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규모의 효과 및 적정규모 학교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훈호,엄문영,이호준 한국교육행정학회 2023 敎育行政學硏究 Vol.41 No.5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small-scale schools and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2016 Ministry of Education's school size criteria. Utilizing a four-year longitudinal dataset from the 2nd to 5th waves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we employed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a random effects model to examine the educational impact of small schools. Additionally, we explored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school size and educational attainment to assess the appropriateness of the established school size standards. Contrary to concerns, our findings suggest that worries about potential declines in students' social and academic competencies in small schools may be unfounded. Significant educational effects were observed in small schools, particularly in 'student-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and 'parent satisfaction,' indicating effective implementation of individualized education with dynamic student interaction activities. Our study supports a reevaluation of prevailing school size standards. Analytical outcomes estimate an optimal school size in rural areas ranging from approximately 500 to 600 students. This underscores the need for a nuanced examination through robust datasets to determine an appropriate school size by each school level. 본 연구는 교육부의 ‘적정규모 학교 육성 추진 계획’에 근거하여 소규모 학교의 교육적 효과를 검토하고, 적정규모 학교 기준의 적절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의 2차년 자료(초등학교 6학년)부터 5차년 자료(중학교 3학년)까지 총 4개 연도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경향점수매칭과 확률효과모형을 사용하여 읍․면 지역의 소규모 학교에서 재학한 경험이 있는 처치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교육성과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적정규모 학교 기준의 적절성을 검토하기 위해 학교규모와 교육성과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결과 및 논의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규모 학교 학생의 사회성이 저하될 것이라는 우려는 기우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규모 학교에서의 학력 저하 문제 역시 이를 뒷받침하는 실증적 근거를 찾기 어려웠다. 둘째, ‘학생중심수업’이나 ‘학부모 만족도’ 측면에서 소규모 학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교육적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규모 학교에 다녔던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더 많은 학생중심수업을 경험하였는데, 이는 소규모 학교에서 개별화된 교육이나 학생 간 상호작용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셋째, ‘적정규모 학교 육성 및 분교장 개편 권고기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학교규모의 적정 수준을 500~600명 정도로 추정하였는데, 향후 보다 충분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교급별 적정규모 학교 세부 기준을 조정해 나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교육복지우선지원 사업의 교육적 효과 분석: 서울시교육청 교육복지특별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김훈호,이호준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5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average treatment effect and the quantile treatment effect of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lan(hereafter EWPP) to the disadvantaged students from 2013 to 2015. We utilized panel data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cohort groups provided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S) in 2010.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s-in-Differences-in- Difference(DDD) estimator weighted by generalized propensity scores, we found that there was little average treatment effect of the EWPP in both cognitive and non-cognitive outcome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positively significant on students with high achievement scores This is likely to be related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chools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which results in decrease in the average subsidy provided per school. As a result, the improvement in actual educational achievements was limited to students with relatively higher level of academic resilienc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olicy direction should be adjusted so that the effects of the EWPP could be evenly distributed to all educational disadvantaged students, particularly for those with weaker academic resilience. 본 연구는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실시된 서울시교육청의 교육복지특별지원 사업이 교육소외계층 학생의 교육적 성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의 초등학교 코호트 4차년도 및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선택편의를 보정하고 관찰 불가능한 학교 특성 및 특정 시점의 이질적 특성을 통제하기 위하여 ‘일반화경향점수’를 가중치로 적용한 ‘삼중차분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육소외계층 학생들에 대한 교육복지특별지원 사업의 평균적 효과는 인지적 및 비인지적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 상위 수준의 교육소외계층 학생들은 인지적․비인지적 영역 모두에서 교육적 성취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3년 이후 지속되고 있는 교육복지특별지원 사업 참여 학교 수의 확대 및 학교당 평균 지원금 감소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실제 교육적 성취의 향상은 상대적으로 학업탄력성이 높은 상위 수준의 학생들에 한정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복지특별지원 사업의 효과가 모든 교육소외 학생 특히, 성취수준이 낮은 소외계층 학생들에게 고르게 나타날 수 있도록 정책 방향을 조정해 나갈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세계 대학 순위평가의 문제점에 대한 실증적 연구

        김훈호,이수정,박현주,심현기,신정철 한국교육행정학회 2010 敎育行政學硏究 Vol.28 No.3

        This research attempts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world university ranking system with two popular ranking tables: THE-QS and ARWU. Higher education is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means to enhanc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lately. Most countries, therefore, try to improve the capacity of their universities and verify the result of their own efforts using the ranks on ranking tables. Nevertheless, most precedent studies which pointed out problems on the ranking tables tend to be based on the theoretical and logical analysis about validity of evaluation, relevancy of indicators, and side effects caused by ranking systems rather than on empirical data. For this reason, we analyzed the problems on the two major university ranking tables empiricall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ose ranking tables do not reflect enough information to be able to compare the relative quality of universities. Second, the ranking results chang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weights which the evaluator puts on each indicator. Third, research competence rankings showed a marked change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evaluation indicators, though the two ranking tables insist that they can assess the research competence of universities accurately. Final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otal score ranking and each ranking of subarea is quite small. In light of these results, arbitrary weighting method and total score ranking should be sublated. Instead, universities should be assessed accurately and the evaluation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to be able to rank universities according to consumer's own preferences or needs. 본 연구는 THE-QS와 ARWU의 평가결과를 사용하여 대학 순위평가가 가진 평가 방법 및 결과의 문제점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3개년(2007~2009)의 평가 결과를 비교해 본 결과, 대학 순위평가 결과는 실제 대학의 질적 수준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가자가 어떠한 지표에 보다 큰 가중치를 부여하는가에 따라 대학의 순위 결과가 크게 달라지고 있다. 셋째, 두 순위평가 모두 대학의 연구 역량을 평가하고 있으나, 평가지표를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순위 결과가 크게 달라졌다. 넷째, 종합순위와 세부 영역별 순위를 교차분석 해 본 결과 둘의 상관 정도가 매우 낮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평가자가 임의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총점 크기에 따라 종합 순위를 산출하는 기존의 방법을 지양해야 함을 의미한다. 정확한 평가 결과를 산출하되, 사용자들이 자신들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순위를 산출할 수 있는 평가 체제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尋津錄≫에 反映된 淸末 北京官話音系

        김훈호 중국인문학회 2018 中國人文科學 Vol.0 No.68

        淸代官話羅馬字母著作有; ⑴官話課本(Mandarin Book) ⑵漢․英字典(Chinese- English Dictionary) ⑶聖經音譯本(the Bible)。≪尋津錄≫(The Hsin Ching Lu, Book of Experiments: being the First of a Series of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Chinese,1859年)是由英國外交官威妥瑪(Thomas Francis Wade)編纂的。≪尋津錄≫1859年在Hongkong出版,此書是根據北京官話口語拼寫的官話課本。≪語言自邇集≫就是硏究19世紀中期北京官話口語音系的寶貴文獻資料。≪尋津錄≫所記的是通行于北京朝廷的語言,代表19世紀中期北京官話的口語語音。此書所記的語音了解19世紀中期北京官話的實際情況。≪尋津錄≫在汉语研究史上具有重要的地位。总的来说,≪尋津錄≫記載的北京官话口語和今天的北京话的音系已无异,与其他同时期出版的北京官话著作如≪約翰福音書≫≪华英袖珍字典≫及≪官話萃珍≫的音系相同。从≪尋津錄≫反映的音系来看,19世纪中期北京官话的语音特点是:⑴精见组在细音前已合流为舌面前音声母〔ʨ-〕组。⑵影疑两母开口呼字读零声母,反映这类字在北京官话,白读声母已取代文读。⑶日母止摄开口三等字读零声母urh。⑷知照系合流多读ch[tʂ-]组,这是北京官话口语語音的特点之一。⑸果摄歌戈韵字因声母条件不同和开合口韵母的问题,有o,uo和ê的变读,见组果摄合一等字如“火果货过”读uo,见组果摄歌韵开口一等读ê,端组歌韵开口一等字、见组戈韵合口一等字如“多和”读o,见组戈韵合口一等还未与歌韵开口一等韵合流为ê。⑹蟹摄佳皆韵开口二等字读-ieh.⑺平声分阴阳,浊上读去,入派四声,以派入去声为多。这些语言特点说明,≪尋津錄≫记載了的19世纪中期北京官话的演变向現代普通話的演变靠拢,其音系以北京方言的口语音爲标准。

      • KCI등재

        중등교사 임용시험 가산점 제도에 대한 법원의 주요 판결 결과 및 변화 분석

        김훈호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3 No.2

        2010년 이후 중등교원 임용시험에서 지역 사범대학 가산점 및 복수․부전공 가산점 제도가 폐지된 이후 현재는 관련 논의가 거의 없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 초등교사 수급불균형이나 대도시 쏠림현상 등이 부각되면서 초등교사 임용시험의 지역가산점 문제가 다시 주목받고 있음을 볼 때, 중등교사 임용시험 가산점 또한 향후 채용 시장의 변화에 따라 다시 뜨거운 쟁점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가산점 제도에 대한 법원 및 헌재 판결의 법리를 비교․분석하고, 그러한 논의들이 안고 있는 미해결 과제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향후 제기될 수 있는 가산점 관련 쟁점들을 논의하였다. 분석결과, 2004년 교육공무원법 개정 이후 법원 및 헌재의 지역 사범대학 및 복수․부전공 가산점 관련 판결들이 대부분 합헌 결정을 내리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은 2004년의 2001헌마882 판결과 달리 가산점 제도의 목적의 정당성뿐만 아니라 방법의 적절성, 피해의 최소성, 법익 균형의 원칙 등을 폭넓게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보다 엄격한 심사 척도를 적용할 경우 이들 판결은 위헌으로 결정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힘들다. 따라서 2010년 이후 비록 중등교사 임용시험에서 사범대학 가산점과 지역가산점, 복수․부전공 가산점 등이 모두 폐지되었지만, 그러한 가산점 제도의 도입 이유가 되었던 지역 간 교원수급의 불균형 해소, 우수한 지역 인재 유치, 농어촌 학교의 통폐합 및 선택적 교육과정 운영으로 인한 전문성 있고 통합교과 지도가 가능한 다양한 교과담당 교원의 탄력적 운용, 연계성 없이 실시되고 있는 복수․부전공 이수 경향성 차단 등은 여전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따라서 가산점 제도가 폐지된 2010년 이후 학교 현장의 변화를 보다 면밀하게 분석․검토하고, 새롭게 등장하게 된 정책적 한계들을 보완하기 위한 보다 근본적인 고민들이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incentive system on regional secondary education college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has been abolished since 2010 and as a result, there no longer is much debate on related issues nowadays. However, the issues on supply-demand imbalance of primary school teacher and regional tipping effect are increasing which brings the incentive system issue back on the discussion table.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aims to compare and analyze legal principals surrounding the incentive system and discuss whether there are any unsolved problems related to revised legal system and policy. Followings are the major findings from this research. First, since the amendment of education civil servant law in 2004, most of court judgement related to regional secondary education college and dual․academic minor program incentive issues have come to constitutional decision. These judgements were based on broad recognition of incentive system including its legitimacy as well as methodological appropriateness, minimality of damage and benefit and protection of law. However, if stricter evaluation is appli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uch judgement may result in violation of constitution. Therefore, although incentive system on regional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has been abolished since 2010, issues related to regional imbalance of teacher supply and recruiting high quality teaching labor force in local areas and etc still remain as unsolved problems.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o analyze whether there are any changes in schools after the abolition of incentive system and review current policy and legal system related to teacher recruitment system.

      • KCI등재

        복수전공 이수가 첫 직장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4년제 일반대학 졸업생을 중심으로

        김훈호,우한솔,김한길,김별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8 No.1

        이 연구는 복수전공 이수가 4년제 일반대학 졸업생의 첫 직장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2010년도 대학 졸업자 직업이동경로조사(GOMS)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취업성과에 대한 대학의 고유한 영향력을 통제하기 위해 대학 고정효과(college fixed effect)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주전공 및 복수전공 계열에 따라 복수전공 이수의 효과가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주전공 계열과 복수전공 계열 간의 상호작용 항을 분석 모형에 포함시켰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복수전공 이수자의 취업 확률은 단일 전공자에 비해 약 1.3배, 첫 직장의 월평균 소득은 약 5.5만 원 정도 높았으나, 첫 직장의 정규직 여부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취업 여부와 첫 직장의 정규직 여부에 대한 주전공 및 복수전공의 상호작용 효과는 존재하지 않았다. 셋째, 첫 직장 월평균 소득의 경우 주전공과 복수전공의 상호작용 효과가 일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인문계열 주전공자가 인문계열 내 타전공이나 상경계열로 복수전공할 경우 인문계열만 전공한 졸업생에 비해 첫 직장 월평균 소득이 각각 17만 원, 11만 원 정도 높았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on 4-year university graduates, with the aim of analyzing the effect of having a dual-major on their employment outcome. The data used in this analysis is from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0 (GOMS), provided by the Korean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analysis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the College Fixed Effect model which is useful when controll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ies. We also analyzed their interaction between single major and dual-major degree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employment outcome. As a result,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completion of a dual major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salary of their first job. However, it did not have effect on the contract type of the employment (permanent contract). Secondly,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major program and dual-major in terms of the employment outcome and whether the individual obtained permanent position. Thirdly, in terms of the monthly salary on first job, the interaction of major-program and dual-major program has shown significant effect partially, especially for liberal arts graduates with a dual major in other liberal arts subject, commerce and business subjects had a higher average salary than their peers who had major in liberal arts only.

      • 韓ㆍ漢語動物命名音義關係比較初探

        김훈호,류흥균 중국인문학회 2008 中國人文科學 Vol.0 No.39

        Based on information offered by reference books of Korean words, this essay studied the relation between phonetic and meaning of Korean-Chinese animal Appellations. After compared with their Chinese counterparts, this essay found that most Appellations that describe a specific object, had motivations. These motivations could be animal’s sound, posture, property, or the environment they were living in. both Korean(韓)people and Chinese(漢)people showed poetic quality in naming animals. They adopted methods such as association, comparison, classification and discri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