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행위미술은 어떻게 공공성을 확보했나: ‘놀이마당’으로서의 1986년 대학로와 한국행위예술협회

        조수진 현대미술사학회 2018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44

        본 연구는 한국 행위미술 역사 제3기의 시작점이자 동시대 행위미술의 주요 특징을 형성하고 있는 1980년대 후반 행위미술의 면모를 파악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당대의 사회적 배경 가운데 드러난 행위 미술의 공공적인 성격에 주목하고 그것의 미술사적 의미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explore the full account of Korean performance art in the late 1980s, which is often considered to be the starting point of the third period in the history of Korean performance art. The period also left an important legacy in the scene that still characterizes Korean performance art today.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Korean politics and social climate around 1986 on Korean performance art, and the problematic events that the art scene faced during those times, in order to signify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art in the 80s that makes it so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ose in the 60s and 70s. The 1980s was a turbulent era for Korea in all aspects including politics, economics and culture. The Korean art scene also experienced a series of transformations, where all parties involved seeked to fight for dominance through symbolic and stylistic struggles, amidst the quantitative expansion in the art institutions and market. The Seoul Asian Games in 1986 and the Olympics in 1988 were especially significant in their impact on the art scene. The historical current of such national events reached the very artistic core of Korean contemporary art and transformed its direction. Out of all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art that were born out of those times, the ‘publicness’ is by far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continues to be prevalent in the Korean performance art to this day. “Publicness” enables the intersubjectivity between the artist and the audience in ‘public’ spaces; the times of the 80s allowed such performance art to start emerging around public areas in Korean cities. As a result, Korean performance art was able to become a public asset as opposed to a private one, and an open space where conversations between the artist and the audience on artistic and political issues could take place.

      • KCI등재후보

        국내 공연예술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모색 - 뮤지컬 공연을 중심으로 -

        이선호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08 음악교육공학 Vol.- No.7

        Musical, one of art genres, well-known for typical modern art in the 20st century and receiving much love and attention from the audience, has just 100 year-short history. But, this musical can be cited as one of performance art forms to encompass every art genre in our humankind history, combine scientific rationalism with popularism most remarkable in contemporary civilization, and mirror contemporary cultural needs, to a most adequate level. This research thesis aims at focusing on musical performance of domestic performance art fields, finding out the real problems surrounding the performance, and seeking ways to reinforce such problems, for the purpose of offering data helpful in reinforcing domestic musical performance. Most of all, the research thesis has raised the ongoing situations, volume and wide-spread problems surrounding industrial market in domestic performance art. Subsequently, this thesis has taken up problems surrounding high musical performance cost, an absence of special theatres, actors and staffs, and a lack of performance production process and contents including a short of government's sustained supports. Against this backdrop, it is of importance that the government should make the active improvements to build new special theatres and create high-quality performance production environment and content, as well as foster culture and tourism industry, establish links with broadcasting image media, and expand an educational climate to communicate with the local field and spot, under the government's steadfast attention and supports. It is most urgent that the government should perceive the values of culture industry and performance art, and it should spare no pains to gain relevant resources. If such problems are improved, one by one, the musical cultural performance industry would not just create national profits, but also it would exert ripple-effects on national and cultural competitiveness, serving as the most paramount industry in the 21st century. Musical, one of art genres, well-known for typical modern art in the 20st century and receiving much love and attention from the audience, has just 100 year-short history. But, this musical can be cited as one of performance art forms to encompass every art genre in our humankind history, combine scientific rationalism with popularism most remarkable in contemporary civilization, and mirror contemporary cultural needs, to a most adequate level. This research thesis aims at focusing on musical performance of domestic performance art fields, finding out the real problems surrounding the performance, and seeking ways to reinforce such problems, for the purpose of offering data helpful in reinforcing domestic musical performance. Most of all, the research thesis has raised the ongoing situations, volume and wide-spread problems surrounding industrial market in domestic performance art. Subsequently, this thesis has taken up problems surrounding high musical performance cost, an absence of special theatres, actors and staffs, and a lack of performance production process and contents including a short of government's sustained supports. Against this backdrop, it is of importance that the government should make the active improvements to build new special theatres and create high-quality performance production environment and content, as well as foster culture and tourism industry, establish links with broadcasting image media, and expand an educational climate to communicate with the local field and spot, under the government's steadfast attention and supports. It is most urgent that the government should perceive the values of culture industry and performance art, and it should spare no pains to gain relevant resources. If such problems are improved, one by one, the musical cultural performance industry would not just create national profits, but also it would exert ripple-effects on national and cultural competitiveness, serving as the most paramount industry in the 21st century.

      • KCI등재

        한국의집 전통예술공연의 가치와 미래 전략 연구

        김순호 국립국악원 2016 국악원논문집 Vol.33 No.-

        Ever since its foundation in 1981, Traditional Art Performance by KOREA HOUSE has provided opportunities and spaces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Furthermore, it has helped establish performing arts tourism by holding regular performances that are open to foreign visitors and Korean citizens alike, broadening their opportunities to enjoy the traditional arts. Traditional Art Performance acted as a pioneer in the industry, giving birth to ‘Nanta’ (1997) by PMC Productions, ‘Jump’ (2003) by Yegam, ‘Bibap’ (2008) by Persona, ‘Miso’ (2008) by Jeongdong Theater, ‘Fanta-stick’ (2009) by Haera, and ‘Jami’ (2010) by Samcheonggak. As such, Traditional Art Performance of KOREA HOUSE has been praised for presenting and preserving the ‘first regular traditional arts performance for performing arts tourism’ and a ‘regular traditional singing, dancing, and music performance in an omnibus format.’ To ensure that its values continue to be passed down and developed, the future strategy of KOREA HOUSE aims to reinforce the cultural public role of Traditional Art Performance, improve the quality and quantity of its productions, and expand its audience. People who enjoy traditional arts will be given opportunities to awaken their artistic sensibility and develop their creativity and originality, with the aim of establishing a creative society of cultured people. Furthermore, the strengthening of the cultural public role of Traditional Art Performance means investment in performing arts tourism, which will lead to practical benefits such as greater public happiness while raising the status of Korea. The comprehensive improvement of public access will be achieved by securing government funding, providing opportunities to enjoy traditional arts to alienated social groups or remote areas under the ‘Outreach’ program, and contributing to creative traditional arts performances and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arts itself by reorganizing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Performing Arts Company, which are the main methods of reinforcing the cultural public role of Traditional Art Performance. 1981년 한국의집 전통예술공연(Traditional Art Performance)의 개막으로 인해 무형문화재 전승자 및 전통예술인이 공연에 출연할 수 있는 기회와 공간이 확보되었다. 또한 연중 상설공연을 통해 공연관광의 입지구축에 기여하였으며, 외국인은 물론 내국인에게도 개방되어 공연의 향유 기회를 확대하였다. 전통예술공연은 전통예술콘텐츠를 활용한 PMC프로덕션의 ‘난타(1997)’, 예감의 ‘점프(2003)’, 페르소나의 ‘비밥(2008)’, 정동극장의 ‘미소(2008)’, 해라의 ‘판타스틱(2009)’, 삼청각의 ‘자미(2010)’ 등 공연관광 작품의 탄생과 성장 기반 조성에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러므로 한국의집 전통예술공연은 ‘대한민국 전통예술계 최초 공연관광 상설작품’이라는 점과 ‘옴니버스 형태의 전통 가무악 상설공연’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은 가치를 부여받고 있다. 한국의집 전통예술공연의 가치 전승 및 발전을 위한 미래 전략은 문화공공성 강화이다. 이를 통해 전통예술공연의 양․질적 향상은 물론 많은 관람객이 공연을 관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는다. 전통예술을 향유한 인간은 미적 감수성을 일깨우고, 창의성과 독창성을 성장시켜 문화적 인간으로 구성된 창조적 사회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문화공공성을 강화하는 것은 국민의 행복, 국가의 위상, 실질적 이점을 주는 관광자원에 투자하는 것이다. 한국의집 전통예술공연이 문화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은 ‘정부기관의 운영지원금 확보’를 통해 관광객의 접근성을 높이는 것, ‘아웃리치(Outreach) 프로그램의 활성화’로 문화소외지역이나 대상에게 문화향유 기회를 폭넓게 제공하는 것, ‘한국문화재재단 예술단의 조직 재정비’를 통해 창의적인 공연기획과 전통예술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 등이 있다.

      • KCI등재

        문화예술공연 관람 시 평가되는 서비스 품질의 상대적 영향력에 대한 다각적 연구

        서문식(Suh Mun Shik),신미숙(Seen Mee sook),하승범(Ha Seung Bum),이샛별(Lee Sat Byul) 한국소비문화학회 2015 소비문화연구 Vol.18 No.1

        The cultural art performance was considered a complex and high-end culture for those with high income, high education background, and artistic acumen. However, the consumption of cultural art performance has become universal among the public amidst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ving, changes in consumption value, i.e., the highlighted importance of symbolic value obtainable through consumption behavior itself and experiential satisfaction. This study validated the relative influence of quality of interaction, quality of results, and quality of physical environment which are the sub-factors of the service quality evaluated by consumers in the service field called 'cultural art performance'. Study1 validated how the relative influence at the service quality dimension might change for each genre of cultural art performance. By classifying the cultural art performance largely based on classic performance and contemporary music performance, this study looked into the service quality dimension considered important in attending each performance. Study2 validated how the relativ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dimension might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attending each performance.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evaluat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service quality, the consumer groups were classified into different subgroups based on the specialization of music and cultural preference to verify the control effect among the groups. Finally, Study3 investigated into how the relativ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dimension might vary, depending on the aspects of motivation for consumers to attend the cultural art performance. Regarding the differentiation of the motivation for attending the cultural art performance, the benefits pursued through the cultural art performance were divided into 4 pursued benefits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The groups were differentiated based on the extent by which they perceived each benefit that was pursued in order to verify how the relativ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dimension might vary among the groups. 과거에 문화예술공연은 고소득, 고학력의 예술적 소양을 갖춘 사람들을 위한 복잡하고 어려운 고급문화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삶의 질 향상 및 소비 가치의 변화, 즉 경험적 만족 및 소비 행위 자체로 가질 수 있는 상징적 가치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문화예술공연에 대한 소비의 대중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문화예술공연이라는 서비스 분야에서 소비자들이 평가하는 서비스 품질의 하위차원 요소인 상호작용 품질, 결과 품질, 물리적환경 품질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고 있다. Study 1에서는 문화예술공연의 장르별로 서비스 품질 차원의 상대적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검증하고 있다. 문화예술공연을 분류하는 기준으로 크게 클래식 공연과 현대음악 공연으로 구분하여 각 공연을 관람하는데 있어 중요하게 평가되는 서비스 품질 차원이 무엇인지 밝히고 있다. Study 2에서는 관람하는 소비자의 특성에 따라 서비스 품질차원의 상대적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 질 수 있는지 검증하고 있다. 서비스 품질의 상대적 중요성을 평가하는 소비자의 특성으로 음악에 대한 전문성과 문화적 취향에 의해 소비자 집단을 구분하여 집단 간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Study 3에서는 소비자들이 문화예술공연을 관람하는 동기적 측면에 따라 서비스 품질 차원의 상대적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관람동기에 대한 구분은 문화예술공연을 통해 추구하는 혜택을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4가지 추구혜택으로 구분하여 각 추구혜택을 지각하는 정도에 의해 집단을 구분하여 집단 간 서비스 품질차원의 상대적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 KCI등재

        동시대 미술관의 퍼포먼스 아트 컬렉션의 지속 가능성 - 테이트 모던(Tate Modern)을 중심으로

        배현진(Bae, Hyun-Jin) 한국박물관학회 2021 博物館學報 Vol.- No.40

        1960년대 후반 퍼포먼스 아트가 현대 미술 발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면서 예술가의 행위 자체가 미술로 확장되었을 뿐 아니라 신체를 매개로 한 예술 실천 속에서 관람객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였다. 최근 동시대 미술관은 행위와 과정을 강조한 퍼포먼스 아트 컬렉션의 특이성에 적응하며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2000년대 이후 세계 미술계에서 퍼포먼스 아트의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영국 테이트 모던(Tate Modern)의 사례를 중심으로 동시대 미술관의 퍼포먼스 아트 컬렉션 확장과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테이트 모던이 소장한 ‘위임된 퍼포먼스(delegated performance)’는 일반적인 미술관의 작품 수집과 전시 방식을 벗어난 것으로 개념과 행위로써 작품의 비물질적 요소를 소유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다시 말해, 예술가의 지시에 따라 작업을 수행할 행위자를 고용하고 이들이 예술가의 퍼포먼스를 대신 수행하도록 위임받는 새로운 형식적 전환을 통해 퍼포먼스 아트의 유연한 지형 변화를 예고하였다. 결론적으로 동시대 미술관의 퍼포먼스 아트 컬렉션은 위임된 형식에 의한 ‘재공연(re-performance)’ 권리를 소장하는 것으로 퍼포먼스 아트의 지속가능성을 확립하였고 동시대 미술관의 새로운 위상 정립과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As performance ar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art in the late 1960s, the artist’s behavior not only expanded into art, but also actively guided the audience to participate in the art practice using the body as a medium. Recently, the contemporary art museum has proposed a new methodology by adapting to the specificity of performance art collections that emphasize action and proce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performance art collection expansion and sustainability of contemporary art museums, focusing on the case of Tate Modern in the UK, as the status of performance art in the global art has been rising since the 2000s. In particular, the “delegated performance” owned by Tate Modern showed the process of possessing the immaterial elements of a work as a concept and action, which went beyond the general art collection and display method of art museums. In other words, it heralded a change in the flexible field of performance art through a new form of transformation in which actors are hired to perform the work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artist and they are delegated to perform the artis’s performance on their behalf. In conclusion, the performance art collection of a contemporary art museum has the right to “re-performance” in a delegated form, which means that it has established the sustainability of performance art, established the new status for contemporary art museums and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

      • KCI등재

        뉴욕 현대미술관의 퍼포먼스 아트 컬렉션 확장과 의미 - 티노 세갈(Tino Sehgal)의 위임된 퍼포먼스를 중심으로

        배현진 ( Bae Hyun J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3

        1960년대 이후 퍼포먼스 아트가 시각예술의 주요 언어로 자리 잡기 시작하면서 고정된 오브제로서의 완성된 작품이 아닌 인간의 신체를 빌려 예술가의 아이디어를 물리적인 대상처럼 다루며 비물질적인 개념과 행위, 과정에 기반을 둔 예술 실천과 관람객의 창조적 역할이 중시되어왔다. 최근 뉴욕 현대미술관(The Museum of Modern Art/ MoMA)을 비롯한 동시대 미술관에서는 퍼포먼스 아트의 수집과 보존에 주목하면서 미술관 컬렉션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2000년대 이후 세계 미술계에서 퍼포먼스 아트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에 따라 뉴욕 현대미술관의 퍼포먼스 아트 컬렉션을 중심으로 동시대 미술관 컬렉션의 확장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은 뉴욕 현대미술관의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관련 기사와 전시 리뷰, 큐레이터 비평문 및 작가 인터뷰를 기반으로 연구하는 것을 통해 미술이 형태 없이 존재할 수 있다는 잠재적 가치를 탐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티노 세갈(Tino Sehgal, 1976- )의 ‘구축된 상황(constructed situations)’으로서의 ‘위임된 퍼포먼스(delegated performance)’는 일반적인 작품 제작과 미술관의 전시 개념을 벗어난 것으로 예술가의 신체를 통한 즉각적인 행위 실천을 넘어 서로 다른 분야에서 활동하는 참여자들을 고용하고 예술가의 지시에 따라 특정한 움직임을 수행하도록 위임받는 새로운 형식적 전환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동시대 미술관에서 퍼포먼스 아트를 소장한다는 것은 퍼포먼스 아트의 ‘재공연(re-performance)’ 권리를 소장하는 것으로 이를 대표하는 티노 세갈의 작품은 상황의 유동성을 강조하며 관람객의 참여를 유도하고 관람객은 각자의 경험을 기억으로 저장함으로써 예술에 대한 유연한 사고와 컬렉션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자극하였다는 것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Since the 1960s, performance art has become the main language of visual art, and instead of a completed work as a fixed object, the artist’s idea was treated as a physical object, but as physical objects based on immaterial concepts, actions and processes. The artistic practice and the creative role of the audience have been emphasized. Recently, the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cluding the Museum of Modern Art (MoMA) in New York, has focused on the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performance art, suggesting a new direction for the museum collec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ansion of contemporary art museum collections and their meaning, focusing on the performance art collection of the Museum of Modern Art as performance art has occupied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global art world since the 2000s. The study method for this purpose is to explore the potential value of art that can exist without form through research based on the website of the Museum of Modern Art, including relevant articles, exhibition reviews, curator critiques and artist interviews. In particular, “delegated performance” as a “constructed situation” of Tino Sehgal(1976- ) is beyond the concept of general art production and exhibition in art museums, and is active in different fields beyond the immediate practice of action through the artist’s body. It showed a new formal transformation in which participants were hired and commissioned to perform specific movements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s of the artist. In conclusion, the collection of performance art in contemporary art museums possesses the right to “re-performance” of the performance art and Tino Segal’s work is representative of this, emphasizing the fluidity of this situation, inducing the participation of the visitors and each visitors save their experiences as memories. It achieves meaningful results from storing and stimulating a new paradigm of collection and flexible thinking about art.

      • KCI등재

        창작, 작품, 시장 역량이 한국 공연예술의 해외공연 성과에 미치는 영향

        신우진 ( Woo-jin Shin ),신형덕 ( Hyung-deok Shi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5 유라시아연구 Vol.12 No.1

        최근 국내 제작 문화콘텐츠는 많은 국가에서 유통되고 있으며 특히 한국의 공연작품들이 해외에 진출하는 횟수도 증가하고 있다. 2008년부터 2011년까지 해외진출 공연건수는 총 2,271건으로서 연도별로 점차 증가하였다(공연예술국제교류현황, 2009-2011). 그런데 공연예술은 공연 현장에서의 물리적 요건과 현장성이 공연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한국에서의 공연 성과와 해외에서의 공연 성과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을 수 있는 것이다. 문화콘텐츠는 그 소비가 발생하기 전에는 그 가치의 크기에 대한 판단을 하기 힘든 경험재적 속성을 갖고 있다. 문화콘텐츠를 전달하는 공연 또한 현장에서의 감동에 대해 직접적으로 체험을 하기 전에는 그 가치를 알 수 없는 특징이 있으며, 특히 문화적 조건이 상이한 외국에서 공연이 이루어질 때에는 그러한 불확실성이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그 때문에 외국에서 공연이 이루어질 때에는 그 가치에 대한 불확실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역량을 갖춘공연이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의 국내시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선행연구에서 발견된 변수들을 중심으로 이러한 변수들이 해외시장 성과에도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조사하였다. 공연의 장르, 공연장소, 각종 수상여부, 참가 행사 등의 변수가 해외 시장에서의 공연 횟수와 갖는 관련성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예술경영지원센터에서 발간한 ‘공연예술국제교류현황’에기록된 공연 자료 및 다양한 자료를 이용하여 2008년부터 2011년까지 해외진출을 했던 159개의 표본을 분석한 결과, 공연제작사의 수상 기록으로 측정한 창작 역량, 작품의 수상 기록으로 측정한 작품 역량,그리고 무언극 여부로 측정한 시장 역량이 해외공연 횟수로 측정한 해외공연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선진국에서의 공연 여부는 독립적으로도 해외공연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만 시장 역량과 더불어 성과에 상승적인 효과를 보였고, 이러한 효과는 창작 역량과 작품 역량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 선행연구의 결과를 해외 시장 성과 차원에서도 확인한다는의미를 가지고 있다. 문화콘텐츠의 제작자 또는 제작물 자체가 가진 경쟁력은 해당 문화콘텐츠의 국내시장에서의 성과를 높이는 요인이 되고, 또한 국내 유통 시장에서의 역량도 국내 시장에서의 성과를 높이는 요인이 되는데 이러한 요인들은 해외 시장 성과에도 유사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Recently, many Korean culture and arts contents are consumed in foreign countries, so are Korean performing arts. From 2008 to 2011, the number of foreign performance of Korean performing arts increased gradually up to 2,271 in total(Performing arts international exchange data, 2009-2011). Since performing arts have unique characteristics that physical settings on site may affect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performing arts, domestic and foreign performance may not necessarily consistent. Cultural contents may not be exactly evaluated before they are consumed like other experience goods. Performing arts which carry cultural contents als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goods such that the value of experience of the performing arts on site may not be exactly evaluated. This kind of uncertainty would be even higher when the performing arts are on the stages in foreign countries. Thus, it is likely that Korean performing arts with high level of capabilities that could decrease uncertainty would be successful in foreign countri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s of creativity, production, and market capabilities, which have been found to affect domestic performance, on foreign performance of Korean performing arts. Based on 159 Korean foreign performance data from 2008 to 2011 at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we found that creativity capabilities, measured by award records of producing firms, production capabilities, measured by awards records of performance products, and market capabilities, measured by if the performance is non-verbal,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foreign performance, measured by the number of performance in foreign countries. Especially, market capabilities are found to have interaction effects with performance locations in the developed count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uccess factors in foreign performing arts market are not very different from the factors in domestic market.

      • KCI등재

        다원예술로 확장된 퍼포먼스

        이연숙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2 조형디자인연구 Vol.25 No.2

        This study aims to explain how convergence art, which combines multi-media installation art with performance, has become a unique form of revealing the researcher's subject. The research focuses on the fact that installation art convergent with multiple genres of mediums, extending to narratives, performers, and contemporary interdisciplinary art that requires a specific place. To this end, I studied the multi-media tendencies of contemporary installation art, the background of interdisciplinary art, and the performance works in installation art. Chapter II examines the deconstruction of the genre that appears in contemporary art, and in that context, it attempts to explain the specificity of the researcher's work that expands to a performance that combine. In art, I look at examples of moving from the stage where performance is a performance space to an everyday space or exhibition space, and focus on performance works in installation art that are evoked by the sensory experience of the spectator. Chapter III focuses on the media that resonates with the performance format of the 2019 Venice Biennale Entry <Sun&Sea> and explores the process by which the performance of the 2021 Researcher Prototype Exhibition <Memory Space_Body Sound Door> extends to multidisciplinary art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the researcher's work and various interpretations by examining the basis on which the installation art that builds the space of experience fuses with the performance to summon the memory of the place, and the basis on which the performance directly conveys the narrative. 본 연구는 다매체 설치미술과 퍼포먼스가 결합된 다원예술이 어떻게 연구자의 주제를 드러내는 고유한 형식이 되었는지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설치미술이 여러 장르의 매체와 융합되면서 내러티브와 퍼포머 그리고 특정 장소를 필요로 하는 동시대 다원예술로 확장된다는 점에 초점을 둔다. 이를 위해 동시대 설치미술의 다매체적 경향, 다원예술의 배경과 설치미술 속 퍼포먼스 공연 작품을 연구하였다. II 장은 동시대 미술에서 나타나는 탈장르적 경향을 짚어보고, 그러한 맥락에서 설치미술과 퍼포먼스가 결합된 공연으로 확장되는 연구자의 작업이 갖는 특수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미술에서 퍼포먼스가 수행 공간인 무대를 벗어나 일상 공간이나 전시 공간으로 장소를 이동한 예를 살펴보고 관람자의 감각 경험으로 환기되는 설치미술 공연 작품을 중심으로 다룬다. Ⅲ 장에서는 2019년 베니스비엔날레 출품작 <태양과 바다>의 공연 형식과 공감대를 형성하는 매체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2021년 연구자의 프로토타입 전시 <기억공간_몸 소리 문>의 퍼포먼스가 다원예술로 확장 발전되어 가는 과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경험의 공간을 구축하는 설치미술이 공연과 융합되어 장소 기억을 소환하고, 퍼포먼스가 내러티브를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근거를 살펴보면서 연구자의 작품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메타버스 공연의 미래

        김영윤,조준희 한국예술교육학회 2022 예술교육연구 Vol.20 No.4

        The performing art industry, which is field-oriented, is in danger of extinction because of the af- termath of the COVID-19 pandemic. For this reason, the performing art industry promoted the onli- nization of contents as a breakthrough for survival. In the middle of this huge flow, the Metaverse Performance came into the spotlight. The Metaverse Performance is a method of producing, distributing, and consuming performing arts on the Metaverse platform, and it is regarded as the ‘New Normal’ of future performing arts in that performers and audiences produce and consume performances transcending time and sp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emergence of new performing art genres both in terms of the performing art industry and performing art education. Based on the growth of the Metaverse market and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Metaverse Performance,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new future performing arts that the Metaverse Performances will bring. To this end, the status of the performance industry from COVID-19 pandemic to endemic and the growth of the Metaverse Performance are examined, and the Metaverse Performance are considered with the Mimesis theory. Afterwards, the potential of the Metaverse Performance is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Meta Performing Arts Content Ecosystem’, ‘Reality Hybridization’, and ‘Performance as NFT’. Through this, it is confirmed that the Metaverse Performance can be a new Meta Content and a new standard for the performing art industry business. It is hoped that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will lead to follow-up studies dealing with the macro-level values and possibilities of the Metaverse Performance. 오프라인의 대면 중심 산업인 공연예술산업계는 코로나 팬데믹의 여파로 산업 자체가 존폐위기에 놓이게 되었다. 이런 이유로 공연예술산업계는 생존을 위한 돌파구로 콘텐츠의 온라인화를 추진하였으며, 이 거대한 흐름 가운데 메타버스 공연이라는 새로운 공연 플랫폼이 도래하게 되었다. 메타버스 공연이란 메타버스 플랫 폼을 통해 공연예술을 제작·유통·소비하는 방식으로, 퍼포머와 관객이 시공간을 초월해 공연을 생산하고 소비 한다는 점에서 미래 공연예술의 뉴 노멀(New Normal)로 인식되고 있다. 공연예술산업이나 공연예술교육의 측면에서 새로운 공연예술 장르의 출현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메타버스 공연의 이론적 고찰과 미학, 미래 가능성 등을 면밀히 파악하기 위한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본고는 메타버스 공연산업 시장의 성장과 메타버스 공연의 이론적 이해를 토대로 메타버스 공연이 가져올 새로운 미래 공연예술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팬데믹부터 엔데믹까지의 공연예 술산업계의 현황과 메타버스 공연의 성장을 살펴보고, 미메시스 이론으로 메타버스 공연을 고찰하였다. 이후 ‘메타 퍼포밍아츠 콘텐츠 생태계’, ‘리얼리티 혼종성’, ‘NFT로서의 공연’으로 나누어 메타버스 공연의 미래 가 능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메타버스 공연이 새로운 메타 콘텐츠이자 공연예술산업 비즈니스의 새로운 기 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고의 논의가 메타버스 공연에 대한 거시적 차원의 가치와 가능성을 다루는 후속 연구의 작은 주춧돌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예술경영교육을 통한 무용공연의 활성화 방안

        조아라 ( A Ra Cho ) 한국예술교육학회 2007 예술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나 세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예술경영의 전반적인 흐름과 이론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무용공연의 현황, 무용공연의 특성, 무용공연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하며, 현재 무용학과내 예술경영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곳의 교육 실태와 우리나라 무용학과내에 부재되어 있는 예술경영교육을 통해 무용공연의 활성화 방안의 모색, 현재 시행되어지고 있는 무용공연시스템의 개선점과 방안을 올바르게 제시해보고자 한다. Artist or managers conducting the performance play the role in making creative activities the center of culture, so they have to heighten the competitive power of the dance performance through the education of art management to constantly raise the levels of dance performance. The appearance of management position in dance performances and the professional management education is needed greatly to produce highly skilled managers for the dancer arts. In this study I will find the processes needed for proper direction of art management education should take in the dance department, the improvement through the general steam of art management done in national or international forums and through theoretical literature, scientific journals and periodicals. When a dance major becomes an art manager who choreographs dance and performance on the stage, he should have the knowledge of administration, planning, marketing, and audience, outside supports for dance performance. He should be able to establish the performance easily. However many dance majors haven`t learned about art management, because the lack of management courses in the major. We realize the need of management through the limitations of dance performances also the staffs leading dance performances aren`t educated in systematic and structured art management. This all leads to insufficient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the lack of marketing, the lack of professionals to produce the performance, and new dance performances doesn`t attract the audience`s excitement and interest. Lastly, currently dance majors are not studying art management, but in order for the art of dance to develop into higher lever, the injection of art management into the dance curriculum is importantly needed. Therefor, the purpose of this thesis will be to find the devices needed to revitalize dance performance by knowing what the audience really wants, both artist and audiences through the education of art management can experience the performances at the same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