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10년대 조선총독부 아편정책의 실상

        박강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5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4

        After Japan occupied Joseon, how did opium problem changed? In the Residency-General, Japan already mentioned that opium problem was one of three evils in Korea and it must be eradicated. Japan had ruled Taiwan and the Kwantung Leased Territory in which opiun was rampant. So Japan had a lot of experience and perception about opium problem. Then how did Japan handle opium problem of Joseon? In this paper, the actual conditions of opium policy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the Joseon will be apprehended in the 1910s, the early years of Japan's occupation. So it will be deeply understanded that what was the direction Japan's opium policy in Joseon aimed to and What is the fact that Japan intended through opium policy. In the 1910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the Joseon was poorly prepared for opium policy and the direction of policy was clesrly not set. In outrageous situation Japan pushed opium policy for making profit. As a result Japan underwent trial and error. The policy brought about repeated failure. Originall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the Joseon planed to crack dawn on opium. Because Japan worried that opium problem unsettled would result in a socially and economically disadvantaged. But Japan already made a huge profit from opium monopoly in Taiwan. That was attractive. So Japan Was forcedly willing to enforce opium policy in Joseon. Because Japan didn't understand the situation of Joseon's opium, The opium policy fell apart. After the First World War Japan also was willing to make the Colonial Joseon opium production base for opium demand of East Asia. This policy also ended in failure. At that time Japan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the Joseon needed the policy for creating income through opium. So Japan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the Joseon manipulated or interpreted the situation arbitrarily. These had no choice but to lead to successive failure and side effects. Finally in the 1910s outrageous policy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the Joseon made the public lose confidence in opium policy. Furthermore that caused a serious social problem of morphine poisoning in the Colonial Joseon in the 1920s. 일본이 조선을 강점한 이후 조선의 아편문제는 어떻게 되었을까? 통감부 시기에 이미 일본은 조선에서 근절해야할 세 가지 폐단 가운데 하나로 아편문제를 지목하였다. 아편이 만연된 대만과 관동주의 지배를 통해 아편문제에 관한 경험과 인식을 갖고 있던 일본은 조선의 아편문제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였을까?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조선 강점 초기인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아편정책 시행의 실상을 파악하여 일본의 조선 아편정책이 지향했던 방향과 그 의도를 이해해 보고자 하였다. 일제의 조선 강점 초기인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아편정책을 보면 공간된 자료와 내부자료 사이에 차이점들이 보이고 있었다. 1912년 아편의 폐습을 근절해야 한다는 대외적 표방과는 달리 내부자료에서는 식민지 조선에서 아편을 단속하는 목적은 식민지 개발에 있어 장해가 될 것을 염려하였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또한 1차 대전 발발 직후 식민지 조선을 ‘아국’의 약품 자급정책을 목적으로 의료용 아편의 생산지로 지정했다고 대외적으로 공개하였지만 내부적으로 범위는 국내가 아니었다. 내부자료를 통해 보면 아편을 통한 일본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당초 주장한 범위를 넘어 조선을 동아시아와 남양의 마약 생산 공급지로 삼고자 하였다. 또한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아편정책에 대해 이 시기 언론과 일부 극비문서를 통해 그 실태를 살펴보면 공간된 아편자료의 내용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공간된 아편자료에는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매일신보』에 게재된 기사를 통해 1914년 1월에 조선총독부는 대만과 같이 收入을 목적으로 아편전매를 추진하고자 하였으나 내부의 반대 의견과 기타 사정 등에 의해 무산되었던 사실이 있었다. 또한 1차 대전 발발 이후 일본 세력권에 필요한 의료용 약품의 자급정책을 명분으로 식민지 조선에서 아편을 대대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1919년 6월에 조선아편취체령이 발포하였다. 그러나 당국의 정책 실패는 물론 안일한 대처와 단속의지 부족 등으로 인해 오히려 모르핀 중독환자만 양산시키는 심각한 사회문제를 초래하였다. 요컨대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아편정책은 정책에 대한 준비나 방향이 명확히 설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무리하게 수익문제와 연계시켜 추진함으로써 시행착오와 정책 실패를 거듭하였다고 하겠다. 당초 총독부는 식민지 조선의 아편문제를 방치할 경우 통치하는데 있어 사회경제적으로 불이익을 초래할 것을 우려하여 단속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대만의 높은 아편 전매수입에 매력을 느껴 조선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채 무리하게 아편전매제를 추진하려다가 무산되었다. 또한 1차 대전 발발 이후 식민지 조선을 동아시아 지역에 필요한 마약의 공급지로 주목하여 아편증산 정책을 추진하였으나 이 역시 실패로 끝났다. 당시 일본과 조선총독부는 아편을 통한 수익 창출을 위한 정책의 필요에 따라 상황을 조작 내지 자의적으로 해석하였다. 이로써 연이은 실패와 부작용을 초래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무리한 정책 추진은 일본과 조선총독부의 아편정책에 대한 신뢰 상실은 물론 1920년대 식민지 조선에 모르핀 중독문제라는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 시켰다.

      • KCI등재

        1930년대 만주지역의 아편재배와 한인, 그리고 匪賊

        박강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7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2

        Articles on the opium problem in Manchuria frequently appeared in the domestic media reports before the Manchuria Incident. There were also reports that the bandits and Korean people were involved in the opium problem. So, how did it change under Japanese rule of Manchuria in the 1930s? During the 1920s, opium problems were rampant during the era of the Northeast Asian regime. Let's take a look at what has changed since the Manchurian Incident. Since the Manchuria Incident, migrant Koreans in the Yalu and Tumen borders were in an environment of security unrest. Manchukuo authorities enforced the opium monopoly system without consistency. Accordingly, immigrant Koreans were always in a precarious situation. Previously, opium was being cultivated in the border area of ​​the Yalu River and Tumen. It was an economically impoverished area. Nevertheless, Manchukuo authorities have designated this place as an opium plantation. It was a result of several considerations. First of all, it was necessary to acquire opium for the monopoly. It was also necessary to provide high income to the local residents. It was a way to mitigate complaints about the authorities. And there was a need to construct a collective village and pay for the loan associated with it. However, in accordance with the plan of the military authorities' Public Security Purification enforcement, opium cultivation was banned suddenly. The cultivation of opium in the border area of ​​the Yalu River and Tumen was thought to have been associated with the income sources of the anti-Japan fighters. As a result, there was a serious upheaval in the Korean rural communities who migrated to Manchuria. Rice farming in the Korean immigrant rural communities was the first means of livelihood. But the cultivation of opium was also an important means of livelihood. Before the Manchurian Incident some poor Korean immigrants grew opium in order to maintain their livelihood. They were taking the threat from bandits Since the establishment of Manchukuo in the 1930s, the authorities ' policies have been inconsistent. So poor Korean immigrants had no choice but to live tough without complaining ‘만주사변’(중국에서는 이를 ‘9ㆍ18사변’이라고 칭함) 이전의 국내 언론의 보도에서 만주지역의 아편문제와 마적은 물론 한인과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기사가 자주 언급되었다. 그렇다면 1930년대 일본의 만주 지배 하에서는 어떻게 변화되었을까? 즉 한인 관련을 포함하여 1920년대 동북군벌정권 시기에 성행했던 아편문제가 ‘만주사변’ 이후에는 어떠한 양상으로 변화되었는지 궁금하다. ‘만주사변’ 이후 ‘만주국’을 수립한 일본은 재정수입과 관련하여 점금주의에 근거한 아편전매제도를 실시하였다. 1932년에 아편법과 동시행령을 공포하고 다음해에 전매아편에 필요한 아편의 재배지역 및 지정면적을 포고하였다. 지정지역 내에는 열하성, 흥안성과 함께 과거 아편을 재배한 경험이 있으며 양질의 아편을 생산했던 길림성이 포함되었다. 다음해에는 압록강과 두만강 대안 국경지역과 같은 치안이 안정되지 않는 지역까지 허가지역에 포함시켰다. 이 지역 아편 재배농민과의 적대적 관계 해소는 물론 국경지대의 치안안정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었다. 비적, 즉 항일세력의 활동으로 치안이 불안정한 상황에서도 1936년 이전까지 ‘만주국’ 당국은 압록강ㆍ두만강 대안 국경지역의 아편재배를 허가하였다. 국내언론에서는 우려가 높았다. 압록강 대안 장백현의 아편생산에 대해 본업을 망각하고 일확천금을 꿈꾸는 요행심을 조장하며, 마적의 습격과 아편 중독자의 증가를 초래하는 등 부정적인 측면이 매우 강하여 그 폐해가 크다고 보았다. 간도지역 역시 오랫동안 아편재배 경험이 있었으며 1936년 이전까지 아편재배가 허가되었다. 1934년부터 1935년까지 군 당국이 치안대책과 연계하여 이 지역에 집단부락을 건설하였으며, 집단부락 건설 및 이전가옥 신축을 위한 대부금의 변제를 위해 아편재배를 허가하였다. 어떠한 의도에서 아편재배가 허가되었든 '만주국' 건국 직후 만주 이주 한인의 아편경작은 한인에게 있어 벼농사 다음으로 중요한 생업수단이었다. 그런데 1936년에 들어서자 비적 토벌이라는 치안대책과 연계되면서 당국의 아편 재배지역 지정이 일변하였다. ‘만주국’ 건국 이후에도 이 지역에서는 일본의 만주지배에 저항하는 비적, 즉 항일세력이 활동하였는데 군은 이들을 토벌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휴식과 보급의 근거지인 산간의 가옥들을 제거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항일세력의 보급 거점인 산간에 산재한 농가를 모아 집단부락을 건설하여 ‘匪民分離’를 강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아편재배 정책에도 변화가 생겼다. 군은 산간벽지에서 재배되는 아편이 모두 항일세력의 자금원이라고 보았고 아편재배 장려에서 단호한 박멸로 방침을 변경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집단부락 건설의 차입금 변제를 위해 아편재배를 장려해 왔던 간도지역은 물론 빈강성의 동녕, 안동성의 장백현에 대해서도 갑자기 재배 지정을 취소시켜 버림으로써 한인 농촌사회의 심각한 우려를 초래하였다. 요컨대 ‘만주사변’ 이후 압록강과 두만강 대안 국경지역의 이주 한인들은 치안불안이라는 환경 속에서 ‘만주국’ 당국의 일관성 없는 아편 전매제도 시행으로 생업에도 늘 불안정한 상황에 놓여 있었다. 당초 ‘만주국’ 당국은 이 지역이 과거 아편재배의 경험이 있는 지역이었고, 경제적으로 빈궁한 지역이었기에 비적의 활동이 활발한 지역이었...

      • KCI등재

        ‘만주국’의 아편마약 밀매정책과 재만 한인

        박강 한중인문학회 2006 한중인문학연구 Vol.19 No.-

        만주국 수립 이전부터 만주지역의 주요 도시에는 아편마약의 밀거래와 아편 연관업에 종사하는 한인들이 있었다. 이들 한인들은 외국인으로서 일본, 러시아인과 함께 아편마약 밀매로 주목을 받았다. 재만 한인의 아편마약업 종사는 이중국적에 따른 불안정한 법적지위와 생계유지문제, 그리고 일본 영사관의 암묵적인 묵시 내지 지지와 관련이 깊었다. 전체 만주거주 한인의 수와 비교해 보면 수적으로는 소수이지만 그들의 활동이 일본의 주구로 비춰져 만주지역의 중국인과 중국당국의 비난을 감수해야 했다.만주국 수립 이전 일본정부의 암묵적인 묵인과 지지 하에 아편과 마약밀매 등에 종사했던 재만 한인들은 만주국 수립 이후 어떤 상황에 처하게 되었을까? 즉 만주국의 건국으로 일본의 한인에 대한 태도나 인식이 그 전과 다른 상황에서 재만 한인 아편마약 밀매업자들에게 어떤 변화가 일어났을까?만주국 수립 전후 만주의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아편마약업에 종사했던 한인들은 만주국 아편전매제도의 확립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이용되었다가 배제되는 운명을 겪었다. 일본의 만주침략 과정에서 만주침략의 도구로 이용되었던 아편마약 밀매업 종사 한인들은 만주국 수립 이후 전매아편의 조속한 확립과 밀매의 단속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필요에 의해 다시 이용되었다. 그러나 중일전쟁 발발 이후 완전한 전매제 시행에 따라 아편업에 종사한 한인들은 다시 배제될 수밖에 없었다. 결국 일본의 만주침략 과정에서 한인들이 침략의 도구로 이용되었듯이 만주국의 아편전매 과정에서도 역시 비슷한 전철을 겪었다고 하겠다. Manchuguo's dealing with illict sale of drug and the Koreans in Manchuria Since former times before establishment of Manchukuo there were the Koreans engaged in illicit drug trafficking and management of opium den in the main cities of Manchuria. These Koreans as foreigner were recognized as illicit drug trafficking with Japanes and Russians. Before establishment of manchukuo the Korean residents were engaged in illicit sale of opium and narcotics with the convivance of Japanese government. After establishment of Manchukuo. After establishment of Manchuguo what condition were they placed i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opium monopoly the Koreans engaged in illicite sale of drug in the main cities of Manchuia were utilized temporary. Soon they were faced with being excluded. Japan used them as the tools of invasion in china. And after establishment of Manchuguo for the purpose of easy keeping opium monopoly on stalilty japan used them again. But occurring the Sino-Japanese War(1937-45), carrying out whole opium monopoly, the Koreans engaged in sale of opium completely were excluded. Finally as they were used as the tools of invasion, the Koreans took the same neckless course in the process of opium monopoly in manchuria.

      • KCI등재

        만주국'의 아편마약 밀매대책과 재만 한인

        박강 한중인문학회 2006 한중인문학연구 Vol.19 No.-

        만주국 수립이전부터 만주지역의 주요 도시에는 아편마약의 밀거래와 아편 연관업에 종사하는 한인들이 있었다. 이들 한인들은 외국인으로서 일본, 러시아인과 함께 아편마약 밀매로 주목을 받았다. 재만 한인의 아편마약업 종사는 이중국적에 따른 불안정한 법적지위와 생계유지문제, 그리고 일본 영사관의 암묵적인 묵시 내지 지지와 관련이 깊었다. 전체 만주거주 한인의 수와 비교해 보면 수적으로는 소수이지만 그들의 활동이 일본의 주구로 비춰져 만주 지역의 중국인과 중국당국의 비난을 감수해야 했다. 만주국 수립 이전 일본정부의 암묵적인 묵인과 지지 하에 아편과 마약밀매 등에 종사했던 재만 한인들은 만주국 수립 이후 어떤 상황에 처하게 되었을까? 즉 만주국의 건국으로 일본의 한인에 대한 태도나 인식이 그 전과 다른 상황에서 재만 한인 아편마약 밀매업자들에게 어떤 변화가 일어났을까? 만주국 수립 전후 만주의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아편마약업에 종사했던 한인들은 만주국 아편전매제도의 확립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이용되었다가 배제되는 운명을 겪었다. 일본의 만주침략 과정에서 만주침략의 도구로 이용되었던 아편마약 밀매업 종사 한인들은 만주국 수립 이후 전매아편의 조속한 확립과 밀매의 단속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필요에 의해 다시 이용되었다. 그러나 중일전쟁 발발 이후 완전한 전매제 시행에 따라 아편업에 종사한 한인들은 다시 배제될 수밖에 없었다. 결국 일본의 만주침략 과정에서 한인들이 침략의 도구로 이용되었듯이 만주국의 아편전매 과정에서도 역시 비슷한 전철을 겪었다고 하겠다. Since former times before establishment of Manchukuo there were the Koreans engaged in illicit drug trafficking and management of opium den in the main cities of Manchuria. These Koreans as foreigner were recognized as illicit drug trafficking with Japanes and Russians. Before establishment of manchukuo the Korean residents were engaged in illicit sale of opium and narcotics with the convivance of Japanese government. After establishment of Manchukuo. After establishment of Manchuguo what condition were they placed i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opium monopoly the Koreans engaged in illicite sale of drug in the main cities of Manchuia were utilized temporary. Soon they were faced with being excluded. Japan used them as the tools of invasion in china. And after establishment of Manchuguo for the purpose of easy keeping opium monopoly on stalilty japan used them again. But occurring the Sino-Japanese War(1937-45), carrying out whole opium monopoly, the Koreans engaged in sale of opium completely were excluded. Finally as they were used as the tools of invasion, the Koreans took the same neckless course in the process of opium monopoly in manchuria.

      • KCI등재

        아편의 시대, 아편쟁이의 시대 -현경준의 「유맹」에 대한 몇 가지 고찰-

        이경훈 ( Kyoung Hoon Lee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08 사이 Vol.4 No.-

        1930년대 후반과 1940년대 초의 여러 작품에서 다루어진 아편과 마약 중독은 역사적 절망과 주체의 몰락을 인식하고 감각하게 한 서사의 근거이자 묘사의 방법이었다. 그리고 그런 의미에서 아편 중독은 일제 말기 식민지의 육체와 정신이 봉착하고 탐구한 본질적인 풍속이었다. 『인문평론』에 발표된 「유맹」은 현경준이 『광업조선』에 발표한 「유맹」과는 다른 작품으로서, 「심문」, 「중독자」, 「마약」 등과 더불어 재만 조선인의 아편 중독문제를 취급한 하나의 문학사적 계열을 이룬다. 특히 「유맹」은 아편중독자를 수용한 특수부락의 삶을 통해 한 시대의 몰락보다는 만주국과 일본제국의 정책에 매개된 재만 조선인의 갱생과 만주의 개척을 그리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념적 지향은 이 작품이 『마음의 금선)으로 개작되면서 더욱 구체화된다. 그러나 만주국의 아편 정책은 정부에 의한 마약 전매 및 그를 통한 재정 수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 작품이 말하는 장래란 결국 왕도낙토와 대동아공영의 이념적 환상에 근거하며, 희망은 빈농 구제의 명분을 내세우면서 아편 재배를 장려하는 일본 국가의 계획에 정신적으로 중독되었음을 표현한다. 이렇게 「유맹」은 국가가 기획한 재생과 쇄신을 서사의 핵심적 문제로 수용함으로써, 오직 국민으로서만 자기를 규정하기에 이른 식민지 시대 말기의 또 다른 환각을 보여준다. The opium addiction portrayed in many literary works of the late 1930s and the early 1940s was related with not only the origin of narration but also the method of depiction by which historical despair and ruin of subject could be recognized and felt. In this sense, the opium addiction can be evaluated as an essential customs of the late colonial period. Colony`s body and soul had encountered and investigated it. Hyon Kyong-jun`s Yumaeng published in Inmunpyongron is different from his another Yumaeng published in Kwangupchosun. By describing the problem of opium addiction of Korean immigrants of Manchuria, it constituted a literary historical context with Figure of mind(심문), Addict(중독자) and Dope(마약) etc.. Especially, instead of narrating the ruin of old age and perspective, Yumaeng dealt with the resuscitation of Manchuria`s Korean and the cultivation of Manchuria by depicting the opium addicts` everyday life in a special village established by the policy of Manchukuo and Japanese empire. And the ideological tendency implicated in this story became more clear in String of Mind, the rewritten text of Yumaeng. But the opium policy of Manchukuo and Japanese empire was deceitful because the dope monopoly by the government and the financial income was the important object of this policy. Accordingly, hope expressed a spiritual addiction to the scheme of nation which encouraged the cultivation of opium in the name of relieving the poor farmers. And the future of Yumaeng was no more than the ideological illusion of Manchukuo and Co-prosperity of Great East Asia. In this way, by taking the resuscitation and reform schemed by Japanese empire as the core problem of narration, Yumaeng showed another hallucination of the last colonial years which defined everybody only as a nation.

      • KCI등재

        1930년대 조선총독부 모르핀 대책의 실상

        박강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100

        일본의 조선 강점기 동안 조선에는 모르핀이 만연되어 심각한 사회문제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사회문제에 대해 조선총독부는 어떻게 대처했을까? 일본의 조선 강점기 조선총독부의 모르핀 대책과 관련하여 아직까지 깊이 있는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지만 모르핀 확산문제와 관련하여 대체로 실효성 있는 모르핀 대책이 부족하였다고 보고 있다. 1920년대의 경우 별다른 실효성 있는 대책이 없었으며 모르핀의 확산을 거의 방치하다시피 하였다는 주장이 많다. 1930년대의 경우 아편․마약과 관련된 국제회의 등을 통해 국내외적으로 모르핀의 해독에 대한 인식이 이미 널리 알려진 상황이었는데 이 시기에도 조선총독부의 모르핀 대책에는 변화가 없었던 것일까? 본 논문은 1930년대 조선총독부 모르핀 대책의 실상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모르핀 대책의 내용뿐만 아니라 일본의 전체 식민지 및 점령지의 아편․마약 수급 관계 속에서 그 진의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은 모르핀 문제로 인해 심각한 사회문제를 겪고 있었다. 그것은 1914년에 반포된 조선총독부의 아편단속 강화방침과 관련이 있었다. 아편단속 강화방침으로 아편 흡연자는 감소되었지만 그 반작용으로 모르핀 등 마약 사용자가 증가하였던 것이다. 곧이어 1차 대전기에 유럽으로부터 수입하던 의료용 마약의 수입이 곤란해지자 조선총독부는 1919년 ‘조선아편취체령’을 공포하여 조선에서 대량의 아편을 생산하고자 하였다. 즉 일본과 조선에서 생산된 아편을 이용하여 모르핀 등 마약을 제조, 이를 수출하여 수익을 창출하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1차 대전이 일찍 종식되어 다시 값싼 유럽산 모르핀이 수입되면서 당초 계획에 차질이 빗어졌다. 이로써 조선과 일본에서 생산된 모르핀의 수출이 어려워졌다. 판로를 찾지 못한 모르핀이 오히려 조선에서 소비되면서 심각한 사회문제를 불러 일으켰다. 이러한 사회문제는 전적으로 조선총독부가 야기시킨 것이었다. 1914년 아편단속의 강화로 모르핀 등 마약 사용자가 증가한 상황에 대한 조치가 없었고 또한 1차 대전의 종식으로 조선에서의 모르핀 밀매 및 남용 가능성이 한층 높아진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모르핀 등 마약의 처벌규정을 강화하지 않은 조선총독부의 책임이 크다고 하겠다. 조선에 모르핀 문제가 심각해져 국내외적으로 부정적인 여론이 확산되자 조선총독부는 1930년에 세계 최초로 마약전매를 실시하였다. 당국에 의한 마약전매가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처벌규정의 강화가 전제되어야 했다. 이 시기의 마약전매는 마약 처벌규정이 강화되지 않으면서 내실 준비가 미흡하였다. 그 결과 당국의 마약전매가 오히려 마약환자의 증가를 조장하는 격이 되었다. 한편으로 기존 밀매업자들의 밀매 이익을 당국이 탈취하는 것에 불과한 것으로도 비춰졌다. 시기적으로 많이 늦었지만 5년 뒤인 1935년에 가서 강화된 처벌규정이 포함된 ‘조선마약취체령’이 공포되었다. 이로써 마약문제가 해결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곧 중일전쟁이 발발하면서 조선은 1차대전기 마약의 공급지로 주목받았듯이 다시 일본 세력권 내 아편의 주요 공급지로서 그 역할이 강제되었다. 1935년 ‘조선마약취체령’의 공포로 조선총독부 당국이 조선의 마약문제 해결에 적극 나선 것이 결과적으로 일본 세력권 내 부족한 아편의 공급문제 해결 방안과도 연계되었다고 하겠다. 요 ... During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morphine became prevalent in Joseon, causing serious social problems. How did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respond to these social problems? Research on morphine measures by Japan's Government-General of Korea during its colonial rule of Korea is still lacking in professional research.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s countermeasures against the spread of morphine were not considered effective. In the 1920s, there were no effective measures. Many claim that morphine spread was almost neglected. In the 1930s, awareness of morphine detoxification was already well known at home and abroad through international conferences on opium and drugs. Was there any change in the Government-General's morphine countermeasure at this time? This paper attempted to clarify the reality of countermeasures against morphine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the 1930s. This paper attempted to clarify the reality of countermeasures against morphine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the 1930s. In addition to the contents of morphine countermeasures, this study attempted to grasp the truth through opium drug supply and demand in all colonies and occupied regions of Japan. In short, the morphine countermeasures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the 1930s seemed to have been implemented to solve the serious social problems of Joseon, but behind this, it was promoted in connection with the opium drug policy on Japan's entire colony and occupied territory. During World War I, when imports of European morphine were difficult, Japan produced a large amount of opium in the Joseon Dynasty to manufacture morphine. It caused serious social problems in Joseon, but Japan had a purpose in pursuing profit.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id not properly deal with the serious drug problem in Joseon. It was not until 1935 that th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had tightened the drug punishment regulations. This resulted in a crackdown, but solving Joseon's social problems was not a priority either. The Joseon's morphine measures was devised in the context of solving the shortage of opium in the Japanese territory before and after the Sino-Japanese Wa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