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년 문화공간과 다문화 소비 코드: 2000년대 사례를 중심으로

        고명지 ( Myoungjee K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이 연구는 한국 사회의 다문화주의가 어떠한 방식으로 소비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0년대 청년세대들이 자신들의 문화 공간에서 수행하는 문화적 실천들의 방식을 확인하였다. 분석 대상은 2000년대 가로수길, 이태원, 삼청동을 다룬 기사이며, 질적 내용분석을 연구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세 지역 모두 문화다양성의 소비를 주요 정체성으로 담지하고 있었다. 다만 가로수길은 서구적이고 낭만적인 방식으로, 이태원은 다문화적 방식으로, 삼청동은 전통과의 조화라는 방식으로 재현된다는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는 전략적 다문화주의의 생산 및 소비 논리가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는 현실에서, 그 시작점을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논리를 이해하는 하나의 방식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multiculturalism in Korean society are consumed by youth. To this end, we identified the ways of cultural practices carried out in their cultural spaces among youth generation in the 2000s. Subjects include articles about Garosu-gil, Itaewon, and Samcheong-dong in the 2000s,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According to the study, all three regions contained the consumption of cultural diversity as their main identity.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cultural spaces as Garosu-gil was reproduced in a Western and romantic way, Itaewon in a multi-cultural way, while Samcheong-dong in harmony with Korean thing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 way to understand the logic of reproducing strategic multiculturalism by looking at the starting point of its production and consumption logic.

      • KCI등재

        ‘#핫플레이스’를 통해 알아본 청년세대의 소비문화

        고명지 ( Myoungjee K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에서 재현되는 핫플레이스는 어디인지, 그리고 각각의 영역이 포스팅이라는 문화적 실천을 통해 어떠한 방식으로 생산되고 소비되는지 살펴보았다. 데이터의 수집은 해시태그 ‘#핫플레이스’, ‘#힙플레이스’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선별된 인스타그램 게시물 데이터를 인터넷 문화기술지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스타그램에서 핫플레이스로 포스팅되는 영역은 크게 ‘맛집 탐방’, ‘복합 문화 공간 경험’, ‘여행 경험’로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경험적 소비를 재현하는 방식에서 공통적으로 ‘탈경계성’, ‘과시성’, ‘유희성’, ‘자기중심성’이라는 네 가지 특성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에서 수행되는 문화적 실천들을 분석함으로써 청년세대가 새롭게 만들어가는 문화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나아가 오늘날 청년세대가 처한 현실과 온라인 공간에서 드러나는 문화적 실천 사이의 간극이 발생하는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looked at where hot places are reproduced on Instagram and how each area is produced and consumed through the cultural practice of posting. Data collected through Instagram posts including hashtags ‘#hot_place’ and ‘#hip_place’, was analyzed through internet ethnography.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areas posted as hot places on Instagram could be classified as ‘gastroventure’, ‘complex cultural space experience’, and ‘travel experience.’ Also, four characteristics were found: ‘trans-boundary’, ‘conspicuousness’, ‘amusement’, and ‘self-centeredness.’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research on cultural practices on Instagram, and provides a deeper understanding of new youth generation culture. Moreover,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above, identifies the cause of the gap in cultural practices between the reality today’s youth generation is facing and within the virtual space.

      • KCI등재

        청년세대의 새로운 문화적 실천과 구별짓기: 인스타그램 ‘전시 관람’을 중심으로

        고명지 ( Myoungjee K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청년들의 문화 소비의 실천 양상과 구별짓기 전략을 살펴보기 위하여 ‘전시 관람’ 영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데이터의 수집은 해시태그 ‘#문화생활’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선별된 인스타그램 게시물 데이터를 인터넷 문화기술지 및 이미지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년세대는 ‘자기 전시’, ‘고급문화의 과시적 소비’, ‘장소성 소비’를 구별짓기 전략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전시 관람 활동이 인스타그램 장에서 중요한 문화적 실천으로 행해지고 있는 원인으로는 경제적으로 쉽게 접근 가능한 고급문화의 영역이자, 동시에 생산 영역인 미술관의 기능적 변화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인스타그램에서 생산되고 소비되는 문화적 실천들을 분석함으로써 오늘날 청년세대가 만들어가는 문화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창구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러한 행위를 세대 내 구별짓기 전략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exhibition’ to examine the trend of the practical aspect of the youth generation’s cultural consumption and strategy of distinction on Instagram. Data collected through Instagram posts including hashtags ‘#cultural_life’, was analyzed through internet ethnography and imag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youth generation was using ‘self-exhibit’, ‘conspicuous consumption of high culture’, and ‘consumption of placeness’ as a strategy to distinguish themselves. The reason why exhibition activities are being carried out as important cultural practices on Instagram is that exhibitions are an area of high culture that is easily accessible economically. Along with this, there were functional changes to the art museum.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research on cultural practices produced and consumed on Instagram and provides a deeper understanding of today’s youth generation culture. Furtherm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the basis for viewing the youth generation’s behaviors as a strategy of distinction within gener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