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초 독일 시민계급의 이데올로기와 그림동화

        송희영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9 獨語敎育 Vol.76 No.76

        Im Zentrum dieser Arbeit steht die Untersuchung von der deutschen bürgerlichen Ideologie zu Anfang des 19. Jahrhunderts und in den Grimmschen Märchen. 1812 erschien die erste Auflage der Kinder- und Hausmärchen der Brüder Grimm. 1819 erschien die zweite Auflage, und im Jahr 2019 wurde das zweihundertste Jubiläum der Kinder- und Hausmärchen gefeiert. Der Märchenforscher Lutz Röhrich meinte, das Märchen tut alles, um die Wirklichkeit nicht zu weit zu verlassen: Kinder- und Hausmärchen spiegeln somit die deutsche Gesellschaft des 19. Jahrhunerts wider. Ende des 18. Jahrhunderts kam das Rollenmodell des natürlichen Geschlechtscharakters auf, das ebenfalls einen großen Einfluss auf die Gesellschaft im 19. Jahrhundert ausübte. Frauen hatten demnach keinen Subjekt-Status, waren keine mündigen, autonomen Menschen, sondern benötigten eine Geschlechtsvormundschaft, ausgeübt durch den Vater oder den Ehemann. In den Schriften zementierten die bedeutenden Philosophen des späten 18. und frühen 19. Jahrhunderts wie Kant und Fichte ebenfalls die prinzipielle Ungleichheit der Geschlechter und rechtfertigten faktisch die Minderstellung der Frau. Gemäß dem sich unter diesen Bedingungen entwickelnden bürgerlichen Familienideal vertrat der Mann die Familie nach außen und nahm alle öffentlichen Aufgaben wahr. Im Gegensatz fand die Frau ihre Erfüllung in der Privatheit als Hausfrau und Mutter. Sie war dazu von jeder Art gesellschaftlich-politischer Mitwirkung ausgeschlossen und kümmerte sich um den Haushalt sowie den Familienalltag und sozialisierte die Kinder. In den Kinder- und Hausmärchen der Brüder Grimm wird die extreme Passivität und Subordinationen der weiblichen Figuren zum Ausdruck gebracht: Vor allem symbolisieren Dornröschen und Schneewittchen ‘schlafende Schönheiten’. Dornröschen schläft einhundert Jahr lang und Schneewittchen liegt lange in dem Sarg, als ob sie schlafen würde. Die Begegnung der Heldinnen mit dem zukünftigen Ehemann wirkt aus heutiger Sicht unfreiwillig, passiv und unterwürfig. Als völlig teilnahmslos gegenüber dem Gemahl könnten die beiden Frauengestalten gelten. Die Grimmschen Märchen spiegeln somit die Idealvorstellung des 19. Jahrhunderts von der Rolle der bürgerlichen Frauen wider. 그림 형제의 『아이와 가정의 동화』 가운데 「장미공주 Dornröschen」와 「백설 공주 Schneewittchen」는 아름다움과 순종, 수동성, 인내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동화들이다. 우리나라에서 「잠자는 숲속의 공주」로 알려진 「장미공주」의 여주인공은 100년간 잠들고, 백설 공주는 사과를 베물고 죽은 듯 잠들다가 깨어난다. 이들 ‘잠자는 미녀’는 아름답지만, 자신의 주장과 의견을 제시하기보다는 순종과 인내를 가장 잘 드러내는 여성상의 전형이다. 이들은 수동적이고, 순종적인, 그리고 끝내 인내의 기다림을 미덕으로 포상받는 여성들로서 그림동화는 이러한 인고의 기다림과 덕목을 지킨 여성들에게 마침내 해피엔딩을 선사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여성 이미지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동화는 결코 초 시대적인 산물이 아닌, 철저하게 당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가치관과 삶의 반영이다. 본 연구는 이에 주목하면서, 그림동화가 만들어진 사회적 배경을 살펴보기로 한다. 19세기 초 독일 사회의 변화와 시민계급의 이데올로기가 그림동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고찰하고, 이를 통해 탄생한 여성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19세기 독일 사회와 여성의 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분석대상은 그림동화 중 ‘잠자는 미녀’의 이미지가 가장 잘 드러난 「장미공주」와 「백설 공주」에 한정한다. 물론 그림동화의 여주인공의 이미지와 성차별에 초점을 두고 비판한 연구들이 많이 있다. 그림동화의 여성상에 관해 분석한 논문 중 대표적인 논문으로 「Grimm 동화에 있어서 여성 인물의 특성」(박대환, 독어교육, 1999), 그림동화의 여성상과 남성상을 유형별로 분석한 「그림 Grimm동화에 나타난 여성상과 남성상」(최석희, 독일어문학, 2000), 그림동화의 양극적 여성 이미지와 헐리우드 영화의 재현을 연구한 「천사 아니면 마녀? - 그림동화와 헐리우드 영화 속의 여성이미지」(송희영, 헤세연구, 2004)가 있다. 다만, 본 연구는 그러한 여성 이미지가 탄생하게 된 배경으로써 19세기 초 독일 사회를 주목해서 살펴볼 것이며, 그것이 그림동화에서 어떻게 재현되어 나타나고 있는지 역추적할 것이다. 그림동화 자체를 분석한 연구는 많아도 그림동화의 배경으로 19세기 초 독일 사회와 시민계급의 이데올로기를 주목한 연구는 많지 않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할 것이다.

      • KCI등재

        프랑스 역사야외극의 구성 요소와 지역 정체성

        송희영 한국문화경제학회 2016 문화경제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지역사(地域史) 기반 공연콘텐츠 창작사례를 보여주는 프랑스의 ‘역사야외극(Spectacles historiques)’을 심도 있게 탐색하여, 기존의 연극 장르와 구별되는 역사야외극의 구성 요건과 특성을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프랑스의 역사야외극은 고성(古城), 왕궁, 성당, 저택과 같은 역사문화유적지 경내에 마련된 야외무대에서, 그 장소와 관련된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과 연관된 이야기를 공연콘텐츠로 재현하여 관중들과 교감을 이루는 지역축제의 한 유형을 일컫는다. 본 연구는 프랑스 역사야외극이 배우(연희자), 관객(관중), 무대(공연장소)라는 연극의 3대 요소를 갖춘 역사극으로서의 속성 외에 지역의 장소 정체성을 표출하고 있는 지역문화콘텐츠서의 특성을 보유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지역문화콘텐츠로서의 프랑스 역사야외극의 특징은 첫째, 지역주민들이 연행의 주체로서 주도적인 참여를 하고 있다. 둘째, 역사극의 연행 장소에 깃든 문화적 기억, 즉 장소감을 드라마의 플롯으로 구성함으로써 공연콘텐츠를 매개로 한 지역 정체성을 구현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프랑스의 역사야외극 연구는, 공연콘텐츠를 매개로한 문화자원 활용 지역문화사업은 외부의 전문기획사에게 공연제작을 의뢰하여 지역에 일방적인 이식을 시도하는 관주도 용역사업에서 탈피하여,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어 역사극의 무대배경이 되는 장소에 깃든 문화적 기억을 스토리텔링으로 재현하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함을 가르쳐 준다.

      • KCI등재
      • KCI등재

        Effectiveness of a Stroke Risk Self-Management Intervention for Adults with Prehypertension

        송희영,남경아 한국간호과학회 2015 Asian Nursing Research Vol.9 No.4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community-based intervention for prehypertensive adults, to enhance stroke risk awareness and to adopt a preventive lifestyle for primary stroke prevention. Methods: This was a single-blinded, repeated measures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47 participants (23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4 in the control group) recrui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from two urban areas. The stroke risk self-management intervention consisted of three weekly, 2-hour, face-to-face sessions and two booster telephone sessions, utilizing strategies to enhance motivation for behavioral changes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All participants completed a pretest, a 1-month and a 3-month post test of stroke risk awareness and preventive lifestyle including blood pressure self-monitoring, healthy diet, and regular physical activit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two sample t test,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d Friedman test with PASW Statistics 18.0.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found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stroke risk awareness, blood pressure self-monitoring and regular physical activity, and were sustained over time. Conclusions: Our preliminary results indicate that the stroke risk self-management intervention is feasible and associated with improvement in self-management of stroke risk factors for primary stroke prevention among a prehypertensive population.

      • 日本總合商社의 發展過程과 對外貿易戰略에 關한 考察

        宋熹永 啓明大學校 産業經營硏究所 1982 經營經濟 Vol.14 No.1

        The Korean government, recognizing the need for trading companies to raise their marketing capabilities, introduced the General Trading Companies in 1975. The objective was to enlarge the scale of trading firms to sensitively confront th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marketing environment Six years after The General Trading companies system was introduced to Korea, there is a need to review the Korean General Trading companies. To fulfill this need, We must review the Japanese Trading Companies, the sogo sho sh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yale management performance of Japanese General Trading Companies, especially in the field of the overseas trading activities. Further more, this study aime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Japanese General Trading Companies, and to present proposals further sound development. For the above mentioned objectives, an overview of the natur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Japanese General Trading Companies is made in the second Chapter, and it is also reviewed how the Japanese Trading Companies system was created and how they are performing their activities now in Japan. Creation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Japanese General Trading Companies are made in the third Chapter. the more detailed comparision and review of the. foreign trade strategy in stages, activities of management and overseas marketing organization of Japanese General Trading Companies are also in fourth Chapter. The fifth Chapter presents the major problems facing the Japanese Trading Companies and also proposals for further improvement.

      • KCI등재

        폴 틸리히와 ‘문학과 신학’에 관한 독일의 후속 연구

        송희영 한국헤세학회 2019 헤세연구 Vol.42 No.-

        Paul Tillich hat in dem Aufsatz Über die Idee einer Theologie der Kultur(1919) versucht, das Verhältnis von Theologie und Kultur grundlegend neu zu definieren und dabei eine ‘Kulturtheologie’ vorgestellt. Diese Theologie macht es sich zur Aufgabe, zwischen dem christlichen Glauben bzw. der Theologie auf der einen Seite und der modernen, säkularen Gesellschaft auf der anderen Seite zu vermitteln. Nicht der Gegensatz, sondern die Vermittlung zwischen Religion und Kultur steht für Tillich im Vordergrund, da die Religion selbst nicht ohne kulturelle Vermittlungen existieren könnte: “Religion ist die Substanz der Kultur - Kultur ist die Form der Religion”. Mit Beginn der 1970er Jahre kam es in Deutschland im Verhältnis zwischen Theologie und Literatur zu einer Neuorientierung im Paradigma des Dialogs. Dorothee Sölle, Dietmar Mieth und Karl-Joseph Kuschel haben die Forschung über das Verhältnis von Theologie und Literatur weitergeführt. Realisation. Studien zum Verhältnis von Theologie und Dichtung nach der Aufklärung von Sölle, Dichtung, Glaube und Moral von Mieth und Jesus in der deutschsprachigen Gegenwartsliteratur von Kuschel haben im Gefolge Paul Tillichs produktive Ergebnisse zum Verhältnis zwischen Theologie und Literatur geliefert. 이 논문은 ‘폴 틸리히와 문학과 신학에 관한 독일의 후속 연구’에 대해 살피고 있다. 문학과 신학의 상호관계에 대한 이론적 단초가 1919년 독일의 신학자 폴 틸리히를 통해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독일의 후속 연구는 1970년대에나 가능했다. “신학은 어떻게 문화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가?”라는 문제제기로 신학과 문학 모두에게 혁신적인 단초를 제시했지만, 틸리히는 나치정권을 비판했다는 이유로 미국으로 망명해야 했으며, 미국에서 <문화의 신학>과 <존재의 용기>를 발표하고, 이를 통해 1950년대 미국의 신학과 문학의 진영에서 후속 연구들을 꽃피웠다. 히틀러의 유대인학살에 대한 독일 기독교의 침묵은 종교에 대한 근본적인 불신을 가져왔다. 이러한 연유로 독일에서의 ‘문학과 신학’의 대화 가능성은 보이지 않다가 1970년대 초반 도로테 죌레, 디트마 미트, 칼-요셉 쿠셸과 같은 학자들을 중심으로 ‘문학과 신학’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진척되었으며, 이들이 발표한 출판물을 토대로 두 학문 간의 생산적인 논의에 박차를 가하기 시작했다. 특히 죌레가 제시한 문학과 신학의 상호 오해의 불식에 대한 노력과 두 학문 모두의 현실관여에 대한 촉구는 많은 연구가들에게 후속 연구를 촉발시켰다. 미트는 문학과 신학이 부패와 타락, 무질서의 사회 속에서 도덕과 윤리의 기준을 높은 지향점으로 두고 있다고 강조했으며, 쿠셸은 문학과 신학이 상호 협력을 통해 기존의 “조종되고, 길들여진 권력의 언어”에 비판적으로 대응할 뿐만 아니라 “기능화된 사회”를 거부하는데 앞장 설 수 있는 대화 파트너임을 밝히고 있다.

      • 프랑스 방데의 기억문화유산과 역사테마파크 ‘퓌뒤푸’

        송희영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5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

        프랑스 서부 방데(Vendée) 지역은 ‘전쟁(1793 방데내전)에 대한 비극적 체험’이라는 지역의 기억문화유산을 콘텐츠 화하여 조성한 역사테마파크 ‘퓌뒤푸(Puy du Fou)’의 성공적 운영으로 무명의 시골마을에서 세계적인 여가문화산업공간으로 탈바꿈하였다. 1978년도에 창설되어 37년 간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퓌뒤푸의 문화산업적 성과는 글로벌 테마파크·레저산업분야에서 큰 주목을 받는 창의적 문화경영의 대표 사례로 손꼽히고 있다. 퓌뒤푸 테마파크가 프랑스를 대표하는 문화관광 명소라는 위상을 얻기까지에는 프랑스대혁명 중에 발생한 내전(방데전쟁)의 혼란 속에서 대학살이라는 비극적인 사건의 당사자요, 피해자의 위치에 있었던 방데인들 스스로가 겪었던 쓰라린 역사(traumatic history)를 기억하고 기념하고자 하는 의지와 실천적 행위가 내재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관점을 중점으로 다루고자 한다. 첫째, 프랑스 대혁명시기에 지역공동체가 체험한 혁명군에 의한 지역민 집단학살이라는 비극적 체험에서 비롯된 ‘집단기억’이 ‘지역정체성’으로 정착되는 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둘째, 프랑스 대혁명 당시 집권세력에 의해 ‘반혁명성’으로 명명된 방데의 지역정체성에 의해 창안된 ‘반혁명적 역사야외극 시네세니’ 를 통해 구현된 방데의 지역정체성의 콘텐츠화 과정에 대한 탐색이다. 퓌뒤푸 테마파크 연구에서 본 논문은 퓌뒤푸가 이룩한 문화산업적 성취를 포함하여, 지역의 기억문화유산을 공연예술콘텐츠라는 유형의 문화콘텐츠로 구현하는 과정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는 부분에 초점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첫째, 기존의 문화유산 개념이 ‘기억의 장소’라는 개념을 통해 어떻게 확장되는지를 살펴보는 동시에, 그것이 지역의 정체성을 어떻게 구축하고 재편하는지를 탐구하고자 피에르 노라(Pierre Nora)가 주창한 ‘기억의 장소(Les lieux de mémoire)’ 개념을 활용했다. 둘째, 문화콘텐츠로 승화된 퓌뒤푸 테마파크의 문화산업적 성과분석을 통해 지역의 기억문화유산의 콘텐츠화에 대한 의의와 시사점을 살펴봄으로써 지역의 유·무형 문화유산으로서의 역할을 어떻게 공고히 했는지에 탐색하였다. 퓌뒤푸의 경우, ‘시네세니’라는 지역을 대표하는 성공적인 문화상품이 생산되기까지에 방데전쟁이라는 과거의 비극적 역사적 사건으로부터 유래된 ‘지역공동체의 기억’을 마치 하나의 전통유산처럼 보존하여 후세에게 대물림해온 지역문화가 밑바탕에 자리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기억문화유산을 활용한 퓌뒤푸의 문화기획 활동은 지역공동체 단위의 자율적이고 자발적인 문화 기획력을 배양시켰을 뿐만 아니라, 국내적으로 공화파와 왕당파로 나뉘어져 있던 국가의 이념적 갈등해소에 유효한 주도적인 역할을 기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비극적인 과거의 역사적 사건을 긍정적으로 승화시키는 효과를 불러일으킨 것으로 판단된다.

      • 海上運送人의 責任과 積荷保險에 관한 硏究

        宋憙永 건국대학교 1983 學術誌 Vol.27 No.1

        Insurance is a basic element both in our personal lives and in commerce. When we extend the practice of insurance to the international trade, it understandably takes on a more complex pattern due to the wide variety of goods, ships, countries and the methods of transportation which are encountered in the trading of goods and services. In the areas of international trade, our main interest is marine insurance and the particular segment known as cargo insura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ability of carrier and cargo insurance,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principle of the Hague Rules. For the above mentioned objectives, this study is composed of: A.Carriage of the sea and cargo insurance involved in the marine insurance, the insurance against good's loss and damage. B.The extent of the carrier's liability for the cargo insurance risk and the point at which risk between the carrier and the insurer. This will, of course, hinge upon the nature of the particular insurance contract. C.A knowledge of the marine insurance act of 1906, an understanding of the basic marine insurance contract and its construction together with the various types of risk and cover as formulated in the Institute cargo clauses. D.The liability of the Hamburg Rules 1978.

      • KCI등재

        문화콘텐츠를 통한 비극적 지역사의 다크 투어리즘 활용 전략: 프랑스 방데를 중심으로

        송희영,배은석,임동욱 한국예술경영학회 2015 예술경영연구 Vol.0 No.34

        방데전쟁(1793∼1796)은 지방 경제상황을 악화시킨 혁명정부의 폭정에 대항한 프랑스 서부 농민들의 반혁명운동으로부터 촉발되어, 중앙정부군에 의한 방데 농민군과 양민집단학살로 이어진 비극적 사건이다. 프랑스 대혁명이후 방데지방은 반동이라는 낙인이 찍힌 채 소외되어 왔고, 제1·2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국가(프랑스)를위해 싸웠음에도 불구하고 온전한 평가를 받지 못했다. 한편, 방데 지역민들은 방데전쟁으로부터 겪은 비극적 경험을 의식화, 보존화, 영속화 과정을 거친 집단기억으로 집결시켜 이를 후세에 전달하는 지역정체성을 보유하게 되었다. 오늘날의 방데는 전쟁기억이 남아있는 유적지를 보존하거나 비극성이 짙은 추모행사를 개최하는 일 외에, 뮤지엄·역사체험관·공연물·테마파크 등 비극성이 옅은 문화콘텐츠를 적극 제작, 보급함으로써 프랑스를 대표하는 문화상품 생산지로 국내외의 지대한 관심을 받고 있다. 또한 국가의 공식 역사에서 잊히고 왜곡된 방데 지역사가 재조명을 받는 변화를 이끌어 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방데 지역민들이 비극과연관된 장소 방문을 유도하는 다크 투어리즘을 활성화하되, 예술성과 오락성을 용인하는 탈신성화 원칙으로 스펙트럼의 폭을 넓힌 콘텐츠 전략이 자리하고 있다. 방데 지역은 비극적 참상과 거리가 먼 요소들을 내세움으로써 타 지역의 공감과 후속세대의 관심을 이끌어내는 구심력을 발휘하는 다크 투어리즘 전략을 통해 지역정체성의 핵심에 대한 역사적 평가의 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Since the French Revolution, the regional states were faced with financial difficulties as a result of the actions taken by the Revolutionary government. In the region of Vendée, a group revolted against the tyranny and started what is known as the War in Vendée (1793∼1796). The entire peasant army was perished while the old and the weak were slaughtered. Residents of the area have commemorated, restored and persisted this tragic memory into a mass memory and transferred it to the next generation to create a united regional identity. However they were branded as rebels of history and were never properly recognized for their participation in the international warfare including the First and the Second World War to protect France. Most recently, the region is once again receiving limelight helped not only by the commemorative events and preservation of the historic sites that highlight the tragedy, but also by an active production of cultural contents including museums, experience centers, performances and theme parks that reveal the tragedy less intensively. Today, Vendée is known as a region that produces notable French cultural commodities. It was made possible by expanding the spectrum through the desacralization principle, where the dark tourism seeking the tragedies and locations related to those tragedies was promoted while its quality as art and entertainment was deemed acceptable. It is a noticeable case that has changed the historic assessment of the region’s identity by focusing on the strategy to obtain sympathy of other regions and interest of the next generations.

      • 戰後復興期 日本의 經濟發展 : 資本蓄積과 産業政策을 中心으로

        宋熹永 建國大學校 經濟經營硏究所 1986 商經硏究 Vol.11 No.1

        The high level of development of the Japanese economy is now a well-known fact,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postwar reconstruction period. In this paper, we intend first to ascertain this development in a few category, and then to explore the various factors which are responsible for its high level, although we are not certain we shall cover all such factors. Therefore, in this paper, we attempt to analyze the following category: 1. The Growth condition of in the postwar reconstruction period; 1) the land reform, dissolution of a financial clique and reform of labor union. 2) economic plan. 2. Capital accumulation and Economic Growth. 3. Process of Industrial policy Let us explain briefly in above mentioned category. 1. 1) In the postwar rehabilitation process, land reform in agriculture reduced the share of the land-owner's rent, and greater power of labor unions increased labor's relative share of the national income, both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widening the domestic market. 2) And in Japan, we have had several economic plan in postwar period, but it is very striking that in each case the plans' targets were extremely underestimated, as compared with actual outcome. This seems to depend upon the fact that once a plan was announced, firms always behave assuming that the plan's target is a minimum line below which the firms could not but be defeated in the cutthroat competition with other firms. Therefore, firms try to expand their investment beyond the target prescribed by plan in other to extend their market share. 2. In the Development of Japanese Economy, we see a process of rapid economic growth through explosive investment behavior and downward price adjustment. It seems to be important to recognize the role of such a disequilibrating mechanism in causing the exceptionally high rate of growth, for without this unstable mechanism we could not have attained such a rapid development. 3. One of the secrets of Japan's high rate of postwar growth lie in process the industrial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