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현대예술의 인공지능 활용을 통해 본 예술의 역할과 가치

        강여울 인문콘텐츠학회 2024 인문콘텐츠 Vol.- No.72

        현대예술과 인공지능의 만남에는 여러 미학적이고 사회적인 이슈들이 얽혀있 는 만큼 예술 본연의 역할과 가치에 대한 고찰은 더욱 중요해졌다. 예술과 인공 지능의 결합은 오늘날 예술 환경에 큰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다. 인공지능이 인간 의 여러 일들을 대체해감에 따라 우려와 기대의 시선이 공존한다. 한편 새로운 기술매체의 등장은 또 다른 예술적 진화의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 이 글에서는 예술창작의 속성 및 인공지능의 능력과 한계를 함께 살펴보고, 인공지능을 다양 한 방식으로 활용하는 몇몇 예술가들의 예를 통해서 예술 본연의 가치와 사회적 역할을 확장해 갈 수 있는 길을 논의한다. 인공지능이라는 매체의 한계와 가능성 을 함께 이해하는 것은 앞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현대예술이 나아갈 방향성 설정에 중요하다. 인공지능의 예술적 활용에는 미학적인 문제 뿐 아니라 다양한 윤리적·사회적 이슈들도 연결되어 있다. 인공지능 기술력으로 새로운 심미적 효 과를 만들어내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 매체성의 사회문화적 함의 또한 예술적으 로 다뤄낼 수 있는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유는 앞으로 인공지능과 현대미술의 만남을 긍정적으로 이끌어 가는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As various aesthetic and social issues are raised by the use of AI technology in contemporary art, reflection on the fundamental role and value of art has become even more crucial. The combination of art and AI has brought about a major shift in today's artistic environment. As artificial intelligence gradually replaces various human tasks, it has aroused both concern and excitement. On the other hand,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can be a driving force for new artistic developments. This study examines the nature of artistic creation alongside the capabilities and limitations of AI, and explores directions for expanding the intrinsic value and social role of art through examples of artists using AI in various ways. Understanding both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AI as a medium is important to discussing the future direction of contemporary art that incorporates artificial intelligence. The use of AI in art raises not only aesthetic issues, but also various ethical and social questions. Creative and critical engagement with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the medium, beyond the creation of new aesthetic effects through the technological prowess of AI, will be an important factor in guiding the encounter between AI and contemporary art in a positive way.

      • KCI등재

        야간 근로자의 식품선택유형에 따른 건강정보 인지수준이 힐링 욕구에 미치는 영향

        강여울,정희선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20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5 No.2

        In this study, 594 questionnaires administered to men and women residing in the capital metropolitan area who work night shifts were analyzed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f health information cognition on healing needs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food selection criteria of the night worker.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deriving food selection type identified four categories, a safety seeking type, a food exploratory type, a habitual seeking type, and a rational type, and the cognition types on health information were classified into physical cognition and psychological cognition. The need for healing, which was the investigated factor, was found to have a high correlation between questionnaire items with high reliable consist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ood selection types of safety seeking type and habitual food seeking type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cognitive level of physical health information, and food exploratory type and habitual seeking type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cognitive level of psychological health information.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food exploratory type and rational type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healing need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ognition level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informa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food selection type, and the higher the cognitive level, the higher the healing needs. In particular, the result that the level of psychological health information significantly affected healing needs signifies that there is a demand to develop programs and menus that satisfy various needs related to healing and recovery from fatigue. In addition, further interest and study on the health and healing of night workers are required.

      • KCI등재

        당대(唐代) 화론 속의 『장자』

        강여울 대동철학회 2021 大同哲學 Vol.96 No.-

        이 글에서는 당대(唐代) 회화론 속에 반영된 『장자』를 통해 이 시기 회화가 지향한 예술적 이상의 도가 미학적 측면을 분석해 본다. 『역대명화기(歷代名畵記)』, 『당조명화록(唐 朝名畵錄)』, 「필법기(筆法記)」 등 당대 화론에서는 『장자』 수양론의 핵심을 이루는 개념들이 다양한 회화 창작의 맥락에 적용되어 그 미학적 함의를 확장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화론에서 『장자』가 말하는 기술의 도(道)의 핵심은 회화 창작 과정에 차용된다. 포정(庖丁)이나 윤편(輪扁)의 일화가 상징하는 기술의 도가 회화의 도와 맞닿아 있는 것으로여겨지는 것이다. 이상적 회화의 도는 인위적 노력의 개입 없이 무위한 천지조화와 같이이루어지는 것이며, 그러한 회화의 도에 다다르기 위한 도야의 과정 또한 『장자』의 기술의도의 핵심과 맞닿아 있다. 또한 당대의 화론은 회화 창작에서 주체와 대상의 관계성뿐만 아니라 감상자의 심미적감응의 기제 또한 장자 의 사상을 통해 설명한다. 회화의 도가 발휘될 수 있는 마음의 상태는 「각의(刻意)」의 순일하고 고요한 마음 및 좌망(坐忘)에 빗대어 설명된다. 진인(眞人) 의 수양의 경지와 화가가 갖추어야 할 마음의 상태가 유비를 이루는 것이다. 더 나아가 당대의 문인들이 회화를 단순한 기예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정신 수양의 방법으로 여기기 시작한 경향 또한 화론에 반영된 장자 를 통해서 이해할 수 있다. 창작 주체의 삶의 태도, 정신적 경지 등이 예술 평가의 중요한 기준으로 대두되면서 도가 사상이지향하는 탈속적 가치관은 문인 예술창작의 핵심으로 자리 잡아 갔다. 기존의 화풍을 탈피해 보다 대담하고 자유로운 용묵을 구사했던 당대 화가들의 초탈적 정신성 또한 해의반박(解衣般礴)이나 심재(心齋) 등 『장자』의 사상을 통해 대변된다. 당대를 거치며 회화의 기술보다는 그것을 창작한 화가의 자질과 그 창작 과정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점차 두드러진다. 이 과정에서 회화예술의 다양한 맥락에 적용되어 변주되는 『장자』의 이야기들은 그림과 화가의 역할에 대한 인식 변화를 반영하고 설명하는 매개가 되었던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Zhuangzi quoted in the painting theories of the Tang Dynasty including the Records of Famous Painters in History (歷代名畵 記), the Record of Celebrated Painters of the Tang Dynasty (唐朝名畵錄), the Notes on the Method of Brush (筆法記) and so on. The essential concepts from the Zhunagzi ’s cultivation theory were adopted in the various contexts of painting practice reflecting the artistic ideals of the painters of the time. The dao (道) of perfect skill in the Zhunngzi was applied to the nature of painting practice expanding its aesthetic implications. The episodes of Butcher Ding (庖丁) or Wheelwright Bian (輪扁) were compared to the skill of painting in the Tang Dynasty’s painting theories. The process of perfecting the technique as well as the state of wuwei (無爲) described in the Zhuangzi were adopted to elucidate the desirable conditions for painting. The Zhuangzi also provided an important theoretical ground to illumin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inter and the object as well as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viewer. The description of a painter’s ideal state of mind echoes the tranquil and coalesced mind described in “Keyi (刻意)” as well as the state of zuowang (坐忘). Furthermore, the Zhunagzi reflected in the painting theories of the time spoke for the changed status of painting as a method of cultivation. The unworldly and unfettered spirit of the Daoist view on life began to represent the attitude of the painters who broke away from the conventions laying a foundation for the literati painting.

      • KCI등재

        「필법기(筆法記)」에서 ‘기운(氣韻)’과 ‘상(象)’의 미학적 의의에 대한 고찰

        강여울 대동철학회 2019 大同哲學 Vol.86 No.-

        이 글에서는 당말오대(唐末五代) 형호(荊浩; 약 855-915)의 화론인 「필법기(筆法記)」가 추구 하는 예술적 이상을 ‘기운(氣韻)’과 ‘상(象)’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필법기」 는 육조시대 산수화가 독립된 장르로서 다루어진 이래 본격적으로 산수화를 대상으로 한 화론 (畵論)으로 당대(唐代)를 거치며 이루어진 회화 예술의 사상적, 실천적 변혁과 그것이 야기한 새 로운 미학적 가치 추구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개념과 이론을 제공한다. 특히 「필법기」에서 제 시하는 회화의 방법론은 화론의 논의 대상이 인물화에서 산수화로 이동하고, 채색 위주의 회화 를 탈피해 수묵산수화 점차 성행하게 된 시대적 배경과 맞물려 있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확 장된 산수화의 예술적 이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필법기」에 등장하는 ‘기운(氣韻)’과 ‘상(象)’의 철학적, 미학적 함축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기운’과 ‘상’이라는 철학적 용어는 위진남북조 현학 (玄學)의 영향 아래 다양한 예술론 속에 적용되며 예술 용어로 자리매김 했다. 한편 「필법기」가 산수화 창작의 맥락에서 제시하는 ‘기운’은 인물에서 자연경물로 확장되고 ‘상’ 또한 ‘형사(形似)’ 를 넘어서 비가시적인 요소들을 매개하는 ‘산수(山水)’라는 상징적 이미지로서의 의미를 얻게 된 다. 또한 이러한 각 용어들의 미학적 함축의 확장은 ‘수묵(水墨)’이라는 회화적 방법론과 이론적, 실천적으로 맞물려 있는 것이기도 하다. 이 용어들의 함의와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필법기」에 반영된 그 시대 회화의 새로운 미학적 방향성을 이해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artistic ideals of Jing Hao (荊浩; c. 855-915)’s Bifaji (筆法記, Record of Brush Methods) focusing on the aesthetic implications of ‘qiyun (氣韻)’ and ‘xiang (象).’ Bifaji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critical writings on Shanshui (山水) painting since it had emerged as an independent painting genre during the Six Dynasties period. Bifaji offers important concepts and theories to understand new aspirations of painting under the shifting artistic trends of the late Tang and the Five Dynasties period from portraits to landscapes and from colors to ink and wash. It is vital to understand the aesthetic implications of ‘qiyun (氣韻)’ and ‘xiang (象)’ in Bifaji to elucidate the artistic goals pursed by the Shanshui painting in ink and wash. The philosophical terms ‘qiyun’ and ‘xiang’ began to be used in various writings on the arts expanding its implications under the influence of xuanxue (玄學) of the Wei-jin era. In Bifaji the meaning of ‘qiyun’ and ‘xiang’ gains additional conceptual layers in conjunction with the emphasis on ‘ink and wash (水墨)’ both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The scope of ‘qiyun’ expands from figures to natural scenery, and ‘xiang’ is suggested as a symbolic image that mediates between visible forms and invisible essence. The changing orientation of painting of the time reflected in Bifaji can be illuminated through an investigation on the meaning of these terms and their interrelation.

      • KCI등재

        장자의 ‘무궁(無窮)’과 ‘경계(封)’

        강여울 대동철학회 2020 大同哲學 Vol.91 No.-

        이 글에서는 『장자』 「소요유」, 「제물론」, 「응제왕」에 등장하는 ‘무궁(無窮)’의 함의를 ‘경계(封)’와의 연관성 속에서 고찰한다. 특히 장자의 인식론과 언어관의 맥락에서 무궁의 의미가 갖는 중요성을 드러낼 것이다. 우선 온전한 앎을 가로막는 경계의 개념적 층위들을 ‘옳고 그름(是非)’의 경계와 ‘말(言)’의 경계로 나누어 분석하고, 경계를 극복하는 앎의 방법과 무궁의 의미가 어떻게 맞닿아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장자는 마음이 만들어낸(成心) 시비판단의 분별적 기준과 언어 개념의 틀은 우리로 하 여금 만물의 실상에서 멀어지게 한다고 보았다. 장자가 언어적 논리의 한계를 반복해서 강조하는 이유이다. 「제물론」에 등장하는 시작(始)과 있음(有)-없음(無)의 변증적 논의와 일(一), 이(二), 삼(三)에서 다(多)로 진행되는 과정은 언어 구조를 바탕으로 한 관념적 논리 전개의 한계를 보여준다. 장자는 이러한 관념적 지식의 추구가 참된 앎과는 유리된 것으로 보았다. 시비분별과 언어 개념의 경계들을 지워내고 온전한 앎의 경지에 이르는 과정은 ‘이명(以 明)’과 ‘심재(心齋)’가 대변하는 ‘밝힘(明)’과 ‘비움(虛)’이라는 비유로 집약될 수 있다. ‘이명’의 지혜가 밝은 빛으로 대상과 마음 사이의 경계를 지우는 것이라면 ‘심재’의 비움(虛)은 경계가 허물어진 상태에서 만물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마음의 자리를 비우는 것이다. 경계를 무화시키는 이명과 심재의 경지는 결국 ‘자아’라는 가장 확고한 경계의 해소로 이어진다. 장자는 논리상의 ‘무한(infinity)’의 명증성은 부정한 반면, 체험적인 ‘무궁’의 경지는 긍정하였다. 장자의 ‘무궁’은 선적인 연속성이나 공간적 확장에 근거한 무한함과는 다른 것으로 ‘경계 없음(無封, borderless)’과 맞닿아 있음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implications of ‘wuqiong(無窮)’ in relation to ‘borders(封)’. The importance of its meaning in Zhuangzi’s epistemology and view of language will be illuminated. I will first discuss the conceptual layers of the borders of ‘right and wrong(是非)’ and the borders of ‘language(言)’ that hinder us from reaching true knowledge. Then the means of nullifying the borders to realize the reality of the world and its connection to ‘wuqiong’ will be investigated. Zhuangzi regarded the discriminating criteria of right and wrong and the language structure formed by the human mind inadequate for understanding reality. The limitations of linguistic logic are discussed in the discourse of beginning(始) and existence(有)/non-existence(無) and the process from one(一), two(二), three(三) to multitude(多) in the Qiwulun. Zhuangzi criticizes the pursuit of metaphysical knowledge through language and concepts. The means of dismantling the borders between right and wrong and the conceptual frame of language can be summarized as ‘illuminating(明)’ and ‘emptying(虛)’ suggested by the terms ‘using illumination(以明)’ and ‘fasting of the mind(心齋)’. The wisdom of ‘using illumination’ erases the borders between the mind and things, and the emptying of the mind allows us to intuit things as they are. Cultivating the means of ‘using illumination’ and ‘emptying the mind’ eventually leads to the effacement of the most tenacious boundary, the self. While Zhuangzi refuted the logical ‘infinity’ he considered the state of wuqiong can be achieved through direct experience. Distinct from the infinity of linear continuation or boundless spatial expansion the essence of Zhuangzi’s wuqiong lies in the state of the ‘borderless(無封)’.

      • KCI등재

        육조시대 서예론에서 '형(形)' 과 '신(神)'의 관계 -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층위

        강여울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科學 Vol.114 N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esthetic implications of “xing(形, form)” and “shen(神, spirit)” as well as “xiang(象, symbolic image)” to illuminate the artistic aspirations of the calligraphers of the Six Dynasties period. The interrelation between xing and she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the nature of men and its relation to the world in Chinese thought.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Xuanxue(玄學) these terms, ‘xing’ and ‘shen,’ expanded into painting and calligraphy theories. The literati of the Six Dynasties emphasized the role of the arts to express invisible qualities in their discussion on xing, the tangible, and shen, the intangible. As the expressiveness of cursive style in calligraphy became more stressed in the Six Dynasties, calligraphy began to be considered as a form of art in itself rather than a mere method of wri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xing and shen in calligraphy theories is vital in understanding the artistic goal of the Six Dynasties’ calligraphers. While the xing-shen relationship in portrait painting can be summarized as ‘conveying the spirit(傳神)’ of the object, a calligrapher aims to reflect his or her own spirit in calligraphic expressions. Furthermore, calligraphy suggests a broader concept of shen related to nature, ‘shencai(神彩, vitality of nature).’ Shencai is the visual manifestation of the principle of formation and changes in nature, which can be sensed in the contrast and harmony of yin(陰) and yang(陽). The role of ‘xiang(象)’ as ‘symbolic image,’ which is created from creative variations on given shapes of characters, enables a calligrapher to express his or her own spirit-shen-as well as shencai. In calligraphy xiang, constructed between xing and shen, works as a medium through which the invisible and the visible are interweaved to induce a viewer’s sensory experience. 이 연구에서는 육조시 서예론의 예술적 이상의 특성을 서예 창작에서의 ‘형(形)’과 ‘신(神)’ 및 ‘상(象)’의 미학적 함축에 해 고찰함으로서 규명하고자 하다. 중국 사상사 속에서 ‘형(形)’과 ‘신(神)’은 인간의 본질과 자연과의 관계 에 한 논의 속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지며 립적이면서도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해 왔다. 육조시 현학의 발달과 맞물려 발현한 동시 예술론 속에 서 ‘형’과 ‘신’이라는 용어는 회화론과 서예론 속으로 확장되어 미학적인 함축을 더하게 되었다. 육조시의 문인들은 예술론 속에서 구체적인 예술적 방법론을 통해 ‘보이지 않는 것’을 표현하는 능력을 강조했는데, 이는 가시적인 형상(形)과 비가시적이지만 보다 본질적인 정신(神)의 관계성으로 집약된다. 육조시 문인들의 서예 창작에서 초서(草書)의 표현성이 더욱 강조되며 서 예는 필기라는 실용적 수단을 넘어서 중요한 문화적 소양이자 예술 형식으로 자 리 잡게 되었다. 이처럼 미학적 기능이 강조된 육조시의 서예론 속에서 ‘형’과 ‘신’의 관계에 한 이해는 이 시기의 문인들이 서예가 궁극적으로 표현해야 할 것을 무엇으로 여겼는지를 파악하는데 핵심적이다. 회화에서의 ‘형’과 ‘신’의 관계가 상 인물의 외양 묘사를 통해 보이지 않는 정신성을 전달하는 ‘전신(傳神)’이라면, 서예는 서예가가 상으로 삼는 ‘자형(字 形)’의 예술적 운용을 통해 창작자 자신의 정신적 속성을 담아내는 또 다른 ‘전 신’이라고 할 수 있다. 더 나아서 서예에서는 자연과 연결되는 보다 확장된 의미 의 ‘신(神)’의 개념이 중요시되는데 이는 ‘신채(神彩)’라는 용어로 표현된다. 서예 론에서 말하는 ‘신채’는 만물의 생성과 변화 원리의 가시적 발현, 즉 음(陰)과 양 (陽)의 비와 조화 속에서 감각적으로 느껴지는 자연의 생명력(生氣)이다. 이처럼 서예가 창작자의 정신성(神)뿐만 아니라 신채라는 확장된 의미의 ‘신’ 또한 표현해낼 수 있는 것은 서예가가 자형(字形)을 창의적으로 변주함으로써 구 축해내는 새로운 ‘이미지’인 ‘상(象)’의 역할에 기인한다. 즉 서예에서의 ‘상’은 ‘형’과 ‘신’ 사이에 형성되어 보이는 형상과 보이지 않는 속성들을 엮어 감상자 에게 전달하는 예술적 매개인 것이다.

      • KCI등재

        ‘몰입형 미디어아트(immersive media art)’의 빛과 그림자 -수묵산수화 심미체험과 비교를 통해서

        강여울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124 No.-

        Immersive media art exhibitions that present a new spectacle created by digital technology have become popular in recent yea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ature of “immersion” or “presence” that is often associated with the experience of immersive media art and discusses its potentials and limits as an aesthetic experience. In this regard,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a number of immersive media art works and traditional ink wash paintings that represent “water” as their main theme, and discusses how their perspectives on nature and approaches to viewers fundamentally differ. Immersive media art focuses on the visible features of water and amplifies the amount and intensity of sensory stimuli presented to viewers, whereas traditional ink wash painting captures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water and other elements in nature. While water becomes an object of visual appreciation in immersive media art, it becomes an object of contemplation in ink wash painting. Immersive media art typically employs the strategy of immediacy by eliminating physical distance and overwhelming viewers with maximized sensory input. On the other hand, ink wash landscape painting offers vacant spaces through which viewers can form their own mental, emotional and intellectual relationships with the work. This study examines the gains and losses of immersive media art as an aesthetic experience. The significance of distance in aesthetic experi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immersion and psychological immersion, and the limitation of interactivity in media art are examined. This will elucidate what has often been overlooked in immersive art as well as the aesthetic meaning and value that can be rediscovered in traditional ink wash painting. 다양한 기술력을 동원해 기존의 미디어에서 볼 수 없었던 감각적 스펙터클을 제공하는 몰입형 미디어아트는 최근 대중적인 관심과 호응을 얻고 있다. 이 연구는 ‘생생함’이나 ‘실재감’ 등 몰입형 미디어아트가 내세우는 체험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 심미체험의 가능성과 한계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물’이라는 주제를 공통으로 다루는 몰입형 미디어아트와 전통수묵화를 비교 대상으로 삼아, 각 형식에서 발견할 수 있는 자연 대상에 대한 관점, 작품과 감상자의 관계성에 대한 차이를 탐색한다. 몰입형 미디어아트가 물의 가시적 속성에 초점을 맞추어 감각 정보의 양과 강도를 최대로 제공하는 기술적 방식을 취하는 반면, 전통수묵화가 물의 본성을 포착하는 방식은 여러 대상과의 유기적 관계성에 주목하는 것이다. 몰입형 미디어아트가 제시하는 물이 감상의 대상이라면, 수묵산수화의 물은 관조의 매개가 된다. 또한 몰입형 미디어아트가 주로 작품과 관객 사이의 물리적 거리를 좁혀나가는 비매개의 전략을 취하는 반면, 수묵산수화는 여백을 통해 오히려 시각적인 묘사만으로는 불가능한 감각적, 정서적, 정신적 효과를 자아내는 비움의 방식을 취한다. 이러한 비교 분석을 바탕으로 몰입형 미디어아트의 심미체험에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과 잃기 쉬운 것은 무엇인지 헤아려 볼 수 있다. 또한 심미적 거리의 중요성 및 물리적 몰입과 심리적 몰입의 관계를 살펴보고, 미디어아트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의 양면성에 대해 논의한다. 오늘날 우리가 예술체험의 의미와 가치에서 무엇을 간과하고 있으며, 전통 회화 미학에서 새롭게 얻을 수 있는 통찰은 무엇인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장자]와 [열자]의 우주생성론에 비친 수양론과 인식론

        강여울 대동철학회 2023 大同哲學 Vol.102 No.-

        It is commonly known that there are several passages in both the Zhuangzi and the Liezi that are identical. Some Liezi episodes provide examples of the stages of cultivation and the accomplishment of zhiren 至人. This essay explores how the Zhuangzi and the Liezi's self-cultivation methods and objectives relate to the cosmogonical descriptions found in both texts. This comparative approach will provide light on the analogous relationship between cosmogony and cultivation theory. The cosmogonical concepts of wuxing 無形 and youxing 有形, hunlun 渾淪 and yi 一 as well as taichu 太初 are related to the epistemological shift that can be attained through mind cultivation. The state of the cultivated mind that has no boundaries is represented by the terms xu 虛 or wang 忘. The Zhuangzi and the Liezi's depictions of zhiren illustrate how mind cultivation enables one to transcend the physical limitations of the body and ultimately reach intuitive knowing through direct unification with the world. The aim of mind and body cultivation is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unadulterated stage or the undivided state of chaos that existed before the emergence of all things. The conceptual importance of the cosmogonical texts featured in the Zhuangzi and the Liezi will be elucidated in parallel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cultivation theory and epistemological implications. 이 글에서는 장자 와 열자 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일화에서 발견할 수 있는 수양의 지향점을 짚어보고, 그것이 두 저작에 등장하는 우주생성론적 텍스트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탐색해 보고자 한다. 특히 수양의 단계나 지인(至人)의 경지를 묘사하는 일화들을 우주생성론에 비추어 이해해 봄으로써 수양관과 우주생성관 사이의 유비 관계를 읽어낼 수 있다. 예컨대 생성론에서 등장하는 무형(無形)과 유형(有形), 혼륜(渾淪) 과 일(一), 태초(太初) 등의 개념들은 수양의 과정에서 요청되는 인식론적 전환과 맞닿아 있다. 인식의 다층적 경계들을 지워나가는 마음의 수양은 허(虛), 망(忘) 등으로 대변된다. 장자 와 열자 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지인의 일화에서는 이러한 마음 수양이 주체와 대상 사이 물리적 경계를 초월하는 상태로 이어지고, 더 나아가 경계 없이 비워진 마음으로 대상과 감응함으로써 만물의 이치를 체득하는 앎을 얻을 수 있음을 말한다. 수양이 몸과 마음의 타고난 순수 상태의 회복이라면, 그것은 태초에서 분화된 만물의 생성 과정을 거슬러 올라가 다다르는 경지이다. 장자 나 열자 에 등장하는 우주생성론적 텍스트를 각 사상의 특성, 특히 수양론과 인식론의 맥락에 비추어 볼 때 그 의의와 가치를 보다 명확히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열자(列子)』에 나타난 ‘우주생성론’과 ‘수양론’의 관계에 대한 고찰

        강여울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nalogous relationship between the ‘cosmogony’ and ‘cultivation theory’ in the Liezi. The Liezi’s view of nature as well as its connection to men can be illuminated as we comprehe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m. Discovering the common ground between the cosmogony and the cultivation theory in the Liezi will lead to a deeper understanding on how the intellectuals of the time 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smos and nature, cultivation and practice, as well as nature and men. Moreover, it will elucidate the implications of ‘dao (道)’ which is regarded as the culmination of both cultivation and achievement of the skills in the Liezi. The cosmogonies of the Han dynasty that tend to suggest systematic processes of evolvement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one may focus on the qi’s movements and changes while others may explore the concept of ultimate reality. On the other hand, the cosmogonic contexts found in the Liezi should be understood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s and ideological directions of the text. The cultivation theory aiming for the dao and the practical wisdom for living are the essential parts of the Liezi. The cosmogony of the Liezi, therefore, may acquire its meaning and value provided that it can serve for cultivation purposes. In the Liezi an analogous relationship can be not only between cosmogony and cultivation theory but also between the process of cultivation and training of skills. Perspectives on nature, cultivation and living are interconnected through the concept of dao in the Liezi. 이 글에서는 『열자』에 나타난 ‘우주생성론’과 ‘수양론’의 유비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열자』가 취하고 있는 자연관을 삶과 수양의 맥락에서 이해해 보고자 한다. 『열자』를 통해 우주생성론과 수양론에서 공유되는 맥락을 찾아내는 것은 그 당시 지식인들의 우주와 자연, 수양과 실천,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에 대한 태도를 더욱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열자』에서 수양과 기술의 최고 경지로 제시되는 ‘도(道)’의 함의를 규명할 수 있다. 선진의 문헌들과는 달리 종종 체계적인 도식을 제시하는 한대(漢代) 우주생성론들은 기화론적인 관점 또는 본체론적인 관점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열자』에서 발견할 수 있는 우주생성론은 『열자』 자체의 방향성과 목적성을 고려하여 그 함의를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열자』는 ‘도(道)’의 경지를 지향하는 지인(至人)의 수양론과 세상을 살아가는 실천적 지혜를 주된 내용으로 삼는다. 따라서 『열자』의 우주생성론은 궁극적으로 수양의 과정에 적용될 수 있는 이론이 될 때 의미와 가치를 얻게 된다. 또한 『열자』에서는 우주생성론과 수양론의 유비 관계뿐만 아니라 지인(至人)의 수양과 기술의 닦음 간의 연관성도 발견할 수 있다. 『열자』에 나타난 우주관, 수양관, 인생관 등은 자연의 이치인 도(道)를 중심으로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