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주총회에서 주주평등원칙의 적용

        김영균,임춘환 한국상사판례학회 2017 상사판례연구 Vol.30 No.4

        The breakdown of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is a common phenomenon that corporations face today,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threatening the nature of the corporation system. There are many reasons why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can be broken down, but there may be a considerable cause in the operation of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Shareholders, especially the minority, can attend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and shareholders wh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shareholders' meeting can act as shareholders to attend the general meeting. Shareholders may have difficulty attending the general meeting, or even if they attend, the seat or meeting room environment, where discussions and questions are limited, may be an obstacle to exercising shareholder rights. Even if they attend the meeting, the executives who hold the chairperson or the meeting should avoid the active role of the shareholders and deliberately terminate the shareholders' meeting without intentionally giving them the opportunity to ask questions and discussions. This may cause another shareholder meeting to be broken down. Therefore, management should give due consideration to the shareholders to facilitate their attendance at the shareholders' meeting, and to provide sufficient opportunity for shareholders to attend the meeting. If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is held as a ceremony to pass as an annual event and the shareholders 'meeting is held in order to have the format of passing the shareholders' meeting, the function of the shareholders 'meeting will become meaningless, shareholders will turn away from the shareholders' meeting, will be. Shareholder equality must be realized from the attending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to the whole process of questioning, debating and resolving the shareholders in order for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to be able to control and supervise management. 주주총회의 형해화는 오늘날 주식회사가 겪게 되는 공통된 현상으로서 주식회사제도의 본질을 위협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주주총회가 형해화되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겟으나, 주주총회의 운영 그 자체에도 상당한 원인이 존재할 수 있다. 주주총회에 주주, 특히 소수들이 많이 참석할 수있고, 참석한 주주들이 적극적으로 주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어야만 주주들이 총회에 참석하는 動因이 될 수 있다. 주주들이 총회에 참석 자체에 어려움이있거나, 참석한다하여도 토론과 질문이 제한되는 좌석 또는 회의장 환경이 주주권을 행사하는데 장애가 될 수 있다. 설령참석한다하여도 의장이나 회의를주최하는 경영진에서 주주들의 적극적인 역할을 기피하여 의도적으로 질문과토론의 기회를 주지 아니하고 오로지 주주총회를 조속히 종료하고자 한다면주주들은 주주총회에 참석한 의미를 찾지 못하게 되고 이것이 또 하나의 주주총회를 형해화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경영진들은주주들이 주주총회에 참석자체가 용이하도록 충분한 배려를 하여야 하고, 참석한 주주들로 하여금 질문과 토론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주주총회를 연례행사로서 통과의례로 생각하고 단지 주주총회의 통과라는 형식을 갖추기 위하여 주주총회를 운영한다면주주총회의 기능 자체가 무의미해지고, 주주들도주주총회를 외면하고 주주총회는 형해화되고 말것이다. 주주총회가 명실공히경영진을 견제하고 감독하는 기능을 감당하려면주주총회의 참석에서부터 주주의 질문과 토론, 의결의 전과정에서 주주평등이 실현되어야 한다.

      • KCI등재

        실무적 관점에서 본 전자주주총회의 쟁점 - 통신장애 등에 대한 대책을 중심으로 -

        권용수 한국기업법학회 2023 企業法硏究 Vol.37 No.1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have long been discussed. However, since no specific review of legal and practical issues and risks inherent in the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has been conducted, it has been neglected from the practice of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However, during the COVID-19 incident, there is a notable movement to skip discussions on issues and risks related to the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and to request and choose to hold an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from the perspective of protecting shareholders' rights or safe shareholders' meetings. Only a small number of companies still hold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and no true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are held to replace on-site shareholders' meetings, but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practice of shareholders' meetings. What are the main factors that companies are hesitant to hold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Basically, in order to hold an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preparatory work such as a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shareholders' meeting or countermeasures against communication problems is necessar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view various issues such as shareholder identification, attendance at the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and the effect of exercising voting rights in advance, handling shareholders' questions, and exercising voting rights. 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if an unexpected communication failure occurs, cancellation of a resolution at the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may be a problem. Looking at the convocation notices of companies that actually held the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it can be seen that they are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measures for communication problems. From the above, this paper viewed the key issues related to the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as countermeasures against communication problems, examined the responses of major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nd conducted a legal and practical review. As a result, it was pointed out that from a legal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failure and resolution cancell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ignificance and specificity of the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it is important for companies to come up with measures within an economically reasonable range in preparation for communication problems,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measures with deepening dialogue between companies and shareholders in mind. For example, it is necessary for companies not to focus their conversations with shareholders or exercise shareholders' rights only on the day of the shareholders' meeting, but to effectively utilize and distribute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전자주주총회는 오래전부터 언급되었지만, 그에 내재한 법적·실무적 쟁점과 위험에 대한 구체적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다 보니 주주총회 실무에서 외면받아 왔다. 그런데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전자주주총회에 관계된 쟁점과 위험에 관한 논의를 건너뛰고, 주주권익 보호나 안전한 주주총회 등의관점에서 전자주주총회 개최를 요청·선택하는 움직임이 눈에 띄고 있다. 아직은 전자주주총회를 개최하는 기업이 극소수에 불과하고, 현장 주주총회를 대체하는 진정한 의미의 전자주주총회도 개최되지않는 실정이지만 주주총회 실무 변화에 대응한 체계적 검토를 본격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기업들이 전자주주총회 개최를 주저하는 주요 요인은 무엇일까? 기본적으로 전자주주총회를 개최하려면 주주총회 송수신 방법이나 통신장애 등에 대한 대책 등 사전 준비 작업이 필요한 데 더해 본인확인, 대리인의 버추얼 출석, 주주총회 출석과 사전 의결권행사의 효력, 주주의 질문 취급, 동의 제출 및 채결, 의결권행사 방식 등 다양한 쟁점에 관한 검토가 필요하다. 그런데 이러한 수고에도 불구하고, 예기치 못한 통신장애 등이 발생하면 결의취소를 넘어 결의부존재 등이 문제 될 수있다. 실제 전자주주총회를 개최한 기업들의 소집통지 내용을 보면 통신장애 대책 등에 특히 신경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논문은 전자주주총회에 관계된 핵심 쟁점을 통신장애 등에 대한 대책으로 보고,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대처를 살펴본 후 법적·실무적 관점의 검토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로서 ① 법적 관점에서는 전자주주총회의 의의나 특수성을 고려해 통신장애와 결의취소 등의 관계를 이해할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예컨대, 기업이 통신장애 위험을 사전에 고지하고 합리적 대책을 세운경우라면, 주주 측의 문제를 포함해 예기치 못한 통신장애 등으로 주주가 심의 또는 결의에 참여할수 없었더라도 결의취소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이해하는 것이다. ② 실무적 관점에서는 기업이통신장애 등에 대비해 경제적으로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고, 기업과 주주의 대화 심화를 염두에 두고 대책 마련 범위를 확장시킬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예컨대, 기업이 주주와의 대화나 주주의 권리행사를 주주총회 당일에만 집약할 것이 아니라, 주주총회 전후기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분산시키는 궁리 등을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ESG 경영에 따른 주주총회 관련 규정의 개선방안 -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적합성을 중심으로 -

        정준우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法學硏究 Vol.26 No.2

        Although the basic law on stock companies is the Commercial Act, there is a lack of consistency between the provisions of the commercial law and corporate practice, so a reasonable interpretation and legislative supplementation are needed. This is especially true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and Middle-Standing Enterprises that are facing realistic difficulties due to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application of ESG management. Therefore, in this paper,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are suggested. First, in relation to the requirements for convening a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1) A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and its resolution held in the absence of a convocation resolution of the board of directors or in the absence of a convocation resolution of the board of directors shall be interpreted as invalid. 2) Article 364 of the Commercial Act should be deleted so that the board of directors can flexibly set the location of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in consideration of the distribution of shareholders. 3) The requirement for minority shareholders in requesting the convocation of a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shall be premised on the total number of issued shares with voting rights. 4) The concept and scope of electronic documents should be stipulated in the commercial law. 5) The other party to the convocation request of minority shareholders should be amended from the board of directors to a director, and the contents related to Article 383, Paragraph 6 of the Commercial Act should be supplemented. 6)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the meaning of the purpose in relation to the convocation request of minority shareholders, and in relation to the reason for the convocation, the board of directors must notify whether or not the convocation is approved or proceed with the convocation procedure within a certain period after the minority shareholder's request for convocation. However, minority shareholders should be allowed to apply for convocation permission to the court only when they have violated this or there is a specific reason such as in a representative lawsuit. Next, in relation to the convocation method and operation of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1) The problem of distortion of voting rights should be prevented by reducing the interval between the reference date and the date of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which can be up to three months. 2) The Commercial Act should be amended to define electronic documents as electronic methods, and the types should be clearly described to ensure both usability and safety. 3)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should stipulate how to conduct electronic public announcements, giving shareholders the possibility of foresight. 4) Even for matters requiring a special resolution at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the period of notice of convocation must be extended to at least three weeks to support the reasonable exercise of voting rights by shareholders. 5) In the appointment of auditors, by inferring Article 371, Paragraph 1 of the Commercial Act, it is interpreted that stocks exceeding 3% are not included in the total number of issued stocks, and a plan to alleviate the resolution requirements of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should be positively reviewed. do. 6) The Commercial Act should stipulate the content of the follow-up measures of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inspectors to increase effectiveness, and the Commercial Act should also stipulate the director's duty of explanation for the rational judgment of shareholders and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shareholders' meeting. 주식회사에 관한 기본법은 상법이지만, 규정과 실무의 정합성이 부족한 부분도 있어합리적 해석과 입법적 보완이 필요하다. 이는 특히 ESG 경영의 적용범위가 기존의 대형상장회사에서 점차 그들의 연계기업에까지 확대되면서 현실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 코스닥시장 등의 중소․중견기업의 경우에 더욱 절실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주주총회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주주총회의 소집요건과 관련하여, ① 이사회의 소집결의가 없거나 무효인 상태에서 개최된 주주총회와 그 결의는 무효라고 해석해야 한다. ② 제364조를 삭제하여 이사회가 주주분포를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총회장소를 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③ 주주총회의 소집청구에 있어서 소수주주의 요건은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를 그 전제로해야 한다. ④ 전자문서의 개념과 포섭범위를 상법에 규정해야 한다. ⑤ 소수주주의 소집청구 상대방을 이사회에서 이사로 개정하고 제383조 제6항에 관련 내용을 보완해야 한다. ⑥ 소수주주의 소집청구와 관련하여 목적사항의 의미를 상법에 규정할 필요가 있고, 소집이유와 관련해서는 소수주주의 소집청구 후 일정한 기간 내에 이사회가 그 가부를통지하거나 소집절차를 진행하도록 하고, 이를 위반하였거나 대표소송에서와 같은 특정한 사유가 있는 때에만 소수주주가 법원에 소집허가를 신청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음으로 주주총회의 소집운영과 관련하여, ① 최대 3개월인 기준일과 주주총회일의간격을 줄여 공투표나 의결권의 왜곡을 차단해야 한다. ② 법령을 개정하여 전자문서를전자적 방법으로 규정하고 그 종류를 명기하여 활용성과 안전성을 함께 확보해야 한다. ③ 정관에 전자공고의 실행방법을 규정하도록 하여 주주들에게 예견성을 부여해야 한다. ④ 특별결의가 필요한 사안만이라도 소집통지기간을 3주 이상으로 연장하여 주주들의합리적 의결권 행사를 지원해야 한다. ⑤ 감사선임에서는 제371조 제1항을 유추적용하여3% 초과 주식도 발행주식총수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하고, 주주총회의 결의요건을 전체적으로 완화하는 방안도 전향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⑥ 총회검사인의 후속적 조치에 관한 내용을 상법에 규정하여 실효성을 높여야 하고, 주주들의 합리적인 판단과 주주총회의 실효적인 운영을 위해 이사의 설명의무 등도 상법에 규정해야 한다

      • KCI등재

        주주총회 관련 가처분에 관한 연구

        전휴재 사법발전재단 2021 사법 Vol.1 No.57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is a necessary standing body and the highest decision-making body of a corporation. The authority of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shall be determined by laws and articles of association, including the appointment and dismissal of directors and auditors, modification of articles of association, merger, and transfer of operations. Therefore, there are increasing cases in which management disputes or minority shareholders raise provisional disposition related to general shareholders’ meetings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mergers or transfer of operations. Provisional dispositions related to shareholders’ meetings are so-called “satisfactory provisional dispositions” and often have the same effect as the original judgment, resulting in “the substitution of provisional disposition for judgment” phenomenon in which disputes end without filing a lawsuit. The provisional disposition of the prohibition of holding a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and of a resolution of shareholders’ meeting is a preliminary remedy that prohibits the holding of a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or the resolution itself, when a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is convened to carry a resolution for matters that violate statutes or articles of association. The right to the provisional dispositions generally overlaps between the right of litigation to dispute defects in the general shareholders’ resolution and the right to maintain illegal activities against directors. Depending on the case, the right to exclude obstruction or the right of non-operation under the agreement may also be the right to the provisional dispositions. There are considerable difficulties in proceeding with the trial period as the provisional disposition of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is urgently raised ahead of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Therefore, it is highly necessary to introduce temporary measures such as TRO under U.S. law to secure sufficient hearing opportunities before deciding on an injunction. In a case where a shareholders’ meeting is held in violation of the provisional disposition of prohibition of holding a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there is a conflict of opinion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the resolution. It shall be deemed null and void according to the power of the provisional disposition, but if the opposite conclusion is confirmed in the main judgment, it shall be valid retroactively. The provisional disposition to suspend the validity of a resolution of a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is an injunction to suspend the effectiveness of the resolution where there is a defect in the resolution method, resolution details, convening procedure, etc.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cases of ordering the provisional disposition of suspension of effectiveness of the resolution of the futur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instead of ordering a resolution ban in consideration of the necessity of preservation where the provisional disposition of prohibition of a resolution of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is raised. Minority shareholders have the right to propose proposals and agendas at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and if the board unfairly rejects the shareholders’ proposals, minority shareholders may file a provisional disposition of presentation of agenda of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against the corporation. 주주총회는 주식회사의 필요적 상설기구이자 최고 의사 결정기관이다. 주주총회의 권한은 법률 및 정관에 의해 정해지는데, 이사 및 감사의 선임과 해임, 정관 변경, 합병, 영업양도 등이 이에 속한다. 따라서 경영권 분쟁 상황 또는 소수 주주 등이 합병이나 영업양도를 저지하기 위한 목적에서 주주총회 관련 가처분을 제기하는 사례들이 늘고 있다. 주주총회 관련 가처분들은 이른바 ‘만족적 가처분’으로서 그 자체로 본안판결과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라 가처분결정 후 본안소송 제기 없이 분쟁이 종결되는 ‘가처분의 본안대체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주주총회 개최금지 및 결의금지 가처분은 주주총회의 소집절차가 법령이나 정관에 위반된다든지 법령, 정관에 위반하는 사항을 결의사항으로 하는 주주총회가 소집될 경우 주주총회의 개최나 결의 자체를 금지시키는 사전적 구제수단이다. 피보전권리로는 일반적으로는 주주총회 결의의 하자를 다투는 소송상 권리와 이사에 대한 위법행위유지청구권이 중첩적으로 적용되는데, 사안에 따라서는 정당한 소집권자의 방해배제청구권, 약정에 따른 부작위청구권도 피보전권리가 될 수 있다. 주주총회 개최금지 가처분은 주주총회일을 앞두고 급박하게 제기되므로 심문기일 진행 등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미국법상 TRO와 같이 가처분결정 이전에 충분한 심리기회를 확보할 수 있는 임시적 조치를 도입할 필요성이 크다. 주주총회 개최금지 가처분에 위반하여 주주총회가 개최된 경우 결의의 효력에 관해서는 견해의 대립이 있으나, 가처분의 형성력에 따라 일응 무효로 보되, 만일 본안판결에서 반대의 결론이 확정된 때에는 소급적으로 유효하게 된다고 봄이 타당하다. 주주총회 결의 효력정지 가처분은 주주총회에서 결의가 이루어졌으나 결의방법이나 결의내용, 소집절차 등에 하자가 있는 경우 결의의 효력을 정지하기 위한 가처분이다. 근래에는 주주총회 결의금지 가처분이 제기된 경우에 보전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결의금지를 명하는 대신 장래 주주총회 결의의 효력정지 가처분을 명하는 사례들이 있다. 소수 주주는 주주총회의 의제와 의안을 제안할 수 있는 주주제안권을 갖는데, 이사회가 주주제안을 부당하게 거부하면 회사를 상대로 주주제안의 내용을 소집통지에 기재하고 의제 또는 의안으로 상정할 것을 구하는 주주총회 안건상정 가처분을 법원에 제기할 수 있다.

      • KCI등재

        일본 회사법상 주주총회의 IT화

        양만식 한국경영법률학회 2020 經營法律 Vol.31 No.1

        Japan amended their commercial law in 2002, they became possible to announcement of settlement, voting rights of stockholders and noti- fication of the convocation by electronically for planning the digitalization of corporate management. Digitalization of general meeting is not coercive, but each company takes different system which is preferable for their cost-effective. There are limited number of usages of digital based system that for exercising vote and sending notification of the convocation, which are necessarily approved by individual stockholder. Digitalization for shareholders' meeting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First, digitalization of documents regarding shareholders' meeting. Current commercial law can also afford their notification of the convo- cation, reference documents, business report and so on as digitalized if there is an individual approval of shareholder. The important point of revised commercial law in 2019 can be found in digitalization of those documents. In other words, it means the digitalizing notification of the convo- cation and reference documents of shareholders' meeting and includes the digitalization of settlement announcement. Secondly, we may consider the digitalization of voting rights of stockholder. If a company has more than 1000 shareholders, the company let their holders to make their vote in written form when holders cannot attend stock- holder meeting. In that case, the company let their shareolders to use digitalized method to exercise voting rights. Thirdly,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which means that conducting meeting of shareholder in a digital manner can be considered. Currently, it conducts partially, but complete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needs further development. Japan repeatedly revised the policy of digitalization of shareholders’ meeting and starts to obligate a listed company to follow the rules of electronic provision system on documents of shareholder based on the revised las on 2019. Usage of electric voting is insignificant in Korea and we need admittance of individual shareholder before sending electric based noti- fication of convention even when considering commercial regulation. Hence based on these points, we need further improvement to stimulate shareholders’ meeting itself as well. Korea is one of the powerful IT industry countries and already has enough technological infrastructure to conduct not only sending noti- fication of convention of shareholders but also resolve the problem of electric based voting exercise. However, we are still struggling the progressing of systems for stimulating shareholders’ meeting. We may learn from Japan’s experience which trying to stimulate shareholders meeting by providing various conveniences to shareholders. 일본은 2002년 상법을 개정하면서, 고도정보화사회에 대응하여 회사운영의 전자화를 도모하기 위해 회사관계서류의 전자화 외에 전자적 방법에 의한 결산공고, 의결권행사, 소집통지의 송부가 가능하게 되었다. 주주총회의 전자화는 강제적인 것은 아니었고, 각 회사가 비용 대비 효과를 감안하여 해당 회사에 상응한 제도를 선택하여 채택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었다. 특히 개별주주의 승낙을 얻을 필요가 있는 전자적 방법에 의한 의결권행사나 소집통지의 발송에 관한 이용상황을 보면 그렇게 많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주주총회의 전자화는 다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로 주주총회와 관련된 문서의 전자화를 들 수 있다. 현행 회사법에서도 주주총회의 소집통지, 참고서류, 계산서류, 사업보고 등은 주주의 개별적 승낙이 있으면 전자적 방법에 의한 제공이 가능하다. 2019년의 개정 회사법의 주요 포인트는 이러한 문서들의 전자화를 들 수 있다. 즉 주주총회의 소집통지 및 주주총회의 참고서류를 전자화한 것으로, 문서의 전자화에는 이에 더하여 결산공고의 전자화도 포함되게 되었다. 둘째로는 의결권행사의 전자화라고 할 수 있다. 회사법에서는 주주가 1.000명 이상의 회사의 경우 주주총회에 출석할 수 없는 주주에게 투표할 수 있는 기회를 확보해 주기 위해 서면에 의해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전자적인 방법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셋째로는 주주총회 그 자체의 전자화, 즉 전자적인 방법으로 주주총회를 개최하는 것으로서, 이른바 버츄얼(Virtual) 주주총회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기술발전에 따라 어느 정도의 부분적 개최가능성은 가능하겠지만, 현재 상황에서 완전한 버츄얼 주주총회의 개최는 장래의 기대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주주총회의 전자화에 관한 수정을 거듭하여 2019년 개정법에서 상장회사의 경우 의무적으로 주주총회자료의 전자제공제도를 정착시키기에 이르렀다. 우리나라에 전자투표제도가 도입된 이래 그 이용실적은 미미한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보이며, 현재의 상법규정을 보더라도, 전자적 방법에 의한 소집통지서를 발송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주주의 개별적 승낙을 얻어야 하고, 전자투표 또한 이러한 승낙이 전제되고 있는 형편이라는 점에서 주주총회의 활성화를 도모하려는 당초의 목적은 아직까지도 요원하다고 하겠다. 우리나나라는 세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IT강국으로서 전자적인 방법으로 주주총회의 소집통지의 발송은 물론이고, 전자적 방법에 의한 의결권행사 또한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인프라를 충분히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직까지도 주주총회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도입된 각종 제도에 대한 진척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것은 문제가 있다는 점에서 현재 일본에서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주주에게 편의를 제공하여 주주총회를 활성화시키려는 노력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상당하다고 본다.

      • KCI등재

        株主의 總會召集請求權에 관한 商法規定의 改編方案 - 株主主導的 總會召集權과 그 濫用防止의 均衡 摸索

        金性倬(Seong-Tak Kim) 한국비교사법학회 2007 比較私法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urrent system of the shareholders’ right to call general meetings and to suggest some reform solutions for facilitating and expanding upon the shareholders’ right to call general meetings as well as preventing the abuse of the right.<BR>  Korean legislation concerning the shareholders’ right to call general meetings, which adopts the ‘step by step’ method rather than entitling shareholders to call general meetings directly, is more restrictive, compared to the relevant system of UK, Australia, and USA. Korean Commercial Act section 366 provides that ⑴ shareholders who hold no less than 3% of total issued and outstanding shares may demand the convocation of an extraordinary general meeting, by filing with the board of directors a written statements of the proposed subject-matters of the meeting together with the reasons for the proposed convocation; if the steps ⑵ for the convocation of a general meeting are not taken promptly after the demand for convocation by minority shareholders, the shareholder who made such demand may convene such meeting with the permission of the court.<BR>  In this paper, I suggest the followings: in addition to having the power to ⑴ request the directors to call a general meeting, shareholders holding at least 5% or 10% of the voting shares may also call a general meeting themselves; some ⑵ supplementary legislations such as shareholders’ right to ask the company for the reasonable expenses the shareholders incurred because the directors failed to call and arrange to hold the meeting, etc., are necessary for secu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a corporation’s constitution may allow a smaller holdings to ⑶ request a meeting than under 3% of the voting shares.

      • KCI등재후보

        주주총회 활성화를 위한 과제와 관련 제도의 개선 방안

        김영국(Kim, Young-Kook)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16 법률실무연구 Vol.4 No.1

        최근 주주총회 활성화를 위한 여러 제도들이 도입되어 시행됨으로써 향후 주주총회 운영 및 의결권 행사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주주는 전통적인 개념의 주식 소유가 아니라 단기적인 관점에서의 시세차익 또는 배당이익에 관심이 높고, 회사의 경영진 또한 주주의 주주총회에 대한 높은 관심과 참여를 부담으로 인식하고 있으므로 주주총회의 물리적 회의체성에 대한 일정한 한계가 존재한다. 주주와 회사 경영진의 인식 개선은 현실적으로 어렵겠지만, 전자적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주주총회 관련 새로운 제도의 정착을 적극적으로 모색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해야 할 것이다. 이에 이 글에서는 회사의 주주총회 소집통지 기한을 2주에서 3주로 연장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사 선임, 이사 보수 승인 등 미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사안은 2주전에 공시하도록 하고, 재무제표의 승인 건과 같이 시간적인 한계가 있는 안건은 3주 전에 공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회사가 주주총회 참석을 대리할 수 있는 자를 주주로 한정하는 내용을 정관에 규정하지 못하도록 제안하였다. 회사의 주식을 소유함으로써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행사하는 것은 주주로서 당연한 권리이다. 동시에 주주는 주주제안의 방식으로 주주총회에 안건을 상정할 수 있는 권한을 행사함으로써 이사회 등 경영진을 견제할 수 있으나,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주주제안 제도가 회사의 경영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강제성이 없는 권고적 주주제안 제도를 도입하고, 주주제안 기간을 합리적으로 연장하여 주주로 하여금 의미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초창기 회사의 주주총회는 소수의 주주들로 구성되어 회의의 소집이 용이하였을 뿐만 아니라, 참석 주주들이 활발한 토론을 거쳐 의사결정을 할 수 있었다. 물론 소규모 회사의 경우 주주총회의 운영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오늘날 대다수 상장회사들은 시간적 공간적 한계 등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따라서 주주총회의 소집통지에서부터 전자공시, 전자위임장, 전자투표 등 전자적 방법에 의한 운영이 불가피하다. 이러한 전자적 방법은 모든 주주들에게 용이한 것은 아니므로 오프라인 형태의 운영과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정보제공 등이 용이한 재무제표의 승인, 임원보수한도, 이사 및 감사(감사위원) 선임 등에 대하여 전자투표를 의무화 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se days, many different systems to activate a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have been introduced and executed. Therefore, they seem to contribute to operating shareholders meeting and executing their right. Despite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s, shareholders that go beyond the traditional concept as stockholders are highly interested in short-term financial gains and dividend earnings. The management staff of a company feel burden of shareholders high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their meeting. Therefore, a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includes a certain extent of limitation in terms of physical meeting group. In reality, it is difficult for shareholders and the management to improve their awareness. Nevertheless, by seeking actively to settle the new system of an electronic meeting of shareholders, it is necessary to overcome relevant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at the period of the notice for convocation of meeting of shareholders be extended from 2 weeks to 3 weeks. In addition, it proposed that the matters to be provided in advance, such as appointment of a director and approval of director compensation should be announced two weeks earlier, that the agendas with temporal limitation, such as approval of financial statements, should be announced three weeks earlier, and that the provision that the persons allowed to participate in meeting of shareholders are only shareholders should not be defined in the articles of association. By holding stocks, shareholders can naturally execute their right to vote in their meeting. In addition, although there is shareholders proposal right system in which shareholders can make a proposal in their meeting to check the management staff and board of directors, it is not activated well.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at shareholders proposal right system be introduced in an advisory way, not in a forcible way, to help out corporate management, and that the period of shareholders proposal be extended reasonably for meaningful roles. In the beginning, a meeting of shareholders constituted a small number of shareholders so that it was easy to convene a meeting and participant shareholders had active discussion for decision-making. Small firms may actively operate a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However, most listed firms didnt do so, because of temporal and spatial limitations. Accordingly, it is unavoidable to apply electronic methods for meeting of shareholders, including electronic notice for convocation, electronic proxy statement, and electronic voting. The electronic methods are not easy to shareholders. Therefore, offline methods should also be applied in parallel. This study proposed the compulsory electronic voting for the matters that feature easy information offering, such as approval of financial statements, limited compensation of executives, and appointment of directors and auditors(members of audit committee).

      • KCI등재

        株主總會 運營上의 問題點과 그 改善方案

        鄭埈雨(Joon-Woo Chung),丁祐永(Woo-Young Chung) 한국비교사법학회 2008 比較私法 Vol.15 No.1

          In the stock company,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that is the highest decision-making system has various functions(i.e., the control of management, the concentration of stockholders’ wish, corporate decision-making etc.). The convocation of this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shall be determined by the board of directors unless otherwise provided by the Commercial Law, the notice for convocation of a general meeting shall be dispatched in writing or by an electronic documents which shall state the subject-matters of the meeting to each shareholder at least two weeks prior to the date set for such meeting, and if the company has issued bearer share certificate, it shall give public notice stating its intention that the general meeting is to be held and the subject-matters of the meeting, at least three weeks prior to the date set for such meeting.<BR>  Shareholders who hold no less than 3/100 of the total outstanding shares other than nonvoting shares may propose to make a subject matter of a general shareholders’s meeting to directors in writing at least six weeks prior to the date set for such meeting, and who holder no less than 3/100 of the total outstanding shares may demand the convocation of an extraordinary general meeting, by submitting to the board of directors a written statement of the proposed subject-matters of the meeting together with the reasons for the proposed convocation. And Shareholders may exercise their voting rights in writing in lieu of attending the general meeting, in this case notice for the convocation of the general meeting shall be accompanied by reference materials and documents necessary for shareholders to exercise their voting rights.<BR>  But there are many problems(i.e., exercise of voting right in written, demand for convocation of general meeting by minority shareholders, proxy for voting right, electronic documents, shareholders’ right to make proposal, convocation procedure of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decision-making of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etc.) concerning provisions on the management of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In this paper, thus, I investigated the problems of the provisions on the management of general shareholders’s meeting and proposed the reform measures for settlement of such problems under the Commercial Law and the Securities and Exchange Act.

      • KCI등재

        일본의 주주총회자료의 전자제공제도와 시사점

        권종호 ( Kwon Jong-ho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一鑑法學 Vol.- No.57

        본고는 일본에서 2019년 회사법개정으로 도입한 주주총회자료의 전자제공제도에 관해 검토한 것이다. 동 제도는 주주총회자료를 조기에 제공하여 주주와 회사간의 건설적인 대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도입한 것으로서 정관에 정함이 있으면 주주총회자료을 회사 홈페이지의 웹사이트 등에 올리고, 주주에게 그 웹사이트의 주소를 서면으로 통지하는 것으로 주주총회자료가 제공된 것으로 인정하는 제도이다. 종래에는 주주총회자료를 인터넷 등 전자적 방법으로 주주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주주의 개별 동의가 필요하였으나, 이 개정으로 회사는 주주의 개별 동의 없이 인터넷을 이용하여 주주총회자료를 주주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주주총회자료의 웹사이트게재도 주주총회 3주 전에 하도록 하여 종래보다 1주 빨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인터넷이용에 어려움이 있는 주주를 배려하여 주주의 청구가 있으면 회사는 주주총회자료를 서면으로 교부하도록 하고, 상장회사에 대해서는 동 제도의 이용을 의무화하였다. 동 제도가 시행된 후 처음 맞이하는 2023년 3월 주주총회에 관한 통계자료에 의하면, 전자 제공제도의 이용률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었고, 주주총회자료도 법정기한보다 더 일찍 제공하는 기업도 크게 증가하였다. 이에 반해 서면교부청구는 아주 미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한마디로 동 제도는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있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의 경우는 상장회사에서 이사와 감사를 선임할 때 특히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등에 관한 자료에 관해서는 일본의 전자제공제도와 유사한 제도를 두고 있으나 그 범위는 매우 제한적이고, 그러면서도 전자문서에 의한 통지에는 주주의 동의를 요구하고 있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주주의 동의가 있다고 하더라도 주주총회자료를 인터넷의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일본의 전자제공제도는 주주총회자료를 회사의 인터넷 웹사이트를 통해 주주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서 인쇄나 우송에 따른 비용의 절약은 물론이고 대량의 정보를 저비용으로 조기에 발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후자의 장점은 주주 층의 중심을 이루는 기관투자자에게 있어서는 의안의 분석 등에 필요한 시간의 확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그뿐만 아니라 주주총회자료의 전자제공은 전자주주총회나 전자투표제도의 기능화나 효율화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므로 현재 전자주주총회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고 상장회사의 대부분이 전자투표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우리나라에서도 그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This paper is a review of the electronic provision system for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data introduced by Japan as a result of the revision of the company law in 2019. This system was introduced to promote constructive dialogue between shareholders and the company by providing data at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early. This system recognizes that data for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have been provided by uploading data for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on the website of the company’s website, and notifying shareholders in writing the address of the website. In the past, individual shareholders’ consent was required in advance to provide data on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to shareholders electronically, such as the Internet, but the revision allowed the company to provide data on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to shareholders using the Internet without the individual consent of shareholders. The website of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data should be uploaded three weeks before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so that it can be provided a week earlier than before. In consideration of shareholders who have difficulty using the Internet, the company must issue data on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in writing if there is a request from shareholders, and the use of the system is mandatory for listed companies. According to statistical data on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in March 2023, which is the first time since the system was implemented, the utilization rate of the electronic provision system has improved dramatically, and the number of companies that provide data at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earlier than the legal deadline ha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On the other hand, the request for issuance in writing is limited to a very small level. In Korea, when appointing directors and auditors at listed companies, there is a system similar to that of Japan’s electronic provision system, especially with respect to data on the activities of outside directors, but its scope is very limited, and notification by electronic document requires the consent of shareholders. In Korea, it is difficult to provide data on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using the Internet website, even with the consent of shareholders. Japan’s electronic provision system provides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data through the company’s Internet website, which has the advantage of saving money from printing or mailing, as well as sending large amounts of information early at low costs. The latter advantage is important for institutional investors in that it secures time for analysis of agendas. Since the electronic provision of data at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is very important for the functionalization of the electronic shareholders’ meeting and the efficiency of the electronic voting system,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a electronic provision system in Korea, considering that most of the listed companies are introducing the electronic voting system.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 개선에 관한 법적 연구 - 메타버스를 활용한 가상주주총회의 도입과 운영을 중심으로 -

        이제원 한국기업법학회 2023 企業法硏究 Vol.37 No.4

        전자주주총회의 도입과 적정 운영방안에 대하여 오랜 기간 동안 논의가 진행되어 왔다. 학계를 비롯하여 실무에서도 전자주주총회에 대한 폭넓은 검토가 이루어졌고 전자주주총회의 도입을 위한 국회의 입법 시도도 줄곧 지속되어 왔다. 이와 관련하여 정부의 입장 역시 긍·부정을 반복하여 왔 으나, 최근에는 전자주주총회를 완전히 수용하는 것으로 선회하였음을 2023년 8월 법무부 입법 예 고를 통하여 확인된다. 그동안 기업에서는 전자주주총회 도입과 관련하여 화색을 표하기도 난색을 표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전자주주총회가 어떠한 유형으로 도입될 것인지에 따른 것이다. 전자주주총회의 개최라 함은, 기존의 현장형 주주총회 외에 온라인 방식의 주주총회를 겸하거나 오로지 온라인 방식의 주주총회 만을 개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인데, 이것과 관련하여서 어떠한 형태의 주주총회까지 허용할 것인 지, 또 온라인 주주총회를 의무화 내지는 강제성을 부여한 형태로 도입할 것인지 등이 문제되어 왔 다. 이것이 기업의 입장에서 관건이 되는 이유는 결국 전자주주총회의 도입 유형에 따라 기업이 발 맞춰 준비해야 할 범위가 달라지고 특히 법적인 위험이 완전히 해소된 전자주주총회 개최가 가능한 것인지를 필수불가결하게 살펴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는 전자주주총회 도입과 관련한 법무부의 상법 입법 예고안이 국회 본회의 상정 후 통 과됨을 전제로 하여, 추가적 논의가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제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법무부의 입법예고안은 실무에서 우려하는 쟁점들에 대하여 기업이 선택적으로 전자주주총회를 도입하도록 여러 가지의 방편을 열어준 것이 확인된다. ② 다만 전자주주총회의 운영 및 위탁과 관련한 대부분의 세부사항을 대통령령으로 위임하고 있어서 이것과 관련한 추가적 논의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③ 전자주주총회 개최와 관련하여서도 다양한 형태의 전자주주총회를 허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논의의 여지가 있다. 예컨대, 기존의 ‘줌’과 같은 동영상 방식 내지는 양방향 음성 대화가 아닌, ‘메타버스’ 형태의 새로운 전자주주총회의 개최도 허용할 것인지와 같은 것이다. 환언하자면, ‘아바타’를 내세운 전자주주총회도 본인인증만 확인된다면 법적인 하자 없이 주주총회가 개최되었 다고 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④ 본인인증과 관련하여서는 외국인 투자 유치와 편의를 위해 주 주 확인 절차를 국제적 스탠스에 맞추어 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⑤ 전자주주총회의 입장 및 출석 시점은 의결권 행사와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가 있는데 법무부 입법예고안은 서면투표와 전자투표로 기 의결한 안건에 대하여 전자주주총회에 참석하여 번복할 수 없도록 정하고 있다. 그러나 다수 회 사의 주주총회에 동시에 출석하는 것에 대하여서는 입법예고안에 규정된 바가 없다. 이에 대한 보 완 내지는 동시 출석을 점전적으로 허용하는 것이 미래세대를 위해서도 보다 합리적일 것으로 사료 된다. Discussions have been underway for a long time on the introduction and appropriate operation of the e-shareholders' meeting. A wide review of the e-shareholders' meeting has been conducted in practice as well as in academia, and legislative attempts by the National Assembly to introduce the e-shareholders' meeting have continued. In this regard, the government's position has also repeatedly been positive and negative, but it is confirmed through the legislative notice of the Ministry of Justice in August 2023 that it has recently turned to fully accepting the e-shareholders' meeting. Companies have been in favor of or against the introduction of the e-shareholders' meeting. This reaction of companies depends on the type of e-shareholders' meeting to be introduced. Holding an electronic shareholders' meeting means holding an online shareholders' meeting or only an online shareholders' meeting in addition to the existing on-site shareholders' meeting. In this regard, there have been questions about what form of shareholders' meeting will be allowed and whether to introduce an online shareholders' meeting in a mandatory or compulsory form. This is important for companies because the scope of preparation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electronic shareholders' meeting, and in particular, it is indispensable to examine whether it is possible to hold an electronic shareholders' meeting where legal risks have been completely resolved. Therefore, this paper presented matters requiring additional discussion on matters requiring additional discussion on the premise that the Ministry of Justice's legislative preliminary draft of the Commercial Law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the electronic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will be passed after being submitted to the plenary sessi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① It is confirmed that the legislative preliminary draft of the Ministry of Justice has opened various ways for companies to selectively introduce electronic shareholders' meetings on issues of concern in practice. ② However, most details related to the operation and entrustment of the electronic shareholders' meeting are entrusted to the Presidential Decree, so further discussions on this should proceed. ③ Regarding the holding of the electronic shareholders' meeting, there is room for discussion on whether to allow various types of electronic shareholders' meetings. For example, it is the same as whether to allow the holding of a new electronic shareholders' meeting in the form of a 'Metaverse' rather than the existing 'Zoom' or two-way voice conversation. In other words, it would be desirable to assume that the electronic shareholders' meeting under the slogan of 'Avatar' was held without legal defects if only identity authentication was confirmed. ④ Regarding identity authentication,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shareholder verification procedure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tional stance for attracting foreign investment and convenience. ⑤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and the timing of attendance are important in relation to the exercise of voting rights, and the legislative preliminary draft of the Ministry of Justice stipulates that agendas previously voted by written and electronic voting cannot be reversed by attending the electronic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However, there is no provision in the legislative notice for simultaneous attendance at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of multiple companies. It is believed that it would be more reasonable for future generations to supplement this or allow simultaneous attend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