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교 웹사이트에서의 효과적인 정보전달을 위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 동덕여자대학교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장명숙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79

        대학을 둘러싼 교육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대학들도 기업이나 각종 사회단체들과 마찬가지로 매스미디어 채널을 통해 각 대학의 발전 가능성과 우수한 장점 등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게 되었다. 특히 초고속 인터넷의 등장으로 현재 우리나라 대부분의 대학들은 웹사이트를 구축하여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입시생 및 학부모의 대학교 웹사이트 이용률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은 대학에게 있어 미래의 고객이 될 수 있는 주요한 홍보 타겟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대학교 웹사이트는 이러한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하며, 그러한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디자인 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각각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입시생 및 학부모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찾고,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시각적 디자인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웹사이트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텍스트는 기본적인 정보전달의 기호이다. 화면상의 텍스트는 정보를 올바르게 전달해야 하며, 읽기 쉬어야 하고, 인터페이스 안에서 구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동덕여자대학교 웹사이트의 각 페이지 서브메뉴는 가시성 및 가독성을 높일 수 있도록 글자크기를 조절하고 좀 더 선명한 색상 대비를 줄 필요가 있다. 둘째, 이미지는 가장 일반적인 시각적 표현 매체로 많은 정보를 내포하고 있는 시각언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덕여자대학교 웹사이트는 이미지의 흑백톤 사용을 줄이고, 각 페이지별 주제에 따라 그 의미가 전달되는 다양한 이미지를 사용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동덕여대만의 느낌을 잘 전달할 수 있는 사진 및 일러스트레이션의 사용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셋째, 인터페이스에서 색체의 사용은 중요한 정보를 강조할 수 있으며, 화면의 구성을 분리하여 사용자의 이해도를 향상시킨다. 따라서 동덕여자대학교 웹사이트의 각 페이지 메인메뉴와 서브메뉴는 글자색과 바탕색의 선명한 대비가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넷째, 정보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질서 있는 레이아웃이 필요하다. 인터페이스의 레이아웃은 일관성 있는 구성과 기능을 가져야 하며 심미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동덕여자대학교 웹사이트는 일부 어수선한 사진 배치가 시각적으로 좋지 못한 인상을 주기 때문에 불필요한 사진요소는 줄이고 적절한 크기 및 배치 조절을 통해 전체적 화면의 레이아웃을 심미성 있게 만들어야 한다. 이처럼 조사와 분석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많은 부분의 개선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 그중에서도 시각적 디자인요소는 이용자들에게 정보를 전달함에 있어 가장 빠른 전달력을 가지고 있으며 가장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이 분명하다. 또한 과거의 단순한 텍스트 위주의 웹사이트가 불과 몇 년 만에 화려하고 다양한 디자인의 웹사이트로 변화하였다. 앞으로의 웹사이트는 더욱 디자인에 민감한 웹사이트로 발전해 나갈 것이라 가정하였을 때 시각적 요소를 고려한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대학교 웹사이트도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제공과 그러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시각적 인터페이스 디자인요소가 고려된다면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보다 높일 수 있을 것이다. Following changes with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universities are required to actively publicize their growth potentials and advantages through mass media channels, similar to the methods used by corporations and various social organizations. Particularly, with the introduction of high-speed internet, most universities within Korea are actively utilizing websites. Within such a background, the rate of use for university websites are increasing among new students and parents. At the same time, such visitors are a major publicity targets who may become potential future customers. Consequently, university websites must contain information which satisfies user needs. At the same time, interface design which effectively delivers such information is very important. As a resul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new students and parents to find information most required and analyzed the website of Dongduk Womens University focusing on visual design elements of interface desig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xt is the most fundamental symbol for information delivery. Text must properly delivery information on the screen and be displayed within the interface. Consequently, the sub menus of each website must adjust the font size and utilize clearer colors for added receptivity. Second, as a most fundamental form of visual expression, images can be considered to be a type of visual language which includes much information. Accordingly, the Dongduk Womens University website must decrease use of black and white images, but rather use various images which delivers accur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opic of each page. In addition, this study concludes that photos and illustrations which aptly delivers the distinctive feeling of Dongduk Womens University must be used. Third, use of colors within the interface can highlight important information while separating screen configuration can improve user understanding. Consequently, the main menus and sub-menus of each page within the Dongduk Womens University website requires more clear contrast between text colors and background colors. Fourth, in order to effectively delivery information to users, an organized layout is necessary. Some of the photos layout within the website do not give a great visual impression. Consequently, this study concludes that unnecessary photos should be reduced and the overall layout should be improv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size and layout. As shown through the survey and analysis of this study, many areas must be improved in order to raise user satisfaction. However, visual design elements are the fastest in delivering information to users and their significant effects are profoundly clear. In addition, the simple text-based websites of the past have been transformed into colorful and varied websites in just a matter of years. When considering that websites will continue to develop in terms of design, it is believe that web interface designs which consider visual elements will continue to become more important. Consequently, user satisfaction can be expected to increase if university websites provide information needed by users and consider visual interface design elements within website designs.

      • 브랜드 이미지 전략으로서 인터랙션디자인 적용 공간 연구

        이선영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대의 급변하는 소비사회에서는 기업 간의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각 기업들은 자사 브랜드의 차별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방안 구축에 심혈을 기울이게 되었다. 특히 근래의 소비자들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기 보다는 브랜드의 이미지 자체를 구입하는 브랜드 지향적 구매 행위를 하고 있어 브랜드에 대한 중요성은 날로 더해지고 있다. 따라서 그 어느 때보다도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따른 브랜드 이미지의 형성이 중요하게 되었다. 브랜드 이미지의 확립을 위해 브랜드 관리와 브랜드 디자인관리는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그 전략적 방법이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 로고, 심볼, 제품, 포장, 웹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구매 전, 구매 시, 사용 시 등 다양한 시점에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의 핵심 아이덴티티에 기반을 두고 브랜드 전략과 기업의 디자인 전략,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고 그 방법은 시장 환경 및 시대변화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기업들은 2차적인 표현매체를 넘어 3차원의 공간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 강화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즉, 과거 기업이 제공하는 일방적인 표현매체를 통하여 행해졌던 마케팅 방법이 소비자와의 직접적인 접점을 통해 고객의 욕구를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고, 소비자와의 상호적인 교류가 가능한 공간 마케팅 영역으로 점차 확대되어가고 있다. 소비자들이 직접적으로 브랜드와 상호작용하며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공간매체가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브랜드 이미지의 형성을 위한 공간은 브랜드 가치를 반영한 고객접점공간이라는 마케팅적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 최근 각 기업들은 고객접점공간에서 보다 효과적인 브랜드 이미지의 형성을 위한 전략으로 인터랙션 디자인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에 주목하고 있다. 인터랙션 디자인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은 소비자에게 통합된 감성을 제공하고, 이전에는 경험할 수 없었던 새로운 감성적 체험을 가능하게 하여 소비자에게 새로운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직접적으로 브랜드와 상호작용하며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인터랙션 디자인이 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큰 영향을 끼치는 핵심요소임을 인지하고,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시키는 방편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공간에서 구현되었는지를 파악하는데 의의를 두고 이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In the rapidly changing consuming society, competition among the enterprises has been keening, each enterprise puts their heart and soul into the marketing strategy plan building to differentiate of their own brand. Specially recent consumers are doing an act of buying brand-oriented which is purchasing the image of brand rather than purchasing products or service. Thus the importance of brand is increasing as time goes on. Accordingly the form of brand image is important with the identity of brand more than ever. For the establishment of brand image, brand management and brand design management are combined into one. And then the strategic way has been prospered in succession. Brand image is conveyed to consumers at the various point of time such as before purchasing, time of purchasing, and time of using it through the diverse medium like logo, symbol, product, packing, and web of brand. Brand image has its roots in the core identity of brand, and is managed by brand strategy, design strategy of the enterprise, and systematical controlled-system. And then the method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market environment and market change with times. Enterprises are carrying out the intensified strategy of brand image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space beyond the second-dimensional medium of expression. That is, marketing method which has been done through a medium of expression by enterprises in the past can accept more actively the needs of customers through the direct touch point with consumers. And it is enlarged as a marketing field which is possible to interchange with customers. The medium of space is appeared as an important issue in that continuous communication is possible and consumers directly interact with brand. And the space to form brand image has need to do marketing access such as a space of brand touch point which reflects brand value. Recently each enterprise takes notice of the communication using the interaction design as a strategy to form more effective brand image at the space of brand touch point. Communication through the interaction design offers integrated sensibility to consumers, and it enables new emotional experience that is we have ever had experienced before. And through this, it forms new brand image to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recognizes that the interaction design is a core element which has influence on the construction of brand image in that consumers directly interact with brand and can communicate continuously. And then, this study contributes and argues how interaction design has been embodied by which way in the space as an instrument to reinforce the brand image.

      • 해양 이미지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 디지털 프린팅과 마블링 기법을 중심으로

        이유정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현대 문명사회의 지나친 물질우선주의와 단순미를 지향하는 모더니즘의 무미건조한 인간성 외면, 그리고 자연 파괴로 인한 환경오염 등에 회의를 느낀 현대인들의 심리는 자연으로의 회기, 옛것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켰으며, 이러한 상황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자연의 이미지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거나 인간의 나타내고자 하는 모든 욕구를 전위적으로 표현하였다. 인간과 생물학적 상호관계를 미학적인 근거로 삼는 자연주의는 자연환경이나 인간성의 파괴를 주제로 하여 미술과 음악, 문학, 영화 등 예술과 문화의 다방면에서 부각되고 있으며 패션에서는 인간을 의복자체로부터 자유롭게 하는 것, 육체의 아름다움, 휴머니즘이 자연주의 경향에 심도 있게 제시되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자연회귀심리의 일환으로 나타난 '자연 에콜로지'의 경향은 현대 패션을 이끄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복식에 나타난 에콜로지 경향은 자연을 찬미하고, 자연에 동화되려는 사고방식과 생태계보존에 대한 우려들을 의복을 통하여 나타난 Primitivism, Neo-Cosmism, Naturalism 등의 경향으로 오염되지 않은 자연의 생태계를 제시한다. 에콜로지 경향에서 해양이미지는 중요 모티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채와 형태는 복식에 있어서 자연스러운 실루엣과 천연섬유의 활용 등으로 인공적이지 않은 감각을 존중하며 의복과의 조화를 이루며 표현되어졌다. 해양은 자원의 보고로 인간에게 미래의 꿈을 제시해주는 중요한 삶의 터전인 동시에 조형적인 미로 인간내면에 친숙하게 다가와 다양하게 표현되며 그 중요성이 부각되어져 왔는데 해양 생물의 형태나 재질감은 사실적으로 묘사하며 수공예적인 기법으로 복식에 있어 내추럴한 실루엣이나 문양으로 표현되고 연구되어졌다. 이에 본 연구는 해양환경의 중요성 및 자연과 인간, 그리고 의복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의미에서 해양 이미지를 모티브로 선택하였으며 컴퓨터 그래픽을 응용한 디지털프린팅과 마블링기법으로 해양의 조형미를 현대적인 시각으로 표현하였다. 해양이미지를 모티브로 해양환경이 가지는 신비함과 깊은 바다색, 생물들의 화려한 색채조화, 다양한 형태감과 율동감있는 물결선 및 깊이감 등을 소재의 하늘거림과 중첩을 통하여 공간감 있게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에콜로지 경향의 현대패션흐름에서 다양한 해양이미지들을 디지털프린팅과 마블링기법을 응용하여 복식에 도입함으로써 자연과 인간, 그리고 의복과의 조화를 강조하여 복식에서의 창조적인 표현예술의 영역을 확대하고 고부가가치 상품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해양과 조형예술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해양의 환경과 조형적 특성을 문헌 고찰과 사진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고, 해양이미지와 관련된 작품을 수집, 분석하였다. 또한 마블링염색의 발달과정과 방법을 문헌 고찰과 염색작업을 통해 연구하였고, 디지털 프린팅은 인터넷자료와 문헌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해양이미지를 마블링기법과 디지털프린팅을 응용하여 총 6점의 의상을 제작하였다. 작품소재로는 오간자과 쉬폰, 실크를 사용하였으며, 이 소재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중첩하여 최대한 조형적인 실루엣을 표현하였다. 신비로운 해양의 물결선은 마블링 염색을 통해 표현하였고 해양생물의 다양한 형태와 화려한 색채는 디지털프린팅과 마블링기법을 통해 조형적인 문양으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해저의 깊이 있는 공간감과 빛의 반사에 의한 해면의 투명감은 디지털프린팅한 얇고 비치는 원단을 중첩함으로써 의상에 응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양환경의 다양한 형태와 신비로운 색채를 문양으로 도입함으로써 에꼴로지의 특성을 부각시키는 표현이 가능하였고 자연주의 경향의 해양이미지는 에꼴로지 패션의 중요모티브로 활용가능성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해양의 조형적 특성을 의상에 도입함에 있어서 해양 생물과 환경적 특성에서 나타난 신비로운 형태와 공간적인 깊이감을 소재의 중첩을 통하여 표현할 수 있었으며 해양의 율동감 있는 물결선은 실크소재에 마블링기법을 도입함으로써 물결의 하늘거리는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었다. 셋째, 해양이미지를 모티브로한 문양은 디지털 프린팅을 도입하여 해양생물과 환경적 이미지의 섬세하고 환상적인 형태미를 율동, 반복, 확대, 변형 등의 방법으로 디자인하여 표현하였고, 비치는 소재에 프린트 기법과 마블링기법을 중첩함으로써 바다 속 이미지를 복합적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넷째, 해양이미지 모티브의 깊이감있는 바다색을 표현함에 있어서 그라데이션 염색과 비치는 소재에 디지털 프린팅과 마블링을 겹겹이 사용하여 색채를 나타냄으로써 다양한 바다이미지의 깊이감 있는 색채표현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해양이미지들을 도입하여 마블링과 디지털 프린팅기법과 접목시켜, 현대적인 조형미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앞으로도 해양이미지는 무한한 가능성과 예술적 가치로 승화될 수 있는 영감의 근원으로 볼 수 있으며, 다양한 기법들을 접목시켜 끊임없는 의상디자인의 고부가가치의 상품개발과 창조적인 표현영역 연구가 이어지기를 바란다. We had doubts that Modernism in pursuit of materialism and simplicity in the current civilized society had turned away humanity. And we were skeptical about environmental pollution by the destruction of the nature. These doubts gave rise to a nostalgia and naturalism. So people used an avant-garde expression to represent all the desire of the symbolizing image of nature and man. Naturalism, aesthetically based on human and ecological correlation, is on the subject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destruction of human the nature. It is appeared on art, music, literature, movies and other various culture. Especially in fashion, Naturalism express the beauty of the body, the humanism and the man being free from clothing. Therefore, the trend of natural ecology, a kind of the mentality wanting to return to nature, is becoming a important position leading the current fashion. The ecological trend in dressing glorify the nature express the way of thinking of assimilating with nature and the concern for preservation of ecosystem in the form of clothing, exhibit the unpolluted ecosystem of nature by Primitivism, Neo-Cosmism, Naturalism. The ocean-image in ecological trend could be used by a major motive. The diversity of color and form are harmoniously represented with clothing by utilizing the natural silhouette and natural fiber. People refer to the ocean as a treasure house of resources, a site of life presenting a vision. The sea, becoming familiar with the inside of man, is differently presented by the formative beauty. So, they have thought that the sea is important. And the form and quality of a creature in ocean have been researched and represented in the form of a silhouette and pattern by making a use of a realistic description and handicraft techniques in the world of clothing. This research selects the ocean-image as a motive for the purpose of harmonizing the importance of sea environment, human, nature and clothing. By applying computer-graphic, digital printing and marbling enable to interpret the formative beauty of the ocean as a modern viewpoint. With the ocean-image as motive, we could spatially express the mystery in Ocean, the deep color of sea, magnificent color of sea-creature, a wave and depth with various rhythmic, formative sense by making use of quivering material and reit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large the realm of the creative expression art and develop the high value-added products in the clothing focusing on the harmony of the nature, human and clothing by applying the images of the ocean-image to the clothing using digital printing and marbling technique, considering the trend of the current fashion on ecology. For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study, the environment of the ocean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the literature study and analysis of the photograph data to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ocean and the formative arts and the related works to the ocean imag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addition, the development and methods of marbling dyeing were investigated by the literature study and dyeing works, and digital printing was analyzed on a basis of the internet data and literature. Based upon this result, a total of 6 clothes were manufactured with the ocean images by using the marbling technique and digital printing. The materials of work such as organza, chiffon and silk were used to express the most formative silhouette by reiterating these materials with a variety of ways. Mysterious waves of the ocean were expressed through the marbling technique and the various forms and luxurious colors of the ocean creatures were revealed with the formative patterns through marbling technique and digital printing. Moreover, the depth of the ocean and transparency of the ocean generated by reflecting light were applied to the clothing by reiterating the digital-printed light and see-through stuff.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it was possible to express focusing on the feature of ecology by applying a variety of shapes and mysterious colors of the ocean to the pattern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 ocean-images on the trend of naturalism could be used for the major motives of the ecology fashion. Secondly, applying the formative features of the ocean to the clothing, it indicated that the mysterious forms and spacious depth appeared in the ocean creature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could be expressed through the reiteration of the materials and also the rhythmical waves of the ocean could be expressed by introducing the marbling technique to the silk material. Thirdly, the patterns motivating the ocean images could be expressed by introducing the digital printing and designing with the methods including rhythmic movement, reiteration, enlargement and transformation etc. to reveal the delicate and fantastic beauty of forms of the ocean creatures and environmental images. And the ocean images could be expressed by reiterating the print technique and marbling technique on the see-through materials to reveal the complicated images of the ocean. Fourthly, the deep colors of the ocean could be expressed by using the digital printing and marbling technique and the gradation dyeing on the see-through materials in many folds to reveal a variety of images and depth of the ocea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ress the modern beauty of formative arts by introducing a variety of the ocean images with marbling and digital printing techniques. The images of the ocean could continue to be used for sources of inspiration to sublime with the unlimited opportunity and artistic value in the future and so it is expected to develop high value-added products in the clothing design and to continue to study the creative realm of expression by grafting a variety of techniques.

      • 앙리 마티스(Henri Matisse) 작품세계를 응용한 넥타이 디자인연구

        오상은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9647

        오늘날 세계화, 국제화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의복을 통해 세계의 감각을 표현하고, 자신감과 교양과 인격을, 그리고 자기의 개성을 연출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현대 남성복의 기본적인 아이템 중 변화와 개성의 추구가 가능한 부분인 넥타이에 대한 인식이 단순한 악세사리(Accessory)의 개념을 넘어서 남성 토탈 패션(Total Fashion)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로서 보다 다양화, 개성화, 패션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넥타이는 실루엣의 변화는 거의 없기 때문에 대부분 소재 활용 및 패턴 개발이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넥타이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패턴으로는 스트라이프, 체크, 물방울이라 할 수 있는데, 근래에는 패턴에 있어서 회화적 구도의 경향을 보이며 전형적인 고전 패턴과 공존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세기 회화발전에 있어서 색채혁명을 일으켜 현대 미술의 선구적인 역할을 한 앙리 마티스(Henri Matisse : 1869-1954)의 독특한 회화양식인 간결한 선의 모사, 단순한 형태, 순수한 색감을 넥타이 패턴디자인에 도입시킴으로써 새로운 디자인의 가능성과 색채감각을 발휘한 섬유제품을 개발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내용으로는 넥타이의 발생과 변천, 앙리 마티스의 예술세계를 문헌조사와 자료를 통해 살펴 보았으며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기초로 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제작에 있어서 염색공예기법 중 색호염과 구타방염을 사용하여 8개의 넥타이 패턴디자인 구성을 하고, 부분적인 색상변화를 시켜 넥타이를 제작하였다. 또한 작품은 형태의 단순화와 장식적이고 감각적인 문양들을 디자인의 모티브로 응용하였으며 그의 독창적인 색채감각을 통해 시각적 배색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앙리 마티스의 독특한 회화양식인 간결한 선의 묘사, 단순한 형태, 순수한 색감을 넥타이 패턴디자인에 응용하여 실용성과 미를 조화하여 개성미를 창출하는 섬유제품을 개발할 수 있었다. 둘째, 앙리 마티스의 색채감각을 통해 색면 구성과 단순화작업으로 이룩한 그의 작품을 디자인에 응용함으로써 현대적인 넥타이 디자인의 새로운 모티브를 창출할 수 있었다. 셋째, 텍스타일 디자인은 섬유산업발전의 토대로써 회화를 응용한 텍스타일 디자인의 제품화는 새로운 부가가치의 창출, 순수예술과 디자인의 친화를 도모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논문에서는 자유의지의 표현으로 전개된 현대 미술을 순수 미술로서만이 아닌 텍스타일 디자인에 응용하여 실용성과 미를 조화하여 개성미를 창출할 수 있는 패션 아이템의 하나인 넥타이에 예술로써의 질적 향상을 꾀하고자 하였다. Nowadays we, living in the globalized and internationalized world, express the world sensibility and produce our own culture and humanity as well as personality. In these trends, the necktie, an essential item of modern men's wear, which enables men to pursuit their own characters and changes, is considered as a necessary factor of Men's Total Fashion beyond the concept of simple accessory and shows an aspect of variousness, characterization, and fashion. Because the silhouette of a necktie does not change in general, the material utilization and pattern development are perceived as a important part. The most frequently used patterns in a necktie are stripe, check, and dot, but recently pictorial composition is developed to coexist with the traditional classic patter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possibility of new design and color sensation through textile goods by introducing the unique pictorial style such as concise depiction of lines, simple forms, and pure color sense established by Henri Matisse(1869-1954), who played a vanguard in the modern fine arts by carrying out a color revolution in the pictorial development of 20th century, into the pattern design of necktie. The content of this study involves the beginning and change of necktie and the literature and data about Henri Matisse's artistic work. And, on the basis of this theoretical investigation, work as manufactured. During the work production, hand painting and Gutta-percha resist dyeing among dyeing craft techniques were applied to constitute the pattern design of 8 neckties including partial color change. In addition, the works applied simple forms and ornamental and sensible patterns to the motive of design and tried to increase coloring effect through his creative color sensation. Thus, this dissertation is intended to adopt modern arts developed by the expression of free intention as not only pure arts but also applying textile design for the qualitative necktie improvement, one of fashion items which can create characteristic beauty through combination of practicality and beauty.

      • Wassily Kandinsky 회화작품을 통한 Textile design 연구 : 스카 프 제작을 중심으로

        한애정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9647

        장신구(裝身具)는 의복과 함께 인간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인간을 이해하는 데 직접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아울러 의복에 대한 개념의 변화와 동시에 다양해지는 표현의 자율화를 표방(標榜)함으로써 보조적 역할에서 점차적으로 패션의 전체적 분위기를 좌우하고 리드해가는 주도적인 위치로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장신구가 사용범위에 따른 기능만을 위한 것일 수는 없으며, 또는 보여지기 위한 것에만 그칠 수도 없다. 이러한 의미로 스카프도 단순히 방한(防寒), 방서(防署), 방진(防塵)의 범위를 넘어서 개성표출을 가능케하는 이상적인 매체로서 중요한 아이템(Item)으로 부상되었다. 1930년대 우리나라에 도입된 이후 스카프는 생활 수준의 향상과 섬유 디자인의 발전과 더불어 놀라울 만큼 다양해졌으며 대부분의 여성들이 애용하는 장신구로 자리매김을 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의 스카프는 자연적 문양과, 직선이나 곡선이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구성되는 기하학적 문양, 또 민족의 장식문양인 전통문양 등이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문양에서 벗어나 의상 디자인에서는 많이 이용되지만 스카프에서는 그리많이 시도된 바가 없는 화가의 작품을 문양으로 도입하고자 했으며, 장신구로서의 다채롭고 자유로운 예술적인 감성을 내포하고 좀더 소비자들의 미적 의식과 감각에 부응한 예술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스카프 디자인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그 의의와 목적이 있다. 스카프의 모티브는 기하학적 형태와 밝은 색상으로 현대 추상화가의 선구자인 W. Kandinsky 회화 작품 중에서 도출(導出)하였으며 가능하면 세부적인 묘사를 생략하고 밝고 선명한 색채를 사용하여 스카프의 소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크(Silk)의 특성에 부합되는 제작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W. Kandinsky의 작품을 중심으로 전개함에 따라 W. Kandinsky 회화 작품에 나타난 그의 예술 정신과 작품 세계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근거로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본 연구의 작품 제작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W. Kandinsky 회화 작품의 기하하적인 요소들이 갖는 배치와 구도는 일반적으로 딱딱하다는 느낌을 갖고 있으나 규칙적인 나열의 답답함이 아니라 개방적인 공간구성으로 재구성함으로써 무한한 스카프문양 디자인 개발의 가능성과 영역을 넓힐 수 있었다. 둘째, W. Kandinsky 회화 작품의 특징인 세부적인 묘사를 생략하고 기하학적인 요소와 밝고 선명한 색채를 사용함으로써 예술과 실용의 조화에 기틀이 될 수 있었다. 셋쩨, 종전의 실크 스크린 염을 응용한 기법으로 실크 스크린 염 호료에 Dark 202라는 방염제를 넣어 줌으로써 착색 및 방염력을 동시에 생기게 함으로 프린트되지 않은 부분은 원하는 색상으로 채색을 가능케하여 표현의 다양화를 유도하였다. 현재 스카프 산업은 앞서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기존의 문양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해외 브랜드의 의존도가 높은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량생산되는 스카프가 아니라 미적의식과 감각에 부응한 예술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수공예적인 요소를 지닌 디자인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본다. 그러기 위해서는 본 연구자와 같이 회화 작품의 특징을 잘 응용하여 창조적인 문양 디자인을 개발한다면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상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Along with clothing, ornaments keep close relationship with the life of human beings, and play a positive role in understanding them. In addition, they expand their scope from an auxiliary to major role to lead the overall atmosphere of fashion gradually by advocating the self-discipline of various expressions in addition to the concept change about clothing. The usage of ornaments is neither to apply for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scope used, nor to be showed to people. Scarf came up to the surface as an important item and an ideal media which enables persoal expression above the scope of protection against the cold and frost, and dustproof. In 1930s, scarf was diversifed surprisingl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and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 after its introduction to our country, and finally it found its place as women's most favorite accessories. There are natural pattern, geometrical pattern consisted of regular or irregualr lines or curves, and traditional patterns of our racial ornaments. However, this study is intended to introduce artist's works which were much more used in apparel design but less used in scarf, breaking from the conventional patterns.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lude various, free and artistic sensibility as an ornament and to present a possibility of scarf design development which can satisfy both artistry and practicality which meet esthetic sense and consciousness of purchasers. The motive of scarf was introduced from W. Kandinsky, one of the pioneers in the modern abstract artists using geometrical forms and bright colors and studied the producing methods which satisfied the character of silk, a major material of scarf, by omitting detailed depiction, if possible. The content of this study comprises W. Kandinsky's artistic spirit expressed in his pictorial works and the character of his works of art. These works were produced on the basis of these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the conclusion drawn through work produc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ough we feel "hardness" from the arrangement and composition of the geometrical elements in W. Kandinsky's picotrial works generally, not stifling regular array but restructuring of open space constitution leads to the possibility to develop infinite scarf pattern design and to enlarge its scope. Expressional diversity was induced by applying dyeing-proof Dark 202 to the conventional silk screen dye Horyo to generate not only coloring and the dyeing-proof capabilities simultaneously but also putting in color into the unprinted part. If an emphais is put on the development of patterns utiliziing the character of artist's pictorial works like the investigator, a highly added-value and artistic beauty oriented product can be developed.

      • 국내 가요 컴팩트디스크 자켓 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윤희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47

        대중매체의 급속한 발달과 음반문화의 고급화 속에서 컴팩트디스크 자켓 디자인은 컴팩트디스크라는 음악이 담긴 제품을 보호하는 기본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하는 것 뿐 아니라 요즘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시대에, 높아져 가는 대중의 욕구를 충족 시켜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뮤지션과 음악적 색채를 시각적으로 전달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그 이상의 정보와 볼거리를 기대하는 음악 애호가들에게 보다 더 다양한 시각적 즐거움을 제공하여 그들의 시각적 욕구를 만족시켜 주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국내 가요 CD자켓 디자인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국내 CD음반 lOO개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패키지(Pakage), 메인비쥬얼(Main Visual), 부클릿(Booklet)으로 나누어 분석을 하였고 대중의 관심과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한 소비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패키지는 기존의 Plastic Case를 사용한 포장형태가 대부분으로 나타나 다양성이 떨어지고 획일화 된 경향을 보였으며 각 앨범만의 특성을 살린 포장 형태의 디자인이 아쉽다. 메인 비쥬얼은 음악적 분위기에 관계없이 대부분이 가수인물 위주의 사진 표현으로, 각 앨범마다의 독창성과 개성이 결여되고 그 음반만의 음악적 색채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드러냈다. 부클릿은 가사와 음악정보. 그리고 음악과 가수의 이미지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음반의 이해를 돕고 시각적인 즐거움을 주어야 하는데, 가수인물 사진에 편중된 디자인 표현으로 음악정보와 음악 및 가수의 이미지를 조화롭게 담아내는데 미흡하다. 그래서 국내 가요 CD자켓 디자인에서는 보다 다양화 되고 각 앨범만의 개성을 살린 시각적 표현이 요구되며 새롭고 적극적인 시도를 통하여 다양한 표현소재와 표현기법을 개발하고 활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음악과 가수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시각화 할 수 있도록 포장의 형태부터 메인비쥬얼 표현과 그 비쥬얼 이미지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시각화 할 수 있는 재질의 선택. 그리고 CD자켓 안에 들어가는 부클릿까지 세심하게 디자인하고 편집하여 포장형태, 메인비쥬얼, 부클릿 등 모든 요소들이 하나로 합쳐져 음악과 가수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조화로운 시각물로 탄생하도록 해야 한다. 그래서 CD자켓 디자인을 통하여 CD음반이라는 상품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음반의 소장가치를 높여서 엔터테인먼트 시대에, 국내 가요 CD자켓이 가수와 음악의 또 다른 얼굴이자 음악적 매체로써 대중에게 만족을 주는 문화상품으써의 역할을 다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Compact disc jacket design in the rapid development of mass media and the high grade of disc culture is required not only to play a basic role to protect the goods, compact disc containing music but also to play a new role to satisfy the ceaseless demand of the mass public in such an age of entertainment as these days. It should not only visually transmit musicians and musical color but also satisfy their visual demand by supplying the more various visual pleasure to music fans expecting more informations and spectacles worth seeing. In order to look around the problem of the present domestic popular song CD jacket design and the improvement direction, this thesis, selecting 100 domestic CD as a research subject, performed an analysis by dividing into package, main visual and booklet, and the thesis performed consumer investigation to know the interest and taste of the mass public. Package showed a low diversity and a uniform tendency for its package form was almost the form using the existing plastic case, and the design of the package form having the unique trait of each album is expected. Main visual, as a picture presentation focused almost on singer character portrayal irrelative to the musical atmosphere, showed the problem of the lack of the origina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lbum and the problem that it can't represent the unique musical color of the album. Booklet should help understand the album and have a visual pleasure by visually representing the images of the song and the singer, however it is insufficient to harmoniously represent the music information and the image of music and singer owing to the design presentation biased to the singer character portrayal. Therefore, it is required for the domestic popular song CD jacket design to visually represent with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album and with more variety, and it is necessary develop and utilize various presentation material and presentation technique through a new and active trial. It is necessary to represent main visual from the package form which can effectively visualize the image of music and singer and to select the material which can more effectively visualize the visual image. and, it should be born as a harmonious visual object representing the image of music and singer with all factors like package form, main visual, booklet and so forth being combined by designing and editing even booklet in CD jacket. Therefore, in the age of entertainment, we should make domestic popular song CD jacket to play a role as a musical media as well as another look of music and singer and as cultural goods satisfying the mass public by raising the value added of the goods CD record and by raising the possession value of record through CD jacket design.

      • 무대의상의 한국적 디자인 연구 : 셰익스피어의 '맥베드'를 중심으로

        임경미 同德女子大學校 디자인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공연예술이란 인류의 역사와 더불어 시작되고 발전되어 온 예술의 형태이며 인간의 삶을 다룬 또 하나의 삶의 모습이라 할 수 있다. 무대의상은 이러한 공연예술의 한 부분으로 극중의 인물을 재창출하고 극의 이해를 돕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간본연의 삶의 모습과 고뇌를 잘 표현하고 있는 셰익스피어의 극은 국내에서도 많이 다루어지는 작품으로 고전 그대로의 모습을 재현 할 뿐 아니라 새로운 해석을 더해 다른 모습으로 연출되어 공연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한국적인 정서를 가미하고 무대요소의 방향을 한국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새로운 셰익스피어의 극을 보여주는 사례도 적지 않다. 작품 '맥베드'는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 중 한 작품으로 '인간의 나약함과 양면성'을 주제로 하여, '탐욕'이라는 인간의 내재된 본성을 잘 표현한 작품이다. 그러나 작품 '맥베드'는 다른 작품에 비해 공연사례가 적은 편이며, 특히 한국적으로 해석되어진 예가 없어 본 논문의 주제 작품으로 선정하였고 한국의 전통 의상의 디자인의 요소들과 특성들을 고려하고 등장인물들의 성격을 분석하여 '맥베드'의 중요 배역을 선정, 의상을 디자인하고 실물로 제작하였다. 각 등장인물과 장면별 무대의상 디자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맥베드 장군의 의상은 왕에게 절대적인 신임을 얻고 있는 장군이면서도 마녀의 예언에 심리적으로 잠재되어 있던 권력에 대한 야욕을 품게되는 인물로 어깨나 하의에 장군의 갑옷 느낌을 주기 위하여 단순화된 디자인을 하고 불안정한 그의 심리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사선을 많이 사용항고 금색을 포인트로 왕위에 대한 욕심을 표현하였다. 맥베드 왕의 의상은 결국 왕을 시해하고 마녀의 예언대로 자신이 왕의 자리에 오른 다음의 의상으로 보라색의 한국적인 무늬 원단을 사용함으로서 왕으로써의 위엄과 화려함을 표현하였고 어깨에 한국적인 박쥐무늬를 모티브로 한 장식을 더함으로써 날카롭고 불안정한 이미지로 그의 상황을 표현하였다. 맥베드 부인의 의상은 맥베드보다 더 대담하게 왕의 시해를 부추긴 인물로 그녀의 권력에 대한 욕심도 맥베드 못지 않았음을 삼국 시대의 상(裳)과 유(유를 기본으로 하여 당의를 모티브로 한 조끼와 적의의 대를 더해 왕비가 된 후의 화려함을 표현하였다. 자칫 단조로울 수 있는 치마를 주름과 금박의 스란단으로 변화를 주었다. 덩컨 왕의 의상은 선정을 베풀던 온화하고 부드러운 그의 성격을 금색과 황토색을 주조로 따뜻하고 온화하면서도 왕으로써의 위엄을 표현하였고 어깨의 장식도 맥베드에 비해 부드러운 곡선을 많이 사용함으로써 맥베드의 성격과 대조를 이루도록 하였다. 뱅코우 장군의 의상을 권력에 대한 욕심으로 가득찬 맥베드에 반하여 정직하고 충성스러운 신하로서의 강직함을 맥베드의 카키색과 금색에 대비되도록 군청색과 은색을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마녀의 의상은 초현실적인 인물로서 한국의 무당과 접목시켜 색동의 느낌을 무채색으로 표현하였고 끈의 사용으로 성황당의 느낌을 나타내고, 과장된 바지와 가면으로 초현실적인 캐릭터임을 표현하였다. 또한 축광안료를 사용하여 암전시 의상에서 빛을 내용 효과를 시도하였다. 인물의 의상을 디자인하고 제작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양의 원작을 한국적인 이미지로 해석하여 올려진 예가 많으며 이런 극들이 오히려 해외 공연으로 서양의 극을 동양적으로 해석하여 관객들의 호응을 받은 점에 주목하고 이러한 시도들이 많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둘째, 디자인 면에서 한국적인 디자인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단순화시키거나 과장하여 극적인 요소를 살리고 서양적인 이미지를 접목시켜 동양적이라는 느낌으로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지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곡선과 직선, 사선의 디자인을 사용함으로써 관객에게 인물의 성격과 내적인 심리 상태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셋째, 색감에 있어서 한국적인 화려한 색의 사용과 전형적인 캐릭터를 나타낼 수 있는 색을 사용하였다. 역할에 따른 색의 변화도 인물의 상황 변화를 나타내는데 차분한 카키색의 맥베드 장군이 화려한 보라색과 금색 의상의 왕으로 변화하게 한 것으로 이러한 변화를 보여주었다. 넷째, 직물에 있어서 한국의 전통적인 질감과 현대적인 질감을 섞는 것이 중요하다. 현대적인 질감들을 섞어 전통적인 느낌의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었다. 전통의 금박 스란단을 기계 주름잡은 스커트에 도입함으로써 변화를 시도하였다. 외국의 번역극이 원작 그대로 올려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한국적인 색채를 입혀 새로운 형태를 제시하고자 하는 노력도 중요하다. 이러한 노력으로 전세계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무대미술 형태로 자리 매김하게 된다면 우리 나라의 극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정서적으로는 세계인의 공감을 유도하고 시각적으로는 한국적인 미감을 알릴 수 있는 이러한 형태의 극이 많이 시도되기를 바란다. Performing arts is a form of art which started and developed with the history of mankind as well as the other appearance of life treating human life. As a part of performing arts, stage costume has an important role which reproduces the characters in a drama and helps the understanding of the drama. The plays of Shakespeare express the real life and agony of human being excellently, so they have been produced and performed in Korea, too. We can see that they are represented as the classical style, or other style, namely the expression with Korean emotion and Korean aspects in stage object by new interpretation - so there are a lot of cases new styles of Shakespearean plays. 'Macbeth' is a work of the 4 tragedies by Shakespeare which expresses the internal nature of human being, 'Greed' under a theme of 'the feebleness and dual personality of mankind.' 'Macbeth' is less performed than other tragedies by Shakespeare, in addition it hasn't been interpreted by Korean view. Therefore, I decided it as the target work of this thesis, considered the elements & features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chose several main characters after analyzing their personality, and designed & produced their costume. The distinction of stage costume design of each character in each scene is as follows. General Macbeth is a character who has an ambition after hearing the prophecy by witches in spite of the ultimate truth of King Duncan. For the Costume of General Macbeth, he shoulder parts and pants was designed simply to give an image of armor, oblique lines were used to express the psychological condition of him, and gold color was used to show his greed for the throne. Macbeth wears Costume of King Macbeth after killing King Duncan and ascending the throne as the witches' prophecy, it used violet Korean pattern fabric to express the dignity and magnificence as a king, Korean bat pattern on shoulders showed sharp & anxious condition of Macbeth. Lady Macbeth is a character who drives Macbeth to kill Duncan, so her greed of the throne is not less than Macbeth. Costume of Lady Macbeth was expressed as the queen's splendor by a vest with the motive of Dang-eui and belt of Jeok-eui on the basis of Sang & Yoo in the age of Three Kingdoms. The skirt which can be seen too simple had pleats and gild cloth. Costume of Duncan expressed the mild & gentle character and dignity of him by gold and yellow. The ornament on the shoulders used curves in contrast with Macbeth's. Costume of Banquo expressed honest and loyal character as a retainer contrasted with Macbeth's character in full of ambition for power, so cobalt and silver were used different from Macbeth's khaki and gold. Costume of witches who are surrealistic characters related with Korean shaman expressed modern sense using achromatic colored stripped cloth, used several strips symbolizing the alter to a tutelary deity, and their surrealistic nature was represented by exaggerated pants and masks. It is as follows that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after designing & producing each character's costume. First, there were a lot of Western plays interpreted and performed by Korean image, moreover, audience have welcomed such Orientally-interpreted plays in foreign countries, so the attempts like them will be have to done well. Second, it is important that Korean design should be simplified or exaggerated for dramatic factors and attached to Western image to give Oriental image and avoid rejection. The character & psychological condition was transferred to the audience using straight, curved, or oblique lines. Third, I used Korean splendid colors and certain colors which can show typical character. Since colors changed according to the role and character's condition, we could guess the change of character when General Macbeth wearing calm khaki changed King Macbeth in gorgeous violet and gold. Fourth, it is important to mix the Korean traditional quality and modern quality in textile. The design of traditional sense could be showed by mixing modern qualities. It was an attempt for change that traditional gild Slan skirt was attached to the skirt frilled by sewing machines. It is important to perform foreign adapted plays, however it will be important to present new style worn in Korean own color. If such attempts will be known as a kind of performing arts all over the world, it will be a way for Korean performing arts to get worldwide approval. I hope that such types of plays which can arouse world people's sympathy in emotion as well as inform Korean aesthetics in visual.

      • 퓨전국악 그룹을 위한 공연예술 의상 디자인 개발

        김지은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21세기는 다양한 문화가 융합되어 나타나며, 고유의 전통문화에 새로운 가치들을 부여하여 또 다른 문화와 디자인을 창조하는 시대라 할 수 있다. 이는 사회·문화 전반에 걸쳐 ‘퓨전’ 이라는 현상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최근 몇 년 사이에 퓨전(Fusion)이란 용어는 21세기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주요 단어로 자리 잡았다. 국악계에서도 1980년대 중반 국악 실내악단 슬기둥의 출범 이후 국악의 대중화, 생활화라는 모토를 가진 새로운 창작음악들이 다수 생산되어 오면서 시장성과 수용층을 확보하게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시도들에 힘입어 개성이 뚜렷한 퓨전국악 그룹이 점차 많아지고 있으며 이 분야 음악가들의 활발한 연주와 음반작업을 통해 퓨전국악은 이제 장르 명칭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이처럼 퓨전국악이 점차 대중화 되어가면서 퓨전국악 그룹의 의상 또한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퓨전국악 그룹의 의상은 무대에서 연주하며 입는 의상으로 일반 의상과는 달리 특수한 목적을 가진 목적이 뚜렷한 의상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의상과 구별되는 차이점으로 인해 더욱 전문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지만 퓨전국악 그룹을 위한 의상에 대하여 전문적인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연예술 의상 중에서도 퓨전국악 그룹을 대상으로, 이들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춘 음악으로 활발히 공연활동을 하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악기 특성과 연주자세 등을 고려해 기능적이면서도 한국의 미를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심미적이고 독창적인 연주복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학위논문, 단행본 등의 문헌자료를 통해 퓨전국악에 대해 고찰해 보고 사진자료, 인터넷을 통해 현재 활동하고 있는 퓨전국악 그룹을 조사하여 의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현재 활동하고 있는 퓨전국악 그룹을 위한 기능적으로나 심미적으로 적절한 창의적인 새로운 연주복을 디자인 개발하고 제작하여, 최종적으로 공연 시 착장하는데 까지 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현재 활동하고 있는 퓨전국악 그룹은 뚜렷해진 음악적 성향을 가시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의상을 선택함으로써 그룹의 개성을 표현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그들의 의상에 대한 분석 결과, 퓨전그룹 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전통 한복 착용 유형은 아주 드물게 났다. 서양복 형태의 의상을 착용한 유형으로는 일상복이나 드레스 착용을 볼 수 있었는데, 짧은 드레스는 서서 연주할 때 착용하며, 긴 드레스는 앉아서 연주 할 경우가 많았다. 현대 퓨전한복, 한복드레스 등으로 불리는 치마와 저고리를 착용한 유형은 그 형태와 소재가 현대적으로 변형된 한복 착용으로서 저고리의 소매가 좁거나 여밈이 없고 소매가 사라진 형태의 디자인이 나타나며 치마말기에 수를 놓거나 한복의 조형성을 응용한 디자인 형태가 보였다. 또한 서양복 형태에 한국적 요소를 가미한 유형으로는, 드레스 형태에 한국적 요소를 가미하거나 서양복 형태에 한국적 소재를 사용하여 퓨전국악 그룹의 개성과 통일성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상에서 분석된 퓨전국악 그룹들의 의상을 바탕으로 퓨전국악 그룹 S.A.L.T를 위한 연주복 7작품을 개발하였으며 실제 공연에서 착용 하였다. 작품의 세부설명은 다음과 같다. 작품Ⅰ은 한복 치마의 형태로 말기에 자수와 큐빅을 부착하여 조명효과를 나타내며 한복원단을 사용하여 한복의 실루엣을 살렸다. 작품Ⅱ는 목련 꽃의 실루엣을 사용하였으며 한지를 이용해 한복치마 주름을 접어 한국적인 요소를 가미하였다. 작품Ⅲ은 랩 원피스의 형태로 꽃을 형상화하여 바람에 흩날림을 표현하고자 실크 원단을 사용하였으며 노리개를 변형하여 어깨끈과 연결된 형태로 디자인 하였다. 작품Ⅳ는 홀터 넥 원피스로 가야금 줄을 응용하여 의상에 치마의 핀턱을 잡았으며 벚꽃 잎 형태의 스팽글을 부착하였다. 작품Ⅴ는 목련꽃의 실루엣을 나타내는 스커트와 타악기 채의 조형성을 응용한 상의로 디자인 하였다. 작품Ⅵ은 기와 담장에 핀 봄꽃의 이미지를 모티브로한 기와 담장 선을 치마 선에 표현하였고 치마의 깊은 주름으로 음영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작품Ⅶ 는 짧은 원피스 형태로 치마에 전통문양의 금박을 찍어 한국적인 느낌을 더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 퓨전국악 그룹의 의상을 토대로 공연주제에 맞추어 연주복의 기능에 부합되며 한국의 전통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퓨전국악 그룹의 의상이 세계화 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연주복을 디자인개발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의 음악과 패션을 세계에 알릴 수 있으며 전문화된 다양한 디자인이 개발되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21st Century is the age that various cultures are appeared in fusion and new values created based on unique and traditional cultures make new cultures and designs mode demanded. Such trend is now shown as 'Fusion' phenomena crossing over all societies and cultures. During recent several years, the term 'Fusion' has been positioned as an important word to read the culture of 21st Century. I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gugak) industry, after the birth of Seulgidung, a gukak band in the middle of 1980s, many new music have been produced under the moto, "Make Traditional Music Popular for Daily Lives" and now the music's marketability and demanding audiences are secured. Powered by a series of such trials, the number of fusion gukak groups having vivid individual uniqueness is gradually growing and the fusion gukak is more firmly positioned as a music genre through performances and recording works of musicians known for their fusion gukak activities. As the gugak becomes more popular, many changes are made in costumes for the playes of those groups. Unlike other stage costumes, the costumes for fusion gukak groups can be considered to have clear and specific purposes. Due to the difference from other costumes. more professional attentions and researches are required. However, little professional research is found regarding costumes for fusion gukak group. Therefore, this study, based the idea from the fact that fusion gukak groups are actively performing with music with competitiveness not only in Korean market, but also in overseas markets, aims to develop aesthetic and unique performance costume designs with functionalities for the players considering their instrument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postures. The research methods include the review on fusion gukak through academic theses and publications and the costume analysis after investigating currently active gugak groups through press photos and the internet. The scope of this study covers up to the final costume wearing on a stage performance after producing creative new costumes adequate to the functional and aesthetic aspects for each instrument and player. Currently active fusion gukak groups desire to express their uniqueness by selecting costumes that visually display their musical tendencies. It is very hard to find gukak players wearing traditional Korean costumes due to their characteristics as fusion musicians. For western style costumes, groups wearing daily cloths or formal dresses are frequently observed while short dresses are worn mostly for standing performances and long dresses mostly for seating performances. Although some groups are appeared to wear tops and skirts in the style called as modern fusion Korean dress or to wear Korean traditional dresses, the style is from Korean traditional costumes modified in formations and materials to modern designs with narrow arm sleeves or no openings without sleeves in set with skirts decorated with embroideries or applications of the Korean traditional cloth's formativeness. With the type that mixes Korean elements on western style costumes, fusion gukak groups intend to show their uniqueness and uniformness either by adding Korean elements on the costume formations or by using Korean materials to western costume style. Based on the above analysis on costumes of fusion gukak groups, 7 performance costume designs are developed for a fusion gukak group, S.A.L.T. . The detail descriptions on the design works are as following: Work I is styled in Korean traditional skirt formations and emphasizes the lighting effect by adding cubics and embroideries on the end part and by applying the silhouette of Korean traditional style. On Work II, magnolia flower's silhouette is used and Korean elements are added with the folding on Korean traditional skirt by using Korean tradition paper. For Work III designed in a flower shaped one-piece dress, silk materials are used to express flowers spread by wind. The work's ornament is designed to connect the shoulder strings by modifying norigae. Work IV is a halter neck one piece dress with pin tuks folded on the skirt by applying Gayaguem string and spangles in cherry petal shapes. Work V is designed with the skirt presenting the silhouette of magnolia flower while a percussion instrument's stick shape is applied on the top of costume. Work VI expresses the line of Korean traditional roof tiles on the wall having spring flowers blossomed as the motive for the skirt line while the gray shadow effect of the skirt is emphasized with deep foldings. Work VII is in a one piece style with pressed gold foils in Korean traditional patterns to add Korean style feel. This study presents design developments for costumes adequate to the performance theme and fit to functionalities for performance. Also, a reinterpretation of Korean traditional beauty for modern styles is attempted with these new designs along with new concepts that may make the performance costumes of fusion gukak group popular in the world. It is desired that Korean music and fashion become known in the world and various specialized designs can be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이용한 가방 디자인 연구

        장은주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47

        현대 사회가 경제적으로 발달되고,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다양한 취향과 개성을 지닌 소비자들의 욕구에 차별화되고 개성 있는 제품의 생산이 요구되고 있다. 소비자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패션 의식이 날로 높아짐에 옷 뿐 만이 아니라 패션 소품 시장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패션에서의 옷은 패션의 기본이 되는 요소이며, 패션 소품은 패션을 완성시키는 요소라 할 수 있다. 현대에 들면서 패션 소품은 개개인의 패션 스타일을 완성하는데 그 역할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현재에도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패션 소품의 다양한 품목 가운데 가방(BAG)의 비중 또한 커졌는데, 패션 연출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필수적인 품목으로 인식되어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또한 개성 있는 시각적 표현의 사실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예술성에 더 많은 가치를 두고 생활 예술의 한 분야로 자리 매김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신만의 특별함을 표현하고 싶어 하는 현대인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가방 시장의 확대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며,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가방 디자인에 접목시킴으로써 현대적 감각에 맞는 개성적인 디자인을 창출하려는데 그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이론적 배경으로는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개념 및 역사, 표현 기법 종류 등을 살펴보았고, 가방의 정의 및 개념, 역사, 종류 또한 국내외 서적과 논문 자료 등을 통해 살펴보았고, 이를 토대로 총 8점의 가방을 제작 하였다. 작품 제작에 있어서는 면 옥스퍼드와 스웨이드 원단을 주로 사용하였고, 비즈나 구슬을 사용하여 포인트를 주었고, 작품 색상은 다양한 색을 사용하였다. 제작 방법은 인체나 인체 특정 부위를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으로 표현하고,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Adobe Illustrator)로 컴퓨터 작업을 한 뒤 원단에 DTP(Digital Textile Printing, 디지털 날염)와 전사 날염, 디지털 평판 프린팅을 하여 가방 제작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소비층인 10대~20대를 타깃으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이 접목된 가방을 제작함으로써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진부한 디자인에서 벗어나 개성 있는 가방 디자인이 제작되어 소비자들에게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며, 같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이라도 소재에 따라 분위기가 달라진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차별화되고, 개성화 된 가방을 제작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자신의 개성을 표출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접목하여 개성 있는 가방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은 소비자의 욕구에 충족될 수 있도록 발전시킬 수 있는 영역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본인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으로 가방 제작을 하였지만, 8작품의 일러스트가 모두 달라 전체 흐름의 통일성이 제시되지 못한 점이 아쉬운 점으로 남는다. 앞으로도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계속 되길 바라고,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접목하여 가방 디자인이 제작되는 연구가 계속 이루어지길 바란다. As modern society advances economically and changes quickly, the production of different and distinctive goods is demanded by the customers who have various tastes and personalities. The standard of living of the consumers has been improved, so the sense of fashion is getting higher and the importance of the fashion item market is getting enlarged in addition to clothes. Clothes on the fashion is an element which becomes the basic and the fashion items also are an element which is able to complete the fashion. In the modern times, the role of the fashion items is brought out more to complete the individual fashion style and even currently it is applied in various places. Among the divers fashion items, the value of the bag has been increased. Besides, the bag is recognized as one of critical fashion items and improving fashion style, therefore, it is widely applied. Also the fashion illustration puts worth on the artistry that pursuits realistic beauty of distinctive visual expression, and is positioning itself as a part of living arts. In this respect, this study expects the expanding market for bag design, and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reate new bag design that goes with the modern trend in an more effective way by applying the fashion illustration. The content and methodology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concept and the history of fashion illustration and artistic presentation techniques pattern. Furthermore, I found out the definition, concept, history, types of the bag throughout journals and treatise published in Korea and overseas. Based on this I produced eight pieces of bags. In the production of the bags, I used cotton oxford and suede mainly and used beads and spangles to draw attention. In addition, I used black and white mostly to display heaviness but tried to use various colors to keep abreast with the times. Methods for the production are drawing human bodies or specific parts of body with the fashion illustration, processing with Adobe Illustrator CS, using DTP and transfer-dyeing method on cloth, and making bag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I had a chance to inform people the fashion illustration processed with Adobe Illustrator and found out that bag designing with fashion illustration could create a new design for the target of young generations who are main consumers. Secondly, I had a chance to make distinctive bag designs and found that even though it was the same design, it shows different feelings with different materials. Lstly, the new designs could express individual personalities as distinctive bag designs. From the result, I had a chance to bag designs applying fashion illustration could create a new design who are main consumers. This study, I produced eight pieces of bags by my fashion illustration but it's inconvenient not to have an unity for eight pieces bag design. Because it was the different illustration. Also I expect that this grow study for fashion illustration and causes detailed and various bag designs with fashion illustration to satisfy the customers' personalized demand.

      • 한국전통문양을 응용한 현대의상 디자인 연구 : 수(壽)·복(福)문양의 직물 개발을 중심으로

        성미정 同德女子大學校 디자인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전통적인 요소의 현대적 활용 방안에 관한 논의는 이전에도 이루어져 왔지만 1980년대 포스트 모더니즘의 영향을 배경으로 더욱 확대되어 패션을 비롯한 다양한 디자인 분야에서 전통 문화의 활용 방안이 모색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지원 부족, 경쟁력이 떨어지는 상품개발, 우리 것에 대한 자부심 저조 등의 문제점으로 전통요소의 활용도는 그리 높지 않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문제점에 따라 작은 노력의 일환으로 전통문양의 활용 방안을 모색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통요소를 활용한 현대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에 따라 전통문양 가운데 장수와 다복을 직설적으로 표현한 문자 문양인 동시에 해학적인 미가 두드러지는 수(壽)복(福) 문양을 중심으로 상징성과 조형성에 근거하여 현대적인 이미지를 강조한 직물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목 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각종 단행본과 학위논문, 학술지, 대학 간행물, 패션 전문 잡지, 신문과 인터넷 등의 문헌연구와 박물관, 전시관 등을 통한 실물자료와 현대디자인의 사진자료를 바탕으로 한 실증적 연구를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한국 전통 문양의 일반적인 고찰과 수(壽)복(福) 문양의 유래 및 특성, 활용도를 조사하고 전통 문양이 응용된 현대디자인을 고찰 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수(壽)복(福) 문양을 응용하여 Digital Textile Printing, collage. taping의 표현 기법을 통해 직물 디자인을 개발함으로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전통문양은 그 형태별 종류가 각 시대의 사상과 문화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다양하게 전개되었으며, 특히 수복문양은 한자 문화권에 속해 있었기에 나타난 문자문양으로 그 상징성 때문에 신분여하를 막론하고 생활 깊숙이 다양한 형태와 용도로 사용되어 졌다. 수복문양은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이지만 민화에서 보여지는 백수백복도는 우리 선조들만의 소박한 미와 여유를 담은 문양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현대 디자인에 접목된 전통 문양은 복식의 각종 아이템과 공예에서 그 활용도를 발견 할 수 있었는데 다양하게 부각되지는 않고 있지만 디자인을 제시하고 상품화 시키는 일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작품제작을 위해 수(壽)복(福) 문양을 수와 복 구성, 수 구성, 복 구성의 세가지로 진행하여 각각의 상징성을 강조하면서 조형성을 표현할 수 있었고 각 모티프를 확대, 축소, 분리, 회전 등의 방법으로 재구성 함으로서 현대적 기호에 부합되는 디자인을 개발할 수 있었다. 현대적 감각에 맞는 전통 문양의 개발과 활용은 더욱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직설적인 수복 문양을 해학적이고 재치있게 형상화 시킨 다양한 표현은 무한한 디자인의 활용과 가능성을 엿 볼 수 있게 하였다. Modern applications of the traditional elements had been much discussed, but they began to be discussed more extensively since 1980‘s due to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and thus, designers have attempted to apply the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to a variety of designs including fashion. However, our traditional elements do not seem to be applied much because of poor government subsidies, less competitive commodities and poor pride in our tradition. Assuming that the traditional patterns should be applied to development of the modern designs, this study was aimed at addressing the problems involving applications of the traditional patterns and thereby, developing the designs of woven fabrics suggesting some modern images focused on 'longevity' and 'fortune' patterns which express the wishes for long and happy life, respectively, not only directly but humorously and symbolically. To this end, various books, dissertations, academic journals, college journals, fashion magazines, newspapers and Internet data were extensively reviewed, while those exhibits displayed at museums and exhibitions as well as real items and photos thereof were assessed, in an effort to examine the Korean traditional patters in general and their origins,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to modern designs in particular. Based on such reviews and analysis, longevity and fortune patterns were applied to develop some patterns of woven fabrics by using digital textile printing, collage and taping techniq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al patterns had evolved in various ways, being affected by the thoughts and cultural backgrounds of the time, and particularly, the patterns of longevity and fortune had been widely used in diverse forms and applications for people's life regardless of users' social classes, because they were originated from Chinese culture. Although these patterns were influenced by Chinese culture, the longevity and fortune patterns shown in our folklore paintings hint our ancestors' pursuit of a simple aesthetics and leisurely life. Second, the traditional patterns have been applied to a variety of items, handicraft works and paintings. Although they are not highlighted in diverse ways, they seem to be applied for merchandizement continuously. Thir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atterns of longevity and fortune by dividing them into three categories of longevity and fortune combined, longevity, and fortune, it was confirmed that each category had its own symbolicity and form. Furthermore, it was possible to develop some designs conforming to modern symbols by expanding, contracting, separating or revolving each motif. Lastly, it is hoped that the traditional patterns will be more developed and applied to have a modern sense. Particularly,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patterns of longevity and fortune could be expressed humorously and wittingly to develop infinite desig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