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中韓(韓中) 번역을 통해 본 구글번역(GNMT)의 문제

        남철진(Cheol Jin Nam)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2018 중국과 중국학 Vol.- No.34

        최근 한국 사회에서 큰 화두가 되고 있는 것이 4차산업혁명이다. 4차산업혁명은 직업세계의 축소재편과 인간 사회의 큰 변화를 수반할 것이므로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그런데 대학 내에서 과연 4차산업혁명이 불러올 변화에 대하여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비를 하고 있는지 자문해 본다면 반성의 여지가 없지 않을 것이다. 4차산업혁명으로 인한 변화 가운데 대학의 어문계열에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 기계번역의 획기적인 발달이다. 최근 등장한 인공지능(AI) 기반의 신경망번역(Neural Machine Translation)은 지속적으로 그 기술이 진보하고 있으며 이미 초보적인 외국어 번역은 기계번역을 사용해도 큰 문제가 없다. 낮은 수준의 외국어 구사자들은 벌써 도태가 시작 된 것이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본고에서는 중한번역을 구글번역(GNMT)에 적용시켜, 기계번역의 문제나 한계가 무엇인지 대략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주어진 원문만을 대상으로 하고, 원문에 대한 심층적 이해가 바탕이 되지 않으며, 번역가의 다양한 창의적 중재가 개입되기 어려운 기계번역은 앞으로도 고난도, 고수준의 번역을 해내기는 힘들 것이라는 예상을 할 수 있었다. 바꾸어 말하면 사람이 하기 쉬운 번역은 기계도 쉽게 할 수 있고, 사람이 하기 힘든 번역에 한에서 기계번역도 약점을 보인다는 것이다. 그런데 기계번역은 처리 속도에 있어서 인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다는 강점이 있으며 관련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보아 맥락이 낮거나 단순 정보 전달 목적의 번역은 상당부분 기계에 의해 대체될 가능성이 큰데, 이런 점들을 고려하면 대학의 어문계열에서는 교육과 연구에 있어서 많은 변화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machine translation’s problems through the Chinese-Korean translation, Korean-Chinese translation and Google’s latest translation technology.(GNMT: Google’s Neural Machine Translation System) Machine translation’s problems can be largely categorized as the difficulty of ST’s correction, the difficulty of using translation strategies, the difficulty of TT’s revision and the difficulty of context’s treatment. There is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arcane of human language and machine translation’s problems. Surprisingly, human can understand their languages and communicate each other by using their brain in spite of language’s incompleteness. If AI(Artificial intelligence) can compare to human brain, machine can be equal to human in translation. So in this paper, I conclude that ultimately machine can’t reach human’s level in translation. But before long machine translation can produce high quality translation in low context and informative text. This also can make a big impact on language-related fields. So translation and language professionals should prepare for the AI age urgently.

      • Difficulties in Translation from Hungarian into Korean

        한경민(Han, Kyeng Mi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10 동유럽발칸학 Vol.12 No.1

        번역은 제 2 의 창조라는 말이 있듯, 외국 문학 작품을 한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은 글자만 옮기는 것이 아니라, 독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새롭게 표현해내는 방법을 필요로 한다. 이 논문은 헝가리 작품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 만나게 되는 문제점과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찾기 위한 시도이다. 문제점의 기본은 헝가리어와 한국어의 차이에서 발생한다. 그래서 우선 두 언어의 공통점을 II 장에서, 차이점을 III 장에서 살펴보았다. 한국어에서는 주인공들의 나이, 성별, 상하관계를 정확히 파악해야 올바른 공대법과 높임말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두 언어의 가장 큰 차이점은 어순에 있다. 헝가리어에서는 동사 앞에 높이는 문장성분이 가장 강조가 되지만, 한국어 번역에서는 이 강조점이 드러나지 않아, 단어를 반복하여 강조점을 유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번역에서 가장 중요한 등가성은 내용적인 면과 형식적인 면을 함께 다루어야만 지켜진다. 헝가리 시에서는 음절 수, 운, 강세, 마디가시의 형식적인 미를 구성한다. 하지만 번역에서 이 세 기본요소를 충족시키려면 내용적으로 불명확한 번역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내용과 형식의 구성을 훼손하지 않고 등가성을 유지하기 위한 번역가의 독창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번역의 문제는 번역하려는 문학작품이 태어난 사회와 환경, 문화적인 분위기를 번역해 낸 언어가 가진 사회적, 문화적 특징과 접목시키려는 데에서 발생한다. 그러므로 번역은 단어와 단어, 문장과 문장을 그대로 옮기는 것이 아니라, 작품 전체를 구성하는 정신세계를 새로운 문화의 생산물로 구성해내는 새로운 시도이자 도전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solve some of the difficulties in translation from Hungarian into Korean. Translation is defined in the first section, and the Hungarian language is compared with Korean in the second section. The comparison consists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wo languages and cultures. In the last section, I focus on the problems of equivalence and the method to gain the equivalence in translation. I hope this article show the problems and one method for problem solving in Translation from Hungarian into Korean. Hungarian and Korean do not have a verb ‘have’, while ‘having’ is expressed using the verbs ‘van’ and ‘있다’. Two languages have no expletives. However, Korean verb stems are what cause the difficulties in translation from Hungarian. Korean honorifics and speech levels form 14 basic verb stems. Besides, Korean has many special honorific words, too. Translation must be done carefully with the expression of honorific and formality. The Hungarian language's word order is not fixed. the word order changes and the important words stay in front of the verb. The important words in the four Hungarian sentences are not expressed in Korean text. Translation is an interactive act and translators are mediators of meaning consequently they are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cultural value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Hungarian and Korean translators to improve their language and culture knowledge. Translation connect not only one literal work with other, but also one culture with other.

      • KCI등재

        문화적 함축으로 야기되는 번역문제 고찰

        이혜승 한국통역번역학회 2008 통역과 번역 Vol.10 No.1

        Translation problems are considered to be objective or at least intersubjective. They are different from translation difficulties that a certain translator or trainee encounters in a translation process because of the deficiency of linguistic, cultural or situational knowledge. Translation problems may occur even with a professional translator in a translation process. This paper purports to study cultural problems in translation focusing on cultural implication. Texts are interrelated with culture in various ways, which may often arise translation problems. Culturally implied information or messages must be replaced by appropriate target culture material or described in more explicit ways to be understood by target readers. In some cases translator may drop cultural allusions or references. This paper tries to show and evaluate possible ways of solving cultural translation problems caused by cultural implication, and mak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considering text characteristics within situation and culture.

      • Translation Technology Teaching at MA Level : Problems and Suggestions in the Age of AI

        WANG Huashu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19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학술대회 Vol.2019 No.07

        Driven by evolvement of AI technology, a series of innovative technologies and tools, such as crowdsourcing translation, remote-video interpreting, human-computer interactive translation, VR/AR interpreting, smart translation pen, portable translation device, and AI simultaneous interpreting technology have made their presence and practical application in various fields and scenes. Technology is reconstructing the traditional translation in an unprecedented way, leading to heated discussion on reform of translation profess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As translation technology is an undeniable trend,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ranslation competence saying that technical competence is a must for future translator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via telephones and emails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ranslation technology curriculum in MA/MTI Translation/Interpreting programs in China, Japan,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France, Germany, Spain, Switzerland, Australia, etc. This study will present the common problems found in those programs and provide constructive suggestions to them, as maybe referred by future translation technology education in a global view.

      • KCI등재후보

        한국의 중국문학번역교육 현황과 개선 방향

        손지봉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12 통번역교육연구 Vol.10 No.1

        This thesis addresses the phenomenon in which translation education is expanding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courses in Korea. In particular, the number of courses dealing with literary translation is increasing. The thesis sets forth two ways to improve literary translation education. One concerns the perception of literary translation education and the other, development of literary translation education methods. Certainly, pervasive sub-standard translated literary works can be remedied through improved literary translation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In particular, three main areas of teaching translation can be the focus of enhancement: instrumental sub-competence(skills to search for literature concerning translation); translation knowledge sub-competence(knowledge about translation process and methods and ability to judge translation practice); and strategic sub-competence(ability relating to resolving translation problems and the efficiency of translation process). To that e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xtbooks and courses and education methods that help cultivate students in these competence areas. More fundamentally, professors with experience in literary translation, students with zeal for literary education and bilingual proficiency and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in place for the desired improvement to be effectively made. The thesis presents such a vision through an example of ‘Academy of Korean Literary Translation.’

      • KCI등재

        유학생 역번역문에 나타난 어휘 연구

        박은정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9 한국언어문화학 Vol.16 No.1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역번역문에 관련된 것으로, 학습자들의오류 분석이 아니라 역번역문에 나타난 ‘문제 없는 차이’를 살펴보는연구이다. 고급학습자들의 역번역 문장에 나타나는 어색함, 즉 문제없는 차이는 언어 간 영향을 그 원인으로 들 수 있다. 한국어의 ‘거부감’을 ‘거부심’으로 역번역하거나 원문의 ‘활동’을 ‘행동’으로 역번역한 것들은 언어 간 영향으로 볼 수 있다. 문제가 없는 차이인 유의어로역번역한 어휘나 표현들은 상황에 따라 서로 대체될 수 없다는 것도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25년간’과 ‘25년 동안’ 이 바꾸어 쓸 수 있는유의 관계어지만 접미사와 명사라는 품사의 차이로 띄어쓰기에 차이가 있다는 것, 그리고 ‘생활 방식’ ‘방법 모색’ 처럼 함께 어울려 사용되는 어휘들에서 ‘방식’과 ‘방법’을 서로 대체해 사용할 수 없다는 것등 각각의 관계를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방식’과 ‘방법’, ‘활동’과‘행동’처럼 같은 의미의 한자어를 포함하고 있는 어휘들은 약간의 의미 차이로 문맥에 따라 사용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할 어휘들이다. 학습자들은 유의 관계의 어휘들뿐만 아니라 공기하는 어휘를 학습해야 제대로 된 번역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원문과 동일한어휘로 번역을 하지 않더라도 원문의 의미와 달라지지 않으면 문제가 되지 않는 번역이라는 사실을 고급학습자들이 알아야 하며 훌륭한 번역을 하기 위해서는 같은 내용을 전달하는 데 있어서도 다양한어휘와 표현으로 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번역학을 위한, 특히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 고려되어야 할 교육내용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본다. 고급학습자들이 번역을 하는 과정에서 언어 간 영향으로 나타나는 어휘 선택 양상을 통해 그동안 한국어교육에서 간과되었던 부분들이 번역전공 고급학습자에서는 중요한 교육항목들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고 본 연구의 결과는 번역 전공 학습자들뿐만 아니라그 외 고급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도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것으로 기대한다.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6-1, 157-186. This study explores Korean learners’ back translation texts. The way that learners use Korean in back translation texts is different from how they use it in free writing. As there is an original text with which to compare the translation, back translation can be a way of examining how diversely the Korean language is expressed by advanced learn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back translation can improve translation skills and show what contents are needed for Korean translation education, particularly regarding what advanced Korean learners in TOPIK Level 6 should know for professional translation. Learners tend to regard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text and their back translation text as mistakes; however,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text and the back translation text do not necessarily indicate translation errors. Learners should know exactly how their back translation differs from the original text. Although some of the discrepancies that occurred while learning Korean or practicing how to write sentences are not problematic, some may cause serious problems in translation. Either words or expressions may be substituted with others, but, in Korean translation classes, Korean advanced learners should fully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25년간 and ‘25년 동안’ are synonyms and can be substituted with each other; however, parts of speech are different as suffixes and nouns. It is also important to be awa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s that are used together, such as ' 생활 방식' and '방법 모색', and words that contain the same meaning as ' 방법'and ‘방식’ and '활동' and '행동' and that they may vary in context with a slightly different meaning. This implies that learners must learn not only words in synonymy but also those in co-occurrence relation in order to use Korean properly. Additionally, learners must know that even though they translate the original text with different words or different sentential structures than used initially, their translation is not problematic if the meaning is similar to that of the original text. learners should know that translation in to other words or expressions does not matter if they do not translatein to the same vocabulary as the original, and ,in order to make a good translation, they must be able to use various words and expressions to convey the samething. This study implies a lot about educational conte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Korean translation education. This thesis is significant in that it tells us that something that has been disregarded in Korean education so far can be an important aspect of education in translation studies.(Daegu University)

      • KCI등재후보

        노한 은유 번역 연구 : 과정과 결과의 통합적 고찰 Product and process oriented research

        이혜승 한국국제회의통역학회 2004 통역과 번역 Vol.6 No.1

        Metaphor is not merely a device of the poetic imagination and rhetorical flourish, but is pervasive in everyday life. Metaphor raises a serious translation problem translation because of it's non-literalness and culture-orientedness. For TT-readers it its essential to share background knowledge with ST readers to understand metaphors in ST. To fill the knowledge gap between ST and TT readers translator uses various kinds of strategies, and every moment he/she has to make decision on what kind of strategy to choose, what factors to take into account. This paper discusses problem of metaphor in translation and purports to show that translation of any metaphor is the epitome of all translation, in that it always offers choices in the direction either of sense or of an image, or a modification of one, or a combination of both, analysing product and process of translation.

      • KCI등재

        한국어 CCM 복음 성가 중국어 번역의 문제점과 제안

        우심화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9 신학사상 Vol.0 No.185

        “Problems of Translating Korean CCM into Chinese and Suggestions” analyzes the problems of translating Korean CCM into Chinese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problems. The CCM should be translated into the most beautiful and dignified lyrics as a hymn praising God and proving his grace. However, if we look at the Chinese translations of Korean CCM, we can see they are misinterpreted, arbitrarily translated without adhering to the meaning of the original Korean lyrics. We also can find the translated Chinese lyrics use words or sentences that are not used in Chinese churches. This is because the Chinese language is simpler than the Korean language and it is difficult to match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original Korean lyrics. This is also because the translators follow the order and arrangement of Korean lyrics, and because the translators do not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Korean lyrics and there is no serious concern about the transl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have a translators’ association, where experts, with the help from musicians and in communication with Korean composers, cooperate in translating Korean CCM music. “한국어 CCM 복음 성가 중국어 번역의 문제점과 제안”에서는 한국어 CCM 복음 성가가 중국어로 번역되면서 나타낸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문제점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CCM 복음 성가는 하나님을 찬양하고 하나님의 은혜를 증거하는 찬송으로서 가장 아름답고 품위 있는 가사로 번역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중국어로 번역된 CCM 가사를 살펴보면 오역되고, 앞뒤가 일관되지 못하게 번역되고, 중국어라고 하기엔 문제가 있고, 원 가사와는 무관하게 임의로 번역되고, 품위 없이 저속하게 번역되며, 중국교회에서 표현하지 않는 어휘 혹은 문장을 사용하거나, 무슨 의미인지 애매모호하게 번역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중국어가 한국어보다 간결하여 원 가사의 글자 수를 맞추기가 쉽지 않고, 한국어 가사의 어순과 배열에 따라 중국어 가사를 배열하며, 한국어 가사에 대한 분명한 이해와 번역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부족하여 발생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한중(교회용) 언어를 잘 아는 전문가 번역 모임과 상호협력, 음악가의 도움, 원작사자와의 소통 등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Translation and Cultural Equivalence: A Study of Translation Losses in Arabic Literary Texts

        Hanada Al-Masri 세종대학교 언어연구소 2009 Journal of Universal Language Vol.10 No.1

        This article focuses on cultural translation, especially addressing the issue of cultural inequivalences or losses occurring in the translation of Arabic literary tex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anslation strategies that led to cultural losses and to emphasize the important role of the translator as a cultural insider. The corpus is based on a collection of Arabic short stories written by Youssef Idris (1991). In order to illustrate cultural aspects in literature, we analyze figurative language (metaphors, idiomatic expressions, proverbs) in two texts: Arabic (the source text) and English (the target text). We argue that figurative language and cultural terms are unfamiliar and so are marked to the target reader on the grounds of the unmarked and should be looked at from the perspective of a cultural insider. The data is analyzed within Pike’s (1954) etic-emic approach to translation. The analysis has shown that translation of the source text was communicatively successful. However, it failed to represent the culture-bound and emotionally charged words which represent the implicit/emic level of the source text. The translator has failed to complete the cycle of etic-emic-etic, and so remained an outsider to both the source and target texts. The study concludes with the implication that a translator has to assume the role of a cultural insider for both texts in order to render a culturally more faithful translation.

      • KCI등재

        지식 유통의 관점에서 본 근대 동아시아의 번역 학술어 생성 · 변화 및 그 영향

        허재영 ( Heo Jaeyoung ) 한국독서학회 2018 독서연구 Vol.0 No.49

        이 연구는 근대 한ㆍ중ㆍ일 지식 교류 과정에서 대두된 번역 문제와 번역 정책, 번역 학술어의 생성ㆍ변화 및 그 영향을 고찰하는 데 목표를 두고 출발하였다. 근대 동아시아에서는 서구의 새로운 지식을 수용하기 위해 활발한 번역 활동을 전개했는데, 이는 근대화 과정에서 자국의 혁신을 위해 새로운 지식과 정보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중국과 일본은 동문(同文) 한자어를 중심으로 다양한 번역 학술어를 창출했으며, 이는 같은 한자를 사용하고 있던 한국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미쳤다. 이 논문에서는 근대 동아시아 번역 문제와 번역 정책, 번역 학술어 생성 과정 및 영향 관계를 고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번역 문제는 번역의 필요성과 번역 능력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일본과 중국의 사례를 검토하고자 했으며, 번역 정책에서는 한ㆍ중ㆍ일 모두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국가 주도의 번역 정책이 등장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일본과 중국과는 달리 국가 차원의 번역 정책이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음도 사실이다. 번역 학술어 생성 요인은 원의와 역어의 의미상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살피고자 했으며, 그 과정에서 등장한 ‘기기명명설’, ‘논역서지법’, ‘논역서’ 등의 논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번역 학술어는 한국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되는데, 이 논문에서는 1885년 중국에서 발행된 『성신지장』과 1908년 한국에서 번역된 『□리학 초권』을 비교하여, 번역 학술어의 차이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first, aims to explore the translation problems and policies in East Asian countries(Korea, China and Japan) during the early modern time period. I studied the need for translation and translation skill during the time. East Asian countries to pay it because the Western knowledge and information required attention to its own innovation. In this time, Japan and China are involved in the translation problem. It is the difference in degree, but Korea is no exception. However, Korea was in the audience’s position as the latest opening. The foundation of technical term professional translation was created. I noticed the process of generation of translated words and the effects. I compared the SEONGSHINJIJANG(省身指掌, the Elementary Physiology -A textbook for Schools, written by Henry D. Porter, M.D.(博恒理) in 1885. This book published in China in 1904) with the SAENGRIHAKCHOGWUEON(生理學初卷, The human body and its health translated by Annie Baird in 1908). These books are all there is an index. The technical terms translated in Korea were the technical terms China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his is the adoption process and knowledge age, a reflection of the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