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민진당의 다문화 정치와 대만 원주민 운동의 접합 – 정체성의 재구성 –
강병환 중국지역학회 2025 중국지역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대만 민주진보당이 추동한 다문화 정치와 대만 원주민족이 추진한 원주민 정명운동이 상호 어떠한 접점을 지니며, 서로 어떻게 결합되었는지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대만의 다문화 정치는 민주화의 진전에 따라 억눌려 있던 다양한 족군의 권리 요구가 표면화되면서 본격적으로 전개되었으며, 이는 대만인 정체성 구축을 지향한 민진당의 대만 정명운동과 원주민의 집단적 정체성 회복 운동이 서로 맞물리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원주민은 자신들의 언어, 역사, 문화적 정체성을 되찾고, 오랫동안 억압되어 온 권리를 회복하고자 교육·문화 운동에서 출발해 정치적 대표성, 자치권, 토지권 등 실질적인 권리 요구로 나아갔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타자에 의해 규정된 명명 방식을 거부한 민진당의 대만 정명운동은 단순한 호칭 변경을 넘어 국가 권력이 생산한 언어 질서에 대한 저항이자, ‘대만’이라는 이름으로 국가 정체성을 재구성하려는 정치적 프로젝 트로 전개되었다. 원주민의 정명운동 또한 국민당 체제 아래 ‘산지동포’나 ‘산지인’과 같은 타자화된 호칭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하였으며, 이는 자율적인 자기 정체성 확립을 위한 투쟁으로 발전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원주민 정명운동이 단순한 문화 보존이나 민족적 권리 회복을 넘어서, 민진당이 추구하는 새로운 국가 정체성과 정치적 정당성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대만 다문화 정치의 구조와 탈식민 시대의 정체성 회복이라는 측면에서 갖는 동아시아적 함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oint of convergence between the multicultural politics promoted by the Democratic Progressive Party (DPP) and the Indigenous name rectification movement initiated by Taiwan’s Indigenous peoples, and to examine how these two movements became interconnected. Taiwan’s multicultural politics began to take shape as the suppressed demands for the rights of various ethnic groups came to the forefront with the advancement of democratization. This became a key moment where the Democratic Progressive Party’s movement for Taiwan’s identity-building and the indigenous people’s efforts to restore their collective identity intersected. Particularly, the indigenous people sought to reclaim their language, history, and cultural identity, and to recover the rights that had long been oppressed. This journey began with educational and cultural movements, gradually progressing to demands for political representation, autonomy, land rights, and other tangible rights. Within this context, the DPP’s movement for Taiwan’s identity, which rejected the naming conventions imposed by the Other, evolved into a political project that went beyond mere changes in nomenclature. It became a resistance against the linguistic order produced by state power and an effort to reconstruct national identity through the name “Taiwan”. The indigenous people’s movement for renaming also originated from a critique of the othering labels such as “mountain compatriots” or “mountain people” under the Kuomintang regime, and it evolved into a struggle for the establishment of an autonomous self-identity.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at the indigenous renaming movement is closely linked not only to cultural preservation or the recovery of ethnic rights, but also to the new national identity and political legitimacy pursued by the DPP. Through this, the study seek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aiwan’s multicultural politics and the restoration of identity in the post-colonial era from an East Asian perspective.
강병환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23 국제정치연구 Vol.26 No.2
본문의 목적은 사민 문화의 틀을 통해서 대만의 역사와 문화의 혼종성을 고찰하고, 나아가다양한 대만의 인적 구성관계와 역사의 경로를 추적하여 대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대만의 역사와 문화를 관찰할 때 두드러지는 점은 원주민의 땅에서 이민과 식민이 동시에 진행되었다는 점이다. 특히 대만 전역이 통치자의 권역에 들어왔을 때는 일제 강점기의 일이다. 대만은 이민과 식민을 경험하면서 다인종, 다족군(multi-ethnic), 다언어 등 다양한 이질적 문화가 공존하는 사회가 되었다. 본문은 대만의 문화를 크게 사민(四民) 즉 원주민(原住民), 이민(移民), 식민(植民), 후식민(post-colonial, 後植民) 문화로 정리한다. 대만은 사민 문화를 기반으로 하기에 여러 면에서혼종성과 잡회성을 띠고, 이로 인한 인구, 종족, 언어, 이민, 등 여러 분야에서 충돌과 갈등 양상을 띤다. 오늘날 대만은 다원 족군 사회의 모습을 띠고 있다. 민난, 객가, 원주민, 외성인 등각 족군의 독특한 문화가 있으며 여기에 더하여 1990년 후기에 대만에 새로운 인구가 유입되어 신주민 문화가 새롭게 유입되었다. 대만문화는 여러 이질적인 문화가 중층적으로 쌓여 혼종적인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대만의 역사는 곧 사민의 역사며 이들 이질적 문화가 켜켜이쌓여 형성된 문화적 맥락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강병환 한국외국어대학교 대만연구센터 2023 대만연구 Vol.- No.2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heterogeneity of Kaohsiung City, a gateway city in southern Taiwan, in terms of its history and culture. Through this analysis, we aim to explore the diverse ethnic relations and historical trajectories of Kaohsiung. Due to its original diverse cultures, Kaohsiung has experienced conflicts and tensions in terms of population, ethnic groups, languages, immigration, debates on unification and independence, and identity. Notably, when observing the history and culture of Kaohsiung, a prominent aspect is the simultaneous occurrence of immigration and colonization on the original lands of the indigenous people, particularl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en Taiwan came under imperial rule. Kaohsiung has transformed into a society where various cultures coexist, characterized by different ethnic groups and imperialistic colonial governance across different eras. For instance, Kaohsiung's culture encompasses the unique cultures of Minnan, Hakka, indigenous people, and foreign residents, along with the influx of Chinese spouses due to cross-strait exchanges since the late 1980s, labor immigrants from Southeast Asia, and marriage immigrants, resulting in an even more diverse and multi-ethnic society. Currently, Kaohsiung continues to carry the cultural context of a multi-ethnic society.
미국의 동아시아전략과 중국의 대응- 해상패권경쟁과 갈등을 중심으로 -
강병환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4 중소연구 Vol.38 No.1
This paper discusses the U.S. hegemony and the rising of China in EastAsian sea. China and the U.S. have been entered into tensions in East Asia. Asia-pacific is experiencing a transformation, over the years, one can observe the shift in the global strategic focus to the region. The war onterror directed by the Bush administration led to the decrease of US presence in the Asia-Pacific region. Under the context of an influence growing Asia-Pacific, conducts of “reemphasizing US influence and presencein Asia” has been adopted by Barack Obama’s administration. In the one hand, the US has consolidated its traditional alliances, and has stressed the improvement of US-Vietnam and US-India relationships on the other hand. The efforts to rebalance has created a new situation in East Asia:Firstly, a shift in US strategic focus to East Asia has occurred simultaneously with the world’s growing focus in the region. Secondly, the regionaly small and medium-sized states are seeking balance between thegreat powers. Thirdly, the underlying frictions have emerged as disputes inthe region, such as the disputes in Diao-yu (Senkaku) Islands , South China Sea, Yellow Sea has emerged. These factors have constituted the disputes and frictions throughout the region. The US has declared its uncompromising sea supremacy, as to China,such a declaration over China was made for the first time regarding to theimportance of South China Sea to the territorial integrity of China as thecore national interest in March 2010. China has clarified the red lines of itsinterest in the Yellow Sea, East China Sea and South China Sea. This article hypothesizes that the US sea supremacy in the region has clashed with China’s national development. China’s rise has extended China’s capabilities beyond the economic sphere and into the territorial claims in the central Asian and eastern ocean regions. Yet The US retainsits vested interests from the traditional alliances system, which was established during the cold war, and is upholding it’s supremacy over the regional sea of which constituted US sea supremacy and providing the US foundational resources in exerting influences such as setting constraints on China’s power projection capabilities or conducting interdictions. The clash between the two states is essentially induced by the stead fast US regionalsea supremacy and expansion of China’s national strength of which thefeasibility was given by China’s rise. At this stage, the perspective of the Sino-U.S. future relations can bedivided into two views of optimism and pessimism. This paper argues thatthe two countries in the East Asian region have embrace more factors in conflict than in cooperation. 동아시아에서 세력균형의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 중국의 굴기다.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 이후 2012년까지 연평균 9.8%의 성장을 해 온 결과 이미세계 제2의 경제대국이 되었다. 이러한 중국의 경제적 굴기는 중국이 지속적인 군사현대화의 길로 나아가게 만드는데 결정적인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 중국의 경제군사 역량은 끊임없이 미국이 유지하고 있는 동아시아 해상의 패권에 도전하는형국으로 전개되고 있다. 특히 중국은 대만해협, 남중국해, 동중국해, 서해상의 지역에서 미국의 개입을 방해한다. 그러므로 미국의 아시아로의 회귀는 필수적으로동아시아 해상에서 중미 간의 긴장을 조성할 것이다. 그리고 미국의 동아시아정책은 중국을 겨냥하여 전개되고 있다. 이는 평화시에는 중국의 해상활동 범위를 제한시킬 것이고, 전시에는 효율적으로 중국의 군사 및 경제활동을 봉쇄할 수 있다. 이것은 동아시아 질서 상에서 중-미간의 긴장을 구성하게 한다. 중국을 중심으로 한 해양패권 경쟁에서 미국이 가장 주요시하는 지역은 대만이며, 서해→남중국해→조어도(오키나와)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미국이 전략을 수행함에 있어서 오키나와를 발진 기지로 삼아서 아시아의 해양에서 일본과 협력하여 직간접적으로 중국과의 패권경쟁에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미국의 대중국 전략은 포위, 견제, 압박의 세 가지 형태를 띤다. 전체적으로 포위를 구사하면서76⋅ 제38권 제1호, 2014 봄지역의 실정과 환경에 따라 견제와 압박을 동시에 구사하는데 이 둘은 동시에 동원되면서 중미간의 패권전략이 마주치는 지역에 따라 미국의 대중국 해양패권전략은 견제와 압박이 상호 보완적이면서도 그 강도에 있어서 다르게 나타난다고 할수 있다. 본 논문의 핵심은 동아시아 해상 네 곳에서 중미 간 갈등을 서술하며그 긴장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아울러 미국의 대동아시아 전략에 따른 대중국정책과 그에 따른 중국의 대응전략을 고찰하고자 한다.
‘대만’과 ‘중화민국’의 변증법적 관계 분석: 중화민국의 대만화를 중심으로
강병환 현대중국학회 2024 현대중국연구 Vol.25 No.4
The terms ‘Republic of China’ and ‘Taiwan’ are contradictory in Taiwan’s politics. These two words represent conflicting axes of unification with China and Taiwan independence (臺獨). The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arising from the political factions in Taiwan – the Red (紅), Blue (藍), Green (綠), and White (白) camps – all stem from different perceptions and understandings of the “Republic of China.” The greatest disagreement between the two sides, namely the ‘One China principle, ultimately revolves around the question of what the ‘Republic of China’ really is. This article aims to conduct a dialect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C and Taiwan by identifying Taiwan’s democratization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Taiwanization of the ROC as the dependent variable. It explores how the ROC has adapted to Taiwan in this dialectical process of development,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Taiwanization of the ROC.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discussed here encompasses the contradictions and confrontations between the ROC and the PRC, between the ROC and Taiwan, between the Kuomintang and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d between the Kuomintang and the Democratic Progressive Party. Especially, the emerging consensus between the ROC and Taiwan represents the Taiwanization of the ROC. Currently, the convergence between the ROC and Taiwan is accelerating as democratization solidifies, presenting both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CP). On one hand, there is an opportunity for the CCP to consistently pursue dual policies towards Taiwan and the ROC, tailored to the reality of their convergence. On the other hand, if this convergence leads to alignment against the PRC, as in the past when the ROC and Taiwan were separated, there is a risk of being unable to depart from a policy of variability that favored dialogue with the PRC and strong containment against hostile forces.
강병환 글로벌지식융합학회 2022 지식융합연구 Vol.5 No.2
본문은 중국의 협상이 기타 국가와의 협상과는 구별되는 중국만의 독특한 협상 전략 즉 ‘중국 특색’ 협상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문에서는 중국의 협상 유형을 크게 적대적 협상, 양보형(조공식) 협상, ‘충돌하고 협력’하는 3대 협상으로 구분한다. 적대적 협상은 일방에 대해 불신임, 선의의 결핍, 협정 달성이 요원하거나 심지어 충돌을 확산시키고자 하는 의도로서 진행하는 협상이다. 적대적 협상의 예로서 본문에서는 한국전쟁의 정전 협상과 1955년부터 1970년까지 중미 간 진행되었던 대사급 회담을 예로 든다. 양보형 협상은 조공식 협상과 유사하다. 즉 정치적 이익을 위해 경제적 이익을 희생하는 유형의 협상이다. 경제적인 적자는 정치적인 흑자로 만회할 수 있다고 본다. 양보형 협상의 예로서 본문에서는 개혁개방 이전 아프리카 제국가들과 중국이 체결한 협약과 마잉주 시기(2008년-2016) 양안 간에 맺었던 23개 항의 협정을 주로 분석한다. ‘충돌하고 협력하는 협상’은 쌍방이 공동의 이익을 구비하고, 또한 쌍방 간 이익의 충돌이 존재하는 협상이다. 이 유형의 예로서 본문에서는 중국과 영국이 맺은 홍콩 반환협정과 1972년 중·미 간의 상하이코뮤니케 협상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중국의 협상이 기타 국가와의 협상과는 구별되는 중국만의 독특한 협상 전략 즉 ‘중국 특색’ 협상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는 중국의 협상 전략과 행태를 알고(知彼) 향후 우리의 대중국 협상 전략을 준비(知己)하고, 중국과의 협상에 임하게 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유용한 참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강병환 한국외국어대학교 대만연구센터 2024 대만연구 Vol.0 No.24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phenomenon of Nahangak(lo han kha 羅漢脚) in Qing-era Taiwan in three main aspects. Firstly, it aim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Nahangak and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that led to its emergence in Taiwan. Secondly, it intends to explore the immigration policies of Qing Dynasty towards Taiwan that directly contributed to the emergence of Nahangak. Thirdly, through the societal aspects of Nahangak unique to Taiwan, it seeks to trace the trajectory of life in Qing-era Taiwan through Nahankak, and to scrutinize the true facets of lower-class society in Qing-era Taiwan through the social history of Nahangak.
다문화교육을 통한 대만인 정체성 구축 : 족군 관계를 중심으로
강병환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2022 중국지식네트워크 Vol.19 No.-
본 논문은 대만의 족군(ethenic group)에 초점을 맞추어 대만의 다문화교육을 논한다. 다문화 족군 정치에서 태동한 대만의 다문화교육이 제도적으로 안착되어, 30여 년의 교육을 시행한 결과 대만인의 정체성은 중국과 구별되는 정체성으로 나아갔다고 파악한다. 본문은 첫째, 대만의 다문화 사회가 형성된 역사적 맥락과 발전을 고찰, 둘째, 다문화 족군 정치 운동으로부터 태동한 다문화교육이 제도적으로 고착되는 과정과 셋째, 대만의 다문화 교육이 어떻게 대만인의 정체성 변화에 영향을 주었는가를 살피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