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古朝鮮의 位置와 中心地 문제에 대한 고찰

        송호정(Song Ho-Jung) 한국고대사학회 201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8

        고조선사에 대한 역사 지리 연구는 각 시대의 역사인식과 연구과제에 따라 그 관심과 방법론이 변화되었고 앞으로도 계속 그럴 것이라 생각한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요동 지역에 초기 중심지를 두었던 고조선이 후기 단계에 이르러 燕의 진출로 서북한 지역으로 이동했다고 보고 있다. 최근 들어 고고학자를 중심으로 초기 고조선의 중심지를 대릉하 유역까지 포함시켜 보려는 견해가 집중 검토되고 있다. 여전히 평양 대동강 유역에 중심지를 두고 있었다는 견해도 존재하는 데, 이 주장도 초기 고조선의 서변은 요동까지였다고 보고 있다. 만일 일반적인 주장처럼 遼東地域 정치체를 古朝鮮과 관련시켜 볼 경우 초기 고조선의 중심지가 어디인지에 명확한 고찰이 필요하다. 요동 지역에서는 서북한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청동기가 많이 나오나 현재까지의 고고학 자료 출토 상황으로는 요동 지역에서 청동기 시대 고조선의 중심지를 찾는 작업이 쉽지 않다. 이 과정에서 특히 유의할 점은 비파형동검문화 범위 내의 모든 유적유물 갖춤새를 고조선에 속하는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점이다. 그 정확한 경계를 찾는 것은 어려운 일인 바, 결국 중심되는 청동기 문화유형을 찾는 것이 가능할 뿐이다. 기원전 4~3세기 중국 전국시대 후기에는 중국으로부터 철기문화가 전래되면서 요동 지역도 燕 문화의 영향권으로 들어가게 된다. 고조선은 이 시기 언젠가 千山山脈 이남의 압록강과 청천강을 경계로 그 이남 지역을 배경으로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漢 이후 중국과의 경계 지점인 浿水 역시 압록강이나 청천강으로 비정되며, 고조선의 마지막 수도 왕검성은 패수 남쪽인 대동강 유역으로 보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다. 전성기 古朝鮮과 漢의 경계 문제는 문헌상에 보이는 ‘秦故空地 上下障’과 ‘滿藩汗’의 위치 및 요동~서북한지역의 명도전ㆍ초기세형(한국식)동검문화ㆍ초기철기문화의 성격에 대한 종합적 고찰을 통해 더 분명해지리라 생각한다. The research on Gojoseon's historical geography has changed in its interest and methodology according to the consciousness of history of each era and research project, and it is thought that such a trend will be going as ever. Most of the research works up to the present indicate that Gojoseon, which had located its initial central place at Liaodong area, moved to the northwest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its latter period with the launch of Yeon State. In recent times, the opinion arguing, with archaeologists as the center, that the initial central area of Gojoseon covered as far as the Dalinghe Basin is being intensively discussed. However, there still remains an argument that the central area of Gojoseon was the Daedong River basin, and this argument also reports that the westward area of initial Gojoseon reached up to Liaodong. In the latter period of Civil Wars in China in the 4th~3rd century before Christ, Liaodong area also came under the influence of Yeon culture with ironware culture handed down from China. Gojoseon seemed to have developed itself sometime in this period on the background of the area south of the border formed by the Yalu and Chungcheon River south of the Cheonsan Mountain Ranges. In addition, the Paesu River, which was a border with China after the period of the Han Dynasty, is also conjectured to be the Yalu or Cheongchun River, and thus it's the most rational to judge that the last capital of Gojoseon-theWanggeum Castleis estimated to be located at the Daedong River basin south of the Paesu River.

      • KCI등재후보

        고조선을 둘러싼 상고사 체계에 대한 인식의 시대적 변천과 그 의미

        송호정 ( Song Ho-jung ) 청람사학회 2018 靑藍史學 Vol.27 No.-

        There have been two types of worship of Dangun from ancient times until today. One is the belief in Dangun as the national religion and the other is about Dangun as a transcendental being or god. Obviously, the two sides are not separate, but two sides of Dangun worship. It is because Dangun had both historical and religious meaning ; he was sacred because of his historical position as a founder. Now, our people are having a hard time because the same ethnic groups are divided into the South and the North. That is why efforts are urgently needed to bring about reconciliation and restore community spirit through the spirit of Dangun. However, in an effort to restore homogeneity between the two Koreas, it is imperative to remember that the two Koreas should not, as a pseudo-historian claim, be aware of the existence of Dangun and Dangun Joseon. It is important to rethink the historical meaning inside. Dangun may be a symbol as the founder of the nation, but he should not be regarded as a subject of religious faith. In that case, Dangun will end up as one of many folk gods.

      • KCI등재

        고조선사 연구 방법론의 새로운 모색

        송호정 ( Song Ho-jung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인문학연구 Vol.0 No.34

        고조선(古朝鮮) 관련 사료 가운데 주로 인용되는 것으로는 선진(先秦) 시기의 문헌 일부와 『사기(史記)』 조선열전(朝鮮列傳), 『삼국유사』 고조선조, 그리고 『위략(魏略)』, 『염철론(鹽鐵論)』 등이다. 고조선 관련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사실은 고대 중국인들이 기원전 7세기에 요동(遼東)과 가까운 지역에 위치한 조선(朝鮮)을 알고 있었다는 점이다. 『위략』기록을 중시하면 고조선 중심지가 요동에서 한반도 서북 지방으로 옮겨졌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나머지 기록을 보면 전국시대 연(燕)의 동쪽에 조선과 요동이 다른 지역에 존재하고 있었고, 조선은 요동 바깥의 한반도 서북지방에 위치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동안의 고조선사 연구는 요령성 지역 고고학 문화 유형을 분류하고 이를 단편적인 문헌 기록과 연계하여 고조선의 문화를 추론하는 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론은 선입관이 많이 작용하고 자료에 대한 자의적인 해석이 지나쳐 고조선사와 관련하여 진전된 해석을 얻기가 어렵다. 고조선사를 명확히 해명하기 위해서는 이제까지의 접근 방법과는 다른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고조선은 고대국가이므로 그 연구 주제를 국가 형성 과정 연구에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가 형성 단계의 고조선 문화, 즉 고조선의 고고학적 지표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 지에 대한 정리가 중요하다. 고조선 관련 고고학 자료가 일정하게 정형성을 보이고, 한 곳에서 집중적으로 조영된다면 그것은 고조선의 국가 사회와 연결시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대개 고고학계에서는 고대국가 성립의 지표로 왕성의 축조 여부와 특정 토기양식의 성립, 고분(古墳)의 등장, 중앙에서 위세품(威勢品)의 사여(賜與), 원거리 대외교역권의 확립 등을 들고 있다. 이 가운데 고분 자료만을 보더라도, 요하를 경계로 무덤 양식이 구분되고 있고, 전국시대 이후 움무덤(나무곽무덤)이 한반도 서북지역에 집중하고 있는데, 이 지역은 옛 기록들에 보이는 소국(小國)의 읍락 또는 국읍(國邑)의 전신인 우세집단이 자라난 곳으로, 고조선의 중심 지역이라 할 수 있다. Among the documents related to Gojoseon, the most commonly cited documents are a part of the documents of the Pre-Qin Dynasties, “Shichi(史記)” the lives of Gojoseon Dynasties, “Samguk Yusa” the Gojoseon Dynasty, and “Weirue(魏略)”, “Yentierun(鹽鐵論)” etc. The fact that ancient Chinese people knew about Gojoseon located near Liaodong area in the 7th century BCE can be confirmed by the data related to Gojoseon`s history.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center of Gojoseon Dynasty was moved from the Liaodong area to the nor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if you value the Weirue record. However, the rest of the records show that Gojoseon and Liaodong area existed in different regions in the east of the Yan(燕) era, and Gojoseon seems to be located in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outside the Liaodong. The study of Gojoson history has been carried out by classifying archaeological culture types in Liaodong area and linking them with fragmentary document records to deduce the culture of Goioseon. This research methodology is difficult to obtain advanced interpretation in relation to the history of Gojoseon. because many prejudices are acted and the interpretation of data is too much. In order to clarify the history of Gojoseon, a different approach from the previous approach is needed. It is necessary to focus its research topic on the study of state formation process since Gojoseon is an ancient state. It is important to clarify what kind of archaeological indicators of Gojoseon culture in the state formation stage. If archaeological data related to Gojoseon are constantly formed and concentrated in one place, it can be linked to Gojoseon`s national society. Generally in the archaeological world,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as an indicator of the establishment of the ancient state what whether or not to build a Palace, to establish a certain earthenware style, appearance of tombs, to give a majestic things to the management from the center, distance trading. Among them, the grave style is divided by the boundary of the Liaohe river, and the pit tomb has been concentrated in the 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age of the warring states. It is the central area of Gojoseon where the predominant group grew up, the small country.

      • KCI등재

        기원전 2세기 古朝鮮 準王의 南來와 益山

        송호정(Song Ho Jung) 한국고대사학회 2015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8

        본 연구는 『삼국지(三國志)』 및 『후한서(後漢書)』 등에 보이는 기원전 2세기 초 고조선 준왕(準王)이 ‘한(韓)’ 지역(=馬韓)으로 내려왔다는 기사를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준왕이 내려 온 지역은 고려시대 이래 전통적인 견해에 따라 익산(益山)으로 파악하였다. 기원전 3~2세기경 후기 청동기문화가 한반도 서북지방과 금강~만경강 유역에서 유사하게 번성한 점은 문헌 기록을 입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필자는 본고를 작성하면서 크게 두 가지 사실에 주목하였다. 하나는 고조선 준왕이 한강 이남의 한(韓) 지역에 내려오면서부터 처음으로 한(韓) 연맹체 사회가 시작되었다면, 두 지역은 동일한 청동기문화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지금까지 조사된 고고 자료에 대한 고찰 결과 한반도 서북지방의 후기 청동기문화(=준왕 단계 고조선의 청동기문화)와 가장 유사한 청동기 문화가 집중하는 곳은 전라북도 익산(益山) 지역이었고, 그 지역이 바로 준왕이 내려온 곳이었음을 설명하였다. 다른 하나는 진국(辰國)의 위치 문제이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한강 이남에서 금강 이북에는 ‘진국(辰國)’ 또는 ‘중국(衆國)’이 존재하고, 금강 이남 지역은 ‘한(韓)’으로 불렸으며, 이 지역에 준왕이 내려온 것으로 보았었다. 이에 대해 본고는 금강 이북에서는 현재까지의 조사 결과이지만 특별한 고고 자료가 조사되지 않아 특별한 정치체를 비정하기 어렵다고 보았고, 오히려 금강~만경강 일대에 걸쳐 진국(辰國)이 위치했을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그 지역에 준왕이 내려왔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분명 고조선 준왕의 남쪽 이주는 한반도 남부 지역에 선진적인 금속문화의 경험을 일찍 할 수 있게 하였고, 그것이 바탕이 되어 삼한(三韓) 사회가 열리는 기본 배경이 되었으며, 마한(馬韓)의 진왕(辰王)을 중심으로 한(韓) 연맹체 사회가 시작되는 계기가 되었다. This study is based on trust in ‘The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and ‘The Book of the Later Han’ mention that King JUN of GOJOSEON went down to the HAN region (MAHAN) in the early 2nd century B.C. With the traditional view from the GORYEO Dynasty, it appears that he went down to IKSAN. Meanwhile, during the 3rd and 2nd centuries the bronze ware culture of the nor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was as thriving as the basins around GEUM River and MANGYOUNG River, which seems to substantiate literature records. The author focused on two points. One is that the bronze ware cultures of the two regions might have in common if King JUN of GOJOSEON went down to the HAN region and first formed a union. So far, archaeological materials have showed that the late bronze ware culture of the nor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that of GOJOSEON at the time of King JUN) was most similar to that of IKSAN, whereto King JUN went down. The other is the problem of the kingdom called ‘JIN.’ Many scholars have viewed that a kingdom named ‘JIN’ or ‘JUNG’ was located in the north of GEUM River, and that the south of the river was called the HAN region and the king went down there. In the author’s opin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mment on a specific political body because at least for now there has been no archaeological material that could be evidence in the north of GEUM River. Instead, the author’s argumentum is that the JIN Kingdom was more likely to be located along GEUM River and MANGYOUNG River, and moreover it was highly likely that King JUN went down to the region. Evidently, the transfer of King JUN enabled the early spread of advanced metalwork to the south the Korean Peninsula, and therefore led to the opening of the Three HANs and the consequent HAN Union.

      • KCI등재

        실학자들의 역사지리관과 고조선 한사군 연구

        송호정(Song Ho-Jung) 한국고대사학회 2011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2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글 속에는 비록 소박한 형태로 개진되었지만 20세기 들어 많은 논란의 대상이 된 고조선의 중심지 위치 및 한사군에 대한 요즘 학계의 주장 내용이 모두 나타나고 있다. 실학자들 가운데 가장 치밀한 논지를 전개한 정약용은 고조선과 漢四郡의 위치 비정을 통해 대체로 압록강 이남을 우리의 영역으로 보면서 압록강 중류의 이북 지역에 대해서는 우리 영역과 관련이 있는 지역으로 보았다. 그러나 압록강 이북 지역을 우리 강토로 생각한 것은 분명 아니었다. 이는 일제 시기와 해방 후 한국고대사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 이병도의 입론의 근거가 되었다. 이러한 실학자들의 실증적인 학풍이 계승ㆍ발전되어 나갔다면 고조선사를 포함한 한국고대사에 대한 논의는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진전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조선 역사는 일제 식민지로 귀결되었고 실학자들의 문헌고증에 바탕한 역사 지리 연구 흐름 또한 단절되고 말았다. 다만 실학자들의 연구 성과는 일제시기와 해방 후 오늘날까지도 일정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약용 등 실학자들의 고조선사에 대한 인식에서 중요시되는 것은 실증에 입각한 문헌고증과 비판정신이다. 실학자들의 방대한 문헌 고증은 이후 고조선사를 연구하려는 연구자들에게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오늘날 고조선사에 관한 위치나 강역의 문제가 애국심 논쟁으로까지 비화되고 있는 실정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엄밀한 사료비판을 통해 객관적인 고조선을 이해하는 것이라고 할 때, 정약용 등 실학자들의 연구방법과 비판정신은 훌륭한 귀감이 되고 있다. Though it was stated in simple form in the articles of Sirhak(Practical Learning) scholar of the latter period of Old Chos.n, the three views of the center location of Old Chos.n which became the object of much controversy in the 20th century all appear. If the empirical academic traditions of Sirhak scholar was succeeded to and developed, discussion on Korean ancient history including Old Chos.n history might have been advanced to more desirable directions. However, the history of Old Chos.n was concluded to Japanese colony and the flow of research on historical geography based on historical research on literature by Sirhak scholars was also cut off. Only, the research result of Sirhak scholars has certain influences in Japanese empire period and until today since the Liberation. Especially, Jeong Yak-Yong who unfolded the most elaborate point of the argument among Sirhak scholars by and large regarded the south of Aplok River as our region through assumption of the location of Hansagun(Han Chinese Commanderies) and regarded the north of the midstream of Aplok River as the region related to our territory. However, it was certainly not that he thought the region of the north of Aplok River to be our territory. It became the foundation of the argument of Lee Byeong-Do who suggested the direction of studies on Korean ancient history in Japanese empire era and after the Liberation. Above all, what is regarded as being important in Sirhak scholars’ recognition of Old Chos.n history is historical literature research and spirit of criticism based on proven facts. The enormous historical literature research as much as it is impossible for scholars today who are to study Old Chos?n history to find something additional to the literature materials he proved is providing precious materials to the researcher who are to study the history of Old Chos?n.

      • KCI등재

        衛滿朝鮮의 성장과 주변 국가와의 관계

        송호정(Song, Ho-jung) 고조선단군학회 2021 고조선단군학 Vol.46 No.-

        기원전 2세기 초 燕王 盧綰 밑에 있던 衛滿은 독자적으로 세력을 이끌고 漢의 동쪽 경계 遼東故塞를 나와 浿水를 건너 秦故空地 上下障 지역에 거주하다가 대동강 유역에 위치한 王儉城의 準王을 밀어내고 왕위에 올랐다. 그리고 위만이 처음 자리 잡은 고조선 중심지(왕검성 지역)는 일제 시기에 조사된 秥蟬縣神祠碑와 최근 소개된 樂浪 初元 4년명 木簡에 따르면 평양 대동강 유역이 분명하다. 위만은 처음 자기를 따라온 流移民들을 따로 중국적 질서에 편입시키거나 토착민과 구분하는 정책을 취하지 않았다. 이러한 점은 漢代 중국 남부지역에 세워진 남비엣의 역사와 유사하다. 漢의 주변국인 남비엣[南越]과 위만조선의 경우 비록 왕조의 출발은 中國系 官人에 의해 시작되었으나 流移民과 土着民 사이에 구분되는 활동이나 종족적 차이를 보이지 않고 하나의 국가와 민족으로서 漢에 대항하면서 발전해 나갔다. 점차 위만은 중국으로부터 兵威財物을 취득함으로써 그 이웃의 小國을 침략하고, 마침내 眞番·臨屯·沃沮 등 주변 小國들을 복속시켜 사방 수천 리의 영역 국가로 발전할 수 있었다. 기원전 2세기 당시 정권을 잡은 衛滿은 주변 종족들이 중국의 국경을 침범하지 못하게 하고, 또 중국과 교통하는 것을 막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漢나라와 外臣 關係, 즉 君臣 關係를 맺었다. 나아가 한강 이남의 중서부 지역에 위치한 辰國 연맹체가 위만조선의 중개를 거치지 않고 漢과 직접 교섭을 시도하자 위만조선은 이를 방해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위만조선과 한 사이에 무력 충돌이 일어나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In the early 2nd century B.C., Wiman, the subordinate of The King Nogwan of the Yeon Dynasty, independently led the forces and left the Wall-fortress in the Liaodong area to drive out King Jun, who lived in Wanggeomseong Fortress, located in the Daedong River basin, and ascended the throne. Wiman inherited the ruling system of Gojoseon society as it was, and the name of the country was still called Joseon(朝鮮), and it strengthened its national power by accepting excellent culture from China. And Wiman did not let Hans immigrants who followed him live separately or distinguish them from the indigenous Gojoseon people. Wiman was appointed as a servant of the empire(外臣) after establishing military relations with the Han Dynasty on the condition that it would prevent neighboring tribes from invading Chinas borders and not traveling to and from China. However, over time, Wiman developed his strength based on iron weapons and agricultural equipment received from China and did not keep his duties as a servant of the empire. In addition, when the power was developed by connecting with the Hun, the Han King Muje invaded and destroyed Wimanjoseon to break off the forces connected to the Hun, and established a county(郡) in the land. The fact that Han destroyed Gojoseon and established a county and district in 108 B.C. basically shows that he tried to turn the countries outside of Hans laws into a county and district and dominate them directly. Han established a county and prefecture in the Gojoseon area to unite and rule the barbarian forces in northeastern China more strongly than the role of a servant of the empire(外臣) previously assigned to Wiman Joseon.

      • KCI등재후보

        요동~서북한 지역에서 세형동검문화의 발생과 고조선의 국가형성 연구

        송호정(Song Ho Jung) 한국상고사학회 2003 한국상고사학보 Vol.40 No.-

        본 논문은 기원전 4~2세기 경 요동~서북한 지역에서 발달한 세형동검문화와 고조선사의 관련성을 검토한 것이다.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기원전 4세기 이후 중국 燕의 주민들이 遼寧地城 남부에 들어오면서 연의 선진문물이 전수되고 그 지역에서 정치집단 및 정치세력의 발달을 초래하였다. 문화적으로는 묘제의 변화가 발생하여 지석묘∙석관묘 대신 土壙墓가 등장하고, 이들 토광묘에는 특별한 예를 제외하고는 변형된 요령식동검이나 초기 세형동검이 출토하고 있다. 그런데 기원전 5~4세기 단계의 청동단검들은 벌써 요령식동검의 曲刃형태를 벗어나서 초기 세형동검 단계에 들어서고 있었다. 이들 초기 세형동검문화를 누리던 주민집단들은 크게 세 地域圈으로 나뉘어 성장 하고 있었다. 그것은 세 종류의 초기 세형동검이 지역을 달리하여 등장하는 것에서 증명된다. 이들 초기 세형동검문화 가운데 요동과 길림성 일대의 유형은 소멸하고 한반도 유형만이 요동 일대 초기 세형동검문화의 영향을 받아 보다 새로운 본격적 세형동검문화로 성장하게 된다. 기원전 5~4세기 단계에 고고학자료가 이처럼 지역성을 보이며, 또 공통된 문화적 특성을 보이는 것에 대해 <<위략>> 및 문헌기록에는 朝鮮侯 세력이 중심이 되어 주변의 여러 종족집단과 연맹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서술되어 있다. 또 문헌에는 요동 일대의 濊貊族이 일정한 지역집단으로 등장하고, 朝鮮 주변의 종족으로 등장한다. 그리고 ‘眞番’이 연의 침략, 衛滿의 도래 등의 사건과 관련하여 등장한다. 결국 眞番∙濊貊 등 지역집단들이 거주한 요동~서북한지역은 대개 ‘朝鮮’을 중심으로 하는 광범위한 聯盟을 이루고 있었으며, 그 연맹체의 중심에는 조선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연맹체 단계의 초기 세형동검문화는 요동~서북한 지역에 걸쳐 분포하면서 각 지역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검신 하부에 각이진 초기 세형동검은 혼하유역에서 서북한 지방에 걸쳐 분포하는데 지역 특성상 예맥족의 문화로 볼 수 있다. 검신 하부가 요령식동검처럼 둥근 초기 세형동검은 한반도 서북지방에 집중하는데 이는 고조선의 문화임이 분명하다. 그리고 요동반도에서 서북한지역에 걸쳐 나오는 검신이 직선인 초기 세형동검은 고조선과 예맥 계통의 주민집단이 조영한 문화인 것은 분명하나 현재의 자료만으로는 특성 주민집단이나 정치체에 연결시키기는 어렵다. 이후 기원전 3세기를 지나면서 중국으로부터 선진 철기문화가 남만주 지역과 한반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요동지역과 서북한 청천강에 이르는 지역에는 세죽리-연화보 문화가 형성되고, 묘제상에서도 토광묘와 목곽묘가 등장한다. 이 지역에서 철기문화의 영향을 받아 초기 세형동겅문화가 발생하였으며, 곧이어 서북한지역에서도 요동지역의 영향 하에 새로운 세형동검문화가 형성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세형동검문화를 바탕으로 서북한지역에 衛滿朝鮮이 등장하였고 고조선은 위만 단계에 와서 일정한 정치체와 國家를 형성하게 된다. In B.C. 5~4C, Pitted tombs appeared in the LiaoDong area due to Chinese influence, and except specific cases, Bronze short knives usually are excavated from those kind of tombs. The Bronze short knives were already showing aspects of the Narrow shaped Bronze knives in their early stage of development, instead of bent styles which were prominent in the Liaoning-styled Bronze knives. Resident groups which were using this kind of Narrow shaped knives were showing developments in 3 separate locations in the region ranging from the LiaoDong area to the North-Western area of the peninsula. But developments in the LiaoDong area and the JiRinShung(吉林省) area later ceased to continue, and developments only in the Korean peninsula were able to step into a new phase of Korean-styled Bronze knives Culture thanks to the LiaoDong area influences. This also shows some kind of a widely federated alliance existence in regions ragning from the LiaoDong area to the North-Western area of the peninsula at B.C. 5~4C. According to WiRyak, around B.C. 4C the 'ChosumHookuk(朝鮮侯國)‘ addressed themselves as a Kingdom and attempted an assault upon Yen China, while establishing certain levels of ruling power. The so-called 'ChosunHookuk' seemed to have served as an alliance leader for several regional groups in the nearby area, and established primitive administrative devices in the need of managing and handling related affairs. Finally, state-like characteristics started to show up. As we can see, Kochosun accepted advanced cultural influences from the PreQin China thus securing some developments to a state-like body in its early stage of development in B.C. 4C(when the Yen Chinese began to establish effective presences in the Southern Manchurian area), and absorbed selected regions in the LiaoDong area resided by YaeMaek tribes, to form an allied state body. The culture at this time was showing Pitted tombs and Narrow shaped Bronze knives and several Iron-based weapons instead of stone tombs like Dolmens. The first state-like political body of this peninsula in constant development, were initially based on Bronze Utensil Culture and later flourished Iron Utensil Culture. So not only the Liaoning-styled Bronze knives Culture but also the Narrow shaped Bronze knives Culture should be covered in terms like, the so-called Kochosun culture. After B.C. 3C, Yen attacked DongHo and established parameter barriers at the far reaches of ChunShan mountain chain(千山山脈) in the LiaoDong area. A lot of Roofing Tiles(瓦當), MyungDoChuns(明刀錢 : the money that carved '明‘ character and shaped dagger), Iron Utensils are found from these areas, and these kind of artifacts are also only found in the Northern area to the ChungChun River area. This kind of deployment of archaeological artifacts suggests possibilities that Yen also attacked Chosun in its assault on Dongho in B.C. 3C, therefore forcing the residential groups consisting the Chosun alliance to relocate, and Kochosun to resume its developments from the newly located, Southern area to the Cungchun River area. In B.C. 4~3C, the North-Western area of the Peninsula shows developments of independent regional groups with abilities to form large villages and construct castles like in WoonSungRi(雲城里) or SungHyungRi(城峴里), In KoSanRi(孤山里), BanChunRi(反川里), SukSanRi(石山里), Narrow shaped Bronze knives, Bronze spears and Iron axes are excavated, showing certain patterns of excavation in particular areas. This kind of concentration of tombs for leading groups of the political hierarchy is even more strengthened in B.C. 2C when Wood-lined tombs(木槨墓) started to be constructed in the Pyung-an-nam-do(平安南道) province and Hwang-hae-do(黃海道) area. After all, separated regional groups like JinBun(眞番), LeemDun(臨屯), East-OkJoe(東沃沮) and many social classes within Kochosun's boundary started to merge in B.C. 3~2C(when conflicts have arisen against the incoming Chineses factions) as a unif

      • KCI등재

        일제 강점기 이병도의 고조선사 연구

        송호정(Song, Ho-Jung) 한국고대학회 2021 先史와 古代 Vol.- No.65

        일제 강점기 이병도는 고조선을 한국 최초의 국가로 파악하고, 그 왕조가 단군조선에서 기자조선을 거쳐 위만조선으로 이어진다고 이해하였다. 그는 고조선이 국가체제를 어느 정도 갖춘 것은 기자조선(箕子朝鮮) 시기로 파악하고, 그 시기의 역사를 역사 지리적 관점에서 실증적으로 정리하는 데 노력하였다. 특히, 「패수고(浿水考)」 논문에서는 그동안의 평가와 달리 고조선사의 전개와 활동 무대를 초기부터 요동(遼東) 지역을 포함시켜 이해하고 있었다. 이병도는 일제 강점기 이래 줄곧 요동반도~한반도 서북지방(평안 황해도)을 고조선 계열의 문화발상지로 보았다. 그리고 청동기시대에 요동~한반도 서북지방에 걸쳐 세력을 키우던 고조선이 기원전 4~3세기경 중국 세력이 진출하자 청천강 이남으로 그 영역이 축소되었고, 그 이남 지역에서 왕(王)과 대부(大夫) 등 초기 고대 국가로서의 국가 조직을 갖추고 성장해 나갔다고 보았다. 이처럼 이병도는 최근 고조선과 관련해 논란이 되고 있는 여러 내용을 이미 일제 시기부터 문헌 고증을 통해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이병도의 연구 성과는 최근 고 조선 중심지 평양설을 주장하는 연구자들의 논리적 근거가 되었고, 고조선 중심지 이동설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 당시의 많은 역사학자들이 식민사학에 의해 왜곡되고 폄하된 우리 역사를 바로잡고 한국 고대사의 웅대한 면을 그리려고 노력했던 것에 비하면, 이병도는 역사서술의 합리성만을 추구했고, 식민지 시대에 요구되는 실천적 지식인으로서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Japanese colonial period Lee Byeong-do identified Gojoseon(古朝鮮) as the first country in Korea and that he understood that Gojoseon was connected to Wiman Joseon(衛滿朝鮮) via Gija Joseon(箕子朝鮮) from Dangun Joseon(檀君朝鮮). And he identified Gojoseon as the period of Giza Joseon as having a certain state system and tried to summarize the history of the period empirically from a historical and geographical perspective. In particular, in the paper Paesugo(浿水考) the development and activities of Gojoseon’s history were understood from the beginning by including the Liaoning area. Lee Byung-do has always regarded Yodong Peninsula and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Pyeongan and Hwanghae Province) as the cultural birthplace of Gojoseon, since Japanese colonial period continued. And During the Bronze Age, the area of Gojoseon, which had been growing in power from the Liaodong to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as reduced to the south of the Cheongcheon River when Chinese forces entered the area around the 4th and 3rd centuries B.C.. Lee Byung-do has regarded Gojoseon grew up in the south of the Cheongcheon River with a national organization as an early ancient country, including the king(王) and the daifu(大夫).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Lee Byung-do s research on Gojoseon is objectively and rationally summarizing the recent controversy over Gojoseon. And even the latest academic orthodoxy has had so much impact that Lee Byung-do s research has given him ideas. Compared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en history tried to correct our history distorted and disparaged by colonial history and paint the grand facade of ancient Korean history, Lee Byeongdo s research on Gojoseon pursued only the rationality of historical descriptions and there is a limit to the fact that he cannot be seen as a practical intellectual required during the colonial era.

      • KCI등재

        한군현(漢郡縣) 지배의 역사적 성격

        송호정(Song Ho-jung) 한국역사연구회 2010 역사와 현실 Vol.- No.78

        In 108 B.C., Han waged a war against Gojoseon so as to take away the interests Gojoseon was taking from relaying trades, and moreover, to sever the link between Gojoseon and the Huns. After destroying Gojoseon, Han established four provinces, in order to secure the economic benefits. The governors were dispatched from Han, but in a strict sense, the provinces were governed by native-born ruling powers. Among the four provinces, the Lerang Province in particular functioned as the capital of the region ruled by Wiman Joseon before it was destroyed by Han, and enabled the people to have trades with China s inland areas and surrounding countries including Dong Yi. The Lerang Province won over the native ruling powers and controlled them, but it could go only so far and no farther. The province governed people indirectly through the native ruling powers. The influence of such provinces lasted until the early 4th century, yet they were continuing to decline. The provinces were external factors that exerted pressure on the political growth of the Ye/Maek tribe and the Han tribe, but at the same time, the inflow of China s advanced civilization gave the two tribes a possibility for new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e Lerang Province was changed according to China s political situations. Lerang Province was under China s clout once, but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it has always been a part of the Korean history, even before it was exist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