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니클라스 루만의 체계/환경-차이 이론에서 본 화법, 화법교육 및 화법교육 성찰이론

        이철 한국화법학회 2017 화법연구 Vol.0 No.38

        This article defines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of speech communication, and the reflection theory of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in terms of system/environment-difference theory. Furthermore, it seeks a desirable development direction for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positioned in the context of society. The system/environment-difference theory offers a new perspective, which is impossible for the parallel ontology between subject and object. Systems are not self-sufficient because of their dependence on the energy source in the environment, and autonomous because of their own chains of operations. Systems are generated through their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but exclude the environment by virtue of self-identification operations. Empirical examples of so-called “autopoietic systems” are biological systems such as chains of life operations, psychic systems such as chains of thought operations, and social systems such as chains of communication operations. Seen from this frame of autopoietic systems, all objects of human and social sciences are chains of communications. “Speech communication” is a specific kind of oral communication intending to enhanc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Education of speech communication” is communication from good intention, which aims to mediate effective techniques and abilities of communication. “The reflection theory of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is “communication which reflects the rationality of speech communication”. Contrasting lonely existing subjects, which only depend on reason, systems, able to operate only on the context of relation to their environment, keep an eye on three kinds of reason: social, temporal, and factual. This article discusses several concrete tasks through which the reflection theory can encourage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to improve via the terms of these three kinds of reason. 이 글은 체계/환경-차이 이론의 관점에서 화법, 화법교육, 화법교육 성찰이론을 정의하고, 그 토대에서 화법교육을 사회 내에 자리매김하여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체계/환경-차이 이론은 주체와 객체가 별도로 존재하는 기존의 인식론의 약점을 보완한다. 체계는 에너지원을 환경에 의존하기에 비자족적이면서, 고유한 작동의 연속이라는 점에서 자율적이다. 체계는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성되지만, 작동을 통해 환경을 배제하는 자기 확인 작동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의미로 개념화된 “자기생산체계(autopoietische Systeme)”에는 생명 작동의 이어짐, 생각 작동의 이어짐, 소통 작동의 이어짐으로서, 생물학적 체계들, 심리적 체계들, 사회적 체계들이 있다.

      • KCI등재

        한국 사회 분석을 위한 ‘체계/환경-차이’ 이론의 함의 - 계층적 분화의 사회질서 원칙과 기능적 분화의 사회질서 원칙의 경합 테제

        이철 한국이론사회학회 2020 사회와 이론 Vol.36 No.-

        This article proposes that the competing theme of the social order principle of hierarchical differentiation and the social order principle of functional differentiation should be taken as the starting point, when analyzing Korean society in light of ‘system/environmental-difference’ theory. The system/Environment-Difference theory consistently maintains the universality made by an operation. An operation is universal in the meaning that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difference between category excluded and category included, the difference between object and subject as the object of exclusion/inclusion and its operator. In this manner, the co-production principle of the temporal dimension, factual dimension, social dimension is applied to psychic systems and social systems both as meaning systems. The sociology can study social systems, which is dependent on the division of consciousness and communication, but independent from consciousness. Social systems hat interaction systems, organization systems, societal systems as its subdivisions. Based on the development and interactional coupling of these three systems, Society historically takes the segmental, stratified, functional differentiation pattern. For the analysis of Korean society, we should take from the thesis of a functionally divided world society the competition thesis of stratified differentiation and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society. It is equally important that the pattern of organization systems has become actual actors in modern society with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systems. Finally, this article derives som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analysis of Korean society from this considerations. 본 논문은 니클라스 루만의 ‘체계/환경-차이 이론에 따라, 계층적 분화의 사회질서 원칙과 기능적 분화의 사회질서 원칙의 경합 테제를 출발점으로 하여 한국사회를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먼저 ‘체계/환경-차이’ 이론은 이전과 이후의 차이, 그 작동으로 인해 배제되는 범주와 포함되는 범주 간 차이, 그러한 배제/포함의 대상과 배제/포함의 실행자로서의 객체와 주체 간 차이가 생겨난다는 점에 근거하는 보편성을 분석에서 일관되게 적용한다. 이 보편성으로 인해, 우리는 시간적 차원, 사실적 차원, 사회적 차원의 공동생산 원리를 의미체계인 심리적 체계와 사회적 체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적 전환을 통해, 루만의 사회학은 독립적인 사회적 체계라는 발견적 이념을 통해 사회적인 것(the Social)을 연구한다. 사회적 체계는 다시금 상호작용체계, 조직체계, 사회(societal)체계의 하위 유형으로 세분되며, 이 세 가지 체계들의 발전과 상호 연동은 사회의 변천 과정을 분절적 분화, 계층적 분화, 기능적 분화의 우선권 경합에 따라 분석할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상의 분석에 기초하면, 기능적으로 분화된 세계사회 테제는 근대사회가 기능적 분화만으로 작동한다는 것을 뜻하지 않고, 전근대적인 계층적 분화에 대해 근대적인 기능적 분화가 우선권을 획득했음을 진술한다.

      • KCI등재

        관찰함 작동의 기능: 체계/환경-차이 이론의 사건이론적 해석(1)

        이철 동양사회사상학회 2024 사회사상과 문화 Vol.27 No.1

        이 글은 관찰함 개념을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니클라스 루만의 체계/환경-차이 이론에 대한 사건이론적 해석 가능성을 제시한다. “조건화된 공동생산”이라는 원칙 하에 세계(상태)와 관찰함(사건)의 조합은 저쪽과 이쪽에 다른 변화들을 야기한다. 이 발상은 ‘실재하는 세계-지평-창발적 세계’와 ‘환경-경계-체계’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관찰함, 사건, 작동은 시간과 관련되며 발생하자마자 사라지니, 하나의 사건이 일어나면서 이 두 가지를 생성시킬 수 있어야 한다. 바로 이 점을 연구한 조지 스펜서-브라운의 지시산법은 ‘구분하여-지시함’이 절대적으로 분리된 두 공간을 만들고, 그 공간과 관련되지만 그것으로부터 분리되는 시간 공간을 만드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 과정은 한편의 진입과 다른 한편의 기억, 진동, 조정 기능의 재진입들의 동시 발생으로 완결된다, 이 관점은 경험과학이 주목하는 경험의 조건들에 대한 이론적 분석들을 다루고 있으며, 분석의 결과 중 중요한 것 두 가지만 말하면 다음과 같다. 관찰을 통해 변하는 것은 관찰대상이 아니라, 관찰자다. 관찰함은 사실성, 시간성, 사회성의 조합으로 일어난다. This article suggests an event-theoretical interpretation of Niklas Luhmann’s system/environment-difference theory by focusing on the concept of observation. Under the principle of “conditioned co-production,” the combination of the world (state) and observation (event) causes different changes here and there. This idea enables the formation of ‘real world-horizon-emergent world’ and ‘environment-boundary-system’. Observations, events, and operations are related to time and disappear as soon as they occur, so all of this must be triggered by a single event. George Spencer-Brown’s Calculus of Indication, which studied this very point, shows the process of ‘differentiating-indicating’ creating two absolutely separate spaces and creating a time space that is related to but separate from that space. This process is completed by the simultaneous occurrence of entry on the one hand and re-entry of memory, oscillation, and adjustment functions on the other. This perspective deals with theoretical analyzes of the conditions of experience that empirical science focuses on, and is an important result of the analysis. Just two things to mention are as follows: What changes through observation is not the object of observation, but the observer. Observation occurs through a combination of realism, temporality, and sociality.

      • KCI등재

        루만 체계이론의 여성학적 수용가능성에 대한 소고

        김미경(Kim, Mi-Kyong)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6 젠더와 문화 Vol.9 No.2

        본 논문은 그동안 진보학문으로서 중심적 역할을 해오던 여성학이 제도화 되면서 후속세대의 재생산에 어려움을 갖게 되고, 여성운동가를 더 이상 배출하기 힘든 현실 앞에서 여성학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숙고하는 가운데 루만을 여성학적으로 수용하고자 하는 관심에서 출발하고 있다. 그동안 서구의 전통적 인식론에서 중요시했던 판단하는 주체의 관점이 아니라 루만의 ‘관찰자’ 개념으로 ‘체계가 환경에 접근하는 체계/환경–차이 이론적 방법론을 페미니즘 인식론에서 수용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에 대해 타진해 보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루만의 “페미니즘은 가부장제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비판에 그치고 있다”는 비판의 의미를 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는 페미니즘의 가부장제 이해에 있어 이데올로기성을 극복하고 그것이 재생산되는 후속소통 메카니즘을 밝힐 수 있어야 한다는 루만의 페미니즘에 대한 비판을 수용하고, 루만의 체계/환경–차이 이론의 인식론적 전제를 수용하기 위한 시론적 연구이다. Women’s studies which have played a central role as advanced studies got to difficult to be reproduced in the succeeding generation as it was more institutionalized than other areas. This paper tried to connect women’s studies to Luhmann’s system theory in the process that considers things necessary for development of it. It tries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that the methodology of system/environment-difference theory that systems approach environment can be accepted in epistemology of feminism by the observer concept of Luhmann, not the viewpoint of the judging main agents which are regarded as important in the Western traditional epistemology. In the process, it will review Luhmann’s criticism, “Feminism just stays at ideological criticism about patriarchy.”

      • KCI등재

        작동이론의 인식론적 장점들

        이철(LEE, Chul)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6 현상과 인식 Vol.40 No.3

        이 글은 작동이론의 인식론적 장점들을 분석한다. 작동은 발생하는 바로 그 순간 사라지기 때문에, 그래서 매 순간 현재 사건밖에 일어날 수 없기 때문에, 달리 말하면 시 계열상에서 이어지는 두 사건이 동시에 공존할 수 없기 때문에, 실체이론에서처럼 요소들과 요소들의 관계 위에 이론을 구축할 수 없다. 작동이론은 첫째, 하나의 사건이 발생하는 찰나의 순간 이론의 모든 핵심 변수들을 생산할 수 있어야 하며, 둘째, 그 사건이 동일한 유형의 사건으로 대체되어나가는 것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이론적 난제를 니클라스 루만은 특수한 경우에 복수의 사건들이 하나의 ‘동일한’ 시점에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풀어낸다. 루만은 ‘구별함-그리고-지시함’의 동시 발생에 주목하여, 그로부터 유발되는 사태들을 영리하게 이론화한다. 자기준거적 자기생산체계 개념에 함축된 작동이론의 구축 원리는 근본적인 인식론적 장점들을 가진다. 첫째, 모순율, 동일률, 배중률의 3항의 작동 논리가 도입된다. 둘째, 모든 체계는 스스로 변화하는 조건에서 타자와의 사회적 관계, 시간적 관계, 어떤 것을 선택했다는 사실적 관계를 볼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epistemological strengths of operation theories. It is impossible for operation theories to build themselves on elements and relations of elements. Because operations disappear at that moment of appearing, so every moment only present event can occur, in other words, the moment of two events" coincidence can not be realized on time series. Operation theories are able to produce all of their essential variables at the short time of an event"s appearing and disappearing. They must have to be able to explain the event to be substituted with the same sort of event. For this dilemma Niklas Luhmann offers a solution in ideas of the coincidence of a unique types of event, i. e. of "distinction - and-indication". Luhmann smartly theorizes - in terms of the self-referential autopoietic systems - a series of consequences following the coincidence of "distinction-and-indication". Operation theories has several epistemological advantages. Firstly, the operation logic with the law of contradiction, that of identity, and that of the excluded middle can be introduce. Secondly, all systems produce and reveal three dimensions of meaning, while changing themselves. They enable to grasp the social relation between ego and alter, the time rel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and the fact that something is selected.

      • KCI등재

        니클라스 루만의 “자기생산체계”에서의 “자기”의 구조와 과정 및 형식

        이철(Lee, Chul) 동양사회사상학회 2018 사회사상과 문화 Vol.21 No.2

        이 글은 니클라스 루만의 “자기생산체계 이론”의 “자기”를 분석한다. “자기(Selbst)”란 다른 것으로부터 자기를 구별하는 작동이다. 자기를 구별하는 작동은 어떤 경우에나 “다른 것-경계-자기”의 복합과, 이 복합이 던져지는 전체 공간을 생성시킨다. 다른 것, 자기, 공동의 경계, 그리고 전체 공간은 언제나 함께 생성되고 함께 소멸된다. 스펜서브라운의 지시산법과 루만의 “구별함-그리고-지시함”의 동시성과 연속성의 차이는, — 이원리에 기초하여 — 구조와 과정의 분리 및 재조합을 통해 형식을 만들어낸다. 스펜서브라운의 형식의 법칙들은 “무구별 상태-넘기(또는 부르기)-구별 상태”에서 출발하여, — 이 틀의 두 상태 가운데 하나의 상태가 아니라 — 두 상태 모두가 서로로부터 구별된 조건에서 다시 지시되는 경우를 추적한다. 이 구도는 무표에서 유표로의 이동과 유표에서 무표로의 이동을 모두 — 절대적으로 상호배타적인 두 상태 사이의 전환으로서— 시간으로 개념화할 가능성을 담고 있다. 구별과 지시가 무한히 반복된다는 조건에서, 유표 → 무표, 무표 → 유표라는, 서로를 상쇄시키는 진동과, 무표 → 유표를 결과하는 조정이 서로 맞물려, “무표 상태-시간-유표 상태”가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진동은 영원한 시간을 뜻하고, 조정은 현재적 시간을 뜻한다. 그래서 진동과 조정의 맞물림은 영원한 시간과 현재적 시간의 맞물림을 통해, “무표상태-경계-유표상태”를 생산한다. 그 결과, 최초의 “무구별상태-넘기(또는 부르기)-구별 상태”는 “무표상 태-경계-유표상태”를 생산한다. 이러한 작동의 논리를 루만은 “구별함-그리고-지시함”의 동시성과 연속성의 차이로부터 도출해낸다. “다른 것-경계-자기”는 “이전-작동-이후” 또는 “상태-작동-상태”의 프레임을 배경으로 하여, 동일한 자기에 의해 지시될 수 있게 된다. 이 관계는, 세계와 체계의 차이를 고려하기 위해, 체계 복잡성과 환경 복잡성 외에도 미규정된 복잡성과 규정된 복잡성의 차이를 함께 고려하는 루만 이론의 기본 프레임의 구성 원리로 선택되었다. This paper analyzes the “Self ” in the Luhmann s Theorie of “autopoietic Systems.” The Self ist an operation discriminating itself from everything else. Such an operation always produces “everything else - boundary - self ” and the space into which the operation is thrown. The four, something else, self, the mutual boundary, the whole speace, are always generated and disappears with each other. Based on this principle, the Spencer - Browns s calculus of indica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concurrency and continuity of “distinguishing-and-indicating” generate form through the resolution and recombination of structure and process. Starting from “undistinguished state - cross(or call) - distinguished state”, Spencer - Brown traces to the case in which the two sides, not one side, are to be separately identified. This composition implys the possibility in that crossing either from unmarked to marked or reversely can be conceptualized— transition from one state to other state which both absolutely excludes eath other. Under the condition of infinity of distinction and indication, oscillation from crossing marked-unmarked to crossing unmarked-marked offsetting each other, compensation resulting from crossing unmarked - marked are geared, then generating “undistinguished state - boundary -distinguished state.” Oscillation can be conceptualized into structure as eternal time, and compensation into process as actual time. The gearing of structure and process of self generates another self in form of “unmarked state-boundary-marked state.” This kind of operative logic is to be drawn from the difference between concurrency and continuity of “distinguishing - and - indicating” by Luhmann. “Everything else - boundary - self ” can be indicated from the identical self on the background of “before - boundary -after” or “state - operation - state.” This relations are chosen as the basic frame of Luhmann s theoretical conception which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difference between undetermined and determined complexity as well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ystem complexity and environment complexity in order to consid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world and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