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inhibition of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ACE) of hot water extract and 80% methanol extract of concentrated sweet pumpkin powder(CSPP) were test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66.80% by hot water extract and 41.86% by 80% methanol extract. Inhibitions of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were 91.09% by hot water extract and 75.20% by 80% methanol extract. In this study, Sulgidduk were prepared with 1, 3, 5, and 7% CSPP. The samples and a control were then compared in terms of quality characteristics, including moisture content, water activity, color, textur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qualities,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al ratio of sweet pumpkin powder in the formulation. The samples containing CSPP had significantly higher moisture content than the control group. Water activ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ulgidduk samples. For the color, the control group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lightness as compared to the samples containing CSPP. The samples containing 1 and 3% CSPP had significantly higher greenness than the samples containing 5 and 7% CSPP. Yellowness increased as the level of CSPP content increased. In terms of textural characteristics, hardness, gumminess, chewiness were highest at the 1% substitution level, while lowest at the 3% level. Fracturability and resilienc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The CSPP samples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adhesiveness,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contro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color and flavor as compared to the CSPP samples. Pumpkin flavor, delicious taste, off-flavor increased with increasing CSPP content. Softness, overall acceptability, gummi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Sweetness was highest at the 5% substitution level, while lowest at the 1% level.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substituting 3~5% CSPP to Sulgidduk is optimal, providing reasonably high overall acceptability.
지금까지 PI(Proportional-Integral) 제어에서 적분기는 그 출력이 제어기 입력의 적분치에 비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과거의 불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입력 신호 때문에 시스템은 과거 에러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게되고 그 결과 주어진 PI 제어와 관계된 다른 제어 목적에 영향을 주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보완하기 위해 일반 PI 제어의 적분기에 지금까지 사용했던 전달함수 대신 지연(Delay)소자와 감쇠(Decay) 소자를 도입하여 새로운 형태의 전달함수를 제안한다. 첫 번째로, 시간영역(Time Domain)에서 단위 계단 함수(Unit Step Function)를 Convolution 적분 해오던 방법 대신 지연 소자를 두어 일정 시간(T) 동안만 Convolution 적분을 해줌으로써 그 이후에는 과거 불순 정보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 방법을 생각해 보았다. 두 번째로 지수함수와 같은 감쇠 함수를 Convolution 적분 해줌으로써 과거의 불순 정보의 영향을 빠른 시간 안에 지속적으로 줄여주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에서 언급한 두가지 방법을 조합한 새로운 형태의 함수를 적분해 주는 방법을 소개하고 이를 일반 PI 제어, 화학공정을 위한 온도 제어 시스템 및 전력 시스템의 조속기 주파수 제어(Load Frequency Control)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하였다. 그 결과 망각소자(Forgetting Factor)의 도입은 기존의 제어 목적을 그대로 충족시켰을 뿐만 아니라 불순 정보의 적분에 의한 다른 제어 목적에 대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줄여주어 기존 PI 제어기의 단점을 보완해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n extended integral control with the PI controller by introducing the delay and decaying factors. The convolution integral control scheme is developed by substituting proportional convolution integral controls for the proportional-integral control. So far, the integral part of the PI controller produces a signal that is proportional to the time integral of the input of the controller. The steady-state operation points are affected forever by the errors in the past due to the input signal containing the information of the errors in the past. These phenomina may cause some disturbances for other control purposes related to the given PI control. Introduction of forgetting factors of the error in the past can resolve the disturbance problems. Various forgetting factors are developed using the delay, the decaying factors, and the combination of the delay and the decaying factors. The proposed various extended integral control schemes can be applicable to corresponding PI control designs in which the error in the past may badly affect to the current steady-state operation points and may cause some disturbances for other control purposes.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단어 받아쓰기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정기영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외국어를 공부할 때 가장 먼저 배우는 것은 ‘단어’이다. 한국어를 공부하는 외국인들이 가장 먼저 학습해야 할 것도 ‘단어’일 것이다. 하지만 기존의 받아쓰기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1-3학년에 맞추어져 문장을 받아쓰고 띄어 쓰는 데 집중하고 있을 뿐 ‘단어’에 대한 학습은 이뤄지고 있지 않다. 단어도 습득하지 못한 외국인에게 문장은 더더욱 어려운 부분일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어 학습의 가장 기본이 되는 ‘단어’부터 쉽게 습득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가 필요했다. 게다가 외국인의 경우 단어를 습득하는 문제는 한국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며 문화를 습득하고 정착하는 삶 전반의 문제와도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순히 단어를 배우고 그것을 받아쓰면서 익히는 언어는 외국인에게는 어렵지만 반드시 거쳐 가야 하는 과정이기도 한 것이다. 그런 점에서 외국인이 기존의 전통적인 교수 학습 과정에 참여하여 그것을 습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면 과연 이것을 어떤 식으로 능률적으로 해결할 것인가에서 이 논문을 시작되었다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외국인의 경우 컴퓨터를 통한 웹 중심의 교육은 흥미를 유발하고 자신의 개별적인 수준에 맞게 언어를 습득하는 방식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서론에서 밝혔듯이 국제간의 이주 노동자들의 증가 그리고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 등을 고려하자면 외국인들에게 있어서 한국어 습득의 문제는 매우 어려운 일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개인별 학습 능력을 감안하고 외국인들이 한국어 교육 기관이 아닌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서든지 쉽게 접근 가능한 웹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여러 모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단어’ 위주의 언어 교육을 통해서 좀 더 일상생활에서 언어를 습득하고 이용하는 데 유용한 방법을 알려 주는 방식으로 웹 맞춤형 교육을 실시한 것은 외국인들의 언어와 문화 습득에 있어 시간을 단축해 주는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외국인을 위한 효과적인 한글 교육방법의 하나로 ‘단어 받아쓰기’를 특화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집중도를 높여 학습의 효과가 향상시켰다. 둘째, 교육의 효과가 다년 간 걸쳐 입증된 CAI를 활용하였다. 셋째, 한글언어교육의 네 가지 기능(말하기 · 듣기 · 쓰기 · 읽기)의 통합적인 학습이 아니라 ‘단어 받아쓰기’로 특화시킨 학습을 시도하여 외국인들이 손쉽게 한글에 접근하도록 했다. 넷째, 커리큘럼에 의한 교육보다는 자기 스스로 흥미롭게 학습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였다. 다섯 번째, 받아쓰기 난이도를 초급 ・ 중급 ・ 고급별 맞춤형 교육전략을 적용하여 자기 수준에 맞는 체계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단어’ 교육 중심의 프로그램 개발에도 한계는 있다고 할 수 있다. 오로지 ‘단어’ 교육만으로 외국인의 언어 습득을 총체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고는 판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 등을 감안할 때 앞으로의 연구 과제 또한 남는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어 받아쓰기를 통한 단어 습득에서 더욱 나아가 학습한 단어를 활용한 문장을 받아씀으로 인해 외국인들이 문장의 뜻을 정확히 앎과 동시에 띄어쓰기 학습을 가능하게 하여야 할 것이다. 두 번째, 교육효과를 확장시켜 기본의 Diagnostic 방법으로 제시하였던 Hint기능을 Tutorial, Bug Library 방법을 접목시켜 교육효과를 높여야 할 것이다. 세 번째, 학습자의 평가를 성취도평가에서 발전시켜 학습자 개인별 프로파일을 구축하고 학습자평가 파일에 인공지능적인 요소를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심층적인 원인분석을 통해 학생의 본질적인 학습에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네 번째, 웹을 통한 협동학습 시스템을 통하여 외국인 친구들끼리 함께 받아쓰기를 할 수 있는 협동학습 시스템을 구현하여 보다 기능을 확장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