방한 ‘戊申餘黨’들은 다시 한 번 반란을 통하여 정계 복귀 내지는 정권 탈취를 위하여 謀反事件을 일으켰다. 이 글에서는 조선시대 중죄인의 조사서와 판결서를 모은 『推案及鞫案』을 검토하여 무신여당의 모반사건이라고 판단되는 11건을 추려내어 검토하고 그 양상을 정리하였다. 11건의 무신여당 모반사건은 무신란 직후부터 30여 년 동안 전국적으로 발생했다. 이것은 무신란이 진압된 이후에도 상당기간 동안 무신란을 지향하는 세력이 존재하고 있었고, 그들이 무신란과 같은 반란을 시도하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무신여당의 모반 방식은 괘서 · 모의 · 시장 투서의 형식이었다. 掛書의 경우 民心 선동, 즉 여론의 형성이 가능하여 적극 사용되었다. 試場 投書 역시 왕과 많은 사람이 함께 모인 공개적인 과거시험장에서 흉역을 적은 시장을 왕에게 바치는 노골적인 행위로 민심을 자극하는 파급력이 있었다. 무신여당의 인적 구성을 보면 무신란에 직접 가담했던 인물, 소론계 인물, 남인계 인물, 무신란을 모방한 다양한 계층으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었다. 1728년에 일어났던 무신란은 少論 峻論과 남인이 중심이 된 사족의 반란이었지만, 이후 영조 대 무신여당의 활동에는 소론 준론과 남인은 물론 몰락한 지방의 사족이나 中人 · 良人 등 다양한 계층이 가담함으로써 무신란에 비하여 모반사건에 가담하는 계층이 확대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鄭鑑錄』과 『道詵秘記』에 영향을 받은 무신여당의 모습도 확인되었다. 무신여당 모반사건의 지역별 동향을 살펴보면 전라도의 유배지와 충청도 청주 지역에서 일어난 모반사건이 많았다. 이것은 반란을 일으켰던 인물들이 유배를 가서도 무신란의 재현을 시도하였던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청주 지역의 경우 무신란 당시 병영성 점령에 성공했고, 한양으로 진출한 반란군의 교두보가 되었던 지역으로 반노론 정서가 남아 있어서 무신여당의 모반활동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기존 연구에서는 무신란 이후 실세한 소론들이 주로 무신여당으로 모반사건을 일으켰다고 보았다. 그러나 11건의 무신여당 모반사건 검토로 인하여 무신여당 인적 구성의 한 축은 지방의 남인이나 중인 · 양인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당시 조정에서는 중앙 정치에서 소론을 견제할 필요가 있어서 소론 준론이 일으킨 무신여당 사건을 더욱 강조했던 것으로 보인다. The Musinran, which took place in the fourth year(1728) of King Yeongjo"s reign in Joseon, was the explosion of political conflicts among Noron, Soron and Namin in the form of disturbance. Even after the revolt was repressed, the “Musinyeodang” still supported and advocated the Musinran. They kept raising a revolt through the reign of King Yeongjo to return to the political arena or seize political power. Trying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y, this study found and reviewed 11 revolt cases by Musinyeodang recorded in Chuangeupgukan, which is a collection of investigations and written judgments for felons during Joseon. In the 11 revolt cases, the Musinyeodang raised a revolt in the forms of Goaeseo, conspiracy, and anonymous letter at the test site. Goaeseo was actively used by them since it was capable of instigating the people or forming public opinions. In case of anonymous letters at the site of the state exam, they would submit an anonymous letter containing disloyal content to the king in an obvious way at the open site where many people gathered. These anonymous letters were also influential. The revolt cas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uman composition of Musinyeodang: the revolts raised by those who took direct part in the Musinran, those raised by Soron members, those raised by Namin members, and those raised by individuals from various classes to mimic the Musinran. In the Musinran of 1728, the noblemen of Namin and Soron hardlinerssoron led the revolt. In the activities of Musinyeodang following the revolt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various classes participated including collapsed local noblemen, Jungin, and common people as well as Soron hardlinerssoron and Namin. The scope of classes involved in the revolts expanded. The study then examined the local trends of the revolt cases by the Musinyeodang and found that their activities were prominent at places of exile in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s. In the Musinran, they succeeded in occupying Byeongyeongseong near Cheongju, Chungchong Province. The activities of Musinyeodang were prominent especially in the area. The revolt cases by Musinyeodang continued around the nation for about 30 years, which suggests that the Musinran continued to have impacts for many years even after it was repressed.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mainly Soron members raised a revolt on the back of Musinyeodang after losing their power due to Musinran. Many of the researches emphasized that noblemen in the Soron line were punished for the revolt cases by Musinyeodang. The study, however, reviewed 11 revolt cases by Musinyeodang and found that one of the axes in the revolts was local Namin members, Jungin and common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