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920-30년대 대중문화와 <신여성> ― 활동사진과 유행가를 중심으로 ―

        문경연 한국여성문학학회 2004 여성문학연구 Vol.12 No.-

        Constituting a significant series with several concepts of personality, refinement, taste, "culture" based on the colonial capitalism of 1920~30 had an important role to abet and reveal the desire of the new woman. Through scrutinizing The New Woman, most representative popular women magazine, this thesis would unveil the position of the new woman in the realm of popular culture. Focusing on motion pictures and phonograph records, first section of this thesis studies the scene of the new woman's encounter with popular culture. In this assemblage the magazine, The New Woman was a provided text for "reading" motion pictures in another way. And it also promoted young women's consumption of motion pictures and phonograph records. The purpose of second section is to unveil, in the heterogeneous voices echoing in The New Woman, the fact that the masculine rhetoric of the modern suppressed and controled the social position of the new woman, while it continuously made the modern woman main consumers of popular culture. And this thesis argues that though there were prejudiced gazes of masculine society, the new woman tried to overcome the imposed position, the passive consumer of popular culture. In other words, they want to be productive subjects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popular culture. They craved to get such an modern occupation as actress or songstress. Futhermore the new woman successfully represented their identity in some in modern characters like moviegoer, theatergoer, flapper, etc. The new woman's embodiment of modern characters and the change of life style are investigated in section 3 and 4. Popular culture was a positive mechanism for the establishment of modern female subject which made the new woman acquire her existential position in her society. Surely the new woman's consumption of popular culture was sometimes ostentation or a kind of hierarchy to make difference between them and the old woman. However the positive revelation of the new woman's desire and their concrete experience in the realm of popular culture operating inconsistently "social permission and control", "inducement and censure"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created critical fissures in the adamant patriarchal masculine society. 1920~30년대 식민지적 자본주의의 토대 위에서 ‘문화’라는 키워드는 개성, 교양, 취미라는 개념들과 계열관계를 형성하면서 신여성들의 욕망을 추동하고 발현하도록 도왔다. 본고는 이 시기의 대표적인 여성잡지인 『신여성』을 텍스트로 해서, 당시 대중문화의 장(場) 안에서 신여성이 근거하는 지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1절에서는 신여성이 대중문화와 조우하는 현장을 활동사진과 유행가 음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안에서 잡지 『신여성』은 스크린의 활동사진을 지면상에서 읽는 텍스트로 전환하여 독자에게 제공하기도 했고, 활동사진과 음반의 구매를 유도하기도 했다. 2절에서는 신여성들을 대중문화의 소비자로 호출하는 반면, 한편에서는 끊임없이 신여성들을 억압하고 위험 담론을 재생산했던 남성들의 교묘한 금기의 수사학을『신여성』내의 다양한 목소리들을 통해 드러내고자 했다. 그러나 신여성들은 일면 부정적인 (남성)사회의 시선에도 불구하고 대중문화를 무기력하게 구매하고 즐기기만 한 것이 아니라 심지어 생산 과정에 투신하여 생산주체가 되고자 했다. 여배우, 여가수라는 근대적인 직업을 욕망하기 시작했고, 영화광․극다광(劇多狂), 플랩퍼형 여성 등의 근대적 인간형을 주조해내기도 했다. 이상과 같은 근대적 인간형의 창출과 신여성의 라이프 스타일의 변모는 3․4절에서 고찰하였다. 신여성이 자신들의 존재감을 구체적으로 획득하고, 과거와는 다른 방식의 근대적이고 적극적인 여성 주체를 확립하는데 있어 대중문화는 긍정적인 기제로 작용했다. 그 과정에서 신여성들의 대중문화 소비가 과시적 포즈로만 표출되거나, 구여성과의 위계가 공고해지는 여성 내부의 모순들이 발생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사회의 허용과 통제, 권유와 비난이 동시에 작용했던 이중적인 대중문화의 공간 안에서, 신여성들의 적극적인 욕망의 발현과 구체적 체험의 결과는 가부장적 남성사회에 균열을 내는 효과를 발휘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가족관계등록법의 문제점 및 그 개선방안

        문흥안(Moon, Heung-Ahn)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法學論叢 Vol.20 No.1

        호주제도의 폐지를 계기로 새로이 입법된 가족관계등록제도는 종래의 신분등록제도의 틀을 완전히 바꾸었다. 국민 개개인의 신분사항 및 친족관계 등 기초자료를 전산정보처리조직에 의하여 저장․관리하여 두고, 친족․상속 등과 관련된 권리의무관계를 증명하기 위하여 전산상의 증명서 양식에 해당 전산정보자료를 끌어내어 화면상에 현출된 것을 출력하여 이를 발급하는 시스템이다. 그동안 논란의 중심이었던 ‘호주’, 호주와 관련된 제도와 명칭이 퇴출되었다. 그러나 신분등록은 연속성을 가질 수밖에 없으므로 형식이나 명칭에 있어서는 과거와의 단절이지만 실질적으로 일정부분 그 내용에 있어서는 과거와의 연속선상에 있을 수밖에 없다. 이 논문에서는 남녀평등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법률개정의 소극성이 헌법재판소를 통한 법률개정으로 이어지며, 국회의 입법권에 대한 독점적 지위가 약화되는 현상을 살펴보았다. 새로운 가족관계등록법의 제정과 시행 과정에서 나타난 사생활보호를 위한 가족관계등록법의 개정과 문제점을 연구하였다. 이 법의 제정과정에서 가족관계등록부의 관장기관을 둘러싸고 대법원과 법무무의 치열한 논리적 공방이 있었다. 이는 1949년 제헌의회에서 법원과 법무부의 대립 이래 다시 두 기관이 논쟁을 벌였으나 국회는 대법원을 가족관계등록사무의 관장기관으로 재천명하여 논란의 종지부를 찍었다. 새로운 신분등록증명서의 발급은 시행 당시 가족관계증명서ㆍ기본증명서ㆍ혼인관계증명서ㆍ입양관계증명서ㆍ친양자입양관계증명서 등 5종류였으나, 노출되는 개인정보가 과다하다는 비판에 따라 위의 5종류의 전부증명 내용 중, 일부의 기록사항만을 현출하는 ‘일부사항 증명방식’의 증명서제도를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10종류의 등록사항별 증명서제도의 도입으로 개인의 사생활보호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신분관계증명서가 전산방식으로 입력된 정보자료의 조합이라는 장점을 최대한 살리면, 개인정보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하면서도 필요최소한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증명서를 현출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가족관계등록부와 호적부 및 제적부와의 관계가 문제된다. 새로운 가족관계등록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모든 호적이 제적되었으므로 이제 제적부는 더 이상 국민의 신분증명에 사용되어서는 안 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호적부의 허위신고 등으로 이중호적이 아직도 문제가 되고 있는 현실에서 오류의 정정이나 이중호적의 정리를 위해서 여전히 호적부(제적부 포함)의 신분증명의 역할은 크다. 호적의 정정과 이중호적의 정리는 가족관계등록제도 하에서도 여전히 현재진행인 문제이다. 정확한 신분관계의 공시ㆍ공증이라는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가족관계등록부의 정정과 제적부의 정정 그리고 이중가족관계등록부의 정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한편 북한은 호적제도를 폐지하였지만 남한은 호적제도의 바탕 위에 새로운 개인별 가족등록제도를 도입하고 있어, 가족관계등록부가 남북이산가족의 접점의 장이 될 전망이다. 따라서 남북한 이산가족의 가족동질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제도적 보완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Enactment of the New Family Registration Law was supposed to be attained through improvement of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fulfillment of the electoral fledges of the former presidents. However it came to prove that it was only a result of the political compromise during its legislation process. The efforts to amend the family law for abolition of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the “Hoju System”) and realization of gender equality ended up with the enactment of the New Family Registration Law. The constitutional nonconformity decision toward the Hoju System from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abolition of the Hoju System on the civil law led the abolition of the Family Registration Act and the birth of the New Family Registration Law. Under the current method of identity registry system, an individual gets only one record. The Family Relationship Registration record is registered for each individual and it contains all the identity information from one’s birth to death. Once the Family Relationship Registration record is registered, changes on one’s identity such as marriage, adoption, divorce and etc. never cause any revision on the identity registry but rather they are recorded additionally. Unlike the former system, there are 5 types of different documents for the new identity registration certificate; Family Relation Certificate, Standard Certificate, Certificate of Marriage, Adoption Relation Certificate and Volladoption Relation Certificate. Issue of such certificates shows all of the related information on the Family Relationship Registration record. However societal demand to protect private information such as marital status, parental right or adoption led the amendment of the Family Registration Law. Now the New Family Registration Law allows two options for each certificate to be issued either with the whole record or a certain part of the record. Even though the introduction of this new method for certificate issue contributes a lot to protection of individual privacy, it has not been polished enough to satisfy people’s expectation yet. It is clear that a bit of adjustment is required to the recent change on the identity registration certificate. The mismatch of scope of family between the Family Relation Certificate and the civil law could cause a huge confusion in the society. Also there will be growing demand for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right. An individual should be entitled to select the necessary information printed on the certificate instead of choosing a certain type from the certificates with the fixed templates. A creative measure is urgently needed to provide options for various types of certificates with minimum exposure of individual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the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right is guaranteed.

      • KCI우수등재

        초기 고려-명 관계에서 사행 빈도 문제 ― ‘3년 1행’과 『명태조실록』의 기록 조작 ―

        丘凡鎭(Koo Bumjin),鄭東勳(Jung Donghun) 동양사학회 2021 東洋史學硏究 Vol.157 No.-

        Since the official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Ming in 1369, Goryeo set the number of regular envoy missions to the Ming capital city of Nanjing to ‘three times a year’: for the birthdays of the Ming emperor and the crown prince as well as for the lunar New Year"s Day. As Goryeo sent envoys far more frequently than before in 1372, however, Ming Taizu 太祖 Zhu Yuanzhang 朱元璋 grew suspicious that Goryeo might be conducting espionage activities. When having an audience with Goryeo envoys who came to Nanjing for the 6th New Years Day mission of the Hongwu 洪武 era, Zhu Yuanzhang requested that Goryeo drastically reduce the frequency of regular missions to ‘once every three years’ only for the New Year"s Day. This request remained valid for more than a decade until the original frequency of ‘three times a year’ was fully restored in 1385, the 18th year of the Hongwu era.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records regarding the Goryeo envoy missions in the History of Goryeo 高麗史 and the Ming Veritable Records 明實錄 do not match. According to the former, the Goryeo court, after having attempted to send a regular mission one more time as an effort to resolve Zhu Yuanzhang"s suspicion, ended up with following the triennial schedule set by the Ming emperor, dispatching envoys to celebrate the 9th, 12th, 15th, and 18th New Year"s Days of the Hongwu era. The latter writes that Goryeo, after having sent the last annual mission for the 8th New Year"s Day, dispatched its first triennial mission for the 11th New Year"s Day, which shows that Zhu Yuanzhang had not issued the order of ‘once every three years’ until after the 8th New Year"s Day. Through a comparative critical analysis of relevant historical sources available now, this paper shows that the compilers of the Ming Veritable Records manipulated the records. Those three arrivals of Goryeo missions for the 7th, 8th, and 11th New Year’s Days as recorded in the Ming Veritable Records, did not take place at all. Moreover, the compilers of the Ming Veritable Records chose not to mention some of Goryeo envoy missions which actually took place. Because of such manipulations, the readers of the Ming Veritable Records cannot notice that the ‘normal’ ties between Goryeo and Ming had already been broken since King Gongmin’s 恭愍王 assassination. By manipulating these records, the compilers of the Ming Veritable Records intended to create the image that Goryeo-Ming relations remained ‘normal’ under the benevolent emperor who reduced tribute burdens for Goryeo.

      • KCI등재

        New records of three monogonont and seven bdelloid rotifers from Korea

        Song, Min Ok,Lee, Chang-Ho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1 Journal of species research Vol.10 No.4

        Rotifers collected from mosses, leaf litter, soil, and wetland at six different locations in Korea were investigated. Ten species belonging to six genera in four families of monogonont and bdelloid rotifers were new to Korea: Habrotrocha scepanotrochoides De Koning, 1947, H. tripus (Murray, 1907), Lecane opias (Harring and Myers, 1926), L. perpusilla (Hauer, 1929), Macrotrachela decora (Bryce, 1912), Otostephanos auriculatus auriculatus(Murray, 1911), O. torquatus amoenus Milne, 1916, Scepanotrocha corniculata Bryce, 1910, S. simplex De Koning, 1947, and Testudinella brevicaudata Yamamoto, 1951. Among these 10 Korean new records, Habrotrocha scepanotrochoides, H. tripus, Macrotrachela decora, Otostephanos auriculatus auriculatus, O. torquatus amoenus, Scepanotrocha corniculata, and S. simplex were new to Asia as well.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report of the genus Scepanotrocha Bryce, 1910 from Korea. Here, diagnostic characteristics and photomicrographs are provided for each Korean new record. In addition, a partial sequence of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gene (mtCOX1) for S. simplex is presented.

      • KCI등재

        생산부터 보존까지 기록관리 전반에서 이해하는 기록평가: 미국 뉴욕주기록관의 사례연구

        신동희 한국기록관리학회 2020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20 No.1

        Appraisal occurs multiple times in the process of records and archival management. This includes the consideration of the value of records during creation, developing records retention schedule for records creating organizations, and archival appraisal for archival repositories to build their collections.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function of appraisal from a holistic perspective from records creation to archival preservation. In doing so, it investigates the case of New York State Archives and understands some of notable approaches how archivists cooperate with records creators and records managers to preserve New York’s historical records. Learning from the case of New York State Archives, this study intends to emphasize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that archivists can play in appraisal in various steps. 본 연구는 기록이 생산되어 보존기록관까지 도달하는 과정에서 평가라는 중요한 기록관리업무가 어떻게 유기적으로 수행되는 지를 탐구한다. 이러한 통시적인 관점에서 미국 뉴욕주기록관의 기록관리 및 평가시스템을 하나의 사례로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의 기록 환경은 아키비스트와 레코드매니저의 역할과 전문성을 구분하는 점에서 한국의 사례와는 다르다. 이런 환경에서도 뉴욕주기록관은 생산기관의 기록관리 과정의 평가업무를 적극 지원한다. 본 연구는 미국 뉴욕주의 사례를 통하여 아키비스트의 기록물 평가가 보존기록물의 이관과 수집 시점에 시작한다는 소극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기록물 생애주기의 시작점에서부터 아키비스트가 가지는 책임과 역할이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 KCI등재

        Four bdelloid rotifers new to Korea

        송민옥,이창호 국립생물자원관 2023 Journal of species research Vol.12 No.2

        We conducted a taxonomic study of bdelloid rotifers found from terrestrial habitats such as mosses, leaf litter and soil at four different locations in Korea. The study resulted in four new Korean records belonging to two genera in two families, Habrotrochidae and Philodinidae, of bdelloid rotifers: Habrotrocha soror Donner, 1950; H. thienemanni rubella Donner, 1951; H. valida Milne, 1916 and Philodina nitida nitida Milne, 1916. These new Korean records are rare and have very limited distributions. Habrotrocha thienemanni rubella and H. valida were not found again after their original descriptions until the present study. The present study is the third record for both H. soror and P. nitida nitida. All these four new Korean records are new to Asian fauna as well. Here, diagnostic characteristics and photomicrographs are provided for each new Korean record. In addition, a partial sequence of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gene (mtCOX1) for P. nitida nitida is presented.

      • KCI등재

        새로운 여가 트렌드로서 엘피레코드 음반 문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일열 한국관광학회 2013 관광학연구 Vol.37 No.6

        The cultural style and activity based on the form of Fordism has consequently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cultural industry, and increased the research and interest in mass cultural industry. In the meanwhile, systematic research regarding the record and its related industry has not been sufficient, and its research in the view of leisure activity has not been existent. Therefore, this paper researches the trend of LP disk as a leisure, through which it attempts the methodical approach to understanding of 21 century Korean culture. This study can be drawn by the following facts through the research. First, in human leisure activity, youth memory importantly affects the leisure activity of mid-age. Secondly, LP has displayed a potential to be developed to be a new-leisure phenomenon. Lastl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nterest in LP culture can play a role as a cultural tool not only as a new leisure, but also as a healing leisure. The industrial modernism has paid a price of getting unobstructed anti-culture. While smart phone system prevails only in consuming music sources, LP disk can be a medium of so called, healing-leisure, as it contains human zeal toward art and culture. 포드주의 대량생산 기반 하에 형성된 문화적 양식과 활동은 결과적으로 문화산업의 확산을 일구어 냈으며 이는 대중 문화산업과 문화자본에 대한 연구와 관심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반면 음반과 그 관련 산업에 관련된 체계적인 학술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할 것이며 여가활동(leisure activity) 의미로서의 고찰은 사실상 전무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엘피음반 문화에 대한 여가적 측면에서의 고찰을 통하여 21세기 한국사회의 여가문화 연구라는 큰 흐름을 이해하는 방법론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본 조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도출 할 수 있다. 여가활동에 있어서 젊은 유년기의 추억은 장년층 여가활동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즉, 엘피문화는 과거에 대한 향수(Nostalgia)를 상징하거나 70-80 세대의 특징을 대변하는 이미지 코드 라 할 수 있다. 두번째로는 레코드페어등과 같은 흐름과 맞물려 젊은세대 까지 확대되는 신여가(New-Leisure) 현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잠재력을 발견 할 수 있는 점이다. 끝으로 이러한 관심은 새로운 여가를 넘어선 작금의 사회적 병폐를 치유하는 일상의 문화적 도구(Cultural tool)로서 역할도 가능하리라고 본다. 속성으로 달성한 산업 모더니즘은 반문화의 대가를 톡톡히 치르고 있다. 소비성향의 음원만이 난무하는 스마트폰 시스템 에서 예술과 문화에 대한 좀 더 순수한 열망이 담겨있는 엘피는 이른바 힐링여가(healing-leisure)의 매개체(medium)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 KCI등재

        『眞相畵報』의 창간배경과 미술사적 의의

        신래은 미술사학연구회 2021 美術史學報 Vol.- No.56

        This thesis is an analysis of The True Record which is art relevant comprehensive publication published by the Lingnan School at Shanghai in 1912. Gao Jianfu (1879-1951), Gao Qifeng (1889-1933) and Chen Shuren (1884-1948)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and the contribution of The True Record. They wanted to spread new concept art and western realism comes from Japan, while clearly shows their political views supporting the republicanism and the revolution of the Nationalist Party by The True Record. They delivered the time period of the day realistically using photos and writing an article with Chinese and English side-by-side and so on. Gao Qifeng showed experimental attempt by publishing the art work using new drawing technic learnt in Japan. Gao Jianfu wanted to deliver western scientific knowledge by combining painting, photo, traditional poem and naturalistic explanatory diagram in his article, “Painting, poem and explanatory diagram”. Chen Shuren briefly introduced the history of western art by publishing “New drawing technic” serially translated western drawing technic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alistic expression and sketching from nature. They wanted to encourage the aesthetic ideology of the people through western art, drawing technic and new knowledge and tried the innovation of Chinese painting. 이 논문은 영남화파(嶺南畵派)가 1912년 상해(上海)에서 발간한 미술관련 종합간행물인 『진상화보(眞相畵報)』를 분석한 글이다. 광동성(廣東省) 출신의 미술가들인 고검부(高劍父, 1879-1951), 고기봉(高奇峰, 1889-1933) 형제와 진수인(陳樹人, 1884-1948) 등은 『진상화보』의 발행과 기고에 참여했다. 이들은 『진상화보』를 통해 공화제(共和制)와 국민당(國民黨)의 혁명을 지지하는 정치적 입장을 분명히 나타내는 한편, 일본으로부터 들여온 새로운 개념의 미술과 서양의 사실주의를 전파하고자 했다. 『진상화보』는 창간 목적을 ‘공화정치의 감독, 민생상태의 조사, 사회주의의 권장, 세계지식의 유입’으로 밝히며 국내외의 정세를 빠르게 보도했다. 기사에 사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중국어와 영어를 병기하여 기사를 작성하는 등 당시 시대상을 사실적으로 전달했다. 고검부, 고기봉, 진수인은 일본 유학을 통해 습득한 서양의 미술과 화법(畵法) 및 신지식을 통해 국민의 심미사상을 고취 시키고자 했고, 중국화(中國畵)의 개혁을 시도했다. 고기봉은 일본에서 배운 새로운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 작품을 게재하여 실험적 시도를 보여주었다. 고검부는 기사 「제화시도설(題畵詩圖說)」에서 회화 또는 사진, 전통 시(詩) 그리고 박물학적 도설(圖設)을 결합하여 서양의 과학지식을 전달하고자 했다. 진수인은 서양의 화법을 번역한 「신화법(新畵法)」을 연재해 서양미술의 역사를 간략히 소개했고, 사실적인 표현과 사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연구는 국내에서 영남화파의 출판활동의 하나로만 언급되었던 『진상화보』의 기사 원문을 번역하여 면밀히 분석하고, 영남화파의 정치적 입장과 예술적 포부를 밝힌 데 의의가 있다. 고검부, 고기봉, 진수인은 정치적으로 새로운 중국의 건설을 위해 혁명에 참여했고, 언론을 활용했다. 문화적으로는 일본유학에서 습득한 선진 미술을 소개하여 대중의 소양을 고취시키고자 했다.

      • KCI등재

        1930년대 대중잡지에 투영된 여성 대중가수의 이미지

        김은영 ( Kim Eunyoung ) 민족음악학회 2018 음악과 민족 Vol.0 No.55

        3.1운동 이후 한국사회는 신문·잡지 등 출판물의 증가와 근대적 자각에의한 책읽기 등 독서문화가 활성화되면서 대중문화에 대한 지면도 증가하게 되었다. 특히 1930년대는 소위, “레코드의 황금시대”라고 불리면서 대중예술계에 종사하는 인물들에 대한 기획기사가 많이 실렸다. 이 가운데 여성대중예술인들에 대한 기사는 이들의 사생활- 출신배경, 몸매, 캐스팅 된 동기 등-에 집중하는 가십성 기사가 많았다. 또한 당시 대중지에서는 여성예술인들을 묘사할 때 여성적이고도 애상적인 특정한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있었다. 예를 들어, “눈물의 여왕”, “민요의 공주” 등 남성적 시각에서 바라본 표현으로 당시의 식민지 상황과 여성 예술인의 이미지가 연결되면서 슬프고도 애상적인 이미지가 생산되었다. 본 연구는 1930년대에 음반을 취입한 여가수 및 여배우 가운데 배우 출신으로 유행가 음반을 남긴 이애리수와 전옥, 1930년대 최고의 인기가수였던 평양기생 출신 가수, 왕수복·선우일선·김복희 등 다섯 명의 여성 대중 예술인을 중심으로 당시 미디어 권력이 표상하고자 했던 여성 이미지의 실체에 접근하고자 했다. 당시 레코드회사의 문예부에서는 전국 각지로부터 유행가수가 되려는 사람들이 몰려들고 있었지만 대중으로부터 이미 검증을 받았던 배우 출신 및 기생 출신 인물들을 발탁함으로써 안정적인 레코드시장을 만들고자 하였다. 특히 조선의 대중들의 심성에 맞는 ‘조선적인 정조’를 강조하기 위해 이들의 가난했던 배경, 그들의 가냘프고 애상적인 목소리 등이 적절히 결합되고 있었다. 당시 대중잡지에서는 여성 레코드 가수들을 홍보하기 위해 대중에게 동정과 연민을 일으키는 서사(이야기)를 만듦으로 해서 가난한 출생 배경을 극복하여 성공적인 레코드 가수가 되었다는 성공스토리를 만들었다. 이에 대해 여성 예술인의 최종적인 목적은 스위트홈을 향한 욕망에 있었다는 점도 중요한 포인트이다. 마지막 장에서는 음반산업의 토대적인 구조가 부실한 상태에서 초국가적 양상을 띤 매체가 일본을 통해 밀려들어 오면서 당시 조선의 도시민들은 글로벌에 대한 상상력만 확장시킨 채 자신이 자리잡을 주체적 시선을 적절하게 확보하지 못했음을 지적하였다. 이렇듯 식민지 경성의 문화풍경은 대중매체의 위력이 가시화되고 이에 맞추어 조선인 예술가의 참여와 성장이 있었지만 자생적으로 문화산업이 성장할 수 없었던 식민지 근대성의 한계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었다. After the March First Movement, as newspapers and magazines become more active pop-culture was dealt more as well. It was called “Golden age of records” in 1930s, thus a lot of people in pop culture industry became more newsworthy. And the News focused on the gossips of female artists such as their private life- background, appearances, and the reasons why they were casted. At that time, female artists were portrayed by a specific image. For instance, they were portrayed as a sad and desperate character such as “queen of tears”, “princess of folksong” and et cetera. Thus, this study reveals that the authority of mass media in 1930s generalised women as weak, pathetic, and desperate existence by providing examples of “Gisaeng” musicians & actresses such as Wang-Su-Bok, Sun-Wu-Il-Sun, and Kim-Bok-Hee, Jeon-Ok, Lee-Ae-Ri-Su. During that era, record company ‘Munye-Bu’ had a lot of applicants who wanted to become a star, but ‘Munye-Bu’ decided to focus on the proven actresses in order to make a guaranteed record industry. Furthermore, it focused on the image of Chosun such as desperate, tragic and poor life in order to buy the attention and sympathy of the public. Popular magazines of the era made sympathising stories in order to advertise the female record musicians, which produced a story of artists succeeding despite the poverty. This proves that the female artists’ ultimate goal and desire weas having a “sweet-home”. Despite the participation and growth of Chosun’s artists, no more independent improvements could be made due to the restriction of a colonial modernity.

      • KCI등재후보

        New Records of One Monogonont and 5 Bdelloid Rotifers from Korea

        송민옥 한국환경생물학회 2015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3 No.2

        The rotifers collected from various terrestrial habitats such as mosses, lichens and mushrooms on tree trunks at four different locations in Korea were investigated. Five species and one subspecies belonging to four genera in three families of monogonont and bdelloid rotifers were identified: Adineta cuneata Milne, 1916, Macrotrachela insolita De Koning, 1947, Macrotrachela musculosa Milne, 1886, Macrotrachela nana nana (Bryce, 1912), Mniobia bredensis De Koning, 1947 and Bryceella stylata (Milne, 1886). All these rotifers are new to Korea, and A. cuneata, M. bredensis and B. stylata are new to Asia as well. Here diagnostic characteristics and illustrations are provided for each Korean new reco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