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술생애담을 통해 본 남·북·중 코리언 여성들의 아들 낳기 문제와 젠더의식

        김종군(Kim, Jong Kun),박재인(Park, Jai In),이미화(Lee, Mei Hua)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0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33

        이 연구는 산아제한정책이 강화되던 시기 남·북·중 코리언 여성들의 출산경험담을 통하여, 아들 낳기 강요에 대하여 각자의 방식으로 순종과 저항의 복합적 행위성을 발휘했던 생생한 모습들을 살펴보았다. 아들 낳기 과제에 대한 억압을 내면화하며 순종했던 모습은 다양한 행위로 표출되었고, 또 재생산권이 침해되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했다. 남한 여성의 경우는 ‘의료과잉화’의 문제로, 중국 조선족의 경우는 ‘위법’과 ‘다산 강요’의 문제로 드러났는데, 아들 낳기 문제에 있어서 코리언 여성에게는 자신의 몸과 마음을 지킬 수 있는 권리가 보장되지 못한 ‘문화지체 현상(cultural lag)’이 일어났던 것이다. 이는 결국 가부장제적 억압을 내면화하면서 자신이라는 본래적 주체를 소외시켜버린 삶이었다고 할 수 있으며, 그것은 산아제한정책이 강화되었던 시대에 코리언 여성문제의 취약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여성들의 생애담에서는 아들 낳기 과제에 대하여 남성과 사회에 책임을 분유하고자 하는 의식 변화가 보였는데, 이는 전근대적인 여성들 보다는 저항적인 모습으로 해석되었다. 게다가 자녀의 성별에 대한 가치판단이 변화한 지점이 확인되었는데, 그 이면에는 자기 욕망을 투사하거나, 딸의 희생을 강요하는 등 또 다른 폭력으로 작용한 한계가 있었다. 남한여성들의 경우는 딸의 사회적 진출에 관한 교육 열망으로, 북한과 조선족여성의 경우는 딸들을 통한 경제적 위기 해결이라는 문제로 드러났던 것이다. 그럼에도 이 여성들은 딸에게는 출산과 양육이 본능이자 의무라는 전통적 모성 관념을 그대로 적용하지 않았고, 가부장제 모순에 문제를 제기하는 등 ‘탈(脫) 가부장제적 주체’로의 변화지점도 발견된 것이 사실이다. 그러한 변화가 2020년 현재 출산과 양육문제에 있어서 여성주의적 자각을 이뤄내고 있는 3-40대 여성들의 어머니들에게서 시작되었다는 점이 중요하고, ‘어머니와 딸의 연대의식’이 강화되면서 가부장제에 대한 저항의지도 점차 강화되고 있는 것 또한 현재 코리언 여성들의 중요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looked at the womens problems forced to have a son because of the countrys ‘Planned Birth Policies’. Through the childrenbirth stories of Korean women expressed in oral, I have found vivid figures. That is obedience or resistance to the oppression that forces to have a son. Form of obedience is revealed in the form of shamanistic practices or reproductive rights violations. Reckless medical practices, illegality & Continuing childbirth Problem etc, Korean women had a “cultural lag” in which the right to protect their body and mind was not guaranteed. So women were internalized patriarchal oppression, and alienated their own original subject. It was the seriousness of the Korean womens problem at the time. And in these womens stories, there was also a form of resistance. It turned out to share the responsibility of childbirth with the husband or society. In addition, the value judgment of the childs gender has changed. It also revealed the limitations of erupting ones own desires or forcing her daughter to sacrifice. South Korean women expressed their enthusiasm for education, and North Korean and Korean-Chinese women seemed to rely on their daughters to overcome economic problems. Nevertheless, these women did not impose oppressed lives on their daughters and showed a change in consciousness that criticized the contradictions of patriarchy. It can be said to be a change from the patriarchal ideology to an active subject.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 feminist historical change in which ‘Bonding of mother and daughter’ is strengthened and Resistance to Patriarchal Ideology from mother to daughter is strengthened.

      • KCI등재후보

        한국과 몽골의 산속 비교 연구

        떠르지 재벤(Dorj, tse-veen),구사회(Koo, sa-whae)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6

        이 논문은 한국과 몽골의 산속을 ‘기자속’, ‘산전속’, ‘산후속’으로 구분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본 것이다. 출산의례라고도 하는 산속은 오래 전부터 민족마다 자신들의 선조로부터 전해 내려온 출산과 관련된 의례를 담고 있는 습속이다. 각 나라 전통 사회는 그 사회의 민족적 특질, 민족성, 사회 구조, 사상 등을 반영하게 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과 몽골의 산속에 나타나는 특징은 차이를 통해 찾아 볼 수 있다. 한국의 출생의례는 절 ,지성과 같은 기자속은 물론이고, 산전속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태몽에 대한 내용이 많다. 반면에 몽골의 출생의례는 산전속에서는 임산부들이 가지는 음식과 행위와 관련된 금기어가 많으며 태어난 아이에게 이름을 지어주는 내용이 많은 편이다. 한국과 몽골은 아들을 얻으려고 하는 순수한 마음은 비슷하다. 산후속은 한국에서 아들과 딸의 상징을 구별하여 표시했는데 몽골에서 아들과 딸을 구별하지 않고 표시했다는 점이다. 육아속은 양국에서 아이를 위해 여러 행사를 중심으로 하는데 행사를 치를 때 가국의 특별한 예물이 다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한국의 경우 육아속은 백일날 배냇머리를 자르는 의식과 출생 후 일주년을 기념하는 돌날 까지를 말한다. 이에 비해 몽골의 육아속은 출생 후 3년 후에 비로소 배냇머리를 자르는 의례를 행하기 때문에 한국에 비해 길다. 한국의 출생의례를 보면 역신을 속이기 위하여 천한 이름으로 아명을 지어주는데, 몽골의 경우도 이와 유사하게 역신을 기만하고 속여서 역신으로부터 어린 아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동식물의 이름이나 혐오스럽고 이상한 이름을 지어주기도 한다. 이러한 행위는 어린 아이가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통합하기 위하여 거쳐야만 하는 통과의례의 전이 단계인데 한국과 몽골의 출생의례에서 공통적인 민속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을 통해 한국과 몽골의 산속을 비교하면서 양국의 전통문화를 점검하고 한국과 몽골의 민속 문화만이 지닐 수 있는 상호간의 문화적 친영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study analyzes common and different points of Sansok in Korea and Mongolia by classifying it into Gijasok, Sanjeonsok and Sanhusok. From the past, Sansok is a tradition that contains ancestral ritual on the lifestyle and belief of each nation. It is confirmed that Sansok in Korea and Mongolia reflected national characteristics, national identity, social structure and idea. The birth ritual in Korea has many contents on dream of the forthcoming conception of a baby as a key of Sanjeonsok as well as Gijasok like Chiseong. To the contrary, it was Sanjeonsok in Mongolia that has many taboos related to foods and behaviors of pregnant women. Both Korea and Mongolia are Gijasok having a notion of preferring a son to a daughter. As Sanhusok, in Korea the symbols of boy and girl were separated, but in Mongolia, it was not identified. Yukasok focuses on various events for children in both countries and the presents for event were different. In the birth ritual in Korea, child name was used to be devised in a humble name to protect child from Yeoksin. It was similar at Mongolia and they used to name the child in the name of animal or plant in a bizarre or horrible term. This study could find the affinity of both cultures by comparing culture of Sansok in Korea and Mongolia.

      • KCI등재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産俗) 문화 비교 연구

        투라예바 딜푸자(Turaeva Dilfuza),이수진(Lee Suj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3

        이 논문은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 문화에 대한 비교 연구이다.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은 지리상으로 멀리 떨어져 있지만, 같은 아시아 문화권에 속해 있으면서 중국 문화권의 영향을 받아 문화적으로 유사한 점이 많다. 산속은 오래전부터 각 민족의 삶의 방식과 믿음을 통해서 조상들로부터 전해 내려온 습속이다.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은 사회적으로 남아를 선호하는 가부장제 가족 제도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 연구를 통해서 양국의 민족성이나 사회성을 고찰해 볼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먼저 한국과 우즈베키스탄 산속이 전해져 내려오는 문화적 배경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은 유교주의 영향을 받아 특히 16세기 남아를 선호하는 사상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우즈베키스탄의 경우 실크로드 교차지점에 위치하여 오랜 시간 다양한 문화와 교류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침략으로 고난과 역경의 시간을 보내며 남아 선호 사상이 강해졌다. 양국 모두 전통적으로 가부장제 가족제도를 형성해 왔으며 남아선호사상을 중시하였고, 이러한 사회적 구조 안에서 남아의 잉태를 기원하는 산속이 형성된 것을 보인다. 양국의 산속을 ‘기자속’, ‘산전속’, ‘산후속’으로 나누어 비교 고찰해 보았다. 양국 모두 아이를 갖고자 희망하는 여인들은 일정한 대상물을 향해 기도 기자속이 있는데, 그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국에서는 잉태를 위하여 수목, 산신, 부처, 암석 등에 기도를 하며, 아들을 이미 출산한 집안의 삼신상이나 속옷, 금줄에 끼인 고추 등을 훔쳐 잉태를 기원하는 습속이 있는데,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다산한 임산부의 다리 밑을 지나가면 아이를 가질 수 있다고 믿었다. 방식에 차이는 있으나, 이미 출산한 부녀자에게 의지하여 아이 낳기를 기원하는 행위는 양국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기자속의 형태로 볼 수 있다. 산전속에서도 한국은 오리고기ㆍ닭고기ㆍ자라고기ㆍ토끼고기ㆍ생강ㆍ마늘ㆍ문어 등의 섭취를 금지하고,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낙타고기ㆍ토끼고기 등을 금기시 하여 금기 음식의 종류에는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산모가 보고 듣고 먹고 느끼는 것이 태아에게 그대로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여 그에 따른 음식이나 행위에 금기를 가했다는 점은 동일하다. 산후속도 한국이나 우즈베키스탄 모두 출산 직후 산모를 외부의 침입이나 악의 기운으로부터 차단하고 보호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게 드러난다. 한국에서는 고추나 청솔가지, 숯 등을 달아 외부와 차단하는 금줄을 달았고,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대문 앞에 칼을 매단 금줄을 달아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 문화를 비교하여 양국의 산속에 내포되어 있는 전통문화를 점검해 보았다. 향후 양국의 문화이해 및 교류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childbirth customs in traditional Korean and Uzbekistan culture. Even though Korea and Uzbekistan are geographically far apart, they remain a part of Asian civilization. Having been influenced by Chinese culture, these two distinct cultures retain some cultural similarities, such as in childbirth. Childbirth customs are inherited from our ancestors via learned lifestyles and beliefs. Childbirth customs in Korea and Uzbekistan favor patriarchal family systems, displaying a typical preference for sons over daughters. By comparing the childbirth customs between Korea and Uzbekistan, we can appreciate the nation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countries.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s from which the childbirth customs of these two countries have emerged. In Korean culture, where Confucianism was highly influential, a preference for boys emerged conspicuously in the 16th century. Uzbekistan as well, because of its unique location at the crossroads of an ancient trade route, the Silk Road, coupled with an extensive history of invasion from foreign forces, developed a cultural preference for boys. Thus, both countries have formed patriarchal family structures with boy preference customs. Given this social structure, both societies have formed various traditions that emphasize a desire to bear sons.

      • KCI등재

        조선 개화기 여성 기독교 선교를 통한 파키스탄 여성 선교 전략

        K.Myria,소윤정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2 복음과 선교 Vol.58 No.-

        This study investigated missionary strategies for Muslim women through the activities of western missionaries who were active for Chosun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It was like fabrics were moving on the road since they were wrapping their bodies with the fabrics, exposing their eyes only.” This was not a confession of missionaries who came to the Islamic world but what the women of Joseon looked in the eyes of Western missionaries who stepped onto the land of Chosun. Social phenomena based on the patriarchal system, such as hetaerism, early marriage, the separation of space between men and women, and the notion of preferring a son to a daughter carried out in Chosu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share many similarities with society in the modern Islamic world. Despite the difference in the times, the looks of the lives of the women of Chosun created by patriarchal society can also be found in the modern Muslim women’s lives. These sociocultural limitations have made missions in the Islamic world centered around men. There were changes in perceptions as time flowed; however, still, the centrality of mission for Muslim men in Islamic missions pointed out by Miriam Adeney has continued. On the other hand, the mission for Muslim women, half of the population, is sometimes considered not the main missionary work.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efforts and methods for preaching the Gospel to the women of Chosun of difficult access for the missionaries who were active in Chosun to meet through the missionaries’ records and examine missionary strategies for Muslim women in the 21st century. Despite the difference of the time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on the missions for wome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carried out in women’s lives in the patriarchal social environment and the closed social environment for women. This study limited the scope of research to Pakistani Muslim women since it would be impossible to unify Islamic countries. Later,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social positions and social activities of wome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and Pakistani women,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similarities and propose missionary strategies for Pakistani women through the methods and results of mission for wome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본 연구에서는 개화기 조선에서 여성들을 대상으로 활동했던 서양 선교사들의 활동을 통해 무슬림 여성 선교 전략을 살펴보았다.“눈만 드러낸 채 천으로 몸을 감싸고 있어서, 길에는 천들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였다.”이슬람권 선교사의 고백이 아니라 조선 땅을 밟았던 서양 선교사 눈에 비추어진 조선 여성들의 모습이었다. 개화기 조선에서 행해졌던 축첩과 조혼, 여성과 남성의 공간 분리와 남아선호사상과 같이 가부장 제도의 기초를 둔 사회 현상은 현대의 이슬람권 사회와 많은 유사점을 공유하고 있다. 시대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가부장적 사회가 만들어낸 조선 여성의 삶의 모습은 현대 무슬림 여성의 삶의 모습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문화적 한계는 이슬람권에서의 선교를 남성 중심으로 진행되게 만들어왔다. 시대가 흐르며 많은 인식의 변화가 있었지만, 여전히 미리암 애드니(Miriam Adeney)가 지적했던 이슬람 선교에 있어서 무슬림 남성 선교의 중심성은 지금도 지속되고 있다. 반면, 인구의 절반인 무슬림 여성 선교는 중심 사역이 아닌 것으로 여겨지곤 한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에서 활동했던 선교사들이 만나기 어려웠던 조선 여성들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해 했던 노력과 방법들을 선교사들의 기록물을 통해서 연구하고, 21세기 무슬림 여성 선교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시대적 차이가 존재함에도 개화기 여성 선교가 가부장적인 사회 환경에서 나타나는 여성들의 삶과 여성에게 폐쇄적인 사회 환경 가운데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슬람 국가를 획일화할 수 없기에 파키스탄 무슬림 여성들로 그 연구 범위를 제한하였다. 이어서, 개화기 여성과 파키스탄 여성의 사회적 위치와 사회적 활동 비교를 통하여 유사점을 연구하고, 개화기 여성 선교 방법과 결과들을 통하여 파키스탄 여성 선교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