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논문 연구동향 분석

        변상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학문적 정체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연구문제 1.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주제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대상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방법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통계방법 동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 논문이 첫 게재된 1995년 9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총 390편의 논문을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통계방법 분석 준거에 따라 시계열 빈도분석과 연구결과 간 교차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대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 논문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는 성격 및 적응 연구 177편(45%)이며 성과연구가 108편(28%), 진로 및 적성연구 45편(12%) 순으로 나타났다. 이외 연구는 모두 10% 미만으로 나타나 상담 연구 영역 이 성격 및 적응 연구 등 특정 주제에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연구대상은 연구대상이 없는 논문 4편을 제외한 386편 중 100편(25%)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했다. 이어 중등 60편(15%), 고등 55편(14%), 성인 46편 (11%), 대학생 37편(9%) 순이다. 연구대상이 둘 이상인 경우를 제외하고 단일 연구대상에서 상담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은 전체 390편 중 370편(95%)이 양적연구로 확연히 집중된 반면 질적연구는 18편(4%), 혼합연구는 2편(1%)에 그쳤다. 양적연구는 매해 90%를 넘는 비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5년 이후 질적연구가 소폭 늘었지만 2018년 최대 5편이 게재된 것을 제외하고는 아예 선택되지 않거나 한 해 1~2편 정도만 게재됐다. 넷째, 통계방법은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학전공이 증설된 초반에는 프로그램 효과를 보기 위한 사전-사후 t검증 방법을 사용했으며, 이후 변인 간 상관 및 인과 관계를 보기 위한 상관분석 및 회귀 분석 방법에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2014년 이후에는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다변인간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흐름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통계방법의 흐름이 지속적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연구대상의 다양성과 통계방법의 변화는 상담현장에서 실제 과제를 풀어내고자 하는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해석된다. 상담학은 실제를 바탕으로 한 연구이므로 보다 더 확대된 시선의 창의적 연구 노력이 앞으로도 이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the master's degree thesis in counseling psychology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explore academic identity. To this end, we have established a research problem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is the research topic trend of the thesis on master's degre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trend of the thesis on the master's degre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trend of research methods in the thesis on master's degre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search Question 4. How is the statistical method trend of the master's degree thesis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tal of 390 papers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1995 to August 2020, when a master's thesis on counseling psychology was first published, in accordance with research topic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al method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the summary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177 personality and adaptation studies (45%) were studied, followed by 108 performance studies (28%), and 45 career and aptitude studies (12%). All other studies appear to be less than 10%, confirming that counseling research areas are concentrated on specific topics such as personality and adaptation studies. Second, 100 (25%) out of 386 papers, excluding 4 papers without subjects, were targeted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was followed by 60 middle and high schools (15 percent), 55 high schools (14 percent), 46 adults (11 percent) and 37 college students (9 percent). Except for cases where there is more than one subject, the least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on counselors in a single subject. Third, 370 (95%) of the total 390 studies were concentrated on quantitative studies, while only 18 (4%) were conducted on qualitative studies and 2 (1%) on mixed studies. Quantitative research has maintained a ratio of more than 90% every year, and qualitative research has increased slightly since 2015, but only one or two were selected or published a year except for up to five in 2018.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early stages of the expansion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Counseling Psychology at Jeju National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pre-post-t verification method was used to see program effects. Since 2014, we have shown the flow of analyzing multidimensional causality using structural equations. The abov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trend of research topic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al methods in the master's degree thesis in counseling psychology at Jeju National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continued to change. In particular, the diversity of subjects and changes in statistical methods are interpreted as researchers' efforts to solve real challenges at the counseling site. Since counseling is a practical study, we hope that creative research efforts with a wider perspective will continue in the future.

      • 朝鮮後期 勉菴 崔益鉉이 濟州敎育에 끼친 影響에 관한 硏究

        김인기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논문은 朝鮮後期 대내적․대외적 國家의 危機狀況에 적극적이며 實踐的으로 시대의 선두에 서서 당대의 양심과 고뇌를 행동으로 구현한 勉菴 崔益鉉이 濟州島 流配期間 동안 濟州敎育에 미친 영향을 硏究한 것으로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시사점이 클 것이라 생각한다. 論者는 이상과 같은 問題意識을 가지고 다음과 같은 내용을 구체적으로 考察하고자한다. 첫째, 勉菴이 시대적 狀況과 生涯를 통해 위정척사사상과 민족주의 결합이 敎育思想과 敎育方法論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하는 작업이다. 둘째, 조선조 교학질서의 전체적인 분위기와는 다른 異質的인 제주도의 교학적 특성을 면암의 교학활동을 통해 살펴보는 작업이다. 셋째, 流配期間 동안 제주도에서의 敎學活動을 살펴보는 작업이다. 넷째, 면암의 위정척사사상의 영향으로 제주도의 의병활동과 비밀결사, 민족교육운동으로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는 작업이다. 면암의 활동한 시기는 封建社會가 무너져가고 西歐列强과 日本이 집요하게 韓半島를 침략하던 시기였다. 이시기에 면암은 大院君의 秕政을 보고 과감히 소장을 올려 대원군을 정면으로 공격하여 대원군의 10년 세도의 막을 내리게 하고 제주목에 위리안치의 명을 받았다. 면암은 제주도 流配期間 동안 많은 濟州文士들과 師弟關係를 맺는데 이를테면 당시 詩學으로 제주도 일인자였던 金羲正은 면암의 제주도 1대 제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면암과 從遊往來했던 제주 문사인 安達三은 면암과의 관계를 통해 勉菴과 노사학파의 奇正鎭과 만남을 성사시키기도 한다. 또한 면암의 衛正斥邪思想은 濟州島 義兵活動을 점화시키는 계기를 만드는 결정적 동기가 된다. 그리고 면암의 家學的 承繼를 한 李膺鎬 등이 秘密結社 조직인 集義契를 태동시키데 思想的으로 큰 역할을 한다. 면암의 척사사상은 제주도의 조천만세운동으로 이어지며 나아가 일제시대의 다양한 제주도 民族敎育運動으로 再現됨으로써 제주교육의 면모를 새롭게 함은 물론 해방이후 제주도 4.3사건의 저변적 이데올로기로서의 역할도 하게 된다. 역사적 변환기에 살았던 勉菴이 濟州流配 期間 동안 濟州敎育에 끼친 影響을 살펴봄으로써 오늘의 제주교육을 있게 한 역경과 극복의 역사가 우리에게 던져주는 敎訓이 무엇인지를 생각해 보고자 하였다. This thesis is a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Myeunam Choi Ik-Hyun who represented his conscience and agony with action, leading his time actively and practically for the internal, external dangerous situation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on education in Jeju during his exile with the consideration that it would be a great implication for us living today. This writer will unfold a concrete consideration of the following contents with those questions as below. First, It's the work of identifying the influence of combined Wejung-chuksa thought and nationalism on educational thought, methodology through his life under the temporal situation. Second, it's the work of looking into the trait of Kyo-Hak (educational thought) in Jeju different from the whole atmosphere of Kyo-Hak order in the Chosun Dynasty through Myeunam's Kyo-Hak relevant activities. Third, it's the work of looking into his Kyo-Hak relevant activities during his exile in Jeju. Fourth, it's the work of reviewing of development process of Myeunam's Euibyeong activities, secret society and the movement for national education as the influence of Wejung-chuksa. It was the time of the collapse of feudal society and Western Powers, Japan persistently attempted to attack the Korean peninsula when Myeunam spreaded his activity. At that time, he appealed against Daewongun for his misrule bravely, resulting in the close of Daewongun's 10 years' authority, and his exile to Jeju Mok. During his exile, he was followed by many literary men in Jeju forming master and disciples relation with them, for example, Kim Hee Jung, who was the leading man in poetics became Myeunam's 1st disciple, and another Jeju literary man Mun Sa in who often had time together with Myeunam achieved the meeting of Myeunam and Gi Jung Jin from Nosa School. Besides, Myeunam's Wejung-chuksa thought was the decisive motivation for the lighting up Euibyeong activities in Jeju. Besides, Lee Eung Ho et al who succeeded Myeunam's family tradition played a great role ideologically for the birth of a secrete society organization, Gibuigue. Myeunam's chuksa thought led to Mansae Movement in Jocheon, Jeju and ‘by extension' represented to various movement for national education renewing the aspect of the education in Jeju, together with the role play for basic ideology of 4.3 incident in Jeju after the Liber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search for the influence of Myeunam during his exile in Jeju in the historical turning point to contemplate what lesson the history of the hardship and subjugation until the advent of Jeju education of today present us.

      • 제주지역 사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 제주시 중학교를 중심으로

        이은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rivate education in Jeju and investigate recognition over private education expenses so as to reduce private education expenses or use them more efficiently afterwards. To attain the goal, the researcher formulated four study questions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cognition over private education in Jeju? Second, how do the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recognize private education? Third, how do the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recognize private education expenses? Fourth, how do the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recognize ways to reduce private education expenses? For the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to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at middle schools located in Jeju. Collected questionnaire sheets included 225 from students, 217 from parents, and 77 from teachers, and they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let’s see the characteristic recognition over private education in Jeju. About the seriousness of diplomaism in Jeju recognized by the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teachers regarded it to be much more serious than in other regions while parents thought it to be similar to others. Meanwhile, most of the students answered they had no idea about it. About the reason why academies for college entrance keep increasing in Jeju, both teachers and parents went with great enthusiasm for education in Jeju. As the program to participate in during a vacation, most of the teachers chose ‘eco learning’ whereas parents went with ‘subject remedial education’ the most. Although both teachers and parents recognized great enthusiasm for education in Jeju, parents showed higher passion for ‘subject remedial education’ than teachers regarding their child’s education. About the element to be equipped with first for a child’s future, both teachers and parents went with ‘personality’ the most whereas students chose ‘academic career’ the most. Second, let’s see the recognition over private education. About the reason why they choose private education, most of them think ‘public education is not enough’, and the second most responses go to ‘keep pace with the progress at school.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education and righteous character cultivation, most of the teachers think ‘it interferes with it but not that serious’ while parents chose ‘there is not much correlation between them’ the most. This means that parents are less negative about private education than teachers. Third, let’s see the recognition over private education expenses. About the monthly private education expenses,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all chose ‘more than 100,000 won and less than 300,000 won’ the most. About the degree of a burden they feel, most of them went with ‘it is rather burdensome’ respectively. Fourth, about the recognition over the effectiveness of measures to reduce private education expenses, ‘enhancing public education in Jeju’ was selected the most.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지역 사교육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고 사교육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추후 사교육비 경감 또는 효율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로 다음과 같이 네 가지를 설정하였다. 첫째, 제주시지역 사교육과 관련한 특징적인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사교육에 대한 학생, 학부모 및 교사의 일반적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사교육비에 대한 학생, 학부모 및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사교육비 경감방안에 대한 학생, 학부모 및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를 위해 제주시지역 중학교의 학생,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학생 225부, 학부모 217부, 교사 77부를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지역의 사교육에 대한 특징적인 인식은 다음과 같다. 교사와 학부모, 학생은 제주지역 학벌주의의 심각성에 대해 교사는 타 지역보다 훨씬 심각하다고 느끼고 있었고, 학부모는 타 지역과 비슷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이에 비해 학생은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제주지역의 입시학원 수 증가 원인으로 교사, 학부모는 공통적으로 제주지역의 높은 교육열을 들고 있었고, 방학기간 동안 원하는 참여프로그램으로 교사는 ‘자연 생태체험학습’에 가장 많이 응답한 반면, 학부모는 ‘교과목 보충학습’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교사, 학부모는 공통적으로 제주지역의 높은 교육열에 대해 인식하고 있으나 자녀의 교육에 있어서 학부모가 교사보다 ‘교과목 보충학습’에 열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주지역의 학력 향상 욕구나 학벌주의가 타 지역에 비해 과열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사교육비 경감 대책이 절실히 요구된다. 둘째, 사교육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다. 사교육을 받는 이유로 ‘공교육만으로는 부족해서’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학교진도를 따라가기 위해’ 가 두 번째였다. 과도한 사교육비 경감 방안으로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 ‘제주지역 공교육의 강화’를 들고 있는 점은 공교육의 내실화를 바라는 목소리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사교육비에 관한 인식은 다음과 같다. 교사 및 학부모, 학생 모두 월 사교육 지출 비용에 대해 ‘10만원 이상 30만원 미만’에 가장 많이 응답했으며 부담감에 대해서 ‘다소 부담됨’에 각각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다. 이는 2004년 연구와 비교하여 부담감이 줄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사교육비에 대한 부담감은 여전함을 알 수 있다. 넷째, 여러 사교육비 경감 대책에 대해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가 크게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기보다 미온적 입장을 보여 그동안의 경감 대책이 별로 효과가 없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그만큼 사교육비 경감 방안이 쉽게 나오기 어려움을 의미하여 사회 구조나 제도 자체를 개혁하는 보다 근본적인 방안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국가교육과정과 사범대학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 : 제주대학교 사범대학을 중심으로

        이재숙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79

        Nowadays, living in the so-called ‘intelligence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universally characterized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already witnessed its advent, shocked by ‘AlphaGo’ in March 2016, which has flooded our society with anticipation-mixed anxiety and voices of urgency toward upcoming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ways. First, it aims to closely examine revision processes of National Curriculum which has focused on educating ‘future talent’ and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 in earnest since 2000s. Secondly, it concentrates on analyzing connectivity between National Curriculum and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whose goal is educating teachers who are assumed as another ‘future talent’ in charge of educating students of ‘future talent’. Finall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it is designed to provide basic materials in developing progressive education curriculums that is equipped with more efficiency through fusion of National Curriculum and teacher-educating curriculum and consistent with original intent of college of education. Regarding these objectives, research problems are set up as follows. First, what kinds of difference exist between National Curriculum and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Second, in what way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is associated with National Curriculum? Third, in what direction should be made the revision process of curriculum of Eduction of College in Jeju National University? In order to address these problems, the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in Jeju National University was selected as this department has shown high ratio of successful applicants at national teacher certification exam. With a view to heighten objectivity and reliability in collecting reference materials, the department of Biology in Science Colleg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was singled out for comparison analysis and its related documents were compiled through its web pages and yearly handbooks of Jeju National University. The related materials on the developments of revision process in National Curriculum were procured through related books published by Ministry of Education, introduction and detailed part of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t was verified that the curriculum of College of Education has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at of the similar department in the same university. It was also verified that the similar department showed more diversity and quantitative superiority in its curriculum compared with College of Education, which suggest that the curriculum of College of Education be revised. In addition, in terms of connectivity between National Curriculum and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revision process of National Curriculum has adapted to progress of society and world. However,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connectivity between National Curriculum and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is urgently necessary to narrow down the gap between National Curriculum and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and then to develop complementary and ‘integrated’ curriculum. In particular,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should not exist as perfunctory procedure for teacher’s license, but effective and efficient curriculum for educating qualified teachers should be drastically prepared.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는 인터넷으로 통칭되는 디지털 정보기술의 발달로 치닫던 와중에 ‘지식정보사회’라는 커다란 장애물을 만났다. 이는 지금까지 모든 가치의 정점이었던 ‘물질’이 그 자리를 마침내 ‘지식’에 내어주게 된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지식정보화사회’의 영화는 오래가지 못했다.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지능정보화사회’ 곧 ‘4차 산업혁명사회’에 놓이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미 우리는 2016년 3월 4차 산업혁명사회의 서막을 알리는 ‘알파고’의 등장을 목격했으며 미래에 대한 기대 섞인 불안과 절박함의 목소리가 사회 곳곳에서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미 국가교육과정에서 꾸준히 논의되어 왔으며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본격화되기 시작한 ‘미래형 인재’와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국가교육과정의 개정과정을 살펴보고 ‘미래형 인재’를 양성할 또 다른 ‘미래형 인재’인 교원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사범대학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우수한 교원양성기관으로서의 사범대학 본래의 취지를 회복하고 국가교육과정과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융합’을 통해 보다 효율성을 갖춘 발전적인 교육과정의 개발과 편성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첫째, 사범대학 교육과정과 일반대학 교육과정의 차이는 무엇인가? 둘째, 사범대학 교육과정과 국가교육과정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향후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은 무엇인가? 위 연구 질문에 대해 먼저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개설학과 중에서 임용시험에서 좋은 성적과 높은 합격률을 보이고 있는 생물교육학과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을 위한 유사학과인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와 국가교육과정의 개정 변천과정에 대한 자료는 대상학교 홈페이지와 각 해당년도 편람과 교육부 요람 및 국가교육과정 개정의 총론과 각론을 주요 참고자료로 삼아 수집자료에 대한 객관성과 신뢰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는 먼저 횡적인 분석을 통해 사범대학 교육과정과 일반대학 유사학과의 교육과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사범대학 교육과정 보다는 일반대학 교육과정이 교과목의 양적 우세와 다양성을 보이는 결과가 나타났다. 종적 분석에서 살펴본 사범대학 교육과정과 국가교육과정의 연 계성에서도 국가교육과정의 변천과정을 통해 사회와 세계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개정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정작 예비교원의 교육과정인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는 두 교육과정 간의 연계성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세간의 가장 시급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청년실업‘은 교원 임용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오히려 학교현장에 적합하지 않거나 수업 교과내용의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사범대학 교육과정은 더욱 근본적인 면에서 장기적 ’청년실업자‘를 양산시킬 수 있다는 예측들이 조심스럽게 나오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국가교육과정과 사범대학 교육과정의 연계성 비교에서 두 교육과정의 격차를 좁히고 상호 보완적이며 ‘융합적’인 교육과정의 개발이 시급하고 특히 사범대학의 교원양성 교육과정에서는 교원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학점채우기’식이 아닌 교사로서의 자질을 갖출 수 있는 과감한 교육과정의 마련을 촉구해본다.

      • 제주지역 대학생의 식품위생 · 안전에 대한 인식과 지식 및 행동에 관한 연구

        주미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79

        Rapid economic growth and improvement in the national income have changed social structures, such as the expansion of women's economic activities and the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which have led to an increase in eating out, processed foods, imported foods and institutional food service. However,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social change and many kinds of food additives have become a threat to food hygiene and safety, so people’s anxiety about food hygiene and safety has been increasing. Therefore, the importance of purchasing and selecting foods based on knowledge of and information on proper food hygiene a nd safety has emerged. College age is especially important because it is the period when the eating habits of adulthood are formed and settled. The establishment of an awareness level for proper food hygiene and safety can be linked to safe and healthy food selection in adulthood. In the previous study, food hygiene a nd safety perceptions were surveyed at various ages of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and college aged students, and housewives.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awareness, knowledge, behavior and educational need of college students in Jeju toward food hygiene and safet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knowledge and behavior of food hygiene and safety of college students in Jeju, analyze the status of college students’ food hygiene and safety habits, and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Jeju students in order to improve efficiently their awareness of food hygiene and safety. We conducted a survey on college students in Jeju from April 2, 2018 to April 28, 2018 and used 400 questionnaires among the retrieved samples as the investigating material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chi-square test, t-test, and ANOVA (Duncan), using the SPSS Win Program (version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ender of the respondents were 58.8% female and 41.2% male and 8 3.3% were 20 to 24 years old. In the category of type of residence, “home” was the highest at 64.8%. Respondents from the departments of food science and non -food science 50% respectively. 50.8% of the respondents had no experience in food-related education,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experience of food-related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s of food-related part-time work or their majors (p<0.10). 69.0% of students had experience in food-related part-time work, and 33.0% of students had experience for ‘more than one year’ in food-related part-time work, which was the highest rate in the category of work period. 50.7%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had no experience of food hygiene and safety education at work. Second, the degree of concern about food hygiene and safety from the respon dents was 3.30 out of 5 on aver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terest in food hygiene and safety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majorand part - time experience in food-related fields (p<0.01, p<0.05). Third, the awareness level of food hygiene and safety was 2.74 out of 5 on a verage. The main reason why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feel unsafe with food was that the production process of food is not reliable, which was how 33. 5% of respondents answered. The degree of awareness of food hygiene and safe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terest in food hygiene and safety and the respondents’ major (p<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ence of food-related part-time work. Fourth, the ease of obtaining information on food hygiene and safety among t he subjects was 2.99 out of 5 on aver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degree of interest in food hygiene and safety and respondents’ major(p<0.01).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measur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food-related part-time work. Respondents acquired information on food hygiene and safety through media, the internet, and smart phones. Fifth,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knowledge and behavior about food hygiene and safety of the respondents, the rate of correct answers given during a test o f their knowledge was 80.7%, and the average score given based on their food safety habits was 3.54 out of 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and behavior about food hygiene and safety by respondents' major and food-rela ted part - time job experience (p<0.05, p<0.01). Sixth, 86.3% of respondents said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education about food hygiene and safety. In addition, 39.7% of the respondents preferred the option to receive training once every six months, 34.8% of whom wanted overall education content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kinds of food poisoning. In the category of education method, crash courses through professional lecturers was highest at 29.9%. ‘Because of low interest’ was the highest reason given at 58.2% among the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y did not need education about food hygiene and safe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students in Jeju had mo re experience in food hygiene and safety if they were in food-related departments,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knowledge, behavior, and educational need based on a students’ major. Thus, it should be possible to expand the curriculum on food hygiene and safet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media, and to provide information in an efficient manner so that all college students can obtain food hygiene and safety education and related information. Especially, the students of non-food related departments preferred crash courses with professional lecturers in food hygiene and safety education, so customized education should be increased not only in major courses but also in liberal arts classesor crash courses. Last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search on the degree of obtaining information on food hygiene and safety by the information media for college students in Jeju, many people obtained information through broadcasting media, internet, and smart phone while th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print media and food related organizations was significantly less. It seems to be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college students' use of smartphones, internet, and SNS. Therefore, food-related organizations will need to improve information systems for food hygiene and safety such as smartphone apps and active publicity so that students can get information on food hygiene and safety by using smartphone that can be easily accessed at any time. Also, in order to provide efficient information on food hygiene and safety through print media,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on food hygiene and safety will to devise ways to attract students' interest. 급속한 경제성장과 국민소득의 향상은 여성 경제활동 확대, 1인 가구의 증가 등의 사회구조를 변화시켰고, 이에 따라 외식, 가공식품, 수입식품 그리고 단체급식의 이용률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사회의 변화에 따른 환경오염과 많은 종류의 식품첨가물 등은 식품의 위생 및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가 되고 있고, 이로 인한 국민들의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올바른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바탕으로 한 식품의 구매 및 선택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대학생 시기는 성인기의 식습관이 형성·정착되는 시기로, 이들의 올바른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의식 수준의 확립은 성인기의 안전하고 건강한 식품선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초·중·고등학생, 대학생, 주부 등 지역별 다양한 연령을 대상으로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인식조사가 이루어졌으나 제주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인식과 지식 및 행동 그리고 교육 필요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식품위생 및 안전에 관한 인식과 지식, 행동을 조사하여 현재 대학생들의 식품위생 및 안전에 관련 실태를 비교·분석하고 그들이 필요로 하는 교육 내용 및 방법을 파악하여 제주지역 대학생의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개선방안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제주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4월 2일부터 2018년 4월 2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회수된 설문지 중 최종적으로 400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 Win (Ver.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조사 내용별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교차분석 (χ2 검정), t-te st, ANOVA (Duncan)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은 여자가 58.8%, 남자는 41.2%로, 연령대는 20∼ 24세가 83.3%로, 거주형태는 자택이 64.8%로 가장 높았다. 전공 학과는 식품관련학과와 비식품관련학과가 각각 50%였으며, 식품관련 교육 수강 경험 여부는 ‘없다’가 50.8%로 나타났고, 식품관련 교육 수강 경험은 전공학과와 식품관련 아르바이트 경험 여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1). 식품관련 아르바이트 경험 여부는 ‘있다’가 69.0%로 나타났고, 식품관련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근무 기간은 1년 이상이 33.0%로 가장 많았으며, 근무지에서의 교육 수강 경험 여부는 ‘없다’의 응답률이 50.7%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관심 정도를 조사한 결과 5점 만점에 3.30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관심 정도는 조사대상자의 전공학과와 식품관련 아르바이트 경험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p<0.05). 셋째, 조사대상자의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인식 정도는 5점 만점에 2.74점으로 나타났고, 불안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식품의 생산과정을 신뢰할 수 없기때문이 33.5%로 높게 나타났다.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인식 정도는 조사대상자의 전공학과와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관심 정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p<0.01), 식품관련 아르바이트 경험 여부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조사대상자들의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정보 획득 용이성을 조사한 결과 5점 만점에 2.99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사대상자의 전공학과와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관심 정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p<0.01), 식품관련 아르바이트 경험 여부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사대상자들의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정보 매체별 정보 획득은 방송 매체, 인터넷, 스마트폰을 통해 많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조사대상자의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지식과 행동을 분석한 결과 지식 정답률은 80.7%로 나타났고, 행동 평균점수는 5점 만점에 3.54점으로 나타났다.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지식과 행동은 조사대상자의 전공학과와 식품관련 아르바이트 경험 여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p<0.01). 여섯째, 조사대상자의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교육 필요성에 대한 결과는 ‘필요하다’가 86.3%로 나타났다. 또한 선호하는 교육실시 횟수는 6개월에 1회가 39.7%로 나타났고, 교육내용은 식중독 예방, 종류 등에 관련한 전반적인 내용이 34.8%로, 교육 방법은 전문 강사를 통한 특강이 29.9%로 높게 나타났다.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조사대상자를 대상으로 그 이유를 조사한 결과 흥미도가 낮기 때문이 58.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제주지역 대학생은 식품관련학과일수록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교육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전공학과에 따른 인식, 지식, 행동, 교육 필요성의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모든 대학생이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교육 경험과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교육과정을 증가시키고 정보 매체의 특성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방법으로 정보가 제공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특히 비식품관련학과가 선호하는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교육 방법이 전문 강사를 통한 특강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전공 강의뿐만 아니라 교양수업 또는 특강을 통한 맞춤형 교육이 늘어나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제주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정보 매체에 따른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정보의 획득 정도를 조사한 결과 방송 매체, 인터넷, 스마트폰을 통한 정보 획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에 비교하여 인쇄 매체, 식품관련 기관을 통한 정보 획득은 현저히 적게 나타났다. 이는 최근 대학생들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방송 시청, 인터넷, SNS 사용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식품관련 기관에서는 학생들이 언제든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와 스마트폰 앱 등의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정보제공 시스템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인쇄 매체를 통한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효율적인 정보제공을 위해 대학생들의 흥미를 끌어낼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여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다양한 교육 자료의 제작이 필요할 것이다.

      • 어린이를 위한 박물관 교육의 활성화 방안 연구 :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지윤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79

        Today, the museum has been changed from the ‘exhibition-oriented' concept through its collections and exhibits to the concept of ‘experience' and ‘education' that would satisfy the five senses of visitors by direct touching and feeling. In some developed countries, museum education has been a widely accepted phenomenon and they have had about 100 years to do so; however, it has been about 10 years to conduct museum education in Korea focusing on some museums and art galleries and there have recently been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from national, public and private museums and art galleries. Thanks to the 5-day work week, people have been more interested in the utilization of weekend spare time and there has been a gradual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who visited cultural art organizations such as museums and art galleries, and their interest in education and cultural events operated by museums and art gallerie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at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museum education for children that could enhance their critical thinking ability, visual & cognitive ability, and their understanding on our history and culture among the educational programs of museums that have been held for various classes of people. Through the educational ideology appropriate to museums and art galleries and the operation of professional educational departm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ample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that activated children's education and attempted to use their results as the data for establish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activation methods of children's educational programs in Jeju National Museum and the archeological & historical museums in Jeju area.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e methods of activating children's educational programs in Jeju National Museum were suggested as in the following. First, for Jeju National Museum that has currently the dualistic department structure with management division and curatorial office, it would be urgent to arrange an additional education department and build up an appropriate educational system through the allocation of professional staff educators for museum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Second, the current children's educational program of Jeju National Museum has been operated in a relatively limited way due to the absence of professional staff as mentioned above. On the other hand, the educational programs of museums and art galleries in other areas have been very diverse and consistently developed and the attempt to settle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has been made and the situations have been somewhat different from Jeju area. In order to narrow such differences and provide more children with the opportunities to understand and learn history and culture through museums,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for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such as the integrated appreciation program utilizing museum's collection and exhibit, school-linked program, web-based educational program, educational program linked with professional education research center and special exhibition, educational program for alienated class, etc. Third, Jeju National Museum should be the center for developing regional culture and needs to exchange educational information through organic networks with culture-based facilities such as museums, art galleries, schools and libraries in Jeju; in doing so, it should find out methods to enhance the opportunities to provide educational programs with various themes and forms for more people in Jeju. Fourth,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a training program that could educate lecturers with teaching & learning ability appropriate to children. The museum should play a main role in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other than the educators who are suppos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and it would be also important to build up the database that could manage them systematically. Fifth, it would be important to ensure the space for professional education that could gradually expand exhibitions and space for children and accommodate educations with various classes such as adolescents, adults and the elderly as well as children to comply with visitors' various demands. In order to conduct this, it would be urgently necessary to make efforts such as ensuring the appropriate accommodation for social education centers that have been established along with national museums and conducting a feasibility study.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methods to activate educational programs for children in Jeju National Museum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as above. It is expected that the suggested methods will be reflected appropriately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s for children in Jeju National Museum and its application process in the future. 오늘날의 박물관은 소장품과 전시물을 통한 관람으로 이루어지는 ‘전시’ 위주의 개념에서 직접 만지고 보고 느낄 수 있는 오감을 만족하는 ‘체험’과 ‘교육’이라는 새로운 교육이념이 자리 잡고 있다. 국외의 경우는 박물관 교육이 이미 보편적인 현상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100여년의 긴 역사를 자랑하고 있지만, 국내의 경우는 미미하나마 약 10년 전부터 일부 박물관·미술관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져오다, 최근 들어서는 국·공·사립 박물관·미술관을 중심으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들을 선보이고 있다. 주5일근무제의 정착으로 인해 주말 여가 활용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문화예술기관인 박물관·미술관을 찾는 가족단위 관람객들이 점차 늘어가고 있으며, 교육계 주5일 수업제의 실시와 함께 박물관·미술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문화행사에 대한 관심도 또한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 중 어린이들에게 비판적 사고 능력을 신장시키고, 시·지각 능력을 향상시키며, 우리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어린이를 위한 박물관 교육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해 박물관·미술관에 부합하는 교육이념과 전문적인 교육부서 운영을 통해 어린이 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는 국내·외의 사례를 연구하였으며 이를 현재 제주지역의 고고·역사박물관인 국립제주박물관의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의 발전적인 방향과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준거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위의 연구를 토대로 국립제주박물관의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현재 관리과, 학예연구실로 이원화된 부서구조를 가지고 있는 국립제주박물관은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운영을 위해서는 별도의 교육전문부서를 편제하고 박물관 교육 전문 인력인 에듀케이터(Educator) 배치를 통해 제대로 된 교육시스템을 구축하는 일이 시급하다. 둘째, 국립제주박물관의 현재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은 위에서 언급한 인력의 부재로 인해 비교적 제한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반면 타 지역 박물관·미술관의 교육프로그램들은 다양하고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을 거듭하면서 교육프로그램 정착을 위한 다양한 시도들을 해오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제주지역과는 상당한 편차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편차를 좁혀나가고 보다 많은 어린이들이 박물관을 통해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고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박물관의 소장품 및 전시물을 활용한 통합적 감상프로그램, 학교연계 프로그램, 웹 기반 교육프로그램, 전문 교육 연구소 연계 교육프로그램, 특별전시 연계 교육프로그램, 소외계층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등 다양한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 문화의 발전을 위하여 국립제주박물관이 중심축이 되어 제주도내 박물관·미술관 및 학교, 도서관과 같은 문화기반 시설과의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교육 정보를 교류함으로써 다양한 주제와 형태의 교육프로그램을 보다 많은 지역민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함께 모색해나가야 한다. 넷째,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담당하는 에듀케이터 외에 실질적으로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주된 역할을 담당하면서 어린이들에게 적합한 교수 학습 능력을 지닌 강사를 발굴하고 양성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다섯째, 어린이를 위한 전시, 체험공간을 점차 확충해나가고 관람객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어린이를 비롯한 청소년, 성인, 노인 등 계층을 다양화한 교육을 수용할 수 있는 전문 교육 공간 확보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 현재 국립박물관을 중심으로 건립되고 있는 사회교육관 신설을 위한 부지 확보 및 타당성 조사 등의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위와 같이 국내·외의 사례를 통해 현재 국립제주박물관의 어린이 교육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여러 방안들이 일회성 논의로만 끝날 것이 아니라 향후 국립제주박물관의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과정에서 적절히 반영되기를 기대한다.

      • 중학교 제주4·3 유적지 현장 체험 학습 방안 연구 : 평화·인권교육과 연계하여

        좌승하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79

        Peace and human rights were emphasized as universal rights internationally in 1948 by the United Nations, the UN expected students from all over the world to feel the importance of peace and human rights and never again never break out war in the world. However, the problem of threatening peace and human rights has been constantly occurring, it has also emerged as a phenomenon of committing violence and human rights violations against or interfering with groups that the state opposes in Korea. If state violence is taken for granted like this, it leaves irreparable wounds between individuals, individuals, and countries, it can lead to the repetition of contradictions accumulated through the mistakes of history. Therefore, the reinforcement of peace and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begin in adolescence, when values ​​begin to be formed in earnest, values ​​that can respect life should be realized through this. This case also occurred in the Jeju area in 1948, which is Jeju 4‧3. Jeju 4‧3 is an incident that occurred by Jeju South Korea Labor Party on the pretext of opposing the establishment of a single government. however, this incident was the main cause of the continued suppression of the Jeju residents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since the shooting incidents on March 1, 1947, it sacrificed innocent them to deal with this quickly. In recent history education, student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peace and human rights and to develop sensitivity based on such historical facts, and to provide learning guidance that can lead to the practice of preventing or eliminating problems such as violence, discrimination and human rights violations. Also,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recommends that students understand the correct historical facts of Jeju 4‧3 and use it to cultivate students' right peace and human rights consciousness. As such, Jeju 4‧3 needs not only to be remembered by students as a special regional history unique to the Jeju region, but also needs to be actively utilized to cultivate students' correct awareness of peace and human rights. Textbooks are the most basic material for using Jeju 4‧3 as peace and human rights education. However, in the current history textbooks, the background and causes of Jeju 4‧3 are not clear and only fragmentary results are presented. It is problematic in instilling a sense of peace and human rights and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Jeju 4‧3. Also, it cannot be overlooked that in a recent survey, field experience learning was the most helpful, and there were many responses that it was necessary to increase it. In addition, in the case studies or research results conducted on Jeju 4‧3 so far, there has been no case of finding a way to learn about historical sites in the field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this regard, this paper tried to develop a field experience learning plan for middle school students at the Jeju 4‧3 historic site in connection with peace and human rights education. Therefore, the local scope of this field experience learning is divided into East and West to select and utilize the area related to Jeju Island. The activity paper and teaching-learning plan of total 5 classes were composed according to 3 stages of 'pre-learning', 'field experience learning' and 'post-learning'. In this process, students will understand peace and human rights properly and experience the site of historical sites in person to help them develop peace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while cultivating their will to practice. it is thought that it will play a role in increasing interest in their own local history as well as related historical sites by deepening the historical justification for why students should remember Jeju 4‧3 and the correct perception of Jeju 4‧3. The following limitations can be pointed out in this study. First, it overlooked the fact that each school has a different internal operating system. Second, there is no verification of the effect as well as the actual practice of the class, so it may be doubtful whether it will have a great effect on raising students' awareness of peace and human rights. However, in order to supplement this, the following follow-up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Fir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method that considers the direction in which each school can operate efficiently. Second,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hat can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Jeju 4‧3 peace and human rights education and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Third, it is necessary for school teachers to make efforts to remember the relics by link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Jeju 4‧3 to students. Fourth,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various and in-depth analyzes of the Jeju 4‧3 historic site. 평화‧인권은 UN에 의해 1948년에 국제적으로 보편적인 권리로서 강조되었으며, UN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교육을 통해 전 세계의 학생들이 평화‧인권의 소중함을 느끼고 다시는 전 세계에서 전쟁이 일어나지 않기를 기대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평화‧인권을 위협하는 문제는 끊임없이 발생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국가가 주도하여 대항하거나 방해하는 집단을 폭력과 인권 유린으로 자행하는 현상으로 발현되었다. 이와 같이 국가폭력이 당연시되면 개인과 개인, 국가 간에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기게 되며, 역사의 과오로 축적되는 모순의 반복으로 연결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므로 평화‧인권교육의 강화는 가치관이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는 청소년기에서 시작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생명을 존중할 수 있는 가치를 실현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사례는 1948년 제주 지역에서도 발생하게 되었는데, 이 사건이 바로 제주4‧3이다. 제주4‧3은 단독 정부 수립을 반대한다는 명분으로 남조선노동당 제주도당에 의해 일어난 사건이다. 그러나 이 사건은 1947년 3‧1절 발포사건 이후 미군정이 제주도민에 대해 계속 탄압을 가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으며, 당시 정부에서는 이를 신속하게 처리하고자 무고한 제주도민들을 희생시켰다. 최근 역사교육에서는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하여 학생들이 평화‧인권의 개념을 이해하고 감수성을 키움으로써, 폭력, 차별과 인권 침해 등의 문제를 예방 또는 제거를 위한 실천으로 이끌 수 있는 학습 지도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제주특별자치도 교육청에서는 학생들이 제주4‧3의 올바른 역사적 사실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올바른 평화‧인권의식을 함양하는 데에 활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러한 모습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제주4‧3은 단순히 제주 지역만의 특수한 지역사로만 기억될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올바른 평화‧인권의식을 함양하는 데에 적극 활용될 필요가 있다. 제주4‧3을 평화‧인권 교육으로 활용함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자료는 교과서이지만, 현행 역사 교과서의 내용에서는 제주4‧3의 배경과 원인이 명확하지 않고 단편적인 결과만 제시하고 있어, 학생들의 평화‧인권의식과 제주4‧3의 올바른 역사 인식을 심어 주는데 문제가 된다. 또한 최근의 설문 조사에서도 현장 체험 학습이 가장 많이 도움이 되었고, 이를 늘릴 필요가 있다는 반응이 많았다는 점 또한 간과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제주4‧3을 소재로 진행된 수업 사례나 연구 성과에서도 중학생을 대상으로 유적지 현장 체험 학습 방안을 모색한 경우는 없었다. 이에 주목하여 본고에서는 중학생을 위한 제주4‧3유적지 현장 체험 학습 방안을 평화‧인권교육과 연계하여 개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현장 체험 학습의 지역적 범위는 제주도를 동‧서부로 나누어 자신과 관련된 지역을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사전 학습’, ‘현장 체험 학습’, ‘사후 학습’의 3단계에 따라 총 5차시의 활동지와 교수-학습 지도안을 모두 구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평화‧인권을 제대로 이해하고, 유적지 현장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평화‧인권 감수성을 키우는 동시에 실천 의지를 함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학생들이 왜 제주4‧3을 기억해야 하는지에 대한 역사적 당위성과 제주4‧3의 올바른 인식을 심화함으로써 자신의 지역사는 물론 관련 유적지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라 생각된다. 다만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한다. 첫째, 각 학교에서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방향을 고려한 수업 방안을 마련한 필요가 있다. 둘째, 제주4‧3의 평화‧인권교육과 유적지 현장 체험 학습을 연계한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여 그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학생들에게 제주4‧3의 전개과정과 연계시켜 유적지를 기억할 수 있도록 현장 교사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제주4‧3 유적지에 대한 다양하고 심층적인 분석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국어과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실태 분석 연구 : 제주 지역 일반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강희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9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국어과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실태 분석 연구 -제주 지역 일반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강 희 진 제주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지도교수 송현정 이 연구는 제주 지역의 국어과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운영에서 나타나 는 쟁점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그와 관련한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이를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지역의 일반고등학교 16교의 고교학점제에 따른 국어과의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운영 현황 및 국어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운영 실태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그에 따른 쟁점 및 개선 방향을 제 시하였다.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국어과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처음 적용된 2018년 입학생과 2022년 입학 생 대상의 국어과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어떠한 변화가 나 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추가적으로 학교의 소재에 따라 읍면지역과 동지역 으로 구분하고, 규모에 따라 전체 학급 수를 30학급 이상, 30학급 미만으로 구분 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어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 하였다. 또한 실태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편성·운영과 관련한 쟁점들을 도출하였다. 편성과 관련한 쟁점으로 학생의 수요와 특성을 고려한 국어과 교육 과정의 방향 설정, 학교 간 국어과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격차를 도출하였으며, 운영과 관련한 쟁점으로 국어 교사의 다과목 지도와 수업·평가의 질 관리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한 쟁점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수요자 중심의 과목 선택 기준 정교화를 위한 국어 교과목 이수 경로 설 정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 간 국어과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격차 해소를 위한 국어 교사 네트워크 운영이 필요하다. 셋째, 기초 교과목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국어 교과목의 적정 시수를 확보해야 한다. 넷째, 다과목 지도 지원 을 위한 다과목 담당 교사의 수업 시수 조정 또는 보상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다섯째, 국어 교과목 수업·평가의 질 관리를 위한 국어 교사 전문성 강화가 필 요하다. 이 연구를 통해 국어 교과와 제주 지역의 맥락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쟁점 및 개선 방향 도출을 함으로써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국어과 학생 선택형 교육 과정 편성·운영의 안착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핵심어: 고교학점제,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국어과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국어과 교육과정, 국어과 고교학점제, 제주 고교학점제 This study aims to concretely identify the issues arising in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student-selective curriculum in the Korean language in the context of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e Jeju region.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tatus and perceptions of student-selectiv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in the Korean language in 16 general high school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unde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survey analyzed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status of the student-selective curriculum in the Korean language for the students who entered in 2018 and those who entered in 2022, examining any changes that have occurred. Additionally, the analysis categorized schools based on their location and siz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used to derive key issues related to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Planning-related issues included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considering student demand and characteristics, and identifying disparities in student-selectiv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mong schools. Operation-related issues included the quality management of multi-subject instruction and class assessment by Korean language teachers. Based on the identified issues, the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improvement directions: 1. Precision in setting subject selection criteria centered on consumer preferences is necessary to refine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completion path. 2. Operation of a network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is required to address disparities in student-selectiv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mong schools. 3. Adequate class hours for stable operation of basic curriculum subjects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need to be secured. 4. Adjustment of class hours or establishment of a compensation system for teachers responsible for multi-subject instruction is necessary to support effective teaching. 5. Enhancement of the professional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s required for quality manage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struction and assessment. Through this study, we hope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Korean language student-selective curriculum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subject and the context of the Jeju region in detail and deriving issues and improvement directions.

      • ‘고용없는 성장’시대 대학생 진로교육의 방향 탐색 : 제주대학교 학부생을 중심으로

        김미나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79

        고용 없는 성장(Jobless Growth)은 국가 경제가 성장하는 데도 고용은 늘어나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공장자동화와 정보기술산업의 확대와 노동집약형 산업체들의 해외 투자 확대 등을 고용 없는 성장의 원인으로 지적한다. 진로교육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등이 학생에게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바탕으로 직업 세계를 이해하고 자신의 진로를 탐색・설계할 수 있도록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을 통하여 진로수업, 진로심리검사, 진로상담, 진로정보 제공, 진로체험, 취업지원 등을 제공하는 활동을 뜻한다. 고용 없는 성장 시대에 진로교육은 개인의 적성, 소질, 신체적 조건, 가정환경, 가치관 등 개인의 잠재능력을 고려하여 진로를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선택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이런 방향을 통해 만족스러운 직업을 가지고 살 수 있도록 이끄는 실천적 교육이다. 여기에 추가로 만족스러운 생애를 설계 및 수정하도록 하는 실천적 교육으로 본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고용 없는 성장 시대의 시대적 흐름에 비추어 국가와 대학이 진로교육을 잘하고 있는지 진단 하고 개인 진로교육 활동을 탐색하여 고용 없는 성장 시대 진로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연구자는 먼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대학(고등교육기관)의 진로교육은 어떻게 변화해왔고, 대학생 시기의 진로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살펴보고, 이에 따라 정부의 진로교육 정책과 대학은 어떤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진로교육을 실시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고용 없는 성장 시대에 시행되어야 할 진로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끝으로 연구자는 고용 없는 성장 시대를 고려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고려해야 할 추가 사항을 논의한다. "Jobless Growth" refers to a phenomenon of which the employment stagnates in spite of the growth of the national economy. The main sources of jobless growth can be found in the expansion of factory autom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as well as the extension of overseas investment made by labor-intensive companies. Career education means activities of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s providing career classes, career psychology test, career counseling, career information, career experience and employment support through school-community cooperation allowing students to understand the professional world as well as explore and design their career, based on their talent and aptitude. Career education in the time of jobless growth contributes to choosing career in the rational and objective manner, in view of one's potential capacities such as one's aptitude, talent, physical condition, family background or environment and values. Furthermore, it refers to a practical education leading each one into the direction of life with a satisfactory profession or work. In addition to this, it is considered a practical education facilitating design and modification of a satisfactory life for each student.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directionality of career education in th era of jobless growth, by making a diagnosis of the current career education provided by the State and colleges and exploring individual career education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trends of the era of jobless growth. For the purpose of this, this study intends to inquire into how the career education of college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oriented to college students has been changed and how the career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during the college days. Moreover, this study plans to inquire about the program content of career education policies carried out by the government and colleges. Based on this, this study also proposes the directionality of career education which is supposed to be conducted in the era of jobless growth. Lastly, this study discusses additional points of considerations to effectively apply this career education program in the light of the era of jobless growth.

      • 인터넷 교육방송 수업의 제작과 활용

        송미혜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제주교육인터넷방송국의 중학교 3학년 수학과 학교현장수업 제작에 참여한 학생들이 인터넷 교육방송 수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인터넷교육방송 수업을 활용하였을 때 수학적인 성향과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제주교육인터넷방송 중학교 3학년 수학과 학교현장수업 제작에 참여한 학생들이 인터넷교육방송 수업에 대한 인식이 변화할 것인가? 2. 제주교육인터넷방송 수업을 활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과 학습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할 것인가? 위의 연구 문제의 분석을 위하여 제주교육인터넷방송의 중학교 3학년 수학과 학교현장수업 제작에 참여한 애월중학교 3학년 학생 75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연구하였다. 1. <연구문제 1>의 분석을 위한 내용 1) 중학교 3학년 수학교과서를 분석하고 주요내용을 추출한 후 수준별 교수-학습 과정안과 수준별 학습자료를 제작, 활용하였다. 2) 본 연구자는 제주교육인터넷방송 중학교 3학년 수학과 학교현장 수업 제작에 강사로 참여하였고 애월중학교 3학년 75명의 학생이 촬영에 임하였다. 2. <연구문제 2>의 분석을 위한 내용 1) 교육과정 분석, 교재연구, 컨텐츠 분석, 사전시청, 활용방법을 결정하여 수업 자료를 교재화하여 수준별 수업에 활용하였다. 2) 인터넷 교육방송 수업 중 보충과정의 강좌를 재구성하여 특별보충수업에 활용하였다. 3) 수준별 학습지를 재구성하여 수준별 보충수업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은 제주교육인터넷방송에 대한 인지도를 사전, 사후 검사하였고, 수학교과에 대한 성향과 수학과 학습태도를 사전, 사후 검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온 검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인터넷 교육방송 수업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고, 수학적 성향과 수학과 학습태도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at the 3rd grad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 who taken part in producing the school spot class of Jeju Educational Webcasting Network, have the change of their recognition about internet broadcasting class, and have an affirmative effect on their learning attitude and mathematical inclination, in applying internet broadcasting class. For this, the study is as follows: 1. Will the middle school 3rd grade students taken part in the school spot class product of Jeju Educational Webcasting Network change their recognition about internet broadcasting class? 2. Applying Jeju Educational Webcasting Network class, can an mathematical inclination and learning attitude of the students be changed as an affirmative one? In order to analyze the above study problem, I investigated 3rd grade students of the Ae-wol middle school taken part in producing the school spot class of Jeju Educational Webcasting Network. 1. The contents for analysis of "study problem 1" 1) After the analysis and abstract of 3rd grade textbook of the middle school, I produced and used differentiat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the curriculum differentiation. 2) I took part in producing the mathematics subject spot class of Jeju Educational Webcasting Network as a mathematics instructor, and 3rd grade 75 students of Ae-weol middle school were involved in that class. 2. The contents for analysis of "study problem 2" 1) After the decision of curriculum analysis, teaching material study, contents analysis, watching in advance, and using method, I used differentiated class materials for teaching. 2) I used a special supplementary lessons after the reconstruction of the special course during the Internet broadcasting class. 3) I used a differentiated supplementary lessons after the reconstruction of the differentiated study book. The results analysis of this study is investigated the sense of recognition about Jeju Educational Webcasting Network in advance and afterward, and compared and analyzed an inclination about a mathematical subject and learning attitude in advance and afterward.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verification from this study, I concluded that it was brought to an affirmative change of the recognition about the Internet broadcasting class as well as an mathematical inclination and learning attitude of mathematics su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