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역사교과서 속 고대 목간 자료의 검토와 활용

        鄭善花(Jeong Sun Hwa) 역사교육연구회 2018 歷史敎育 Vol.145 No.-

        It reviewed the status of ancient wooden descriptions contained in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from the 2007 revision curriculum to the 2009 revision curriculum. I think it is meaningful that the analysis of historical textbooks related to ancient wooden tablets is the first time since the study on history textbooks was mainly conducted by analyzing illustration materials such as descriptions and maps. The wooden writing was written by the ancient people of the time, so it also provides a wealth of information about ancient history that is unknown in the literatur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interpret the remaining characters and understand their meaning. However, the analysis on the status of historical textbooks in middle school showed some problems. In this article, I have considered the desirable direction of describing ancient wooden tablets in the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In particular, the research focused on the wood-to-wall type of writing, the relevance of wooden materials to the body of text books, and how well the primary source system reflects the value of wooden tablets. Based on this, the features of the ancient wooden description were summarized before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problems with the description were proposed.

      • KCI등재

        『한국사』 교과서 속의 고대 목간 자료의 활용 -『日本史B』 교과서와의 對較를 중심으로-

        정선화 한국목간학회 2018 목간과 문자 Vol.0 No.21

        Starting with the 2007 revision of the curriculum, middle school history (issued in 2011), the school considered the description of the ancient wooden tablets contained in the revised curriculum (issued in 2013) of high school year. In March this year, Japan’s history textbooks were published after reviewing descriptions of the wooden tablets of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In response, he examined the history textbook of Japan as a comparative example to examine whether the description of the wooden tablets in the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reflects the latest achievements of the history studies in the right place. From the 1990s, which was earlier than Korea, Japan has included the ancient wooden tablets in its history textbooks. 『Korean history』 textbooks contain more wooden tablets than Japanese textbooks. However,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writing wooden tablets and the method of selecting them. While Japan clearly described the value of the wooden tablets as the primary historical materials in its history textbooks, it can be seen that Korean history textbooks contain many descriptions that are not limited to the achievements of history studies. The description of the wooden tablets should clearly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data and accurately reflect the achievements of the history studies. From a perspective, the descriptive features of the ancient wooden tablets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 were reviewed to suggest problems and improvements. 본고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2013 발행) 『한국사』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고대 목간의 서술 현황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올해 3월 역사교육연구회를 통해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목간 관련 서술 내용을 검토한 글을 게재하게 된 것을 계기로 일본의 역사교과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한국사』 교과서에 목간 관련 서술이 역사학계의 최신 연구 성과를 적재적소에 잘 반영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한 비교 사례로 일본의 역사교과서를 살펴보았다. 일본은 우리보다 빠른 시기인 1990년대부터 고대 목간 자료를 역사교과서에 수록하였다. 山川出版社, 東京書籍, 実敎出版에 기재된 고대 목간은 「長屋王家」 관련 목간, 「郡·評論爭」 관련 목간, 「天皇」 호 관련 목간 등 3종류로 대별된다. 『한국사』 교과서는 고대 목간이 수록된 6종의 교과서에 6종류의 고대 목간이 등장한다. 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목간이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목간의 기재 방식이나 목간의 선정 방식에서부터 상당한 차이를 있음을 발견하였다. 일본은 역사교과서를 통해 1차 사료로서의 목간의 가치를 분명하게 나타나도록 서술한 반면, 한국의 역사교과서는 단순한 소개차원이거나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에 반하는 서술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간 관련 서술은 1차 자료가 가지고 있는 특징이 잘 나타나도록 서술하면서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가 정확히 반영되어야 한다. 그러면 측면에서 『한국사』 교과서 속의 고대 목간 관련 서술상의 특징을 검토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제2차 교육과정기 이후 『한국사』 교과서의 「新羅村落文書」 서술 변천

        정선화 역사교육연구회 2019 역사교육 Vol.152 No.-

        This paper reviews changes in descriptions related to “Silla Village Register(新羅村落文書)” in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from the second curriculum to the 2009 revision. During this period, the content of the “Silla Village Register” was not out of place. Since the revision of the 2009 school curriculum, changes in descriptions and descriptions of the “Silla Village Register” have begun to appear as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the historians have begun to be reflected in Korean history textbooks. The seven textbooks in the curriculum revised in 2009 include “Silla Village Register” The relevant data are contained, and the date of preparation of the documents is recorded in 695 years in two textbooks. This is not only the result of sincere implementation of the writing standards of the curriculum, but also the result of making good use of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the Historical Society. 본 연구는 제2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신라촌락문서」관련 서술의 변천을 검토한 것이다. 「신라촌락문서」는 통일신라시대의 사회·경제 상황을 보여주는 귀중한 1차 사료로 역사적 가치가 높다. 「신라촌락문서」는 1950년대 이후 최근까지 연구 성과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서술 변화를 검토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고를 통해 제2차 교육과정이후 2007 개정 교육과정기의 「신라촌락문서」의 서술은 문서의 성격을 서술함에 있어 획일성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다시 말해, 학습 자료로 사용된 사진 자료, 본문의 서술 내용은 대동소이하거나 몇 개의 조사만 바뀌었을 뿐 거의 동일하였다. 「신라촌락문서」의 서술 내용 및 서술 구성에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2009 개정 교육과정이후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가 『한국사』교과서에 적극적으로 반영되기 시작하면서이다. 서술 변화를 가져온 배경은 첫째는 교육과정의 집필 지침을 들 수 있으며, 둘째는 학계에서 최신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신라촌락문서」는 문서의 성격과 목적, 조사 지역, 작성연대 등에 이견이 좁혀지지 않았다. 1630여 자 속에 숨어있는 역사 속 사실을 파악하기에는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고고학 자료나 문헌 자료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신라촌락문서」의 작성연대는 오랜 논쟁을 마무리하게 되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 『한국사』 교과서 중 7종에 「신라촌락문서」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으며, 2종의 교과서에 작성연대를 695년으로 기술한 것은 교육과정의 집필 지침을 성실하게 수행한 결과일 뿐만 아니라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를 적재적소에 잘 활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