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특성 분석 및 활성화 방안 모색 :광주광역시 초등학교 중심으로

        강우미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교 교육을 개혁하고자 하는 시도로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중요성과 효과성이 검증됨에 따라 전문적 학습공동체는 국가 주도의 교육 정책으로 제도화되어 각 시도교육청 주관의 수업 혁신 정책으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구성원의 인식과 학교 풍토에 따라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학교가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실질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단위 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사례를 면밀히 살펴보고,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운영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성장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광주시교육청 소속 초등학교에서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사례를 분석하여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공통적인 특성을 도출하고,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교사의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성장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학교 안 전문적 학습 공동체 운영 사례 분석과 교사 대상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효과적으로 운영되는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특성을 찾기 위해 광주광역시 초등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사례 연구 대상으로 정하고, 연구 대상자들의 운영 사례를 소개한 수업 성찰 사례집 분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 대상자는 2018년부터 2021년도까지의 기간 동안 수업 성찰 사례 공모에 참여했던 교사 중 네 명을 선정하였다.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해 밝혀진 연구 결과 효과적으로 운영되는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성장을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공동체이다. 둘째, 동료성을 바탕으로 협력하는 공동체이다. 셋째, 관계 맺음을 통해 소통하는 공동체이다. 넷째, 배움을 통해 전문성이 강화되는 공동체이다. 다섯째, 수업 개선을 위해 실천하는 공동체이다. 그리고 참여 교사와의 면담 결과 단위 학교의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자발성, 동료성, 관계성, 전문성, 실천성을 바탕으로 운영되는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교사 차원에서 성장과 변화를 위한 열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필요성에 대한 공동체의 인식 제고, 수업 친구와의 실제적인 수업 나눔을 위한 협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활성화 방안을 단위 학교 지원 차원과 시교육청 방침 마련 차원에서 모색함으로써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교사 집단의 성장과 학생의 교육적 성장을 이루는 실천 공동체로 성장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s attempts to reform educational institutions increase, the significance and effectiveness of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have been verified, leading them to be institutionalized as a part of national education policies and actively discussed as part of educational innovation policies under the supervision of local education offices. However, there are still schools where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re formally established, but their operation relies on the awareness of the members and the school's atmosphere. Therefore, to ensure the meaningful operation of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t is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cases of effective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nd assess their effectiveness while exploring potential directions for growth.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cases of effective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t elementary schools under the Gwangj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n South Korea. Through this analysis, common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will be identified, and possible strategies for activating such communities will be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s. The ultimate goal is to provide insights for the growth of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study used case analysis of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as the research method. Elementary schools under the Gwangj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for the case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analysis of lesson reflection casebooks submitted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Four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lesson reflection casebook submission from 2018 to 2021 were selected as interviewees. Based on the analysis of effective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1.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to foster growth. 2. Collaboration among peers as the foundation of the community. 3. Communication through relationship-building within the community. 4. Community-based learning to enhance expertise. 5. Practical application for classroom improvement within the community. Furthermore, interviews with participating teachers revealed that for an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o be activated based on voluntary participation, collaboration among peers, relationship-building, expertise enhancement, and practical application, it requires enthusiasm for personal growth and change among teachers, heightene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nd cooperation for real classroom sharing with fellow teachers. Finally, strategies for activation were proposed at both individual school and the educational office perspective to establish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s active communities that promote the growth of teachers and the educational development of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