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신문과 국어교육

        이은희 국어교육학회 2003 國語敎育學硏究 Vol.17 No.-

        최근 국어교육계에서는 대중 매체의 국어교육적 의미 및 수용 방식에 대한 논의가 활발차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지만 가장 중요한 대중 매체의 하나인 신문에 대해서는 신문활용교육(NIE)에 관심이 주어지면서 본격적인 국어교육적 연구가 활성화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논문은 신문에 대한 국어교육적 접근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서 먼저 국어교육의 대상으로서 신문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해 생각해 본 후, 국어교육에 있어서 신문 교육의 목적이 무엇이며, 이를 충족하기 위해 교육 내용이 어떻게 설정되어야 할 것인가에 관해 고찰해 보았다. 신문에 대해서는 종이 매체와 정보 전달적 기사를 중심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나, 실제로 신문은 전달 매체와 그것이 담고 있는 텍스트의 두 측면에서 다양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국어교육의 대상으로 신문을 볼 때는 신문이 지닌 다양성과 전체적 대중 매체 교육의 틀 속 에서의 신문의 위상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국어교육에서 신문을 다룰 때 그 교육 목적에 관해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국어교육에서 신문이라는 대중 매체 교육을 볼 때는 언어교육의 틀을 벗어나서는 안되며 이 속에서 수용과 생산을 통합한 언어 사용 능력을 기르는 데 목적을 두어야 할 것이다. 국어교육에서 신문 교육의 내용은 여러 방향에서 논의할 수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신문이 가진 시각 매체적 특성, 언어 구조적 톡성, 사회ㆍ문화적 특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Nowadays heated discussions have been made about the meaning and reception of mass media in ter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concerning newspaper,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ass media, there are scanty debates while newspaper in education is an observable issue.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way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newspaper should be approached. To do so, this study, first, examines how proper newspaper is an objec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 explores what the purpose of newspaper education is, and lastly investigates how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composed of. Generally it is likely that newspaper is considered in the light of paper media and article of providing information. However newspaper varies from delivery media to text it contains. Therefore in the consideration of newspaper as an objec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understanding of newspaper should be made simultaneously in both the varieties newspaper has and the framework in which the whole education of mass media has been carried out. On approaching to newspape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uch debate tends to be made concerning the aim of paper education. apart form the frame of language education. But the approach should aim at improving the language use abilities of involving both the reception and production which are bound up with language education, The contents of newspaper can be studied in many aspects. But this essay investigates respectively newspaper's characteries of media, language structure, socio-cultural phenomena.

      • KCI등재

        1920년대 중반 벽신문(壁新聞)의 등장과 의미

        최보민 역사학연구소 2023 역사연구 Vol.- No.46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incipal entity of publishing the wall newspaper in the mid-1920s, and to clarify the development and meaning of the “wall newspaper movement”. The wall newspaper was first published in February 1926 by youth groups and ideological groups in Seoul. At that time, all publication organizations of the wall newspaper were closely related to socialist secret societies that operated in illegal areas. In other words, the publication of the wall newspaper in 1926 was led by socialists who were active in Korea. At the time, those who led the publication of the wall newspaper insisted on publishing the wall newspaper as a form of media for the proletarian classes, such as workers and farmers who had difficulty accessing newspapers or magazines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They published a wall newspaper as a means to directly propagate their opinions to the general public hardly accessible to the mass media and to provide them with general knowledge on basic social issues. In addition, socialists at the time were struggling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in the face of the censorship system of the Japanese colonial power, so they chose to publish a wall newspaper as a means to overcome the difficulty. As such, the publication of the wall newspaper began in the Seoul area, and gradually spread to the provinces. This phenomenon, which is the so-called “wall newspaper movement”, emerged in most provinces all over the country, and was most active around April-July 1926 and April-July 1927. The development of this national “wall newspaper movement” was linked to the movement of socialists who exercised popular influence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formation of the Singanhoe branches. Meanwhile, when the “wall newspaper movement” appeared nationwide and public response was confirmed, Japanese colonial power began to suppress the wall newspaper. The suppression of the wall newspaper by Japanese colonial power was generally found to be a method of confiscating the wall newspaper itself or punishing those involved. In response to the suppression of colonial power, socialist forces responded by introducing a form such as a ‘Living newspaper’ centered on oral rather than text. 이 논문의 목적은 1920년대 중반 벽신문의 발행 주체를 확인하고, ‘벽신문 운동’의 전개 양상과 그 의미를 밝히는 데 있다. 벽신문은 1926년 2월 서울의 청년단체와 사상단체에서 처음 발행했다. 당시 벽신문 발행을 시작한 단체들은 모두 비합법 영역에서 활동했던 사회주의 비밀결사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즉 1926년 벽신문 발행은 국내에서 활동했던 사회주의 세력에서 주도한 것이다. 당시 벽신문을 발행을 주도한 주체들은 경제적 어려움으로 신문이나 잡지 등을 접하기 힘든 노동자·농민 같은 무산계급을 위한 매체로써 벽신문을 발행한다고 주장했다. 대중 매체를 접하기 힘든 대중에게 직접 자신들의 주장을 선전하고, 기본적인 사회문제에 대한 교양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벽신문을 발행했다. 또 당시 사회주의 세력은 일제 식민권력의 검열제도에 막혀 대중과 소통 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기 때문에 이것을 돌파하기 위한 수단으로 벽신문 발행을 선택한 것이기도 했다. 이처럼 서울 지역에서 시작된 벽신문 발행은 이후 점차 지방으로 확산했다. 이른바 ‘벽신문 운동’이라고 부를 수 있는 이 현상은 전국 대부분의 지방에서 나타났으며, 시기적으로 볼 때 1926년 4~7월과 1927년 4~7월 무렵에 가장 활발 하게 전개됐다. 이러한 전국적인 ‘벽신문 운동’의 전개는 신간회 지회 결성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대중적 영향력을 발휘했던 사회주의 세력의 움직임과 연결되어 있었다. 한편 전국적으로 ‘벽신문 운동’이 나타나고 대중의 호응도 확인되자 일제 식 민권력은 벽신문을 탄압하기 시작했다. 일제 식민권력의 벽신문 탄압은 대체로 벽신문 자체를 압수하거나 관련자를 처벌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식민 권력의 탄압에 맞서 사회주의 세력은 문자가 아닌 구술이 중심이 된 생신문과 같은 형식을 도입해 대응했다.

      • KCI등재

        NIE 수강 대학생의 유료 지역신문 정기 구독의도 결정요인: 지속적 이용과 비이용 예정자 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정기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미디어, 젠더 & 문화 Vol. No.

        Local newspapers are facing a crisis. This study was conceived with the judgment that it would be important to promote a newspaper subscription among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who were accustomed to free news at portal sites,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of local newspapers. The study also judged that a newspaper in education (NIE) should be provided which helped to realize the need for and usefulness of local newspapers in order to promote a newspaper subscription among college students. The investigator thus designed an experiment situation in which NIE would be provided to a group of college students that had no experience with newspaper subscription for one semester. Those college students that received this education and used a local newspaper were divided into prospective ongoing local newspaper users and non-users, and causes of differences between them were examined. Specifically, differences in variables of the planned behavior theory such as the motivation for using a local newspaper, value assessment of local newspapers, and attitude toward local newspapers were checked between the two groups through t-test. The study also looked into differences in the determinants to promote an intention for subscribing to a paid local newspaper between the two groups, compared the results between them, and offered implications for differentiated subscription strategy and campaign revenues according to the subjects that received NIE. The study put the findings together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achievements and successful utilization possibilities of NIE and for the ongoing local newspaper utilization possibilities and effects to induce a regular subscription according to differences in local newspapers among those who received NIE. Furthermore, the study offered some assistance for developing differentiating strategies to promote a regular local newspaper subscrip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receiving NIE. 지역신문의 위기이다. 본 연구는 지역신문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포털을 통한 무료 뉴스 이용에 익숙해져 있는 20대 대학생들의 지역신문 구독을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아울러 대학생들의 지역신문 구독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지역신문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인식시키는 신문 활용 대학 교육(NIE)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본 연구자는 이를 위해 지역신문 구독 경험이 없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1학기동안 지역신문 활용 교육(NIE)을 수행하는 실험 설계 상황을 설정했다. 또한 이러한 교육을 받은 지역신문 이용 대학생들을 지속적 지역신문 이용 예정자와 비이용 예정자로 구분하고, 이러한 차이를 이끌어 내는 원인에 대해 탐색했다. 구체적으로 두집단간의 지역신문 이용동기, 지역신문 가치평가, 지역신문에 대한 태도 등 계획행동이론 변인 상의 차이를 t검증을 통해 확인했다. 아울러 두 집단의 유료 지역신문구독의도를 이끌어 내는 결정요인의 차이에 대해 탐색하고, 두 개의 결과를 비교하여, 지역신문 활용 교육을 받은 대상에 따른 차별적인 구독전략 캠페인 수입을 위한 함의를 제시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지역신문을 활용한 교육의 성과 및 성공적인 활용 가능성에 관한 함의를 제시하고, 지역신문을 활용한 교육 대상자들의 지역신문에 관한 인식 차에 따른 지속적 지역신문 활용 가능성 및 정기 구독유발 효과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고자 했다. 또한 지역신문 활용 교육을 받은 대학생 집단의 특성에 따른 차별적인 지역신문 정기 구독 유발 전략 도출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했다.

      • KCI우수등재

        스포츠 사회학 : 스포츠 신문 기능이 대학생의 스포츠 신문 만족도와 스포츠 대중화에 미치는 영향

        이현수(LeeHyeonSu),김인형(KimInHyeong) 한국체육학회 2004 한국체육학회지 Vol.43 No.2

        This study collected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Busan at present 2003 year as a universe to look into the effect of the sporting newspaper's function on popularization of sports and the moral sense of the sporting newspaper positively, and used 304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for actual analysis with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s or a non-probability sample, except insincere 16 samples. In this investigation we used such investigating methods as Go young-kyu,s(2001) "The study of survival strategy of a hearsay newspaper according to changes of the environment of the speech", Kim yang-rea(1988) 'The study about the receiver's decoding and the reporting tendency of typical sexual role of media sports' Lee deuk-jea,s(2001) media focus on "imagination of sporting newspaper's desire” and Joo jin-sook,s(2000). "The functions and the moral sense of sporting newspaper suggested at consideration about a sex-appealing comic strip of sporting newspaper”. With the above methods, we organized a questionnaire suitable for this study and used a corrected and edited questionnaire based on experts’ advices and preliminary investigations.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about the utilization of sporting newspaper as sex distinction, males' frequence of use appeared higher than female, and even 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at choosing a place to read sporting newspaper, both male and female preferred to read newspaper through the internet or in the subway. While males read it for taking sports information and killing time, females read it for just reading and killing time. That means that male read it for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female read it as a magazine for amusement.Second, with a result that we analysed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bout functions of sporting newspaper and the moral sense of sporting newspaper as sex distinction, males’ inclination for informational propensity, interpretational propensity, recreational propensity, advertising propensity, and the moral sense of sporting newspaper showed higher.Third, in consequence of analysing the related effects of sporting newspaper's function between the moral sense of sporting newspaper for university students and the popularization of sports, informational propensity, interpretational propensity, recreational propensity, advertising propensity of sporting newspaper had an heedful effect on the moral sense of sporting newspaper, and on popularization ofsports informational propensity and interpretational propensity had an effect, finally the moral sense of sporting newspaper was represented that it had an heedful effect on popularization of sports.

      • KCI등재후보

        신문산업진흥 입법 논의를 위한 프랑스 신문지원정책 탐색

        이용성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7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6 No.3

        Since 2003, our newspaper subsidy system has been influenced by France through its long history and diverse policies. France held the "Print Media National Congress" to provide urgent relief to the newspaper industry facing the 2008 crisis and proposed a policy for the future of newspapers. Some examples of such policies include newspaper distribution support, restructuring of newspaper printing, increase in newspaper advertising expenses, subscription fee for juvenile newspaper subsidies, and tax exemption. French newspaper subsidy policy has attracted great attention to our press and studies of journalism. Since 2009, legislation has been actively enacted in the National Assembly for restructuring of the newspaper industry, joint delivery and joint printing support, subscription for youth subsidies, support for digital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tax reduction. However, discussions on legislative initiatives during the 18th and 19th Congress regarding the newspaper industry were not successful due to problems such as overlapping newspaper subsidy that already existed. Our newspaper is still in a serious crisis. Newspaper subsidy systems are also failing due to insufficient funds and inefficiencies in business. We should again focus on French newspaper subsidy policies and newspaper subsidy systems. In the 20th National Assembly, the legislative process for promoting the newspaper industry should be discussed so that funds can be provided for urgent projects such as subsidies for future newspaper readers, newspaper industry restructuring support (joint printing and co-delivery) and digital news production support. 2003년부터 우리의 신문지원제도는 오랜 역사와 다양한 정책을 갖춘 프랑스의 영향을 받아왔다. 프랑스는 2008년 위기에 직면한 신문산업을 긴급 구제하기 위해 ‘인쇄미디어국민회의’를 개최하고 신문의 미래를 위한 정책을 제안했다. 정책제안 중에서 신문유통 지원, 신문인쇄 구조개편, 신문 광고비 증액, 청소년 신문구독료 지원, 조세 감면등이 실행됐다. 프랑스의 신문지원정책은 우리 언론계와 언론학계에 큰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2009 년부터 국회에서 신문산업 구조개편, 공동배달과 공동인쇄 지원, 청소년 구독료 지원, 디지털인프라구축 지원, 조세감면 등을 위한 입법이 활발해졌다. 그러나 18대와 19대국회의 신문산업진흥 입법논의는 이미 존재하던 신문지원제도와 중복 등의 문제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우리 신문은 여전히 심각한 위기에 있다. 신문지원제도도 부족한 재원과 사업의 비효율성으로 후퇴하고 있다. 다시 프랑스의 신문지원정책과 신문지원제도에 주목해야 할것이다. 미래 독자인 청소년 신문구독료 지원, 신문산업 구조개편 지원(공동인쇄와 공동배달), 디지털뉴스제작 지원과 같은 긴급한 사업을 위한 기금을 마련해서 집중 지원할수 있도록 20대 국회에서도 신문산업 진흥을 위한 입법 논의가 시작돼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스포츠산업,경영 : 스포츠신문 발전을 위한 마케팅 차별화 전략

        김종(ChongKim) 한국체육학회 2003 한국체육학회지 Vol.42 No.3

        There were some close relations between sport and sports newspapers. It means that according to developing of sports, sports newspapers can develope. Also, so that sports newspapers develop more, they have to compete among themselves and concern about people’s interest.In addition, nowadays, the newspaper industry is in complex competition aspect not only Korean newspaper’s but also new media and abroad sports newspaper’s. Therefore newspaper’s industry has to be developed through being premised self-regulation competition which is developed into more qualitative development than quantitative development.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 was to grasp actuality of domestic sports newspapers exactly, foresee the future of them and offer some information needed for differentiation strategy which was coincided with Newspaper publishing company’s special quality.The marketing differentiation strategy of sports newspaper publishing company was as following. First of all, newspaper publishing company needed the professional sports marketer. Secondly, make up the total marketing - Meaning of the total marketing is the marketing’s extension which planed advertising, selling and publishing through professional marketer, Inside infra construction and has done Strategic alliance externally. Thirdly, have to make effort to get Korean sports fans. Fourthly, change the product of sports newspaper. Fifthly, promote Sales for service and contents of newspaper. Sixthly, increase the effect of ads. Seventhly, diversification of sports newspaper business. Finally, improve the image and recognizing of sports newspaper through getting stadium’s name(For example, Sports Seoul Sang-Am Stadium and Daily Sports Daegu Stadium etc).

      • KCI등재후보

        종이 신문 이용자의 만족도 연구: 독자의 공정성과 신뢰성 판단이 주는 영향

        류춘렬 ( Ryu Choonryul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硏究 Vol.30 No.2

        이 논문은 한국 종이 신문이 위기에 봉착하였다고 보고 종이 신문의 구독 형태를 정기구독자, 정기구독은 하지 않지만 종이 신문을 정기적으로 읽는 신문 이용자, 비이용자, 이 세형태로 구분하여 다른 변인과 연관을 연구하였다. 뉴스의 신뢰성과 ANOVA 분석을 한 결과 전국종합일간신문 뉴스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이 있었으나 지상파TV 뉴스와는 없었다. 정기구독자와 신문 이용자, 두 집단과 종이 신문 만족도와 교차분석을 하였는데 정기구독자가 더 만족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종이 신문 구독 형태와 성별, 나이, 학력과 교차분석을 시도하였는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 관계가 나타났다. 남자가, 고연령층이, 그리고 고학력층이 모두 정기구독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는 분포가 다소 비선형으로 나와서 50대가 60대보다 정기구독률이 높은 비율로 나온 것이 특이하다. 종이 신문 만족도와 종이 신문 공정성과 신뢰성의 연관 관계도 교차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는데 공정성과 신뢰성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만족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의 연관 관계 분석에 인구학적 세 변인을 통제변인으로 넣어서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해보았다. 그 결과, 성별, 나이, 학력은 모두 종이 신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정성보다 신뢰성이 더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한국수용자의식조사 2015년 데이터를 이용한 것으로 인구 비례에 의한 표집이나 규모면에서 한국 사회의 대표성을 지니고 종이 신문 이용자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그러나 만족도와 공정성, 신뢰성 등의 측정에서 대부분의 응답자가 ‘보통이다’와 ‘대개oo한다’ 두 대답에 몰려서 세밀한 분석을 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newspaper subscription on some variables. The type of newspaper subscription is divided into three groups; subscribers, readers who read newspaper regularly but don’t subscribe it, and non-users who don’t read newspaper. The subscription type is statistically related to news credibility of national daily newspaper but not to that of terrestrial television news. As the result of cross tabulation analysis by only two types (subscribers and readers), subscribers are more likely to be satisfied by newspaper than readers. The resul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ross tabulation analysis between the two types and three demographical variables is done and all three variables (gender, age, education) are statistically related to the subscription type. Using cross tabulation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newspaper satisfaction and newspaper fairness and credibility is investigated. As the result, both of newspaper fairness and credibility are statistically related to newspaper satisfaction. Using the demographical variables as control variables, the influence of newspaper fairness and credibility on newspaper satisfaction is investigated. As th result, all three variables (gender, age, education) have no impact on newspaper satisfaction statistically. Newspaper credibility appears to have more impact on newspaper satisfaction than newspaper fairness. This study uses a very big sample of Korea Media User Survey 2015 so its result is said to represent Korea population. But most answers to the question on newspaper satisfaction, fairness, and credibility belong to two categories, ‘average’ and ‘a little satisfied/fair/credible) so analysis on the variables is limited to cross tabulation analysis.

      • KCI등재

        8·15 해방 후 신문의 문화적 기능과 신문소설 - 식민유산의 해체와 전환을 중심으로

        이봉범 ( Lee Bong-beom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2 한국문학연구 Vol.0 No.42

        한국의 근대신문은 신문 그 이상의 미디어로 기능했다. 구국운동과 대중계몽의 기관으로, 민중의 대변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가운데 신문에 대한 특유의 관념을 생산해내 신문은 사회의 목탁이고 신문주체들은 지사로 인식되었으며 대중들의 신문에 대한 역할기대는 과도하리만큼 컸다. 식민지하 언론의 특수성을 반영하고 있는 이 같은 사회적 통념은 신문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변용과정을 거치지만, 신문의 공공성/기업성에 대한 대립적 인식태도가 배태된 가운데 해방 후에까지 지속된다. 문화적 측면에서도 신문, 특히 1920~30년대 민간지는 조선에서의 새로운 문학과 문단의 형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쳤다. 그 전통은 해방후에도 계승되어 신문의 공공성/기업성, 신문문예의 문화성/상업성의 모순된 양면성이 시대 변화와 대응해 조정·발현되는 가운데 신문은 과거에 못지않은 문화적 기능을 발휘했다. 그 과정에서 신문/문학의 결합에 의해 생산된 유산들과 이로부터 파생된 관행과 내면화된 관념이 해체·변형된다. 이런 면모를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장편연재소설이다. 권력, 신문, 문학의 관계는 시기별로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정론성의 점진적 약화와 상업성의 비등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이에 상응해 신문의 문학전략도 상업주의의 극단화로 나타난다. 그러한 신문/문학의 관계 조정에 의해 신문에서의 문학의 비중이 현저히 약화되었고, 신문이 문학(인)에 대한 압도적인 주도권이 강화되면서 문학은 상품에 불과하며 문인은 상품공급자의 위치로 전락한다. 그것은 신문에 있어 문학의 전략적 중요성과 문학배치에서뿐 아니라 학예면으로 대표되는 신문과 문단(학)의 긴밀한 네트워크, 문인기자의 존재, 문학담론의 생산과 형성의 거점, 신문과 집필자의 배타적 섹트화와 집필도덕 등의 유산이 해체되는 과정을 수반한다. 그럼에도 연재소설만큼은 과거에 비해 더욱 중시된다. 상품성을 기준으로 한 선택/집중의 문학전략의 결과였다. 식민지시기에는 연재소설 중 장편연재의 비중이 50%정도였으나 해방30년 동안에는 약 95%를 차지했다. 장편연재소설이 신문이라는 제도적 토대 품안에서 무한성장을 하게 된 것이다. 그로 인해 작가들은 신문선택적 글쓰기가 불가피해졌고, 과거와 다른 차원의 연재소설의 통속성이 강화되었으며, 문단의 상품성과 문학성에 대한 상호배제적 인식이 극단화되기에 이른다. 아울러 정치권력, 신문자본, 민간자율기구, 독자 등으로 다변화된 검열이 신문소설의 소재, 주제, 형상화방식에까지 규정력을 발휘한다. 그런 악조건 속에서도 신문연재소설은 신문자본의 후원에다 독자들의 높은 열독률과 선호도 그리고 대중성에 대한 문단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면서 적어도 1970년대까지 문학의 대표자라는 상징권력을 부여받게 된다. 요컨대 신문/권력/문학(단)/독자의 상호관련성 속에서 해방 후 신문소설의 존재양상에 대한 좀 더 심층적 분석이 이루어졌을 때 신문소설에 대한 온전한 평가가 가능하리라 본다. 본고는 이 작업의 작은 초석일 뿐이다. Korean modern newspaper had been functioned more than as a media. While it was performing as an organization for a ‘save-the-nation movement’ and the public enlightenment, it made a peculiar concept of the newspaper. So, the public expected the role of a newspaper a lot. The public recognized that it should lead them and the nucleus of a newspaper was a patriot. In the aspect of culture, especially privatelymanaged newspaper from the 1920s to the 1930s exerted a strong influence on a new literature and literary circles in Joseon. This feature had influenced after Korean Liberation. So, the contradictory doublesideness of publics and marketability of newspaper, and culture and marketability of the newspaper literature coped with and adjusted to changes of the times. Meanwhile, the newspaper functioned as a culture and it was no less than the past. In this process, the inheritance produced by combining with newspaper and literature, the custom derived from them, and internalized ideology were demolished and changed. In aspect of the newspaper, not only the importance of literary strategies and the literature arrangement, but also the intimate network between the literary circles and the newspaper representing arts and science, the being of literary journalist, the base of the production and formation of the literary discussion and exclusive sectarianism between newspaper and journalists were demolished. It is a serial story in a newspaper that exposes these aspects most. It is esteemed highly comparing to the past because of the selection and concentration of the literary strategy which has a standard on the merchantable quality. During the colonial era, a long serial story made up only 50 percent in a serial newspaper. However, for 30 years after Korean Liberation, it made up 95 percent in it. That is, the long serial story had infinite growth in the systematic boundary called ‘newspaper’. So, the writers had to write focusing on newspaper choice. Also, the popularity of a serial story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past was strengthened and the mutual exclusive notion to culture and popularity proceeded to extremes. Also, because of political authority, newspaper capital, Self-Regulatory Organization and readers, the diversified censorship affects on the rules from writing materials, topics to the way of imagery. In this unfavorable condition, there were many changes. They were the supports from newspaper capital, high editorial readership and the changed positive notion of the literary circles to popularity. So, a serial story in a newspaper achieved a symbol authority as a representation of the literature at least until 1970s.

      • KCI등재

        "지역신문 지원 조례(안)" 비교분석을 통한 현실적 쟁점 고찰

        김은규 ( Eun Gyoo Kim ),최낙진 ( Nak Jin Choi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소 2014 法과 政策 Vol.20 No.3

        2004년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이 제정되어 지역신문에 대한 지원을 공적지원 차원에서 진행하고 있다. 지역신문에 대한 공적지원은 지역의 여론다양성 확보를 국가가 적극적으로 지역신문을 진흥시키겠다는 의지의 산물이다. 중앙정부의 지역신문 지원정책에 힘입어 각 지역자치단체에서도 지역신문 지원 조례 제정을 통해 지역신문의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2010년 경상남도에서 최초로 지역신문 지원 조례가 제정된 이후 부산, 충남 등 광역자치단체와 서울 동작구, 경기도 의정부시 등 기초자치단체에서 조례가 제정되었다. 더불어 경기도, 충청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광주광역시 등에서도 지역신문조례 제정을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다. 조례가 제정되었거나 현재 논의 중인 지자체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사항은 조례를 통해 지역신문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에는 모두 공감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지원 조례에 대한 이견들로 인해 일부 지자체의 조례 제정이 난항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지자체에서 제정되어 운용되고 있거나 아직 논의 중인 조례안 검토를 통해 지역신문 지원 조례의 현실적 쟁점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검토 결과 첫째, 지원대상의 범위의 문제로 인터넷신문의 포함 여부, 둘째, 지원 자격의 조건으로 지원기준의 절대 요건과 우선요건의 문제, 셋째, 상위법인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과의 차별성, 넷째, 지원 조례에 따른 재원의 형성, 다섯째, 지원조례 운용을 위한 위원회의 구성 등의 문제가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례 제정의 방향성과 관련해 선택과 집중의 원칙이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 지방자치단체의 홍보예산 문제가 지역신문 지원과 연동되어 지역신문 난립의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는 것, 지역별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독립성과 공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쟁점을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 대안으로는 첫째, 지역신문 지원과 관련 연차별 지원 대상을 구분하여 진행, 둘째, 개별 신문사별 지원 방식 대신 기획취재 사업, 소외계층교육 사업 등과 같이 사업별 공모제 실시, 지역사회 공헌을 고용인원, 세금, 4대보험 지급 등 지역의 고용 안정과 기여 면에서 가중치를 크게 두는 방안을 고려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고 있다. Support for local newspaper has been carried out in a public support level, after the special law of supporting local newspaper development in2004. The public support for the local newspaper is the product of the government``s will to improve the local newspaper by acquiring the opinion diversitiy in local community. Along with the central government``s supporting policy for the local newspaper, regional governments also tr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local newspaper by establishing the local newspaper supporting ordinance. After the first local newspaper ordinance was enacted in Gyeongsan Province in 2010, the same ordinance was established in municipal corporations like Busan, Chungnam and local governments like Seoul Dongjak gu, Gyeonggi Province Ujjeongbu. Also, the movement for enacting the local newspaper ordinance is very active in Gyeonggido, Chungcheongbukdo, Jeonlado, and Gwangju city. The common thing that is confirmed both in local communities in which the ordinance was established or is being under discussion is the acknowledgement that the support for the local newspaper is needed through the ordinance. However, due to the discordance in opinions about the supporting ordinance, the process of enacting the ordinance is undergoing the difficulties in some regional communities. Therefore, this paper reconsiders the realistic issue in the local newspaper supporting ordinance and finds the better solution by analyzing the ordinance which is either being actually performed or being under debates. After thorough analysis, five issues are recognized; first, whether internet newspaper is included in terms of coverage of supporting, second, absolute condition and priority condition in terms of the qualification of applying, third, the difference from the special law of supporting the local newspaper``s development which is in a higher rank, fourth, securing finances after the enactment of the ordinance, fifth, establishing the committee for operating the ordinance. So this study emphasizes that select and concentration principal should be maintained in terms of the direction of the ordinance, that publicity budget of the regional communities should be connected with the support for the local newspaper in order to remove the cause of excessive establishment of local newspapers, and that independence and fairness of the local newspaper development committee should be secured. In order to solve the issues, the solutions with realistic base are first, to carry out the ordinance by dividing the subjects for the annual support of the local newspaper, second, to put more importance in employment security and contribution in local community such as tax, four major insurance, employment rate by having contests for individual businesses like covering a in-depth case or a special feature, and educating underprivileged class.

      • KCI등재후보

        신문디자인 구성요소의 특성 및 경향 연구

        한칭보 ( Qing Bo Han ),이지현 ( Ji Hyun Lee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1 No.-

        1609년 서양 근대신문으로 간주되는 렐라치온(Avisa Relation oder Zeitung)이 발행되면서 신문지면을 통해 정기적으로 뉴스와 정보의 전달이 가능하게 되었다. 심층적인 보도라는 특징으로 인해 지면신문을 고수하는 독자들이 있으나 경쟁매체들의 등장으로 신문은 가독성과 심미성을 향상시켜야만 하게 되었다. 신문은 판형, 제호, 단을 활용한 모듈러그리드, 서체, 이미지와 만평, 컬러, 성과 여백 그리고 광고 등의 다양한 시각적인 요소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이들의 특성과 최근 경향에 대해 디자인적 관점에서 연구해야만 신문편집디자인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신문 판형은 축소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며 판형에 따라 5~7단으로 짜서 모듈러그리드를 적용하고 있다. 제호는 1면 상단에 위치하며 신문의 상징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전용서체를 사용하는 신문들이 증가하고 있다. 사진, 인포그래픽 등 이미지와 만평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지면을 장식하는 기능이 있는 선은 점차 사용을 자제하고 여백을 활용하는 추세이다. 그리고 광고는 재정확보를 위해 증가흔 추세이나 세계 유수신문들은 1면에 광고를 게재하지 않음으로써 권위를 유지하고 있다, 신문사마다 디자인은 다르지만 구성요소를 적용하는 디자인 원칙은 유사하기 때문에 신문편집디자인의 수겅요소와 경향에 대한 연구는 각 신문들이 디자인을 개선하는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잇을 것이다. 그러나 구성요소들은 시스템으로써 작용하므로 유기적으로 활용해야만 독자들이 선호하는 신문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As ``Avisa Relation oder Zeitung`` which is as the first modern newspaper was issued in 1609, it became possible to newspaper because of its in-depth repors, newspaper compaies had to improve the typographic readability and esthetic features as competitors emerged. Newspaper consists of a variety of visual elements such as modular grids, which utilize formats and columns, the title, fonts, images and cartoons, colors, lines and empty space, ads, and so forth. Thus, it is necessary to study characteristics and recent trends in term of design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newspaper design. The growing trens is that newspaper formats are smaller, and that a modular girls are applied with five to seven columns depending in the format. The title is at the top of the front page and utilized to symbolize the newspaper. An increasing number of newspapers are using custom fonts, Images such as photos and infographics as well as cartoons are taken full advantage of. The use of lines to decorate the page gradually reduces, and instead the margin is rather left blank. The weight of ad is increasing to secure financial support, but prominent world-class newspapers maintain the authority by posting no ad on the front page. Although the design is varied depending on the newspaper company, the principles of designing in applying the components are similar. A study on the components and trends of newspaper design, therefore, may be utilized as a guideline for newspapers to improve the design. However, since components function as part of a system, they need to be well organized for the newspaper to be more appealing to rea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