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경 교육 핵심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구안 : 초등학교 3,4학년 음악 교과 중심으로

        강지윤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환경오염과 기후위기로 환경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초등학교 현장에서는 환경 교육이 교과 내에 산발적으로 다루어지고 있고, 환경 교육에 대한 교사 개인의 관심과 역량 차이에 따라 실행하는데 현실적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업 시수가 배정되어 있는 교과를 중심으로 교사들이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음악을 통하여 음악 교과에서 환경 교육 핵심 역량을 기르기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구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해 음악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환경 교육에 대하여 분석한 후, 2015 개정 교육과정 3~4학년 음악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환경 교육의 포함 비율 및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 3~4학년 음악 교과서에서 환경 교육 관련 단원이 있는 것은 18종 중 4종으로 약 22%에 해당하였다. 둘째, 이를 기반으로 환경노래를 통하여 환경 교육 핵심 역량을 기르기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환경 노래를 익히는 것에 그치지 않고 가사를 분석하고 환경 정보를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노래를 바꾸는 활동으로 음악 교과에서 환경 교육 핵심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음악 교과에서 환경 교육 핵심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 교과서에 환경노래가 수록되는 빈도가 높아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둘째, 환경음악을 중심으로 학습자가 환경 문제에 흥미롭게 접근하여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과정을 통해 환경 교육 핵심 역량을 함양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환경노래를 매개로 음악 교과에서 별도의 시수 확보 없이 환경 교육을 실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프랑스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발음 습득 양상과 발음 학습 전략 사용 : 숙달도별 음성산출을 중심으로

        강지윤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최근 한국어의 수요가 급증한 프랑스인을 위한 단모음 발음 습득에 관한 것이다. 그동안의 연구들은 프랑스인들의 한국어 발음 오류를 기술하는 데 그쳤으나 본고에서는 Praat의 객관적인 포먼트 수치를 통하여 탐구하고자 했다. 또한 프랑스인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발음 학습 전략을 알아보고 그를 통해 프랑스인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단모음 발음 학습 내용을 구축했다. 본고는 60명의 프랑스인 피험자를 모집하여 한국어 단모음을 발음하도록 했다. TOPIK 급수에 따라 초중고급 집단으로, 한국어 단모음 청취 평가 결과에 따라 상중하위 집단으로 두 번 분류하였다. 각 집단별로 한국어 단모음 발음 제1포먼트와 제2포먼트를 추출하였고 한국어 모어 화자와 비교해 보았다. 고급 및 상위 집단에서 자주 사용하는 발음 학습 전략을 SPLS 설문으로 조사해보았다. F1은 값이 클수록 저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이고 값이 작을수록 고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이다. F2는 값이 클수록 전설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이며 값이 작을수록 후설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이다. 초중고급별 포먼트 측정을 해보았을 때 습득에 있어서 U자형 발달 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청취평가 상중하위별 포먼트를 측정한 것을 바탕으로 발음 습득을 조사해보았을 때는 외국인 억양을 결정하는 요소를 파악할 수 있었다. SPLS 발음 전략 설문지를 사용하여 학습자들의 한국어 단모음 발음과 발음 전략 사용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고급에 해당하는 학생들일수록 가설검증에 해당하는 발음 전략들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마찬가지로 청취 평가 결과 상중하위 집단에게도 동일한 조사를 해보았을 때 상위 집단이 ‘입력/연습’과 ‘가설형성’, ‘가설검증’ 전략을 가장 빈도 높게 사용했다. 본고에서 밝혀낸 프랑스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단모음 발음 습득 양상과 발음 학습 전략 사용을 통하여 단모음별 학습 내용을 구축하였다

      • 컴퓨터프로그램을 활용한 알츠하이머성 치매환자의 지남력 및 명사 이름대기 중재 및 일반화 효과

        강지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구의 고령화로 인하여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인 치매 환자가 계속 증가하여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 언어병리학 분야에서도 치매 환자의 언어평가 및 언어중재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이에 초기 치매의 발견과 중재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만큼 중등-중증도의 치매 환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을 고려해볼 때 중등-중증도 치매 환자를 위한 언어중재 연구도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치매 발병률에서도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알츠하이머성 치매(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이하 DAT)는 병의 경과에 따라서 점진적으로 진행되며 비가역적 인지기능 저하와 일상적인 생활 수행력 장애를 수반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이다( Katzman & Jackson, 1991; Taipa, Pinho & Melo-Pires, 2012). DAT 환자는 초기부터 시공간 지각 장애가 나타나게 되는데, 그림 그리기 등의 구성 능력에 문제가 생기고, 시간, 장소 사람 등 주변과 자신에 대한 지남력에 대해 어려움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지남력 장애는 중등-중증도 DAT로 진행될수록 심해진다. DAT 초기에는 기억장애와 언어능력에 손상이 나타나며 그 중에서도 이름대기 능력에 어려움을 보인다. 이러한 이름대기 능력에 어려움을 보이는 원인으로는 어휘·의미 체계의 손상 때문에 나타나게 된다(Huff, Corkin & Growdon, 1986). DAT 환자의 이 름대기 장애는 의미적(semantic) 손상이라고 하였고, 그에 비해 음운론적과 문법적 언어 처리 영역은 비교적 보존되어 있다고 보고하였다(Scheartz, Martin & Saffran, 1979). 본 연구에서는 DAT 환자들이 겪고 있는 지남력 및 이름대기 장애에 관한 언어중재가 필요성을 인식하고, 지남력과 명사 이름대기 중재를 통하여 중등-중증도 DAT 환자들에게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최근 들어 컴퓨터프로그램을 적용한 언어치료의 새로운 방향이 제시되어 치료 효과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만성적인 명칭 실어증(chronic anomia) 환자 8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컴퓨터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의미적 단서와 음운적 단서들을 단계적으로 제시하는 이름대기 중재를 실시한 결과, 그 중 6명의 환자들에게서 유의미한 이름대기 효과가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Harnish et al., 2014). 중등-중증도 DAT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국내의 정서에 맞게 컴퓨터를 활용한 언어치료 프로그램은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국내의 치매 환자 수의 증가를 고려하였을 때 치료 현장과 가정에서의 언어치료를 연결하여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치매 언어치료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프로그램을 활 용한 지남력과 명사 이름대기 중재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중재 전·후에 따른 중재 효과와 일반화 효과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7명의 중등-중증도(moderate to severe) DAT 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나, 그 중 1명의 DAT 환자가 중재 진행 중 건강악화로 인하여 본 연구 결과의 분석에서는 제외되었다. 지남력 및 명사 이름대기 중재는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컴퓨터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으며, 40분씩 총 16회기로 진행되었다. 지남력 중재는 시간, 장소, 사람 순으로 중재를 실시하였고, 명사 이름대기 중재는 의미자질 분석을 근거로 한 중재(Semantic Feature Analysis 이하, SFA)를 기반으로 하여 과일(생물) 8개의 단어와 생활용품(무생물) 8개의 총 16개의 중재단어로 매 회기 마다 총 4개(과일 2개, 생활용품 2개)의 단어로 중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사후 평가로 지남력 검사와 명사 이름대기 검사, 명사 이해 검사를 실시하였다. 지남력 검사는 시간, 장소, 사람 각각 5문항씩 총 15문항으로 구성되어 검사가 이루어 졌다. 명사 이름대기와 이해하기 검사는 총 32개이며 중재단어 16(과일=8, 생활용품=8)개와 비중재 단어 16(과일=8, 생활용품=8)개로 검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검사 결과, 장소와 사람에 관한 지남력에서는 사전-사후에 대한 차이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중등-중증도 DAT 환자에게 지남력 반복 학습을 실시하여 지남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는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박지은, 2006). 그러나 시간에 관한 지남력에서는 사전-사후에 대한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사전-사후 평가와 16회기 중재가 실시되는 9월과 1월까지 계절, 년도, 월의 변화에 따라 중등-중증도 DAT 환자들에게 중재 효과가 제한적임을 알 수 있다. 명사 이름대기 중재 후 중재 명사 이름대기에서는 사전-사후에 대한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비중재 명사 이름대기에서는 평균 정반응률이 중재 전보다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명사 이름대기 중재에 기반이 되었던 SFA 중재를 명칭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실시한 기존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Boyle, 2004; Coelho et al., 2000). 그리고 만성적인 명칭 실어증(chronic anomia) 환자 8명을 대상으로 컴퓨터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름대기 중재를 실시한 결과 그 중 6명의 환자들에게서 유의미한 이름대기 효과가 있었다는 기존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Harnish et al., 2014). 명사 이름대기 중재 후 중재 명사 이해와 비중재 명사 이해 모두 사전-사후에 대한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명사 이해에 관한 중재를 실시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명사 이름대기 중재 후 실시한 사후 검사에서 중재 명사와 비중재 명사 이해 모두 중재 전보다 평균 정반응률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DAT 환자의 이름대기 능력이 증가하는 것이 의미적인 이해에 영향을 받는다는 기존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Hodges, Pattereson, Graham & Dawson, 1996). 본 연구에서는 중등-중증도의 DAT 환자에게 지남력과 명사 이름대기 중재를 실시하였을 때 중재를 실시한 자극에 대해 수행력이 증가하고 중재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중등-중증도의 DAT 환자를 위한 언어중재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omputerized language intervention(CLI) on the abilities of Time-Person-Place Orientation and noun naming for Korean-speaking individuals with moderate to severe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DAT). Six Korean individuals with moderate to severe DAT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DAT participants were moderate to severe based on the GDS 5-6(Global Deterioration Scale, Reisberg et al, 1982). TPP orientation intervention consisted of three components such as time(season, month, day of the week, date), place(welfare center’s name) and person(family relationship and name). Noun naming intervention was based on the semantic feature analysis(SFA). Dependent measures were accuracy on the TPP, noun naming, and noun comprehension tasks. Performance on the tasks were measured pre- and post-treatment, and we used Wilcoxon Signed-Rank test to examin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s.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in person and place tasks after treatment,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ime-domain.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rained nouns for naming was found whereas treatment effects were not generalized to untrained naming items and noun comprehension domains.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at moderate to severe DAT participants benefited from language intervention especially in the domains of place-person orientation and noun naming. However, there were some limited generalization effects on untrained items after treatment.

      • 스트레스로 오는 질병을 위한 아로마 블렌딩에 관한 연구

        강지윤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를 살아가는 바쁜 현대인들은 과다한 업무, 복잡한 인간관계, 경제적인 수준, 시끄러운 소음, 불쾌한 냄새, 수면부족 등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이러한 반복적인 스트레스 환경은 현대인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며 질병에 걸리기 쉽다. 이러한 스트레스를 없애는 방법으로 요즘 자연요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자연요법으로는 아유르베다, 약초이용법, 요가, 산소요법, 물 요법, 원예치료법, 아로마 테라피 등이 소개 되고 있으며 그중 향기를 이용한 자연요법인 아로마 테라피는 실제 의학 분야 에서도 많은 연구를 거듭하면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아로마는 그 효능을 높이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활용 되고 있다. 아로마 이용법 중에서 가장 보편화되고 안전하게 사용되는 방법은 피부를 통해 흡수 시키는 아로마 마사지법이 있다. 아로마 마사지법은 특정 질병에 대한 효능이 있는 아로마를 분류하여 아로마가 피부 속에 잘 흡수 될 수 있도록 하는 마사지법이다. 아로마 마사지를 위해서는 캐리어 오일과 에센셀 오일이 필요하고, 효능에 따라 각각의 오일을 블렌딩 하여야 한다. 본 연구를 위해 G시의 C 피부 관리실에서 스트레스 질병을 갖은 7명의 고객을 대상으로 2005년 1월1일부터 2005년 5월31일까지 5개월간의 기간을 두고 임상을 하였다. 연구를 위해 스트레스로 자주 발생되는 질병 7가지를 선정 하였으며, 질병의 효능을 입증 하기위해 효능별로 오일을 분류하여 블렌딩 하였고, 연구 방법으로 아로마 마사지를 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순환기에서는 혈액순환이 되지 않아 손과 발이 자주 부종을 일으켰던 고객을 대상으로 손과 발에 마사지한 결과 체액 정체해소와 손과 발이 따뜻해지고 몸무게가 감량 되었다. 신경계에서는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발생 하였던 불면증을 가진 고객을 대상으로 얼굴지압과 두피지압 마사지를 한 결과 마음이 진정되고 깊은 숙면을 할 수 있었다. 소화기에서는 원활하지 않은 장의 활동으로 발생한 변비에 대해 복부 마사지를 하였다. 마사지 결과 변비해소와 헛배부름이 개선되고, 소화가 잘되고 오전 중에 규칙적인 쾌변을 보았다. 호흡기에서는 오염된 공기로 기관지에 자극이 되어 발생한 기침에 대한 아로마 적용을 위해 아로마 램프 확산과 아로마 목걸이를 사용 하게 하였다. 그 결과 기침의 발생빈도가 줄어들기 시작 하였고 기관지를 맑게 해주는 효과를 얻었다. 근육계에서는 반복적인 가사활동과 피로의 누적으로 근육 내 젖산이 쌓이면서 발생한 근육통을 위해 마사지를 하였다 그 결과 통증완화와 얼굴 및 머리가 맑아졌다. 비뇨생식기에서는 자궁경련으로 발생되는 생리통에 대한 불안감과 생리통을 위해 복부 마사지를 하였다 마사지는 생리 일주일 전부터 시작하여 생리전날까지 한 결과 불안감이 사라지고 복부가 따뜻해지고 통증이 없어졌다. 내분비계에서는 전체적인 호르몬의 불균형과 체액정체로 발생한 비만을 위해 전신 마사지를 하였다 마사지 결과 셀룰라이트와 지방이 분해되고 몸무게가 감량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요약 하자면 아로마 마사지는 피부에 흡수되어 호르몬에 영향을 주고 오장육부의 장기에 영향을 주었으며 스트레스로 오는 질병에 분명한 치유의 효과를 주었다. 향후 아로마에 대한 보다 분석적이고 과학적인 정밀한 연구가 거듭되어 일상생활에서 받는 스트레스의 발생 빈도가 낮아지길 바란다 또 아로마 블렌딩에 대한 많은 관심과 연구가 거듭 되길 바라고, 본 연구의 블렌딩에 대한 여러 가지 방법과 정보가 질병치유에 대한 경제적으로 시간적으로 투자의 부담감이 줄어들고 질병의 예방 차원에서 빠른 효과를 볼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he members of the moder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are constantly bombarded with causes of stress such as work overload, complicated personal relationships, poor economic conditions, noise pollution, offensive odor, and sleep deprivation, to name a few. Such causes of stress are bringing harmful effects to the health and are also causes for various diseases. To alleviate stress, various natural therapies(or naturopathies) are being introduced. As natural therapies, ayurvedic, herbal medicines, yoga, oxygen therapy, water therapy, horticulture therapy, and aroma therapy have been introduced. Aroma therapy that uses volatile plant oils for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 being has been a topic of research and interest in the medical fields for its effects. Of the many uses of aromatic oils, the most widely used and the safe method of use is through aroma massage in which the oils are massaged into the skin for absorption. Through aroma massage, aromatic oils effective in treating certain ailments or diseases can be massaged into the skin. Carrier oils and essential oils are needed and oils of particular effects are blended for the massag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7 frequently occurring ailments that result from stress were selected. For demonstration of the properties of the ailments, oils befitting the symptoms of the ailments were selected and blended. The resluts of the massage are as follows.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aroma massage on the circulatory system, massage sessions were given to patients who frequently experience swelling in the hands and feet due to poor circulation. Subsequent to the sessions, water retention was relieved evidenced by reduction in weight, and circulation returned to hands and feet evidenced by color and temperature. For its effect on the nervous system, massage sessions were given to patient suffering from insomnia due to stress. Through finger pressure therapy of face and scalp, the patient experience relaxation and improved sleep patterns. For its effect on the digestive system, abdominal massage sessions were given to patient with severe constipation due to gastrointestinal inactivity. Through the massage, patient experience improved digestion, relief in constipation, and improved daily bowel patterns. For its effect on the respiratory system, patient of chronic bronchitis as a result of pollution was selected, and was given aroma lamp diffusion and an aroma therapy necklace. As a result, frequency of coughs decreased, and a cleared bronchial tube. For its effect on the musculoskeletal system, massages were given to patient experiencing muscle aches resulting from accumulation of lactic acid from excessive/repetitive use. The massage alleviated the muscle aches and also enhanced alertness of the patient. For its effect on the genitor-urinary system, abdominal massage sessions were given to patient experiencing severe menstrual pain that arise due to cramping of the uterus. Daily massage sessions were given in the week prior to the start of the cycle, and as a result, menstrual pain was alleviated and also treated the patient's restlessness. For its effect on the endocrine system, full body massage was given to patient suffering from obesity resulting from hormone imbalance and fluid retention. Through the massage, patient experienced reduction in cellulite, fat, and consequently a reduction in weight. To summarize the study results above, oils were absorbed by the body through aroma massage, contributed in the regulation of hormones, and clearly demonstrated its ability to treat various ailments of the entire body caused by stress. Through further analysis and study, aroma therapy may become the principal means by which stress is relieved. In addition, through extensive studies in the blending of oils and the effect of various oils, its ability to treat diseases and ailments will contribute to alleviating the financial burdens of treating and preventing the various diseases that exist.

      • 한국근대문학과 식민지의 '사적 영역' : '경제적 개인'의 성적 구성

        강지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한국근대문학의 ‘사랑의 서사’가 자본주의와 맺고 있는 성적(性的) 구성의 특성을 ‘사적 영역’의 식민지적 성격을 고찰함으로써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근대문학의 탄생 과정에서 ‘사랑의 서사’가 ‘자유연애’ 담론을 통해 ‘자유로운 개인’이라는 근대적 주체를 주조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동시에 근대적 주체의 탄생 과정은 자본주의 상품 시장 속에서 근대성을 체험하고 또 소비의 주체로서 ‘개인’의 정체성을 학습하는 것이기도 했다. 무엇보다 ‘자유연애’는 자본주의 시장 경험을 핵심적으로 수행했다. 그러나 ‘사랑의 서사’가 ‘감정’이나 ‘내면’의 통해 매개한 ‘개인’에 대한 상상과 식민지의 자본주의 시장에서 계발되기 시작한 경제적 개인주의라는 관념은 곧 서로 적대감을 드러내게 된다. 이후 한국근대소설사는 식민지기를 관통하며 ‘사랑’과 ‘돈’의 적대라는 모티프를 반복 변주함으로써 자신의 기원적 이야기인 ‘사랑의 서사’를 ‘다시쓰기’하고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근대소설을 발명한 서구에서도 자유연애를 통한 결혼과 부르주아 가정의 이데올로기적 문제성은 근대소설의 핵심적 주제 중 하나이지만 한국근대소설에서 부부와 연인의 성적 관계의 갈등과 모순은 식민지 조선에 착근되기 시작한 자본주의적 체제 하의 ‘돈의 지배’에 훨씬 더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서사화된다. 한국근대문학의 ‘사랑의 서사’가 자본주의와 맺고 있는 특성을 사유해보기 위해서는 ‘개인’이라는 근대적 주체와 ‘공적영역/사적영역’이라는 구도의 식민지적 특수성을 재구성해 서사적 구조의 배경으로서 조감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식민지에서 ‘개인’이라는 근대적 주체성과 ‘사적 영역/공적 영역’의 문제는 ‘국가’와 ‘민족’이 배리되는 상황과 관련하여 복잡하고 역설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 천황제 가족국가라는 발상을 내면화해온 일본이나 강력한 민족주의와 해방 후 국가주의를 경험한 한국에서 사적 영역은 이념적으로 비대한 공적 영역의 지배하에 있었던 것으로 체험되었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본의 천황제 가족국가 관념이 개인을 국가의 세포로 이해하고 소속의 논리를 절대화해 충성을 당위적 덕목으로 이해했다면 일본 제국 하의 식민지 조선에서는 국가와 개인의 관계에 ‘민족’이라는 또 다른 변수가 작용했다. 이러한 차이는 식민지 조선에서 일본의 경우와도 다르게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 사이의 이데올로기적 의미 연관을 찾는 것을 어렵게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조선민사령이 사권(私權)의 거점을 재산권에 국한했다는 사실에서 보듯이 정치적 주권이 없는 식민지에서 ‘개인’은 제도적 측면에서 ‘경제적 개인’으로 특화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인민주권의 상상에 기반한 정치적 대의 제도가 없었던 식민지에서 ‘개인’의 의미가 공적 기구 안에서 수행성을 갖는 과정은 자본주의적 적응으로 수렴되어 갔을 것이다. 말하자면 식민지 조선의 근대성 경험은 ‘개인’을 경제적 영역에 고착시키는 성격을 갖는데 동시에 이는 ‘개인’의 의미화 그 자체를 중층적으로 방해하고 있었다. 이러한 ‘개인’은 전근대의 가부장적 신분귀속으로부터도, 제국주의 국가의 지배로부터도, ‘민족’이라는 공동체로부터도 독립분화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위치에 놓여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 때 ‘경제적 개인’이란 기본적으로 남성-지식인을 의미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낭만적 사랑’을 통해 한국근대문학에 ‘자유로운 개인’의 의미를 도입한 ‘사랑의 서사’는 식민지적 자본주의가 ‘개인’과 ‘사적 영역’에 가한 이 같은 모순이 가장 민감하게 포착될 수 있는 지점이었다. This dissertation explores the sexual relation between the ‘narrative of love’ and capitalism in Korean modern literature by looking at the coloniality that structures the private sphere. In the formative process of establishing Korean modern literature, the ‘narrative of love,’ along with the discourse of free love, plays a pivotal role in shaping the modern subject, or the individual. The modern subject is also assembled by its own experience of modernity as subject of consumer in the capitalist market. In this course, the discourse of free love performs a greater part of the individual’s experience of capitalism. Yet, the sense of the individual appears to be contradictory due to their different routes of development: on the one hand, the individual is imagined through its emotion and internality; on the other hand, the individual is represented through the newly developed notion of economic individualism in colonial capitalism. In this regard,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fiction is in its constant reconstruction through mobilizing a particular motif ? the antagonism between ‘love’ and ‘money’? repetitively yet differently. While the love and marriage through free choice and the ideology of the bourgeois family have been established as prevailing themes within the context of Western literature, it is colonial capitalism that more intimate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on the sexual relation and its contradiction between couples and lovers in the narrative of Korean modern novel.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narrative of love’ and capitalism in Korean modern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trace the narrative structure in which the individual as modern subject is reformulated in the dichotomy of private and public spheres. What complicates the issue of the individual as well as the private and public spheres is the negation of nation/state. In the case of Japan that presents the Emperor System as standard norm or that of Korea that develops strong ethnic nationalism and statism after liberation, the private sphere appears to be under the public sphere’s dominance. In addition, while the Japanese idea of Emperor System places the individual as cell of the state by mobilizing the logic of absolute belonging to the family-state, colonial Korea under Japanese rule has another crucial factor that complicates the relation between the state and the individual: the nation. The issue of nation in colonial Korea thus renders finding ideological meaning in the private and public spheres difficult. As the fact that the Chos?n Civil Affairs Ordinance confines the private right to the property right alone, the individual is strictly formed as economic individual in the level of social system in colonial Korea. Since neither political sovereignty nor the representative democracies as political system exists in colonial Korea, it is clear that the individual becomes performative while appropriating and adapting themselves to capitalistic logic. Put differently, modern experience in colonial Korea places and even confines the individual to the economic domain, yet simultaneously it interferes the making of the individual. The individual, specifically the male elite in my analysis, faces more difficulties in being separated as independent subject from the premodern patriarchal social hierarchy, the imperial domination, and finally, the nation. The ‘narrative of love’ that incorporates the liberal individual into Korean modern literature is, therefore, the site in which the contradiction of colonial capitalism imposed upon the individual and the private space is most subtly accumulated.

      • 유년기의 기억을 표현한 도자조형 연구

        강지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모든 생명체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태어나고 죽는다. 그중 인간은 자신이 살아온 시간을 기억함으로써 스스로를 인식한다. 이에 많은 예술가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기억을 시각화함으로써 스스로를 드러낸다. 그런데 인간은 자신이 살아온 모든 시간을 기억할 수 없고, 기억하는 주체의 시점은 시시각각 변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지금 이 순간 떠오르는 것을 지극히 주관적으로 기억하게 된다. 특히 잊고 있었던 과거의 시간은 우리가 불러일으키기 전까지는 내면 깊숙한 곳에 파편처럼 누적되어 있다가 기억하는 주체의 경험과 감정 등을 통해 심상(心象)화되어 드러나게 된다. 본 연구에서 필자는 그간 망각하고 있던 본인의 유년기 기억들을 상기하고 유년기의 심상적 기억을 도자 조형으로 시각화 하였다. 루돌프 아른하임(Rudolf Arnheim, 1904-2007)은 예술가에 있어서 기억은 정신적 사상이 되며 동시에 작품 창작의 주제나 소재가 된다고 말한다. 즉 많은 예술가에게 있어 기억이란 창작의 영감을 주는 세계이며 대상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기억에 관한 일반적 고찰을 통해 심상적 기억의 개념 및 속성을 알아보고자한다. 연구자는 유년기 기억을 표현하기 위하여 축적과 중첩, 색소지, 샤모트, 연리문 등을 방법론을 고찰하고, 이러한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일련의 작품들을 해설하려한다. 본 연구자의 유년기 기억에 관한 주제는 크게 세 가지로 분류 할 수 있으며, 그것은 ‘유년기에 살았던 곳과 연계된 기억’, ‘즐거운 놀이에 대한 기억’, ‘단짝 친구의 죽음에 대한 기억’이다. 이 세 가지 주제로 시각화된 연구 작품들을 살펴보며 연구자의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유년기 기억이 어떻게 시각화되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본 연구자의 유년기의 심상적 기억을 조형화함으로써 어린 시절의 소중하고 값진 순간들을 재인식 하고 정체성 확립을 이루고자 한다. 특히 흙을 이용한 표현방법에 시각적 연구를 통해 연구자가 앞으로 작품 활동을 계속하는데 있어서 보다 심도 있는 표현이 가능해지고 창작의 원동력이 얻어지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Every living creature is born and dies as time has passed by. But human beings out of every living creature perceive themselves by remembering the time when they have been living in. Amid such a reality, artists exhibit themselves by visualizing their memories based on their individual way they pursue. However, human beings cannot remember all the time when they have been living, and the time points of the subject remembering something often change. Therefore, we remember what flashes through our minds at this moment, subjectively. Especially, the forgotten past time is left hidden deep down our hearts like a treasure until we bring it back to our memories, and exhibits itself like a mental imagery through experiences and emotions of the subject remembering. This researcher meant to recollect forgotten memories of youth and to visualize such mental imagery memories into ceramic formative fine arts. Rudolf Arnheim (1904-2007) said that for the part of artists, memory means mental ideas and the subject matters or materials of a creation of a work,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memory can be said to become the world and object that animates inspiration into creation, from the viewpoints of artists.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and attributes of mental imagery memory through general consideration of memory. This researcher is going to express memories of youth by considering theories and methodology of accumulation, reiteration, color body, chamotte, marble pattern, and to interpret a series of works created based on such theories and methodology. The themes on memories of youth that this researcher ha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memories, 1) 'memory in association with the place where this researcher lived in youth,' 2) ' memory of joyful play,' 3) 'memory of the death of the close frien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isualized research works based on the three themes, and to consider how this researcher's individual and subjective memories of youth are visualized. By conducting this research, this researcher is going to embody mental imagery memories throughout childhood into formative fine arts, and remind of the valuable and important moments this researcher had in youth, and to establish identity. Above all, this researcher is going to conduct a visual study on expression methods using clay, under the expectation that more profound expression and insight on creation would be pursued and provided in the course of performing artworks constantly from now on.

      • 미술 교과 내 통합수업을 위한 지도방안 연구 : 중학교 판화 수업을 중심으로

        강지윤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is hard to regard the education course goal has achieved without relating between life and education activities, expecially when it comes to Art education that emphasizes not only cognitive aspects but also emotional aspects. However, Art education has lost necessity for curriculums because of the education atmosphere that is centered on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and insufficient class time. Moreover, narrow-minded recognition that Art education is not the main subject has made Art education extra-curriculum. This study diagnoses these realistic problems that cannot reflect needs of learners as Art education inner-centered problem so it is going to suggest the instruction methods which is in harmony with esthetic experiences, expressions and appreciation. I make an attempt to integrate separate areas in Art education so that it may reflect needs of learners, solve the problems caused to emphasize esthetic experiences, expression activities and be closed to the intellectual subjects. Art education must not be a possession that extra-ordinary students in artistic expression only enjoy. Therefore, it has to help learners to express their own characteristics through various expression methods and technic searches so that they may explore their creative possibility. In behalf of this, this study suggests integrated instruction methods in Art education for the parts working in coordination. The goal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art education is to achieve the whole curriculum in art until students in high school are going to be sophomore which means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However, later, the revised curriculum appeared, and then it presents that educational goals which set the level and range more clearly are classified as grades among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e educational goal in middle school focuses on building basic abilities to need in living and learning as students and characters of democratic citizen through the influence of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lso, the educational goal in high school focuses on building abilities to strengthen career opening fit in interests and characters of global citizen through the influence of education in middle school. Compared to between the art curriculum now in use and the revised curriculum, in the revised, esthetic experience area is enlarged to the visual culture environment, the content in expression area is introduced to expression process including materials and tools. Finally, in appreciation area, the works which students and artists do are integrated to the artistic works and critical activities are stressed. I use the print as lesson contents for integrated art based on the 7t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because the print is possible to make the works related real world situation. Especially, various colored stencil used in this lesson guide is valuable in the aspect of strong points that there are few limits on material and you can press everywhere you want. As methods, first, this study examines functions and types of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documentary survey. Second, the relationship among learning contents of the art texts now in use in middle school is analyzed centering on the expression area, and then the possibility of integrated education is confirmed. Third, as the ultimate goal, this study suggests the instruction guides based on these conditions that three areas can be integrated as one area. Implications in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it is important that the weight on the esthetic experiences and expression area is enlarged. Now, the art class is mostly consist of the art texts as a study-aid book and activities focused on the expression area. Naturally, I consider this situation critically and emphasize on the necessity of the class which can expand esthetic experiences and appreciation area. Next, this study is to help development of art texts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area and grade in the art texts in middle school now in use. Finally,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integrated areas. As a result, it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art texts centered on the expression area has difficulty constructing each part-integrated class because it seems that the esthetic experience and appreciation area are just presented formally and that areas are recognized as making up for the expression area. so it is required constant development of various instruction methods and depth studies for integrated classes in art education in relation to limits on study range, lacking of various lesson plans and focusing on the specific texts regarding analyzing the art texts and developing lesson plans. 삶과 유리된 교육활동을 통해서는 해당 교과의 교육목표를 완전히 달성했다고 보기 힘들다. 미술교과와 같이 인지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정의적인 측면이 특히 강조되는 과목에서는 더욱 그렇다. 하지만,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미술교과시간을 보면, 부족한 수업 시수와 입시위주의 교육풍토로 인하여 미술교과가 교육과정 내에서 그 당위성을 잃어가고 있으며, 비주지교과라는 편협한 인식으로 인해 미술교육은 더 이상 지적교육이 아닌 하나의 특별활동으로 전락해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의 문제를 -다른 그 어떤 이유보다도 학습자의 요구를 직시하지 못하고 형식적으로 이루어진-미술교육의 내적인 문제로 보고, 미적체험, 표현, 감상이 각각 분리된 영역으로서가 아니라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교수-학습지도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즉 미술 교과 내에서 분리되어 제시된 각 영역을 통합하여, 학습자의 삶과 유리되지 않고 그들의 요구를 외면하지 않으며, 단순히 미적체험이나 감상, 또는 표현활동만으로 그침으로 인해서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지식교과와의 괴리를 좁히기 위하여, 각 영역의 유기적인 통합을 전제하는 대안적인 지도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는 바이다. 미술교과가 단순히 뛰어난 표현력을 지닌 학생들만의 전유물이 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다양한 표현 방법 및 기법의 모색을 통해 학습자들의 개성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하며, 새로운 창조의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미술 교과 내 각 영역이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며 학습될 수 있도록 하는 미술 교과 내 통합 수업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제 7차 미술 교육과정의 목표는 국민공통기본교육 기간인 고등학교 1학년을 마쳤을 때 궁극적으로 달성해야 할 목표로서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후 발표된 개정안에 따르면 제 7차 미술 교육과정에서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초·중·고등학교가 같은 목표로 구성되었던 것과는 달리, 개정안에서는 학교 급별 차이에 따른 수준과 범위를 보다 명확히 설정하여 초·중·고등학교에 따른 교육의 목표를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즉, 중학교 교육목표는 초등학교 교육의 성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학습과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본 능력과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중학교 교육의 성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 개척 능력과 세계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현행 미술교육과정과 개정미술교육과정의 내용을 비교해보면, 개정안에서는 미적체험 영역의 범위를 시각문화 환경으로 확장하였고, 표현영역의 내용에서는 표현방법을 재료와 용구를 포함, 표현 과정 또한 도입하고 있다. 그리고 감상 영역에서는 서로의 작품과 작가 작품을 미술 작품으로 통합하였고, 비평 활동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개정7차 미술교육과정에 근거한 통합미술을 위한 지도방안의 수업내용으로 판화를 선택하였는데, 이는 판화가 학습자의 실생활과 보다 관련 있는 작품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본 논문의 수업지도안에서 제시된 다색공판화의 경우는 표현재료 및 매체의 제한이 거의 없고, 어디든 찍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그 활용 면에서 가치가 높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를 위한 방법적인 측면으로는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서 통합교육의 기능 및 유형을 살펴보고 둘째, 현재 중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미술교과서의 각 영역별 학습 내용간의 관련성을 표현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해 본 뒤 통합수업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셋째,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최종 목표인 미적체험, 표현, 감상 영역이 하나로 통합될 수 있는 수업지도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구성에 있어서 미적체험 및 감상영역의 비중을 확대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현행 미술교과의 수업시간을 살펴본 결과, 표현영역 위주의 수업구성과 학습자들의 학습지침서인 미술교과서 위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현실의 문제를 지적하고 미적체험과 감상 영역의 확장을 불러올 수 있는 수업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현재 중등미술 교육에서 사용되고 있는 미술교과서의 각 영역별/ 학년별 연계성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미술교과서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셋째, 미술교과서 내에서 각 영역의 통합수업의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표현 영역 위주로 구성된 미술교과서 만으로는 각 영역이 통합된 수업을 구성해 나가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현행 미술교과서의 구성으로는 미적체험 및 감상 영역이 단지 형식적으로 제시된 영역이거나, 표현 영역을 보완하기 위해서 존재하는 영역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술교과서 분석과 수업지도안 개발에 있어 특정 교과서 만 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는 점, 다양한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지 못하였다는 점 등, 연구범위가 제한적이었다는 한계점이 있으므로, 앞으로 이러한 교과 내 통합수업을 위한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지도안의 지속적인 개발이 요구된다.

      • 생리컵을 통한 항변 : 2015년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생리컵 사용자의 월경과 몸 경험

        강지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how replacement of menstrual hygiene products altered people’s notion regarding menstruation and women’s bodies, with particular interest in menstrual cups which have been popularized since 2016 in South Korea.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rom 2015, when menstrual cups were introduced by the website called “Megalia,” which believes to be the starting point of “Feminism Reboot” in South Korea, to 2018, when the interviews with menstrual cup users took place. Through the study, the meaning of menstrual cup within the Korean society was examined. It was also analyzed how the meaning is accepted by the society members. In addition, during the interview with the menstrual cup users, it was found that menstrual cup not only connotes cultural meaning, but also changes its users’ notion, creating new meanings as a non-human actant. Firstly, the study focuses on how menstrual cups were commoditized in the Korean society as “usable products.” Menstrual cups have not been popularized in the society, despite the fact that there has been Internet access and payment methods to be used for the purchase of menstrual cups and the fact that menstrual cups were already introduced to the communities finding for alternatives for sanitary pads. Most women who searched for the alternatives at the time chose to use cloth menstrual pads instead of menstrual cups. This research pays attention to how “Megalia” website’s postings about menstrual cups during 2015 urged its readers not only to use the products, but also to explore their own bodies. It also examines the background of receiving menstrual cups within the Korean society in light of temporal, cultural, and social factors, with focus on crackdowns on domestic distribution of menstrual cups in 2016 and public worries over sanitary pads’ safety in 2017. Subsequently, it is analyzed how the commoditized menstrual cups were received among their users. One of the major advantages of menstrual cups reported by the users is “convenience.”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is advantage of menstrual cups is a matter of relativity (“it is more convenient than sanitary pads.”)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using and publicizing of menstrual cups have a role of disclosing and protesting against the situation where only few options except for sanitary pads have been offered as menstrual hygiene products. Nevertheless, what it means by a commoditized product to be used as a means to express opinions is that if the product loses its status as a commodity, it loses its function as a means to express opinions as well. Thus, it is also confirmed that high confidence in the functionality of menstrual cups is required to the users as well. Finally, it is found that menstrual cup users’ perception of body has changed through the experience of using the products. Menstrual cups, due to its characteristic as an internal protection, provides its users with more opportunities to touch their own bodies. As an instrument collecting menstrual fluid, it functions as a medium between women and their bodies, offering practical knowledge regarding their own bodies and menstrual fluid. The users were able to make positive changes to their perceptions on menstruation after they learnt that disposable sanitary pads were the causes of several discomforts during the menstruation period (such as odor and limitation in physical activities), not menstruation itself. Moreover, the exploration of one’s own bodies allowed menstrual cup users to perceive their bodies as truly theirs, and paradoxically, this reveals how women have been ignorant about their own bodies. It also provides concrete grounds for the need of feminism, which is emerging with the contextual background of “Feminism Reboot” in South Korea. In sum, this study shows that replacement of products means more than changing products; replacement of products leads to the reconstruction of phenomena related to the products. 본 논문은 월경 용품, 특히 월경 용품 중에서도 2016년 이후로 국내에서 부상하기 시작한 생리컵(menstrual cup)을 주제로 삼아, 월경 용품의 교체 과정에서 드러나는 월경과 여성의 몸에 대한 관념들과 변화의 양상을 살핀다. 이를 위하여 첫째로 소위 ‘페미니즘 리부트’의 시발점으로 여겨지는 ‘메갈리아’ 사이트를 통해 생리컵이 소개된 2015년에서부터, 생리컵 사용자들과의 면담이 이루어진 2018년 사이를 주된 시간축으로 삼아 한국 사회에서 생리컵이 의미하는 바와 그 의미가 받아들여지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생리컵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면담을 통하여 생리컵은 자체로 문화적인 의미를 함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비인간 행위자(nonhuman actant)로서 생리컵을 사용하는 사람에게도 영향을 미쳐, 사용자의 관념을 변화시키며 새롭게 의미를 만들어내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우선, 생리컵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한국 사회에 ‘사용 가능한 물건’으로서 상품화(commoditization)되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미 2000년대부터 생리컵을 구매하기 위한 인터넷 망이나 결제 수단이 갖추어졌고 국내의 대안 월경 용품 커뮤니티에서 생리컵이 소개된 바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리컵은 대중화되지 못했으며, 당시 대안 월경 용품을 탐색하던 대다수의 여성들은 생리컵 대신 천 생리대를 택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 ‘메갈리아’에서 게시된 생리컵에 대한 게시글이 생리컵뿐만 아니라 스스로의 몸을 탐색할 것을 촉구한 점에 주목하고, 이후 2016년 생리컵 국내 유통 단속, 2017년 ‘생리대 파동’ 등을 통해 시기적, 문화적, 사회적 요인의 측면에서 생리컵이 한국 사회에 자리 잡은 배경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이러한 과정을 거쳐 상품화된 생리컵이 어떠한 방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주로 생리컵 사용자들이 생리컵의 이점으로 꼽는 ‘편리함’에 주목하여, 이 ‘편리함’이란 ‘일회용 생리대보다 편리함’을 의미하는 상대적 이점임을 확인하였으며, 생리컵의 사용 및 홍보는 일회용 생리대 외의 선택지가 빈약했음을 폭로하고 항변하는 발화의 성격을 갖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상품화’로 인하여 사용 가능하게 된 물건이 발화의 도구로 사용된다는 것은, 상품의 지위가 탈각될 경우 발화의 매체로도 쓰이지 못하게 됨을 의미하는 바, 생리컵의 기능성에 대한 확신은 사용자에게도 요구되고 있음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생리컵 사용자들의 사용 경험을 통하여 생리컵을 통한 몸 인식의 재구성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생리컵은 삽입식 월경 용품의 특성 상 사용자가 스스로의 몸에 접촉하는 기회를 증폭시키며, 월경혈을 담아내는 도구(instrument)로 작동하며, 여성과 몸 사이의 매개체로서 신비화되어 왔던 스스로의 몸과 월경혈 등에 대한 실제적인 지식을 제공하였다. 생리컵 사용자들은 냄새, 활동의 제약 등 기존에 월경의 고유한 속성으로 알고 있었던 불편함이 일회용 생리대에서 유래한 불편함임을 인지하게 되는 것으로, 월경을 보다 긍정적으로 재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스스로의 몸을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이를 자신의 몸을 자신의 것으로 감각하게 하는 근간으로 삼을 수 있었으며, 이는 거꾸로 여성 스스로의 무지를 폭로하는 것이기도 하며 ‘페미니즘 리부트’를 맥락적 배경으로 하여 부상한 페미니즘에 대하여 “왜 이것이 필요한지”에 대한 실제적인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물건의 교체는 물건 하나의 교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현상 자체를 재구성토록 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