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정은 시대 국가주의와 문화적 퍼포먼스-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빛나는 조국>을 중심으로-

        이지순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0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81 No.-

        North Korea's Grand gymnastics and Artistic performance “Brilliant Motherland”, which was celebrated as the 7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in 2018, dramatically displayed the country by raising a super-sized national flag. “Brilliant Motherland,” which resumed after five years, was different in many ways from the existing Grand Gymnatics and Artistic Performance “Arirang.” First of all, it was characterized by novelty of form and content, advanced technology. Under the theme of overcoming ethnic hardship, “Arirang” is the nationalism that the fate of the nation is my destiny. On the other hand, “Brilliant Motherland” clearly conveys nationalism. While “Brilliant Motherland” performed national reconciliation and unification for inter-Korean cooperation, it is compressing the history of North Korea over the past 70 years and the national strategy for the Kim Jong Un regime's national goals and government. The visual spectacle of national symbols, such as flags, overwhelms the audience and works as a mechanism for ethical control of individuals. However, the national symbols exhibited by statism were a mixture of nationalism. This is related to Kim Jong Un's the governing strategy of strategically operating nationalism and statism, but it is also associated with a sociocultural context that must emerge as a hybridity of statism and nationalism. Patriotism is a common denominator of statism and nationalism. Based on patriotism, the national symbol was re-contextualized into a national culture by mixing statism and memories of the suffering of the nation. At this time, the national symbol branded the country and represented Our State First in a system distinct from other countries. At the same time, it also dissolved the style of Our Nation First, which inherits the heritage and traditions of national culture. 2018년 건국 70주년으로 공연된 북한의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빛나는 조국>은 초대형 국기를 게양하며 국가를 극적으로 전시했다. 5년 만에 재개된 <빛나는 조국>은 기존의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아리랑>과 많은 면에서 달랐다. 우선 내용과 형식의 새로움, 첨단 테크놀로지의 향연이라는 특징이 있다. <아리랑>이 민족의 수난 극복을 주제로 민족의 운명이 나의 운명이라는 민족주의 기표를 전면에 내세웠다면, <빛나는 조국>은 국가주의를 명징하게 전달하고 있다. <빛나는 조국>은 남북 공조와 협력을 위해 민족의 화해와 통일 이미지를 소환했다. 그러나 동시에 사회주의 국가로서 북한의 지난 70년 동안의 역사쓰기와 김정은 체제가 지향하는 가치, 통치를 위한 국가전략이 압축되어 있다. 국기와 같은 국가상징의 시각적 스펙터클은 관객을 압도하며 개인을 윤리적으로 통제하는 기제로 작동한다. 그러나 국가주의 기표로 전시된 국가상징들은 민족주의가 혼재된 양상이었다. 이는 민족주의와 국가주의를 전략적으로 운용하는 김정은의 통치 전략과 관련되지만, 더불어 국가주의 맥락이 혼종적으로 등장할 수밖에 없는 사회문화적 상황과 결부되어 있다. ‘애국’은 국가주의와 민족주의의 공통분모이다. 국가상징은 애국을 바탕으로 민족이 겪었던 수난의 기억을 국가주의와 혼합해 민족문화로 재문맥화 했다. 이때의 국가상징은 국가를 브랜드화 하고 타국과 구별되는 체계로 국가제일주의를 표상하고, 동시에 민족문화의 유산과 전통을 계승하는 민족제일주의의 스타일도 용해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단재 신채호와 벽초 홍명희의 문학과 국(國)

        김승환(Kim, Seung-Hwan) 忠北大學校 中原文化硏究所 2010 중원문화연구 Vol.15 No.-

        Around in 1900, Joseon had experienced several changes of its nation system. It had changed from a feudalistic state in the medieval area to an empire, falling into a colonized state through anti-colonialism against Japan. In this process, Shin Chae-Ho and Hong Myung-Hee had developed the concepts of a state, national identity, a member of a state, a people, and Minjok (nation), aiming to build a modern nation state. On the other hand, Sino-centralism order had been dismantled, and Japanese modern Orientalism had come to rise. The Korean Empire changed from Joseon had ostensibly been independent from Sino-centralism However, Joseon had become colonized by Japan and ideologically joined into Japanese Orientalism In this process, it was urgently necessary to establish a concept of a state and define national identity. Under the circumstances, Shin Chae-Ho and Hong Myung- Hee are significant figures who had taken a deep look at the issues of a state and MinJok (nation). In particular, their thoughts about a state had become a critical issue in their entire lives. By writing Ulchi Mundok on the basis of an actual community, Shin Chae-Ho intended to realize national unity and national formation. Such an effort made our ancient history of Joseon recognized, and his obsession with nationalism caused him to be blind to forecast the view of modern state. However, Shin Chae-Ho had no intention of achieving monarch-centered feudalistic nation, going into anarchism in terms of the fact that he denied the concept of governing and governed. However, Hong Myung-Hee had designed a new national system by describing the concept of Minjok (nation) through an imagined community in his novel, LimGeojeong. The novel includes features of national allegories, imaginarily reconstructing a loss of a nation. A state as an imagined community Hong Myung-hee aimed for was different from a state as an actual community. His state was much closer to a modern national state.

      • AHCISCOPUSKCI등재

        NATION-BUILDING AND KOREAN CIVIL RELIGION: THE MAKING OF NATIONAL COMMUNITY, CULTURE, AND IDENTITY

        ANDREW EUNGI KIM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5 Acta Koreana Vol.8 No.2

        The concept of civil religion refers to beliefs, symbols, and rituals as well as institutions which reinforce social cohesion, legitimate the socio-political system, and mobilize citizens to achieve common national objectives. Because it celebrates and reinforces the nation’s culture and history, civil religion is a source of powerful identity which promotes national unity and sustains individual commitment toward national goals. The question is thus: Is there civil religion in South Korea? If so, what are its characteristics? In view of these questions, this paper examines Korea’s culture, history, national symbols, and renewed traditionalism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ivil religion. The paper argues that a strong civil religion exists in Korea and that it has been an integral part of the nation-building process since the founding of the First Republic in 1948. The paper also asserts that a succession of authoritarian governments (1961–1993) has promoted strong civil religion to legitimatize the regime and to mobilize the masse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processes. Also examined in the paper is how Korean civil religion to this day has endorsed economic growth as the national goal to overcome all social ills; how Korean civil religion has promoted national confidence and pride regarding the country’s alleged ethnic and cultural homogeneity; how it has ascribed sacred meanings to such secular symbols as the flag and the national anthem; and how it has exalted Shamanism as a repository of Korean culture and has glorified certain traditional Confucian values.

      • KCI등재

        남북한 민족주의 가치관의 이중성

        이병수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통일인문학 Vol.84 No.-

        The article examines the two conflicting trends of national orientation and state orientation within the two Koreas, examining the national discourse advocated by the two Koreas in the Cold War era before the 1990, the post-Cold War after the 1990, and the present. First, Chapter 2 discuss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duality of South Korean nationalism. Prior to the 1990s, it was dominated by national-oriented values; however, since the 1990s, the state-oriented values centered on the system, and national-oriented values centered on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have been at odds. The duality of nationality and state is also upheld by the so-called nationalism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has now become evident during Moon Jae-in's government. Then, the paper analyz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duality of North Korean nationalism (Chapter 3). North Korea, which transformed Stalin's national discourse by reinterpreting the concept of "socialist patriotism" and "nationality" before the 1990s, has been contradictory in the existing national unity discourse based on the theory of unification by combining the national discourse with socialism in the context of the legitimacy of the regime since the 1990s, when the regime was in a crisis. The duality of North Korean nationalism continues even in the Kim Jong Un era. In short, chapters 2 and 3 reveal that, through the course of its historical development, the nationalism of the two Koreas has served the dual function of ideology for the sake of regime unity and ideology of a common national unity. Finally, the direction of national solidar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nationalism of state superiority and nationalism of national superiority had been preliminarily advanced (Chapter 4). 이 글은 남북이 표방한 민족담론을 1990년대 이전의 냉전기와 1990년대이후의 탈냉전기 그리고 현재의 상황에 따라 각각 조감하면서 그 내부에민족지향과 국가지향이라는 두 가지 상충하는 흐름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있다. 우선 남한 민족주의의 역사적 전개와 이중성이다.(2장) 1990년대이전 남한 민족주의는 국가지향 가치의 우위가 압도적이었으나, 1990년대이후 체제 중심의 국가지향 가치와 화해 협력 중심의 민족지향의 가치가갈등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점, 그리고 현재 문재인 정부에서 두드러지고 있는 이른바 ‘대한민국 민족주의’에서도 민족성과 국가성의 이중성이지속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점을 고찰했다. 다음으로 북한 민족주의의 역사적 전개와 이중성이다.(3장) 1990년대이전 ‘사회주의적 애국주의’와 ‘민족’ 개념의 재해석을 통해 스탈린 민족담론을 변화시킨 북한은 체제위기를 맞은 1990년대 이후 민족담론을 체제 정당성의 맥락에서 사회주의와 결합시킴으로써 통일론을 근거한 기존의 민족통합적 민족담론과 모순적으로 공존하는 점, 그리고 이러한 북한 민족주의의 이중성은 김정은 시대에도 지속되고 있는 점을 고찰했다. 요컨대 2, 3장을 통해 남북의 민족주의는 공통적으로 체제정통성을 위한 이데올로기이자 민족통합의 이데올로기라는 이중적 기능을 해왔음을 그 역사적 전개과정을 통해 드러내었다. 끝으로 국가 우위의 민족주의론과 민족 우위의민족주의론이 지닌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민족적 연대의 방향을 시론적으로 제시하였다.(4장)

      • KCI등재

        스포츠내셔널리즘의 형성과 맥락: 새로운 시선

        김동규 한국체육철학회 2010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8 No.4

        Nationalism is translated as state-nationalism and nationalism. Even its meaning is divided into two branches in affirmation and negation. According to this aspect, the sport is being understood and analyzed the state-nationalism as fascist, and the nationalism as salvation-based context. In other words, the sports policy by unfair intention of the political power violates and manipulates subjectivity, thereby having regarded what included irrational view of a nation as the state-nationalism, and the attempts to save and love the nation through sports as the nationalism, which tries to accomplish the aim called 'for the nation' in terms of sport. However, in sport, these two contexts just concentrate on a problem and directivity as saying that whether the main subject is bottom-up or top-down, but have overlooked that they are pointing to the same point called 'destiny of community,' which designates a state or n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sserted that the time point arrived when requires new sight beyond traditional vision in the past, through analyzing on the historical formation process and its context in sports and nationalism. This implies that the starting point of the sports nationalism itself is being recently pluralized from country or nation, and this is implemented into a little broader concept called culture. In other words, the sports nationalism is established a concept, which designates the plural social phenomenon called culture, with escaping from the main subject in 'simplified' character like territory or community called state-nationalism and nationalism in the past. Thus, its essence itself is being changed. As this is the new sports nationalism that is expressed from the fundamental subject called the majority of individuals who are voluntary and agreed, not the intention of minority elites, as the new sports nationalism, it not only allows the past perspective to be settled as old idea in the old period, but also illuminates new perspective on the progressive relationship between sport and nationalism. 내셔널리즘은 국가주의와 민족주의로 번역되고 그 의미도 긍정과 부정의 양 갈래로 나뉘어져 있다.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스포츠에 있어서 국가주의는 파시즘적으로, 민족주의는 구국주의적 맥락으로 이해·해석되고 있다. 즉 정권의 부당한 의도에 의한 스포츠 정책은 주체성을 침해하고 조작하기 때문에 비이성적 국가관을 내포한 국가주의로, 스포츠를 통해 구국하고 애국하려는 시도들은 스포츠를 ‘민족을 위한’이라는 목적을 관철시키는 민족주의로 간주해 왔다. 그러나 스포츠에 있어서 이 두 맥락은 그 주체가 상향식인가 하향식인가라는 문제와 방향성에 집중할 뿐, 국가나 민족을 지칭하는 이른바 ‘공동체 운명’이라는 같은 지점을 향하고 있음을 간과해 왔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스포츠와 내셔널리즘의 역사적 형성과정과 그 맥락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과거의 전통적 시각을 넘어 새로운 시선이 필요한 시점이 도래하였음을 주장하였다. 이는 최근 스포츠내셔널리즘의 출발점 자체가 국가 또는 민족으로부터 다원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는 문화라는 다소 폭넓은 개념으로 이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스포츠 내셔널리즘이 과거의 국가주의, 민족주의라는 영토나 공동체와 같은 ‘단일화’적 성격의 주체를 벗어나 문화라는 다원적 사회현상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설정됨에 따라 그 본질 자체가 변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소수 엘리트의 의도가 아닌 다수의 자발적이고 합의된 개인이라는 근원적 주체로부터 표출되는 새로운 스포츠내셔널리즘으로서 과거의 관점을 구시대의 낡은 관념으로 낙착시킬 뿐 만 아니라, 스포츠와 내셔널리즘의 진보적인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선을 조망하는 것이기도 하다.

      • KCI등재

        20세기 초 중국지식인의 "국민성(國民性)" 인식 -『중국인적성격(中國人的性格)』과 『중국인적정신(中國人的精神)』을 중심으로-

        이준태 ( Jun Tae Lee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중국연구소 2010 中國硏究 Vol.49 No.-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academic inquiry of chinese intellectuals` different perception of `national character` in the early 20th century when China was about to enter the first stage of nation-state building. For a meaningful inquiry, this study compared two academically important books: one book was written by Arther H. Smith(1845~1932), 『Chinese Characteristics』which described Chinese nat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his life experience in China for 22 years, and the other written by Gu Hongming(1857~1928), 『The Spirit of the Chinese People』, which focused on Chinese cultural pride.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Chinese enlightenment -intellectuals` comments on the two polemical book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t perception of `national character` among three different intellectuals, foreign investigators, Chinese intellectuals with European experience, and Chinese intellectuals without such experie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there was obvious meaningful difference regarding to the concept between `national character` and `國民性-Guo min xing`. In particular, the meaning of `national character` perceived by Chinese intellectuals seemed to have chronological aspect like historians` evaluation of a certain generation. For the first time, the concept of `national character` was used by Chinese intellectuals in the last period of Chin dynasty to provide a unique, but Chinese centered, theoretical tradition that would be helpful to transform China into a modern nation-state. In other words, a certain ethinic people`s national character could have a positive or negative tendency based on such peoples` own perception of what kind of nation-state they wanted to build. In this context, Chinese intellectuals looked out for diverse ideal types of nation-state and uniqueness of Chinese national character. Therefore, the discourse of `national character` as an academic concept seems not to be done in the 21th century.

      • KCI등재

        재일 디아스포라 지식인의 에세이(글쓰기)에 나타난 민족주의/탈민족주의

        권성우(Kwon, Seong-Woo)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5

        이 논문은 대표적인 재일 디아스포라 에세이스트로 활동하고 있는 강상중과 서경식의 글쓰기에 나타난 민족주의/탈민족주의에 대해 탐구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들의 에세이와 학술서는 한국에서 다수 번역되었다. 강상중과 서경식의 글쓰기는 한국사회에서 많은 독자를 얻었으며, 지식사회에서 커다란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그들이 한국 언론에 발표하는 칼럼이나 에세이는 한국어로 발표된 어떤 학자의 글 못지않게 한국사회와 현실에 대한 예리한 진실과 서늘한 통찰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우리 사회의 경계인과 소수자에 대한 깊은 공감과 연대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강상중과 서경식의 사유와 관점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민족주의/탈민족주의에 대해 치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내셔널리즘』을 비롯한 강상중의 에세이와 저서에는 곳곳에 민족주의와 탈민족주의에 대한 사유가 인상적으로 스며들어가 있다. 그는 민족주의가 발흥하는 현상을 비판적으로 지켜보면서 탈민족주의적 입장에 깊은 공감을 보내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이나 포스트콜로니얼리즘 같은 사상은 강상중이 현실을 바라보는 중요한 이론적 잣대와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의 글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을 비롯한 포스트주의의 한계에 대한 성찰이 빠져 있다는 사실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서경식은 탈민족주의나 포스트모더니즘이 득세하고 있는 현실에 대해 비판적이다. 그는 탈민족주의의 주장에 공감할 점과 보편성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러한 사상이 여전히 필요한 민족해방운동이나 민족주의의 저항적 요소를 지우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주장한다. 서경식은 일본 지식사회에 팽배한 탈민족주의가 궁극적으로 일본의 자기중심적 민족주의에 대한 객관적 성찰을 보여주기 보다는 일본사회에서 배제되고 억압받는 재일조선인을 비롯한 소수자의 저항을 막는 방편으로 변질되었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This paper aimed to explore the evidence of nationalism and post-nationalism in the writings of Kang Sangjoong and Seo Kyungsik, who are, at present, working as representative essayists in diaspora. Their writings have been widely translated into Korean, have gained a large number of readers in the Korean society, and have exerted great influence on intellectuals. In order to understand the viewpoints of Kang and Seo, it is necessary to examine closely the theme of nationalism and post-nationalism in their writings. In Kang’s essays, there are impressive speculations on nationalism and post-nationalism. Furthermore, he deeply empathizes with post-nationalism while taking a critical view of nationalism. Post-modernism and post-colonialism are important theoretical criteria that Kang Sangjoong sees the realities with. In his writings, there is a lack of reflection on post-modernism and post-nationalism. Seo Kyungsik is critical of the reality where post-nationalism and post-modernism are expanding their power. Moreover, he thinks that there are some parts about post-nationalism that can be empathized with. However, he has determined that such allegations extinguish the resistant elements of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and nationalism. Seo emphasizes that post-nationalism, which is prevalent in Japanese society, ultimately has been degenerated into a means of preventing minority resistance rather than conducting reflection on Japanese nationalism.

      • KCI우수등재

        전환기의 보훈정책 ― 국가정체성의 재정립을 위한 시론 ―

        이헌환 한국공법학회 2019 공법연구 Vol.47 No.4

        The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policy's mission is to honor and express respect to the people who sacrificed their life for the nation, and to preserve and promote their patriotic spirit, which includes the values of national independence, defense of nation, and democratic development. The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policy includes the strategic goal of promoting the spirit of patriotism and contributing to national unity. National identity is a person's identity or sense of belonging to one state or to one nation. As a collective phenomenon, national identity can arise as a direct result of the presence of elements from the common points in people's daily lives, such as national symbols, language, the nation's history, national consciousness, and cultural artifacts. It can be changed under the influence of different ideology and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al systems. The two Koreas traced back a very different constitutional origin in history: South Korea from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KPG) vs. North Korea from Kim Il-Sung’s Anti-Japanese struggle and socio-economic transformation after liberation. As the condition of two Korea's veterans policy integration is very different in several values and policies, the unified veterans policy in unified Korea cannot be avoid the scope of exclusion and integration between the two Korea veterans policy. Two Koreas, which were originally one nation, can become one nation under recognizing the divided two parts as one nation-two governments system. The South Korea’s open-minded policy for the patriots and veterans belonging to North Korea will be helpful to the national reunification. 한 국가가 영속성을 가지고 유지・존속하기 위해서는 그 국가의 과거를 미래에 연결지을 수 있는 현재의 노력이 있어야 하는바, 그 노력은 과거 역사에서 국가공동체를 위해 희생하고 헌신한 사람들에 대한 예우를 제대로 갖추고 그들이 추구했던 가치들을 현창하여, 현재와 미래의 국가구성원들에게 국가공동체에 대한 충성이 곧 자신과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유지・존속에 도움이 되는 일임을 자각하게 하는 일이다. 이러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여러 국가정책 중의 하나가 곧 국가가 시행하는 보훈정책이다. 보훈정책의 핵심요소인 보훈이념은 국가정체성을 전제로 하여 성립하는 것이면서 역으로 보훈이념을 통해 국가정체성을 추론할 수도 있다. 국가정체성이란 한 국가의 근본 성격이나 가치, 제도, 정책 등에 대하여 국가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믿음과 일체감으로, 국민통합 또는 사회통합의 기본 토대이다. 국가정체성은 공동체구성원 전체가 동의가능한 가치와 이념이 반영되는 일반의지적 성격을 가진다. 국가정체성은 시대에 따라 확장적으로 혹은 축소적으로 변화되기도 한다. 남북한의 보훈정책을 대비하면, 남한정부의 보훈정책은 어느 정도 통합적 관점에서 보훈대상자들 특히 독립유공자에 대한 보훈이 확립되어 가고 있으나, 북한의 경우에는 여전히 체제수호를 위한 이데올로기적 이념지향성이 강하게 남아 있다. 여기서 우선 남한정부에서라도 먼저 과감하게 월북 독립운동가들에 대한 상훈과 보훈을 개방하게 된다면 장래에 통일대한민국의 기반을 다지는 데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남북한정부의 각 헌법이 모두 통일을 지향하고 있다고 본다면, 통일대한민국의 견지에서 남북한 정부의 잠정성(Modus Vivendi)을 인정하고 통일을 위하여 상호협력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현 단계의 남북한정부의 관계는 1국가2정부라는 관점에서, 상호배타적인 관계로 인식하기보다는 상호협력적 관계로 인식하여 점차적으로 하나의 통일대한민국으로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남북한 사이에 보훈제도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기는 하더라도 장래에 보훈제도의 통합을 위한 새로운 이념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양자를 통합할 수 있는 기반을 닦아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프로스포츠팬의 국가정체성과 귀화선수의 국가대표선발에 관한 인식

        맹이섭,권순용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4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7 No.3

        This study was analyzed the recognition of national identity and national selection of naturalized athletes of professional sports fan, and the recognition of national identity effect to recognition for national selection of naturalized athletes. For this reason, targeting professional sports with experience and discussion for the national selection of naturalized athletes, pro football, pro basketball, pro volleyball and selected sports fans who visited the stadium to use the random sampling 210 people each were collected by a total of 630 people,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In this way, 600 part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for selection of naturalized players, negative recognition was low but receptive, limited, conditional recognition was high and if naturalized players show up that are actively accepting our culture, Acquire nationality in legal, Fundamentally do not refused they selection. Second, analyzed the recognition of the national identity of professional sports fans, civil requirement was more important than pedigree and for the requirements of citizenship, they are following jus sanguinis on the basis of the korean nationality law. Third, the result of the hierarchy regression analysis, as the dependent variable recognition for national selection of naturalized athletes, 「negative recognition」, as racial requirement is high, negative was high. ‘man’, ‘professional football fan’, ‘cultural, ethnical, civil requirement’ influenced to 「receptive recognition」and ‘validity of the nationality acquirement’ was most important. ‘man’, ‘30 below’, ‘professional football fan’, ‘cultural, ethnical, civil requirement’, ‘acquirement of nationality’ influenced to 「limited recognition」 and ‘ethnical requirement’ explained about 43% of he dependent variable. ‘man’,‘ethnical requirement’, ‘acquirement of nationality’ influenced to 「conditional recognition」 and ‘acquirement of nationality’ explained about 51.3% of he dependent variable. 본 연구는 프로스포츠팬을 대상으로 귀화선수의 국가대표선발에 대한 인식과 국가정체성인식을 분석하고 국가정체성인식이 귀화선수의 국가대표선발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귀화선수의 국가대표선발에 대한 논란과 경험이 있는 프로축구, 프로농구, 프로배구로 종목을 선정하였으며 경기장을 찾은 프로스포츠팬을 대상으로 무선표집방법을 사용하여 각각 210명씩 총 630명을 표집한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60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귀화선수의 국가대표선발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는 부정적 인식이 가장 낮고 수용적, 조건적, 제한적 인식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귀화선수의 국가대표선발 자체를 부정하거나 제한을 두는 것보다는 합법적 귀화조건에 문제가 없고 우리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선발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스포츠팬의 국가정체성 인식을 분석해 보면 혈통을 중시하기보다는 시민적 요건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국적취득 요건에 대해서는 한국사회는 국적법에 의거하여 부모의 한쪽이 한국인이면 그 자녀 역시 한국인이라는 양계 혈통주의를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귀화선수의 국가대표선발에 대한 인식을 종속변수로 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부정적 인식」에서는 인종적 요건이 높을수록 부정적이었으며 「수용적 인식」에서는 남자, 프로축구팬, 인종적, 시민적, 국적취득 요건 등이 영향을 미치며 국적취득 요건의 정당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한적 인식」에서는 남자, 30대 이하, 프로축구 팬, 조건적, 인종적, 시민적, 국적취득 요건 등이 영향을 미치며 제한적 요건은 종속변수의 43%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건적 인식」에서는 남자, 제한적, 국적취득 요건 등이 영향을 미치며 국적취득 요건이 종속변수의 51.3%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국기(國旗) 제정과정에서 나타나는 식민지 인도의 국가 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한 고찰 1905-1947

        신민하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9 아시아문화연구 Vol.50 No.-

        This paper focused on the important historical event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flag of India during the period from 1905 to 1947. The Indian national flag, adopted by the Constitutional Assembly of India in July 1947, has its origins on the flag designed by Gandhi in 1921 and officially adopted by the Indian National Congress in 1931. The tricolor of 1921, consisted of the same proportions of colors symbolizing the two religions as part of efforts to mediate Hindu and Muslim conflicts, and was widely accepted among people of India as a national symbol by devising the spinning-wheel on the flag. In particular, this flag was spread nationwide through the Flag Satyagraha which was carried out in the Nagpur region in 1923. The most striking feature of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national flag of India from 1921 to 1947 was the involvement of a handful of elites, such as nationalist leaders Gandhi and Nehru. They tried to solve the problems facing India through the national flag, including the Hindu-Muslim religious conflict, the most important problem facing India at that time. On the one hand, such an attempt was in itself revealing the dilemma faced by the Indian nationalist movement. In other words, the most important issue in the process of achieving India's independence was the question of how to control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major religions, Hindu and Muslim, and the continuing controversy over the design and symbols of the national flag over other religions. In sum, it can be said that the process of deciding the national flag of India was to seek out the national identity of secularism for the united independent nation. 본 연구에서는 1905년부터 1947년 독립에 이르는 기간 동안 인도의 국기 제정과 관련된 중요한 역사적 사건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947년 7월 인도 제헌의회에서 채택되어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는 인도 국기는 1921년 간디가 주도적으로 고안하고, 1931년 인도국민회의가 공식적으로 채택한 깃발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1921년 간디가 고안한 삼색기는 힌두와 무슬림의 갈등을 중재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두 종교를 상징하는 색깔이 같은 비율로 구성되었으며, 물레를 그려 넣음으로써 계층을 초월한 통합의 상징물로 널리 보급되었다. 특히 1923년에는 나그뿌르 지역에서 진행된 국기 사뜨야그라하를 통하여 간디가 고안한 국기는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1921년 이후부터 1947년까지 인도 국기 제정과정을 두고 볼 때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민족주의운동 지도자들인 간디, 네루와 같은 소수의 엘리트들이 국기 제정과정 전반에 주도적으로 관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인도 민족주의운동 지도자들은 국기 제정과정을 통해 신생 독립국 인도의 정체성을 드러내고자 시도하였는데, 그들이 가장 열망하고 있었던 신국가의 정체성은 세속주의 국가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당시 인도 민족주의운동 지도자들은 다언어, 다민족, 다종교로 구성된 인도를 단일한 공동체로 환원시키는데 열중하고 있었고, 당시 인도 사회가 내포하고 있던 가장 큰 문제인 커뮤널리즘적 긴장을 국기 제정에 대한 국민적 합의와 동의를 통해 해소하고 상징화 하고자 하였다. 결국 인도 국기가 제정되는 과정은 국가통합을 위해 세속주의라는 국가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