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게르쩬과 폴란드 문제

        전지용(Jeon, Ji Yong)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5 동유럽발칸학 Vol.7 No.2

        게르쩬에게 있어서 서유럽은 이미 치명적인 질병에 걸려있는 세계이었다. 그는 서유럽의 문화에서 보이는 문제들이 기독교의 영향 때문에 제기되었고 그것은 슬라브적 정신과는 거리가 먼 것이라고 생각했다. 특히, 서유럽 세계에서 나타나는 모든 악이 기독교의 이원론 때문에 야기되었다고 그는 보았다. 게르쩬은 기독교가 끼친 흔적을 폴란드인 미쯔비쯔에게서 발견했고 그것을 메시아니즘이라고 개탄했다. 게르쩬은 그러한 문제들이 ‘자유인’을 계발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 따라서 그는 절대적인 도덕성이 모든 것의 기준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게르쩬은 기사계급의 문화와 소매상인의 문화를 엄격하게 구분했다.뚜르게네프와의 논쟁 때에도, 게르쩬은 부르죠아지는 그들 자신의 문화를 갖고 있지 못하고 고상한 문화에 기분 나쁜 습기를 뿌리는 계급이라고 매도했었다. 그러므로 부르죠아지의 문화는 반드시 거부되어야했다. 나아가, 게르쩬은 서구 세계의 지배계급이 제국주의적 야심 때문에 타락하여 분해되고 있다고 보았고, 따라서 서구 세계는 오래 지탱하지 못할 것이라고 믿었다. 폴란드 문제에 대한 게르쩬의 인식에는, 그러므로, 이중적인 측면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 그는 폴란드의 역사 때문에 야기된 서유럽적인 측면에는 질색했다. 게르쩬에게 그것은 치유되어야 할 측면이었다. 그러나 그는, 폴란드의 분할이 절대주의 시대의 유산이었기에, 폴란드의 역사에 동정을 표했다. 따라서 게르쩬은 폴란드인들과 함께 폴란드의 독립을 위한 선전 활동을 했다. 이것이 러시아의 많은 민족주의자들로부 터 그에 대한 거친 공격을 일으켰다. 러시아 내의 많은 민족주의자들이 거칠게 자신을 공격하고 있었음에도, 그는 폴란드의 독립을 위한 선전활동을 계속하면서 폴란드인들과의 유대를 지속했다. 분명, 그것이 정의이기 때문이었지만 동시에 게르쩬이 러시아 혁명을 위한 동맹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기도 했을 것이다. 폴란드에 파견되는 러시아의 진압군 장교들을 설득하고자 게르쩬은 ‘이웃의 목에 밧줄을 졸라매면서 자신의 조국에서 자유의 시대를 시작시킬 수 없다.’고 그들에게 말했다. 게르쩬은 폴란드인들 스스로의 동의하에 그들이 슬라브적 세계에 동참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가 말하는 ‘슬라브 연방’은 미래의 사회주의적 러시아가 주요한 역할을 맡게 될 사회를 의미한다. 그리고 이 슬라브 연방은 당시의 서유럽 세계가 안고 있던 각종 문제들을 극복한 유토피아적 사회를 의미한다. 봉기 당시의 <폴란드 중앙집행위원회>의 위원들과 게르쩬 사이의 담화나 편지가 그들 사이에서 이 부분이 어느 정도 양해되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그는 폴란드인들이 스스로 슬라브적 세계에 동참함으로써 역사의 새로운 흐름에 따를 것이라고 믿었다. Western Europe, for Herzen, is the world of the fatal disease. He thoughts that the problems of the western culture arose from the effect of Catholicism, and it was alien to the Slavonic genius. Particularly, he thoughts that all evil of the western world was caused by the dualism of Catholicism. He can see the effect of Catholicism in A. Mickiewicz and Herzen deplored as the messianism of Poles. Herzen believed that those problems can be solved by the cultivation for 'the man of liberty'. So, he said that absolute morality must share the fate of everything. Herzen divided into the culture of the knight and the culture of the shopkeeper. He distasted the culture of shopkeeper. While disputing between Herzen and Turgenev, Herzen said that bourgeois had not his own culture and they were the class who cast damp over a noble culture. In addition to it, Herzen was convinced that the western world can't sustain any longer because the ruling class of the West was corrupted and dissolved by imperial ambition. So, Herzen's view for the problem of Poland cannot help being had two faces. Herzen can't endure the western aspects of Poland that was caused by her history. For him, surely, it was the object to be dealt. But he has compassion for her history, because her partition was the heritage of the age of Absolutism. So, Herzen pleaded with Poles for her independence of Poland. This excited the hard attack to him from many nationalists Although he was attacked from many nationalists in Russia, he kept on with his pleading. It seems so because it was not only a rightful cause but also it need to ally with someone for russian revolution. At the uprising of Poland, Herzen would persuaded the offices of Russian detachment to join with him. It is as next; "Drawing a belt he neck of neighbors, one can't make start the liberty age of his nation." Herzen dreamed of Poles' join into Slavonic World with Poles' consent. Surely, it means Slavonic federation which the future socialist Russia will play an important role. Further, these Slavonic federation means the utopian society which has overcome every problem in the contemporary Western Europe. He believed that Poles can go together with the stream of the new history through the join into Slavonic World.

      • KCI등재

        <판 타데우시> (Pan Tadeusz)의 에필로그 모티프

        정병권(Cheong, Byung Kwo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3 동유럽발칸연구 Vol.35 No.-

        중동부 유럽의 강대국 폴란드는 18세기 후반 세 차례에 걸쳐 주변 강대국인 러시아, 프로이센, 오스트리아에 의해서 분할되어 유럽정치지도에서 사라지는 비극을 맞이하게 되었다. 폴란드 문학은 국가가 없는 상태에서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19세기 전반을 풍미했던 폴란드 낭만주의는 아담 미츠키에비츠 (Adam Mickiewicz, 1798-1855)를 비롯하여 3대 민족시인(wieszcz narodowy)을 배출했다. <판 타데우시>의 저자 아담 미츠키에비츠는 폴란드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시인으로서 그의 민족 서사시(epopeja narodowy) <판타데우시>는 폴란드 문학 최고의 작품으로 인정되고 있다. <판 타데우시>는 총 12책과 에필로그로 되어 있으며, 나폴레옹이 러시아원정을 준비하고 있던 시기에 해당하는 1811년과 1812년 리투아니아 귀족들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이 작품은 두 귀족 가문의 원한 관계가 2세들의 아름다운 사랑으로 화해하게 되는 과정을 귀족사회 현실에 대한 예리한 관찰, 시류에 대한 혜안, 조국 폴란드의 독립에 대한 열망, 자연에 대한 깊은 애정 등을 통해서 감동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판 타데우시>와 내용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는 에필로그는 11월 봉기(1830-1831)가 실패 한 후 암담한 폴란드 국내 상황과 서유럽 어느 나라에서도 환영 받지 못하고 감시의 대상이 된 처지에서 보수와 민주 진영으로 분열되어 서로 싸우고 있는 망명 폴란드인들의 절망적인 분위기를 다루고 있으며, 과거 영광스러웠던 폴란드의 역사와 조국 독립에 대한 염원, <판 타데우시>를 집필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던 친구들에 대한 고마움과 평화롭고 행복했던 어린 시절 인정이 넘치는 시골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하고 있다. Pan Tadeusz tells the story of the Polish gentry facing the last moments of its perishing in the years of 1811-1812. The background of the epilogue, however, is the tragic and desperate situation of the Polish emigrants in Paris, who fled from Poland after the failure of the November Uprising(1830) against the Russian rule. The first(1832) and second(1842) editions of Pan Tadeusz were published without an epilogue. The epilogue of Pan Tadeusz as known today was published in 1860 in Paris, five years after the author's death. The epilogue depicts the quarrels between Hotel Lambert of the conservatives and the aristocrats and the republicans of the Polish Democratic Society in Paris. In this illustration, the isolation of the Polish immigrants is further emphasized. Especially given the political circumstances in Poland at the time, Polish immigrants were unwelcome in all parts of Western Europe. The Polish exiles were regarded as spokesmen of revolutionary ideas, and the French government therefore persecuted them and placed them under police surveillance. Their isolation and desertion from the world was even more heartfelt because of their abandonment from the Catholic Church. Catholicis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the Polish national consciousness and the Roman Catholic Church enjoyed the highest authority in Poland. Nonetheless, the Vatican was not on the Polish side when Poland was partitioned by Russia, Prussia, and Austria. Pope Clement XIV openly welcomed the partition of Poland and Pope Gregory XVI even condemned the November Uprising. The Polish nation saw no hope even in Heaven. Mickiewicz turned to the nation's glorious days in history and to his peaceful childhood in an idyllic countryside to find hope, solace, and rest there instead. Mickiewicz also expressed his humble wish as a poet that country girls in his fatherland would read his Pan Tadeusz.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