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년 개정 중고등학교 국어/문학 교과서의 현대시조 제재 수록 현황과 과제

        김태경 한국시조학회 2023 시조학논총 Vol.59 No.-

        In this study, we analyzed 82 Korean textbooks (10 types),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12 types), and literature textbooks (10 types) revised in 2015 for first and third graders of middle school to find parts containing modern Sijo and examine the pattern of use of sanctions. First, we evaluated the cases in which modern Sijo was adopted in the main and sub-sanctions and examined what achievement standards were combined. In the case of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an example of the use of modern Sijo as main sanction is mul, su, Je, bi by Jeong Wan-yeong. This work has been used to learn the concept of rhyme and the principle of formation, which is an individual idea and literary expression method in the area of ​​Literature Acceptance and Production. The works included as subtitles include Rereading Part of Speech by Literary and Muhak and Garangbi by Jeong Wan-yeong. As both works are linked to the content of “grammar” rather than the “literature” area, one can observe the diversity of use of modern Sijo sanctions. In addition, two original poems were written by non-authors as an activity to build a modern Sijo by referring to the original Sijo. However, in both cases, the second note was out of the standard of the Sijo, in which the last note had to be of five or more characters. In the case of high school Korean/literature textbooks, we could not find any examples of modern Sijo used as a main sanction. However, two works (Moon = Late Night Food by Kim Si-yeon and Smiling Sin by Shin Yang-ran) were included as examples for learners to create Sijo in the Korean textbook of modern Sijo, which was used as a subtitle. Moreover, in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the seventh case was used in the area of ​​Character and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the first in the area of ​​Acceptance and Production of Literature due to the subtitle of the modern Sijo. The former case was related to the achievement standard [12 Literature 03-03], which explores and appreciates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aspects of Korean literature; the latter was related to achievement standard [12 Literature 02-01]. Next, although the text of modern Sijo was not directly presented, we found several activities for creating modern Sijo and explored achievement standards and activity patterns related to Sijo creation. We identified activities for learners to create modern Sijo in various ways: four times in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five times in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and once in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e current status and usage patterns of modern Sijo sanctions in middle school Korean and high school Korean/literatur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examines the reality of Sijo literary education. 본 연구는 2015년 개정 중학교 1~3학년 국어 교과서(10종)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12종), 문학 교과서(10종) 총 82권을 분석하여, 현대시조가 수록된 부분을 찾고 제재 활용 양상을 점검해 보았다. 우선, 현대시조가 본제재와 부제재로 채택된 사례를 확인하여 어떤 성취기준과 결합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경우, 현대시조가 본제재로 활용된 사례로는 정완영의 「물,수,제,비」가 있다. 이 작품은 핵심개념 <문학의 수용과 생산> 영역에서 개성적인 발상과 문학적 표현 방법 중 하나인 운율의 개념과 형성 원리를 학습하는 부분에서 활용되었다. 부제재로 수록된 작품으로는 문무학의 「품사 다시 읽기」와 정완영의 「가랑비」가 있으며, 두 작품은 모두 ‘문학’ 영역에서가 아닌 ‘문법’ 내용과 연결되어 현대시조 제재 활용의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밖에 비작가의 창작 시조가 두 편 수록된 것을 발견하였다. 창작 시조를 참고하여 현대시조를 지어보는 활동이었다. 그러나 두 편 모두 종장 둘째 음보가 다섯 자 이상의 과음보가 되어야 하는 시조의 정형에서 벗어나 있었다. 고등학교 국어/문학 교과서의 경우, 현대시조가 본제재로 활용한 사례는 찾을 수 없었다. 다만 부제재로 활용된 현대시조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는 1회 두 작품(김시연의 「달=야식」, 신양란의 「웃은 죄」)이 함께 학습자의 시조 창작을 위한 예시로 수록되었다. 또,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서는 현대시조 부제재로 7회가 ‘한국 문학의 성격과 역사’ 영역에, 1회가 ‘문학의 수용과 생산’ 영역에서 활용되었다. 전자의 사례는 모두 한국 문학의 갈래별 전개와 구현 양상을 탐구하고 감상하는 성취기준 [12문학03-03]과 연관되었으며, 후자는 작품의 내용과 형식을 비교 분석하는 성취기준 [12문학02-01]과 연결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현대시조 텍스트를 직접 제시한 것은 아니지만, 현대시조를 창작해보는 활동이 여러 차례 발견되어, 시조 창작과 연관된 성취기준과 활동 양상 등도 탐구해 보았다. 그 결과, 중학교 국어 교과서는 4회,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는 5회,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는 1회, 다양한 방식으로 학습자가 현대시조를 창작하는 활동을 찾을 수 있었다.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은 이제 막바지에 이르렀고, 2022년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이 고시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22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고등학교 국어/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현대시조 제재 현황과 활용 양상이 2015년 개정 교육과정과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탐색하고 시조 문학교육의 실체를 분석하는 후속 논의에 발판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시조 번역, 그 해석과 창안의 여정에 대한 탐구–R. Rutt의 시조 영역을 예로

        염은열 한국시가학회 2023 韓國 詩歌硏究 Vol.58 No.-

        Interest in Korean literature is expanding due to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and the need for translation and education of Korean literature targeting foreign language readers is also demanded. In this situation, Korean researchers need to know how sijo(時調) is being translated, what difficulties there are, and how sijo is being recreated by responding to the difficulties. This is the critical mind of this thesis. For specific discussion, Rutt's Sijo translation was taken as an example. By carefully examining the translation of Rutt, it was possible to know the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of translating Sijo, a cultural and literary text. Specifically, there is the problem of translating an article that does not exist in the grammatical system of English but affects the overall atmosphere or tone of a poem, the problem of translating an adjective that is an evaluative word that describes a situation or condition, and the problem of translating Chinese characters that have multiple meanings are compressed. And there was the problem of translating special poetic and cultural languages such as '절로', and above all, there was an aesthetic problem of translating '시조다움(Sijo-likeness)' into English. The sijo translated by Rutt can be said to be Rutt's answer and creative solution to problems and difficulties of all dimension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n English sijo similar to the original sijo but distinct from it was born.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Rutt and his collection of Sijo translated into English, understanding Rutt's translation itself has the meaning of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creating the aesthetics of English Sijo. Furthermore, it deepens our understanding of what challenges to face or solve when trying to translate Sijo into other languages, how to respond to those challenges, and what will happen as a result. Of course, the sijo translated into English in the United States, including Rutt's, is not perfect. However, this paper did not point out and criticize the parts that deviated from the original sijo or changed parts. Because I didn't see it being productive. The translation is incomplete and always a kind of alternative, and the journey to find a better translation of Sijo is still ahead of us. New answers to the various problems and difficulties of translation are possible. It is hoped that Korean researchers will also participate in various ways and levels in the translation of sijo, which can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universality of sijo as world literature and the uniqueness of sijo as Korean literature, and confirm the productivity of sijo. As a result, I hope that the aesthetics of Sijo as world literature will expand and evolve. 한류의 영향 등으로 한국문학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외국어 독자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문학 번역 및 교육의 필요성 또한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조 종주국의 연구자들이 시조 번역이 어떤 실천적 행위이며 어떤 어려움이 있고 그 어려움에 어떻게 대응함으로써 원 시조가 영역 시조로 어떻게 재창조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것이 이 논문의 문제의식이다. 구체적인 논의를 위하여 럿트의 시조 영역 활동을 예로 삼았다. 럿트의 영역 시조를 원 시조와 견주어 살펴봄으로써, 문화 텍스트이자 문학 텍스트인 시조 번역의 어려움과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영어의 문법 체계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시조의 전반적인 분위기나 어조에 영향을 미치는 조사를 번역하는 문제, 상황이나 상태를 기술하는 평가어인 형용사를 번역하는 문제, 여러 의미가 압축되어 있는 한자어를 번역하는 문제, ‘절로’ 등 특별한 시어이자 문화어를 번역하는 문제가 있었고, 무엇보다도 시조 형식과 관련하여 시조다움을 영어로 옮겨야 하는 미학적 차원의 문제가 크게 부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럿트가 번역한 시조는 그 모든 차원의 문제와 어려움에 대한 그의 답변이자 창조적 해결이라고 할 수 있는데, 럿트는 번역을 통해 원 시조와 유사하지만 동시에 구별되는 영어 시조의 세계를 보여주었다. 럿트와 그의 영역시조집이 끼친 영향력을 감안해볼 때 럿트의 영역에 대한 이해는 그 자체로 영어 시조의 미학이 탄생하는 과정에 대한 이해라는 의미를 지닌다. 나아가 시조를 다른 언어로 번역하려고 할 때 부딪치거나 해결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 그 과제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그 결과 어떤 일이 일어나는 지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깊게 해준다. 럿트를 비롯한 미국 내 번역가들의 영역 시조가 완벽한 것은 물론 아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원 시조에서 벗어난 부분이나 달라진 부분 등을 찾아 지적하고 비판하지는 않았다. 그것이 생산적이지 않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번역은 미완이고 늘 차선이며 더 나은 시조 번역을 찾아 떠나는 여정이 우리 앞에 여전히 놓여 있기 때문이다. 번역의 여러 문제와 어려움에 대한 새로운 답이 얼마든지 가능한 것이다. 시조의 세계문학으로서의 보편성과 한국문학으로서의 고유성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시조의 생산성을 확인할 수 있는 시조 번역에, 고시가 연구자들 역시 여러 방식이나 수준으로 참여하기를 희망한다. 그 결과 세계문학으로서의 시조의 미학이 확장되고 진화하기를 희망한다.

      • 시조의 영역(英譯) 불/가능성과 영역(英譯) 시조의 정체성

        고정희 ( Ko Jeonghee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21 先淸語文 Vol.49 No.-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inquire into the identity of sijo in English translation. Although the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English preclude direct translation, we can attain an alternative and precise translation by omitting particular segments of the original sijo and adding explanatory descriptions implied in the original sijo. Sijo in English translation retains the lyrical features of the original sijo. Furthermor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ijo, such as vibrant visual, audial, and dynamic images, are more noticeable in sijo in English translation than in the original form. English punctuation added by the translators’ appreci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poetic flow add the various hues to sijo and enhance the readers’ sensitivity to the subtle nuances of the original sijo. The collaboration of a Korean Academic who specializes in sijo and a British academic who specializes in medieval English literature has resulted in a pooling of expertise and inspiration. The translators’ complementary perspectives have produced what may be regarded as a kind of rewritten version of original sijo.

      • KCI등재

        실용교과고서의 시조, 시조 교육

        김상진 한국시조학회 2024 시조학논총 Vol.60 No.-

        이 연구의 목표는 우리나라 대표 문학인 시조를 실용 교과목으로 활용하기 위함에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함께 세상에는 많은 변화가 생겼다. 그 변화는 학문의 영역으로까지 영향을 미쳐 인문학의 위기라고 하는 말이 현실로 다가오게끔 되었고, 시조 또한 예외는 아니다. 실용적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시대에, 지나간 시대의 문학인 시조는 별반 유용하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조는 이것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이 시대에도 충분히 가치를 지닐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시조에 대한 인식의 변화, 혹은 확대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시조는 ‘옛날 문학’으로 인식한다. 하지만 시조가 향유되던 시기의 시조는 문학이기보다는 ‘노래’였다. 뿐만 아니라 시조는 다양한 양상으로 현대의 문학, 문화와 연계를 맺고 있다. 그러므로 시조를 과거의 문학으로만 고정시켜 놓을 것이 아니라, 그 영역을 확대하여 현재로까지 이어 현대의 문학은 물론 음악을 비롯한 다양한 문화와 연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듯 시조의 영역을 확대하여 수업에 적용하는 방안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그 방안은 크게 세 가지로, 첫째는 현대가요와 엮어 읽기, 둘째 글쓰기 텍스트로 활용하기, 셋째 산업과 연계하기로 구분하였다. 산업과 연계하기는 다시 시조를 활용한 캡스톤디자인과 PBL로 수업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로써 학습현장에서 시조에 대한 흥미를 고취하고 나아가 실용교과로서의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최근 해외에서는 시조를 우리나라의 대표 문학, 또는 문화로 주목하고 있다. 말하자면 K-컬쳐의 원류가 되는 셈이다. 이러한 시조의 위상을 확고히 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에서 시조의 저변이 확대되어야 한다. 따라서 시조의 실용화는 시조의 세계화를 위한 그 첫걸음이 되리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Sijo, Korea’s representative literature, as a practical subject.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many changes have occurred worldwide. These changes have also affected the academic field, making real the saying that “the humanities are in crisis.” Sijo is no exception. In an age where practical value is considered important, Sijo, literature from a bygone era, is not considered useful. However, Sijo can be of sufficient value even in this era if it is used. For this, it is necessary to change or expand the perception of Sijo. Sijo is generally recognized as “old literature.” However, in the period when it was enjoyed, Sijo was a “song” rather than literature. In addition, Sijo is connected to modern literature and culture in various ways. Therefore, it should not be fixed as literature of the past. It is necessary to expand its scope to the present and connect it with various cultures, including modern literature and music. This study sought to expand the scope of Sijo and introduce ways of applying it to classes. The plan is broad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is to read Sijo in conjunction with modern pop music, the second is to use it as a writing text, and the third is to connect it with industry. The industry links suggested a capstone design using Sijo and a plan to teach through PBL. Recently, people overseas are paying attention to Sijo as Korea’s representative literature and culture. In other words, it is seen as the origin of K-culture. In order to solidify the status of Sijo, its base must be expanded in Korea. Therefore, I believe that the practical use of Sijo will be the first step toward its globalization.

      • KCI등재

        개화기 시조의 일탈

        김성문(Kim, Seong-Moon)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4

        본고는 개화기 시조가 고시조의 형식적 정형성과 내용적 서정성에서 상당부분 일탈(변화)하는 면모를 보이고 있음에 주목하여, 우리 시조의 전통 계승과 단절이라는 측면에서 개화기 시조를 살펴보고자 한 시도이다. 지면 상 개화기 시조 전체를 대상으로 하기 어렵기에, 가장 많은 386 수의 개화기 시조를 수록하고 있는 『大韓每日申報』 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주지하듯이 우리 시조는 형식적으로 3장 6구 12음보의 정형시이기 때문에, 이러한 형식을 따르지 않는 작품을 오롯이 시조라 부르기는 어려울 것이다. 아울러 시조는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외부세계로 인하여 촉발된 감정을 시인 스스로에게로 수렴하는 서정의 문학이다. 따라서 형식과 내용이 고시조의 전통을 고스란히 계승하지 못한 개화기 시조는 곧 일탈적 성격을 가지는 일련의 작품군이라 부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우선 개화기 시조는 그 형식적인 측면에서 일제 강점기라는 특수한 시대 상황에서 항일과 독립 쟁취의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주안점을 둔 나머지, 종장 제 4음보를 생략함으로 인하여 각장 4음보격의 시조 정형성에서 일탈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는 시조종장의 네 음보가 갖는 형식미학에서 벗어난 것으로 이후 현대시조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시조의 정형성이 훼손되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내용적인 측면에서 개화기 시조는 서정시로서의 본분에서 벗어나 개화기라는 특수한 시대논리를 담는 목적문학으로 변모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시대문학으로서의 시조가 갖는 특수성을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386수의 작품 중 96%에 해당하는 373수의 작품이 항일, 자주독립에의 염원, 문명개화의 열망 등 특정한 주제를 담는 데에 편향되었다는 것은 개화기 시조를 서정문학으로서의 오롯한 그것으로 보기 어려운 이유가 된다. 이상으로 말미암아 필자는 개화기 시조를 ‘일탈의 시조’로 규정하였으며, 이러한 일탈은 바로 고시조의 전통이 현대시조로 고스란히 계승되지 못한 전통 단절의 문제와 관련을 갖는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Sijo (a traditional Korean genre) of poetry in the Enlightenment period of Korea deviates considerably from the formality and sentiment of earlier-time Sijo, and seeks to examine such development in terms of the traditional succession and disconnection of the Korean Sijo. To that purpose, Daehanmaeilsinbo Newspaper, which contains the largest number of works, was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 for convenience’s sake. Since the Korean Sijo is a fixed-form poem type consisting of 3 chapters, 6 phrases and 12 metres, so works that do not follow this form would not be considered Sijo. In addition, in terms of contents, Sijo is a lyric literature that converges emotions triggered by the subject into the poet himself. Therefore, pieces of Sijo in the Enlightenment period may be called a group of an array of work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deviation whose form and contents failed to inherit the entire tradition of earlier-time Sijo. First, in terms of its formative aspect, the Sijo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shows that they deviated from the 12 metre-Sijo formalism by omitting the four metres of the ending chapter, while focusing on creating an atmosphere of anti-Japan mood and recovering Korea’s independence in the special situation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This is a departure from the formal aesthetics of the four metres of the last chapter of Sijo, and in the following process of leading to the modern Sijo style, such deviation is deemed to be one of factors that damaged the formalism of Sijo. Second, in terms of contents, the Sijo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was deviated from the mainstream genre of lyric poetry and changed into the objective literature which contained the special logic of the era. 373 of the 386 pieces of work were biased to include specific themes such as anti-Japanese sentiment, desire for independence, and aspiration for civilization flowering, making it difficult to see the Sijo during the Enlightenment as a lyric literature. Therefore, this paper sought to define the Sijo in the Enlightenment period as the “Sijo of the deviation”, and this deviation is regarded as related to the disconnection of the tradition that the entire tradition of earlier-time Sijo was not succeeded to the modern Sijo.

      • 시조의 미국 진출-번역과 수용

        한재남(John J. Han)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科學硏究 Vol.19 No.-

        한국의 전통 시형인 시조가 미국에 알려지게 된 지 약 반 세기가 지났다. 시조는 여러 한국 문학의 유형 가운데 영어권의 문인들에게 가장 어필할 수 있는 요소를 가진 장르로 떠 오르고 있다. 이 논문은 시조가 미국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토착화되고 있는가를 알아 보고자 하는 것이다. 우선 미국 시조의 약사, 시조의 미국진출에 결정적 기여를 한 번역가들의 공헌을 살피고, 한국 시조의 번역 출판 상황, 한국 시조의 다양한 번역법, 영시조의 실제 및 영시조의 창작법을 논의한 다음 미국 영시조의 발전 방향에 대한 전망으로 논문을 끝맺음한다. 현재까지 수백 편의 시조가 영어로 번역되어 있는데 시조, 나아가 전통 한국시가 미국인들의 관심을 끄는 데 있어 가장 큰 공헌을 한 세 번역가로는 한국계 미국학자인 피터 리, 주일 한국대사 배이환의 부인이었던 이네즈 공 배, 그리고 한국에서 성공회 주교로 봉사했던 리차드 럿을 들 수 있다. 피터 리의 Anthology of Korean Poetry (1964), 공 배의 The Ever White Mountain (1965), 럿의 The Bamboo Grove (1971)는 시조의 국제화에 결정적 역할을 한 저작들이었다. 이 저서들을 비롯한 여러 한국 문학 및 세계 문학 선집에는 거의 모든 전통 시조와 대표적인 20세기의 시조들이 번역 수록되어 있다. 물론 한국 시조는 번역가의 문학적 취향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영역되어 있다. 미국인들이 창작하는 영문 시조는 모두 평시조이며, 창작법은 주로 리차드 럿의 시조 이론을 따르고 있는데, 영문 시조 운동을 주도하는 시인들로는 플로리다의 래리 그로스와 캐나다의 엘리자베쓰 세인트 자끄를 들 수 있다. 미국 내에서는 하이쿠 시인들이 중심이 되어서 시조를 쓰고 있고, 일부 고등학교에서 시조를 가르치고 있으며, 또 시조는 여러 시경연대회의 한 종목이 되어 가고 있다. 한편 미국 내에서 그동안 여러 영시조집이 출판되었는데 그 저자로는 운송 김, 엘리자베쓰 세인트 자끄, 진 르블랑, 데이빗 머켄, 린다 수 박 등을 들 수 있다. 앞으로도 시조는 미국인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끌 것으로 보인다. 당분 간은 그로스와 세인트 자끄가 확립한 영시조 작법의 원리를 따를 것이지만 하이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미국 내에서 독자적 시형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한국의 전통 시조와는 달리 미국 시조는 미국인의 고유한 정서와 사상을 담는 장르로 발전할 것인데 정적이고 애조를 띄는 한국의 전통 시조들과는 달리 유머러스하고 긍정적이고 밝은 소재들을 담게 될 것으로 보인다. Since sijo was first introduced to the West half a century ago, it has proven to be the most appealing Korean literary type for English-speaking people. This paper explores the ways in which sijo has been received, practiced, and nativized among American scholars and poets. Specifically, it examines the contributions of the early translators of sijo, some of the representative texts of Korean sijo in English translation, some of the sijo written in English, and the future of sijo in the New World. Unbeknownst to most Koreans, hundreds of traditional and modern sijo have been translated into English. Three early translators must be given the most credit for publicizing the Korean poetic form among Westerners: Peter H. Lee, a KoreanAmerican scholar and editor of Anthology of Korean Poetry (1964); Inez Kong Pai, wife of a Korean ambassador to Japan who edited The Ever White Mountain (1965); and Richard Rutt, an Anglican missionary to Korea and editor of The Bamboo Grove (1971). Their efforts were followed by a group of younger translators, such as Kevin O’Rourke and David R. McCann. Korean sijo are now included in many poetry anthologies, and they are translated in various ways based on the literary taste of each translator. English-language sijo poets write almost exclusively pyeong sijo, the simplest form of sijo. Larry Gross of Florida and Elizabeth St. Jacques of Canada are the two leading teachers of sijo in North America today; their sijo theories largely come from Richard Rutt’s book, The Bamboo Grove. Many sijo poets in America are also haiku and tanka poets, who find a kinship between the Korean and Japanse poetic forms in sensibility and structure. Also, more and more high schools teach sijo, and sijo has become a category in some poetry contests across the United States. Several books of original sijo appeared from 1995 to 2010; the authors include Unsong Kim, Elizabeth St. Jacques, Jean LeBlanc, David R. McCann, and Linda Sue Park. Sijo will continue to attract attention from American scholars and poets. For the foreseeable future, American sijo poets will follow the guidelines set by Larry Gross and Elizabeth St. Jacues. Similar to haiku and tanka, however, sijo will eventually become Americanized in both form and sensibility. Because of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English, the form will become more flexible. Finally, whereas traditional sijo are steeped in tranquility and sadness, Ameircan sijo will celebrate life, express the dynamics for living, and convey humor.

      • KCI등재

        시조의 정체성과 현대시조가 나아갈 길

        구충회 국제언어인문학회 2019 인문언어 Vol.21 No.1

        Sijos is a traditional Korean poem.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e differences between ancient Korean sijos and modern Korean ones, and between modern Korean sijos and free verses, and seek the direction for modern Korean sijos to coexist with free verses while finding the way for modern Korean sijos to go. The results of the foregoing effor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exists a fundamental difference in the formats of presentation between ancient Korean sijos and modern Korean ones. Whereas ancient Korean sijos are implemented in the musical structure of song chang or sijo chang, modern Korean sijos are implemented based on the inner order of language regardless of music. Second, the two types of sijos are different in their forms. The most primary difference is in the principles of meters. Modern Korean sijos are given the a priori principle of meters termed three verses, six phrases, and 12 metres. On the contrary, free verses are given no principle whatsoever in advance and only the freedom according to the breath of the poet is given as ex post facto necessity. Third, ancient Korean sijos have ‘formal frames’, which are; completing the poetic concept with three verses that form syntax semantic links, composing each verse with four metres (syllable nodes), and creating a change for the transition of the poetic concept by making the first node of the last verse into three syllables and the second node into at least two syntactic words. Such ‘formal frames’ contain the beauty of a high level of modesty, the beauty of peaceful lengthiness, the beauty of stable balance, the beauty of temperate breakaway, and the beauty of flawless plainness and this is the identity of ancient Korean sijos. Since modern Korean sijos are a genre based on the ambilaterality of ‘the property of sijos’ and ‘modernity’, they have a task to contain ‘modernity’ in ‘the property of sijos’, which is three verses, six phrases, and 12 metres because they can secure the status and identity of modern Korean sijos only by doing so. Fourth, modern Korean sijos and free verses should not go toward postmodernism together, but should establish their directions to form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so that they satisfy the poetic needs that cannot be fulfilled by each other. The roles of free verses and modern Korean sijos should be divided so that avant-garde, free, and abstruse emotional needs are satisfied by free verses and the needs for stable and tranquil order are satisfied by modern Korean sijos thereby satisfying each others needs for mutual coexistence. Fifth, the way for modern Korean sijos to go in the high-tech age is to make the refined and temperate ‘short sijo’ completed with three verses, six phrases, and 12 metres neatly escape from the triteness coming from the reckless freedom, being in distress, and weird destruction of meters of free verses. The short sijo, which is completed with three verses, six phrases, and 12 metres should be the alternative to heal the reckless morbid pathos of free verses with the neat and balanced ethos of sijos.

      • KCI등재

        시조부흥‘운동’ 전후, 사설시조의 행방—가람 이병기의 경우

        조해숙 한국현대문학회 202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71

        이 글은 1910년 이후 식민지 상황과 매체의 이동이라는 문학장의 변화 내에서, 전통 시가인 시조가 문학 양식으로 정착하며 시대적 대응을 모색해 나가는 과정을 살피는 작업의 하나이다. 특히 고시조 연구와 현대시조 창작에 탁월했던 가람 이병기의 경우를 중심으로, 고시조 변모의 중요한 분기점이 된 1920년대 시조부흥론과 그 전후 시조 관련 쟁점을 재점검하면서, 그간 조명을 받지 못한 가람의 사설시조 작품을 고찰했다. 시조는 한국 근대문학 형성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변모와 자생적 대응을 보여왔다. 시조부흥 논의 이전 1910년대 시조는, 비록 양적 열세인 데다 저항성이 쇠퇴하고 계몽성을 부각하면서 잡지 중심으로 수록되긴 했으나, 시사물보다 문예물의 성격을 띠며 형식 면에서 이전 신문 수록 시조보다 자유롭고 구호적·반복적 리듬을 벗어나는 등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이렇게 이어지던 시조는 1920년대 중반 시조부흥의 기치 아래 일종의 ‘운동’의 대상으로 소환되어 문학 노선 논쟁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활용되면서 커다란 굴절을 경험한다. 반대론자들은 시조가 소극적·퇴영적인 양반 계급문학이어서 시효가 지난 갈래라고 단정했고, 시조 부흥론자들은 계급을 초월한 민족 문학의 정수로 시조를 부각하며 의의를 부여했으나 사실에 근거한 반론 준비에는 미흡했다. 시조부흥을 둘러싼 논란 과정에서 가람 이병기(1891~1968)가 나아간 방식은 독특하다. 그의 시조 인식은 최남선의 ‘조선주의’와는 차이가 있고, 다른 부흥론자들이 주장을 넓혀가는 방식과도 다른 길을 열었다. 이병기는 시조의 당위성을 제창하는 대신 부정적이거나 유보적인 견해에 귀 기울이고, 고시조 비평과 시조 이론을 정립함으로써 문제점 해결과 문학적 대응에 힘썼으며, 시조 고유의 속성 탐구로부터 현실에서 시조를 되살릴 방안을 찾았다. 시조부흥 논의를 통해 얻은 것과 잃은 것에 대해서는 객관적으로 평가할 부분이 남아있으나, 이것이 시조를 대중에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된 점만은 분명하다. 다만 시조부흥 문제가 제기된 후, 시조사에서 1910년대까지도 활발했던 사설시조의 창작이 배제된 것이나 관련 논의가 사라진 점, 이후 연구사도 이를 소홀히 했던 점은 주목할 지점이다. 여기서는 가람 이병기가 남긴 사설시조 작품을 고찰하면서 관련 논의와 의미를 점검했다. 『가람문선』 수록 작품 총 167편 중 사설시조로 뚜렷한 작품은 4수이다. 범속한 삶의 반영과 수평적 시선의 견지, 관찰자로서의 객관적 응시를 통한 대상 재현이라는 사설시조 고유의 특성을 담으면서도, 세계와 자아가 어긋난 순간의 시적 태도나 문제 해결방식은 새롭다. 기존 사설시조에서 인간 욕망의 집요함과 곤경이 빚어낸 풍경을 끌어안는 해학적·풍자적 태도가 흔하다면, 이병기의 사설시조 주인공이 처한 어려움은 사회적 현실 조건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설시조의 인물형이 ‘욕망의 주체’로 전형화되는 반면, 가람 사설시조는 ‘나’가 형상화하는 개인적 형상과 태도가 도드라지는 것이다. 또 서술형 어미와 종장 첫 구의 선택 변화 등도 나타나, 가람 사설시조는 노래로부터 온전히 개인 서정시로 전환함으로써 현대시조다운 성취를 보였다. 『가람문선』 외 잡지 발표 사설시조 4편은 상황 인식과 내면 표출이 한층 선명해, 현실 세계를 향한 작가의 날카로운 시선과 현실의식을 드러낸다. 이병기의 경우를 통 ...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evolution of Sijo, a traditional Korean poetic form, within the context of changes in the literary landscape due to colonial situations and shifts in media since 1910. Particularly shedded light upon is the overlooked works of Garam Lee Byeong-gi, who excelled in the study of classical Sijo and the creation of modern Sijo. This paper reexamined his undervalued Sijo revival theory in the 1920s which provoked transformation in ancient Sijo, and the issues of the time surrounding Sijo. Sijo has demonstrated a natural transformation and adaptive response in the process of shaping modern Korean literature. Sijo in the 1910s, which was before the discussions on the Sijo revival, while facing quantitative disadvantages and a decline in resistance and eventually retreating to be included in few journals, showed positive changes-breaking away from the repetitive and chant-like rhythms of earlier Sijo in newspapers and becoming more of a literature than of a think piece. Sijo then underwent a significant transformation in the mid-1920s, summoned as a target of a kind of ‘movement’ under the banner of Sijo revival. It became a significant tool in literary debates. Opponents asserted that Sijo was a passive and obsolete aristocratic-class literature, declaring it as a thing of the past. On the other hand, advocates of the Sijo revival emphasized its essence as a national literature transcending social classes, attributing significance to Sijo. However, their counterarguments lacked sufficient grounding in reality. During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Sijo revival, Lee Byeong-gi’s approach stands out. His perception of Sijo was unlike other revivalists and also differed from the ‘Chosun-centric’ approach of Choi Nam-sun. Instead of asserting the intrinsic value of Sijo, Lee Byeong-gi took negative or conservative views seriously, focused on classical Sijo criticism and established Sijo theory to address issues and find literary responses. Through these approaches, he explored Sijo’s unique attributes and sought ways to revive Sijo in reality. While there still are rooms for objective evaluations regarding gains and losses from the Sijo revival discussions, it is clear that this period became a catalyst for widespread awareness of Sijo. However, it is noteworthy that after the Sijo revival discussions, the creation of Saseol-Sijo, which was active until the 1910s, was suspended and excluded from Sijo studies or related discussions. The study delves into the works of Lee Byeong-gi, particularly his Saseol-Sijo, as part of the broader discussion on the Sijo revival and its significance. Out of a total of 167 works in “Garam Moonseon,” only four can distinctly be categorized as Saseol-Sijo. While embody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aseol-Sijo, such as reflecting the breadth of ordinary life, adopting a horizontal perspective, and reproducing subjects through objective observation, Lee Byeong-gi’s Saseol-Sijo demonstrates a novel poetic attitude and problem-solving approach in moments of discord between the world and the self. In contrast to the prevalent sarcastic or satirical attitudes towards human desires and difficulties in traditional Saseol-Sijo, Lee Byeong-gi’s characters in Saseol-Sijo are connected to social conditions in real life. Therefore, while the character type in traditional Saseol-Sijo is often a ‘subject of desire,’ the individual’s distinctive form and attitude, which is embodied by the ‘self,’ stands out in Garam’s Saseol-Sijo, Moreover, changes in narrative endings and the choice of the first sentence of the last verse also appear, indicating that Garam’s Saseol-Sijo demonstrated itself to be a modern Sijo, by achieving full transition from song to personal lyric poetry. four Saseol-Sijo published in several magazines including “Garam Moonseon,” have a clearer perception of situations and inner expressions, revealing the author’s sharp...

      • KCI등재

        시조, “국민사상”과 “국민시가”의 사이 -이태극론-

        최현식 ( Hyun Sik Choi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0

        본고는 이태극의 시조와 시조론을 중심으로 그 미학적 특성과 문학사적 가치를 살펴본다. 이태극은 등단 시 「시조부흥론」을 제창함으로써 1950년대 후반의 제2차 시조부흥론의 발흥에 그 시발점을 제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 논문에서는 그는 ``국민사상``과 ``국민도의``의 중요성을 설파했다. 이를 위해 현대인의 생활감정에 근거한 정서와 내용의 포착, 보다 자유로운 자유시적 정형율의 창조, 사설시조와 가사 형태의 원용 등을 강조했다. 이후 그는 특히 ``사설시조를 ``장시조``로 바꿔 부름으로써, 한국인 보편의 정서와 생활경험을 폭넓게 수렴할 것을 주장했다. 1955년에 발간된 『국민사상과 시조문학』은 이태극 시조론의 이념과 성격을 대표하는 저서이다. 이 책에서 그는 식민 경험과 국토분단에 따른 한국의 황폐함을 극복하고 보다 풍요롭고 안정적인 국민국가의 건설을 위해 시조 본래의 애국지정과 윤리의식을 적극 활용할 것을 주장했다. 이것은 이후 이태극 시조에서 지속적으로 관찰되는 내용이며 특히 자연의 인간화와 그 회복 의지로 끊임없이 표상되었다. 또한 이태극은 시조의 ``국민시가``화를 위한 시조 형식의 개변에도 적극 참여했다. 자유시의 리듬을 빌린 보다 느슨한 정형률의 실험, 장과 구의 확장, 읽는 시조로서 장시조의 창작 강조 등이 그것이다. 이를 통해 그는 시조가 제2예술이 아니라 당대의 실감과 실정을 풍요롭게 반영하는 시가로 통용되기를 희원했다. 『시조문학』의 창간과 유지는 시조의 현대화와 국민시가화를 위한 매체적 기투였다 하겠다. 하지만 이태극은 「시조부흥론」에서 강조했던 ``사설시조``의 전통 계승과 현대적 변용을 적극 실천하지는 못했다. 이것은 본래의 사설시조에 담긴 웃음과 욕망의 민중성을 타당하게 현재화하지 못했음을 의미할 것이다. 그는 가락의 형식으로 명명된 ``사설시조``를 읽기의 관습으로 고려한 ``장시조``로 바꾸는 것이 옳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 형식의 변용은 결국 시조가 한때 성취했던 민중성과 대화성을 옳바르게 계승하는 작업에 많은 제한을 가져왔다. This paper looked into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literary value of mainly the sijo by Lee Tae-geuk and his theory of sijo. Lee Tae-geuk is considered to have served as a trigger for the rise of secondary revival theory of sijo during the later period of the 1950s through his advocating the “Revival Theory of Sijo” with the start of his literary carrer. This paper shows that the elucidated the importance of “national ideology” and “national morality”. For this, the paper emphasized the understanding of emotion and contents based on the life feeling of today`s people, the creation of a fixed rhythm of freer free verse, and quotation of the type of saseol sijo (sijo with no restrictions on the length of the first two verses) and a gasa (one of the literary forms during the Joseon period, a form between a poem and prose) form. Later, in particular, he changed the name of “saseol sijo” into “jiang sijo”(long sijo); thus, he insited on the wide collection of the common emotion and life experience of Koreans. “National Ideology and Sijo Literature” published in 1955 is a book that represents the ideology and character of sijo by Lee Tae-geuk. In this book, he emphasized the need to overcome the ruin of Korea subsequent t colonial experience and division of the country and to utilize the patriotic avidity and ethical awareness inherent in sijo for the founding of a more enriched and stable people`s nation. These contents are carried through consistently in the sijo by Lee Tae-geuk. In particular, they constantly symbolized the humanization of nature and willingness for its recovery. Also, Lee Tae-geuk participated actively in alteration of the sijo form in order to make sijo as “national poetry”. This includes the testing of a looser fixed rhythm that borrowed the rhyrhm of free verse, the exrension of chapters and phrases, and an emphasis on the creation of jiang sijo as a sijo to read. Through this, he desired that sijo would pass not as secondary art but as poetry that reflects the actual feelings and circumstances of the times in an extensive manner, The first publication and maintenance of “Sijo Literature” might be a media style projection for modernizing sijo and making sijo as a national poetry; however, Lee Tae-geuk was not active in practicing the traditional inheritance and modernistic change of “saseol sijo” emphasized in the “Revival Theory of Sijo”. This means that there was a failture to present in an fair manner the character of the masses, namely laughter and desire, which are uniquely reflected in saseol sijo. He believed it to be right to change “saseol sijo”named in the form of a tune into “jang sijo” in consideration of reading practice; however, the change of this form ultimately brought about many limitations in the work of inheriting correctly the character of the masses and the conversation attribute that were once achieved by sijo.

      • KCI등재

        윤금초 시조 연구

        김태경(Kim, Tae-kyeong) 한국어문학회 2014 語文學 Vol.0 No.123

        Sijo, the traditional three-verse Korean poem, has long been regarded as a classical form of poetry and studied with an interest on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e focus on sijo was mainly related to the macroscopic dimensions and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sole purpose of revealing the regard for sijo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how its form has transformed over the years. This particular branch of classical literature not only underwent changes in its form but attempts were also made to change its content. As a result, modern sijo incorporating the past and present elements has established itself as a fixed form of poetry that is uniquely ours and cannot be observed in any other genres. Modern sijo did not simply remain in existence but was constantly developed by sijo poets with infinite imagination who experimented with various elements. A significant number of sijo poets are active today, but there is still lack of research performed to examine the written works of poets and the world of poetry using a microscopic approach. It is only when we truly understand the theory of sijo poetry and the world of poetry that we can identify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modern sijo. In this study, sijo poet Yoon Geum-cho’s genre perception was examined. He defined the “classical form of pyeongsijo, which focuses on the metric feet and the number of syllables as ‘closed sijo,’” while defining the “saseolsijo, eotsijo, and omnibus sijo with more varying flexibility as ‘open sijo.’” From his perspective, “open sijo”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formality of the genre to realize its full potential. It maintains the traditional rules of versification of sijo, while at the same, expands the metric structures. Accordingly, poet Yoon Geum-cho wrote saseolsijo as well as omnibus sijo, integrating a various forms of sijo, and also wrote long narrative sijo with serial and parallel extensions of omnibus sijo. Diversification of sijo and expansion of its form eliminated the constraints in terms of the traditional content of sijo. In other words, the form was changed to make it possible to express the sentiments of modern people that have become more detailed and complex. Poet Yoon Geum-cho selected a form of sijo based on the content he intended to write and embodied the poetic meaning that suited the chosen form. As a result, he brought forth poems that deviated from the classical themes that had been the main focus of the sijo poets, and these were in the form of series in emulation of Western art form and also included satirical sijo that criticized modern civilization and the political world. He also touched upon sexual discourses which had been considered a taboo topic, through which he illustrated the vitality of humans. There is a need to study Yoon Geum-cho’s sijo works, which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allowing sijo to be established as a modern genre of poetry, from diverse approaches in order to gain a broader understanding of modern sij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