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하곡 정제두의 도덕철학

        박연수(Park Youn-soo) 한국양명학회 2005 陽明學 Vol.- No.13

        하곡은 학문과 교육, 그리고 삶의 목적을 도덕(道德) 또는 천리(天理)의 실현으로 삼았다. 그는 도덕을 존재의 이법이며 당위적 법칙이요, 개체의 내재적 원리이며 동시에 초월적인 원리로 본다. 그는 내면의 덕을 다하는 것이 보편적 도를 실현하는 것이라고 한다. 따라서 그는 내적 도덕성을 스스로 깨닫고 그것을 능동적이며 창의적으로 실현하는 것을 도덕의 성취로 본다. 하곡은 시비선악을 가리는 표준이 되는 것을 지선(至善)이라고 한다. 지선이란 본연의 선으로 하늘에서 나와서 사람에게 매이지 않은 것이라고 한다. 본래 그대로의 선이란 그 가치가 근원적 존재로부터 연유한 것이지 사람들의 행위나 평가에 좌우되지 않는 것이라는 의미이다. 그는 하늘이 명한 성(性), 인심의 본체인 천리, 그리고 인심의 생리(生理) 또는 진리(眞理), 명덕(明德), 양지(良知) 등을 지선이라고 한다. 따라서 그는 도덕의 궁극적 가치와 원리가 인심에 본래 내재하며, 이러한 본연의 인심이 선악시비의 기준이 되며, 구체적인 행위를 규제하고 지도하는 지침으로서 도덕법칙이 된다는 것이다. 하곡은 행위의 준칙으로 삼아야 할 내적 도덕성 가운데 가장 근본적이고도 핵심이 되는 것을 성(誠)과 중(中), 인(仁)이라고 한다. 그는 성이란 도덕의 근본이요 온갖 행위의 근원이며, 실리(實理)와 실심(實心)이라고 한다. 성이란 내면의 의심이나 외적 유혹으로 흔들림이 없는 것, 뜻이 산만함이 없이 하나의 일에 전념하고 집중하는 것이며, 가식과 거짓이 없이 순수하고 변함없는 것, 중단함이 없이 한결같이 성실한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도덕원리로서 중(中)은 감공(鑑空) 형평(衡平)이니, 적연부동(寂然不勳), 확연대공(廓然大公)이라는 말로 표현한다. 이것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이기적 욕구나 선입견, 편견, 기대와 예측, 그리고 속단 등에 의한 집착이나 장애가 없는 마음의 상태를 지칭한다. 둘째, 선악시비의 척도로서 자나 저울처럼 마음이 치우침이나 흔들림이 없이 공정성을 발휘하여 구체적 상황에서 선악시비를 시의적절하게 판별하는 본연의 기능을 다하는 것을 시중(時中)이라고 한다. 인(仁)이란 쉬지 않는 생명의 도(道)이며, 만물을 살리는 이치이다. 그것은 사랑, 베풂, 측은지심(惻隱之心), 불인지심(不忍之心) 등으로 표현된다. 이상의 도덕원리는 만물을 낳고 육성하며, 변화하고 완성시키는 생명의 이치이며, 상호 감응하고 통하게 하는 일체(一體)의 원리이며, 천지만물을 그 위상에 맞게 자리매김하는 질서의 법칙이며, 온갖 행위의 시비를 시의적절하게 분별하고 구현하는 역동적 이치이다. 하곡은 인심이란 천지만물의 주재(主宰)이며 권형(權衡)이라고 한다. 이것은 본연의 인심이 온갖 이치와 일의 근원이요, 시비선악을 헤아리는 척도로서 온갖 시물의 이치를 구현하는 주체라는 의미이다. 특히 하곡은 인심 가운데 도덕적 앎과 실천의 주체를 양지(良知)라고 한다. 도덕적 삶과 행위란 명덕(明德), 중화(中和), 도심(道心), 양지(良知) 둥으로 지칭되는 인심의 도덕성을 구현하는 것이다. 하곡은 내적 도덕성의 실현을 위해 제시된 성의(誠意), 정심(正心), 치지(致知), 격물(格物), 무자기(母自欺), 신독(愼獨) 등 가운데 신독을 가장 근본적이고도 포괄적인 방법으로 보았다. 하곡이 추구하였던 도덕이란 자타가 감응하고 소통하여 일체(一體)를 이루는 개방적 도덕, 만물을 변화 생육하게 하는 생명의 도덕, 만물의 이치를 구현하고 온갖 행위의 시비를 분별하는 창조적 도덕을 이루고자 하였다. 그는 이러한 도덕의 근거를 밖에서 찾지 않고, 개인의 본래적 마음, 즉 주체성(subjectivity)에서 찾았다. 도덕적 인간, 도덕적 사회를 이루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언제 어디서나 부단히 자신을 돌이켜보고 성찰하여 심신을 삼가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기적이고 편협한 자아를 극복하고, 순수하고 진실하며 성실한 뜻과 공정무사한 마음으로 본연의 내적 도덕성을 속이지 않고 온전히 스스로 실현할 때 진정한 자기가 되는 것이며 참다운 도덕사회를 이루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moral philosophy incorporated in the writings of Hagok(霞谷) Chung Chedu(鄭齊斗, 1649-1736). Hagok's goal of learning, education, and life is co realize the Virtue(德) and Moral Way(Dao, 道) or the heavenly Principle(天理). According to Hagok, Dao is the principle of creation, an all-comprehensive ultimate principle inherent in every creation, whereas Virtue is the individual virtue realizing the universal principle. Virtue illuminates itself, the universal principle, like a candle burning itself. Therefore Virtue(德) and Dao(道) are not separate identities. Letting individual Virtue illuminate itself means obtaining the universal principle of Dao. The concept of Daode(道德) contains the unity of 'is' and 'ought' and the unity of immanent and transcendental moraliry. Hagok says that supreme goodness, that is, the ultimate moral value and moral principle, is the innate goodness. It comes from the heavenly principle; it doesn't depend on human being. It is the original human mind & heart and nature(心性) ordained by the mandate of Heaven(天命), the heavenly principle which is the original substance of human mind, and the living principle(生理), or the illuminant virtues(明德) or the conscientious wisdom (良知). Therefore, he says that such an innate morality is the standard and guidance of human action. According to Hagok, the fundamental and comprehensive immanent moralities are sincerity(誠), mean(中), benevolence(仁), ets, Sincerity is the root of five moralities(n'&l and the spring of all facts. And it refers ro the true principle and the truthful mind. It means the unmoved and undivided mind by internal suspicions and external temptations, the pure and sincere heart without a pretense and a lie, and the unceasing activity of these minds. Mean is the state of mind that is not attached to and hindered by a selfish desire, a prejudice, and a preconception, And its impartiality is the dynamic function of mind that properly appreciates right and wrong, good and bad. Benevolence is the principle of life and reviving all aspects of life, Above all, innate moralities are the principles of vitality, one-body, and creativity. So they produce, nurture, transform, respond, penetrate, understand myriad things and realize the principles of individual things. According to Hagok, human mind is the master(主宰) and criterion(權衡) of myriad things. This means human mind is a spring of all principles and things, an agency realizing individual principles. Particularly for Hagok Lang-chi(良知 hwnan mind is the subjectivity of moral knowing and acting. According to Hagok, moral action or life is oriented to realize immanent moralities of human mind. The methods of realizing innate moralities are to be sincere one's will(誠意), rectify one's mind(正心), extend one's innate wisdom(致知), rectify affairs(格物), allow no self-deception(毋自欺), and to be watchful over himself when he is alone(愼獨). The most fundamental method is Sindok(愼獨) To sum up, Hagok's moral philosophy aims at self-awareness and realization of subjective innate moralities which are the moralities of opening mind, giving life to others, substantiating individual principle, and evaluating values and acts. Above all, we must reflect and watch ourselves in order to realize innate moralities. Then we must try to overcome egocentric and narrow-minded self, and realize the immanent moralities sincerely and truthfully.

      • KCI등재

        정치도덕에 대한 드워킨의 해석적 접근법

        김범춘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통일인문학 Vol.77 No.-

        There is one of the most popular beliefs of our time in politics, economics, and culture, it is probably pluralism. The most important moral problem it creates in our lives is an belief that no moral truth without difference of positions. Philosophers think this as an indeterminability to establish a moral imperative, but Ronald Dworkin sees this as the need for an independent approach to explore and justify moral truth. Because moral judgment always works in politics, and unless the moral principles underlying our actions or our voting in politics are founded on truth, there is no justification for it, not on its authority, but on its own responsibility. Ultimately, to have or defend a particular point of view in relation to political morality, one must prove that one's principles of morality and its premises are justifiable. Dworkin says the political ideal of equality today is threatened with extinction. Historically, the socialist egalitarian ignored the citizens own light to pursue their interests. The conservative libertarianism also ignored the collective responsibility of the political community. In Dworkin's view, however, both accusations are mistakes. Because it is possible to have one unified explanation for equality and responsibility which respect both equality and liberty. Dworkin suggests the principle of equal concern and the principle of special responsibility to explain his integration theory. First of all, the principle of equal concern requires people to act in an equal consideration for a group of people. And the principle of special responsibility admits citizens right to their own life. These two principles are correlated, and the principle of special responsibility can be justified by the principle of equal concern. That is why Dworkin proposes equal concern as the sovereign virtue of the political community. According to Dworkin, equality and liberty the basic values of political morality, are interpretative concepts. So political morality is an interpretative scheme itself, as the concepts of political morality are interpretative concepts that can not be explained other than through normative logic. All political morality are always interpretative concepts, and the proper use of these concepts is a matter of interpretation. Therefore, determining which of the different views about equality or liberty is right or wrong is an logical work, and this reveals that individuals freedom is associated with communal equality. In this context, Dworkin proposes equality and liberty as the integrative value in political morality. Moral skepticism claims that there is no answer to the question of what best contributes to our collective life, but it is an interpretation of politics itself. Although it may seem unlikely that the principles of integrating values in political morality are established, what is left to us is only uncertainty, not nihilism. 드워킨은 정치도덕에서의 논쟁들이 시장의 역할에 대한 견해 차이에서비롯된다고 본다. 18세기 이래로 시장은 공동체의 번영을 실현하는 경제체계이면서 동시에 개인적 자유를 가능하게 하는 필요조건이라고 환영받았다. 하지만 이후 시장은 재산과 사회적 지위에서 불평등을 허용하고 조장한다는 비난을 받았는데, 드워킨은 가상적 ‘연습상황’으로 이런 불평등을 해소하여시장경제 안에서도 개인들이 모든 자원을 평등하게 소유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무인도에 난파된 선원들은 선망검사와 경매를 통해서 공정하게 자원을배분하게 되는데, 이런 분배방식은 어떤 삶을 살 것인지를 개인의 선택에맡기면서도, 그러한 선택의 기초가 되는 자원은 언제나 평등하게 만든다. 말하자면 이 분배방식에서 개인적 이해와 공동체적 이익은 충돌하지 않는다. 그리고 평등한 분배 이후에 생겨나는 새로운 불평등을 가설적 보험전략으로바로잡는다. 드워킨은 평등한 배려를 정치도덕의 최고의 가치로 제시하는데, 이 평등한배려는 기회의 평등을 넘어서는 것으로서 인간적인 삶을 살기 위해 자원과조건을 등등하게 하는 것이다. 평등한 배려는 정치도덕에서 다른 도덕적가치들을 정당화하는 근거가 되고, 이 최고 가치와 가치들의 조합은 논리적통합성을 가진다. 말하자면 정치도덕에서 가치의 통합은 진리의 필요조건이며, 동시에 다양한 정치적 가치들은 해석에서 서로 맞물리면서 통합성을이루어낸다. 말하자면 통합성은 시민들의 사적인 이해에 따르는 개인의 삶과공동체적 이익에 따르는 정치적 삶을 융합시키기 위해 모든 가치를 일관되게해석할 것을 요구한다. 가치의 통합성을 이런 의미로 해석하고 인정하는시민은 자신의 삶의 가치가 모든 사람들을 평등한 배려로 대우하는 공동체에의존한다는 것을 받아들이게 된다. 드워킨은 정치도덕의 통합과 공동체의 정의를 실현하는 논리적 도구로서판사 헤라클레스를 제안한다. 완전히 이상적인 존재인 판사 헤라클레스는정치도덕을 구현하는 법의 통합적 해석을 통해서 정치도덕에 대한 모든질문에 대해 정답을 제시한다. 드워킨의 이러한 ‘정답테제’는 정치도덕에관한 회의주의를 겨냥하고 있는데, 무엇이 올바른 대답인지에 대한 인식론적불일치가 올바른 대답이 존재할 수 없다는 주장을 정당화할 수 없다는 것이다. 우리는 단지 자신이 정치공동체의 구성원이라는 존재론적 사실 때문에정치도덕을 실천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도덕을 공유하고 실천하는 행위를 통해서 공동체의 구성원이 된다. 드워킨은 평등한 배려라는 정치도덕의최고원리를 시민들이 공유하고 실천한다면, 개인과 공동체가 함께 좋은 삶을누릴 수 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상촌 신흠의 역학에서 상수역과 의리역의 상보적 특성

        엄연석 한국동양철학회 2017 동양철학 Vol.0 No.48

        This essay intended to illuminate how meaning Sang Chon Shin Heum's emblemo-numerology, through which he succeeded Seo Keyungduk's apriority I Hsüeh, has in connection with his total system of confucianism and view of moral-principle science of I Ching. Especially in this article, writer tries to concentrate on analysis and explanation about matters with relation to moral-principle science of I Ching in the system of his emblemo-numerology of I Ching that was succeed to Shao Yong's apriority I Hsüeh. In Shin Heum's philosophy, the principle is revealed through number[數] which is inherent in outward things making a various transition with directivity of luck or misfortune, good and evil. It is because number is a key factor in elucidation of the principle that Shin Heum especially emphasized emblemo-numerology of I Ching by inheriting Shao Yong and Seo Keyungduk's apriority I Hsüeh. Though underlined apriority and emblemo-numerology of I Ching, he had purpose to make emblemo-numerology and moral-principle science of I Ching synthetic and harmony through correction of research trend weighted toward moral-principle. Shin Heum interpreted the Zhouyi in the direction of moral-principle science of I Ching by connecting symbolic meaning involved in the sentence of hexagram and lines, hexagram name of the Zhouyi with moral cultivation or practice for the purpose of human affairs. Summing up, the final objective of Shin Heum's apriority and emblemo-numerology of I Ching can be concatenated in moral cultivation and practice had been stressed in the moral-principle science of I Ching. Shin Heum's emblemo-numerology of I Ching has meaning as basis for the moral-principle science of I Ching, in which puts stress on preservation of mind and cultivation of human nature, and understanding of moral principle through number. Seen like this, on the one hand Shin Heum's emblemo-numerology of I Ching emphasizes emblemo-numerology, on the other it is combined systematically with moral-principle science of I Ching that involves moral cultivation and practice. 본 논문은 象村 申欽이 서경덕의 선천역학을 계승하면서 강조했던 상수역학이 그의 유학사상 전체 체계 및 의리역학적 관점과 연관하여 어떤 의미가 있는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고에서는 소옹의 선천역학을 계승한 그의 상수역학 체계 속에 의리역학과 연관된 의미가 어떻게 내포되어 있는가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신흠에서 理는 길흉선악의 방향성을 가지고 여러 다양한 변화를 이루는 외부 사물들에서 數를 통하여 드러난다. 신흠이 소옹과 서경덕의 선천역학을 이어서 상수역을 특별히 강조한 것은 理를 밝혀 주는데 있어서, 수가 핵심적인 위치를 가지기 때문이다. 신흠은 선천 수리역학을 강조하였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당시의 의리 쪽으로 치우친 역학 연구경향을 교정함으로써 상수역과 의리역을 종합하고 조화시키려는 목적을 가졌다고 말할 수 있다. 신흠은 『주역』 괘효사나 괘명 등에 내포되어 있는 상징적 의미를 人事에 있어서의 도덕적 함양 또는 실천과 연결하여 의리역학적인 방향으로 『주역』을 해석하였다. 요컨대, 신흠의 선천 수리역학이 지향하는 최종의 목표는 의리역학적 관점에서 도덕적 함양과 실천에 연속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신흠의 수리역학은 마음의 함양과 性의 보존, 그리고 數를 통한 리의 파악을 중시하는 의리역학을 위한 토대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이렇게 볼 때, 신흠의 상수역학은 조선중기 역학사에서 상수와 수리를 강조하면서도 이것을 의리역학적 관점에 체계적으로 결합하여 그 연속성을 제시한 학설로서의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윤리학과 도덕교육 관계

        최문기 한국국민윤리학회 2003 倫理硏究 Vol.54 No.1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크고 작은 선택들을 반복한다. 그 중에서도 낙태, 포르노그래피, 사형제도, 불복종 운동, 환경 보호 후보자 지지 등과 같이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선택을 ‘도덕적 선택’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도덕적 선택들은 도덕적 기준에 의해 진지하게 고려되고 평가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우리의 선택 대부분이 불가피하게 도덕적 차원을 지님에도 불구하고, 그것의 도덕적 중요성을 인식하거나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실천적인 도덕적 이슈에 관한 윤리학 논의는 현대 사회에서 우리 선택의 도덕적 중요성을 알게 하고, 우리의 도덕적 비전을 넓혀주는데 도움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윤리 이론으로 공리주의, 칸트주의, 정의이론, 공공선 이론, 덕 이론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이론들은 각각 유용성 원리, 인간 존중 혹은 권리 원리, 정의 원리, 공공선 원리, 덕 원리를 제공한다. 이러한 도덕 원리들은 환경, 성, 생명, 테크놀로지, 정보 등의 도덕적 이슈들에 대해 도덕 판단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준다. 도덕 판단은 2개의 전제와 하나의 결론으로 구성된 실천적 삼단논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대전제는 일반적인 도덕 원리로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가치 전제이다. 소전제 는 개별적인 판단 대상이 사실적으로 서술되는 사실 전제이다. 결론은 하나의 개별적인 가치 전제이다. 건전한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도덕 판단의 형식이 타당하여야 하고, 소전제가 참이어야 하고, 대전제는 보편적으로 일관되게 수용될 수 있어야 한다. 만일 대전제가 새로운 사례 검사, 역할 교환 검사, 보편적 결과 검사, 포섭 검사에 의해 수용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된다면 수정되거나 보완되어야 한다. 도덕 판단의 형식과 과정은 행위, 정책, 제도, 사람을 판단하고 평가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공리주의 칸트주의, 정의 이론, 공공선 이론은 행위, 정책, 제도를 판단하는데 적절하고, 덕 이론은 사람의 성품을 평가하는데 적절하다. 합리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도덕적 추론 능력은 도덕 교육의 일차적 목표로 간주될 수 있다. 그리고 도덕적 이슈들에 대한 도덕적 추론 과정은 도덕 교육의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윤리학과 도덕교육은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다. 본 논문은 윤리학이 도덕 교 육의 목표, 방법과 어떻게 관련되며, 도덕 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밝혀 보고자 하였다. We are faced with various problems in everyday life, whether trivial or serious. It is called a moral choice which affects to the others seriously, such as abortion, getting rid of life-prolonging devices, sex, communication through internet, pornography, capital punishment, human relation with different races, etc. These choices need to be considered and evaluated by moral principles. But we almost have not opportunities to judge them morally, and so we are not good at moral judgement process. Ethics helps us to judge and solve moral issues in contemporary society. I introduce five normative ethical theories : utilitarianism, kantism, justice theory, common good theory, and virtue theory. These theories provide us a peculiar moral principle respectively as followings : principle of utility, principle of respect for human dignity or principle right, principle of justice, principle of common good, and principle of virtue. These principles are useful for us to make moral judgments about contemporary moral issues related with environment, sex, life, technology, information etc. Moral judgment pass through a practical syllogism being consist of two premises and one conclusion. The major premise is a general value premise which can be used as a general moral principle provided from a certain ethical theory. The minor premise is a factual premise, in which an object to be judged is described factually. The conclusion is a special value judgment. In order to get a sound conclusion, following conditions must be satisfied with : moral judgment form should be valid. ; minor premise should be a truth. ; major premise should be acceptable universally and consistently. If major premise become turned out to be unacceptable by four tests - new case test, role exchange test, universal result test, higher-principle test - it should be reformed or complemented. we can apply these moral judgment form and process to the action, policy, institution, and person. Utilitarianism, kantism, justice theory, common good theory are relevant to judge morally action, policy, institution. Virtue theory is relevant to evaluate character of person. These discussions on ethics contribute to enlarge moral visions, promote ethical insight, and guide into solution in various moral issues in contemporary society. The ability of moral reasoning to lead a rational conclusion can be regard as prior objectives of moral education. And the moral judgment process at moral issues can be used as methods of moral education. So ethics and moral education are closely related each other.

      • KCI등재

        맹자의 도덕창조론

        유희성(Yoo Hee-sung) 한국양명학회 2007 陽明學 Vol.0 No.19

        맹자철학의 핵심은 도덕행위의 가능근거를 정초하는데 있다. 맹자는 도덕실천의 가능근거를 마음속에 있는 네 가지 마음(四端之心)이라고 한다. 그는 간난아이가 우물에 빠지는 도덕적 상황(moral situation)을 실례로 들어 이러한 위급한 상황에 처한다면 누구나 깜짝 놀라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간난아이를 구한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행위는 다름 아닌 마음 속 깊이 내재해 있는 측은히 여기는 마음(惻隱之心)이 발현된 것이라 한다. 이처럼 맹자는 인간의 마음을 도덕적 본질을 갖는 도덕주체로 규정하여 도덕창조론을 주장한다. 맹자의 도덕창조론은 마음(心)과 본성(性), 그리고 천(天)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천은 인(仁)을 실질내용으로 삼는 초월적 도덕실체이다. 그리고 인간의 마음과 본성은 바로 천의 도덕가치를 본질로 심는 내재적 도덕실체이다. 이러한 점에서 맹자는 마음의 본질을 모조리 발휘하면 자신에게 내재된 본성의 의미를 체증하고, 나아가 천의 본질을 깨닫게 된다(盡心知性知天)고 한다. 이것은 도덕적 마음(仁心)이, 도덕적 본성(仁性), 도덕적 천(仁天)은 도덕본질(仁)이라는 측면에서 동일하다(心性天通而爲一)는 논리구조를 갖는다. 맹자에 의하면, 도덕주체(心, 性, 良知)는 도덕원칙(理, moral principle)을 창조한다. 즉, 도덕원칙은 외재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도덕주체에 의해 자발적으로 스스로 창조하는 즉, 스스로 입법한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간난아이가 우물에 빠지려는 위급한 순간에 생기는 불안한 마음이 곧 도덕원칙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이후 육상산과 왕양명에 의해 “마음 밖에 따로 도덕원리(理)가 없다(心外無理)”는 명제로 구체화된다. 또한 도덕주체는 도덕원리뿐 만 아니라, 대상(物)까지도 창조한다. 대상(物)은 물리적 대상(physical object)이 아니라, 도덕적 대상(moral object)혹은 가치대상을 가리키는 것이다. 도덕주체로서의 마음은 본래 지향적인 것으로 마음이 작용하면 반드시 대상(物)이 있는데, 이 대상은 바로 우리가 해야 할 일(事)이다. 다시 말하면, 부모에게 효도해야겠다는 마음이 생기면 부모에게 효도하는 일이 바로 대상(物)이라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왕양명은 “마음 밖에 따로 도덕의 대상이 없다(心外無物')”고 말한다. 본 논문은 먼저 맹자의 성선설과 그를 통한 도덕주체의 확립과정, 그리고 도덕의 내재성과 초월성이 함축하는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아울러, “만물은 모두 나에게 갖추어 있다(萬物皆備於我)”라는 명제를 중심으로 맹자 도덕창조론의 의미를 탐구하였다. The conclusion of philosophy of Mencius is constructing the foundation of moral behavior of man. He claimed that the background of moral behaviors is the four beginnings of the human mind. He makes the example of certain of moral situation thar if a man spots child in danger near the well, he will be horrified and triedto save that child. According to Mencius, this moral activity of man is caused of the innate quality called 'compassionated mind'. Mencius argued that the human have the quality to generate the moral values. The theory of generating moral quality has foundation of human mind nature and the Heaven. The Heaven is the transcendental moral entity that has the source of all kind of values and human heart and nature is a moral entity that contains the moral value of the Heaven. Therefore, Mencius insisted that if a man fully developed his heart, then he will realize the nature of man and the decree of the Heaven. Accordingly, the Heaven, human nature and mind have common quality in moral essence. Mencius claimed that the moral subjects such as human heart, nature and consciousness is generating the moral principle. li, and it is said that the moral principle is not external injected thing but internal generated upspring mind that is legislated by autonomy. The moral subject generates moral principle as well as thing that is not physical objects but moral and philosophical values. Mind of man have it's orientation to objects and the oriented objects called the 'case of affair'. Later Wang Yangming is declared that “there are no moral objects at the out of heart of man.” To explore the moral generating theory, we have to understand the philosophy of Mencius and the structure of moral subject and moral behaviors.

      • KCI등재

        풀러에서 법의 도덕의 문제

        염수균 ( Su Kyun Youm ) 법과사회이론학회 2012 법과 사회 Vol.0 No.43

        Fuller thinks that his eight principles of legality are needed for any legal system to be legal. That those principles exist and they are constitutive principles of the rule of law is accepted by almost legal philosophers. The problem is the morality of those principles. Fuller calls their morality internal morality of law. The internal morality is the morality of the action by which legal rules are enacted and applied, while the external morality is the morality of the rules themselves. Because the principles are not just efficient principles but ones by observance of which the action can be moral, the principles can be called moral principles and the concept of internal morality is sustained. Fuller claims that principles of legality affect positively the morality of the laws which are enact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The claim presupposes that the legislators consciously respect the moral principles which are contained in the principles of legality and enact laws according to the moral principles. But the presupposition is not so evident that they need no justification. And even if they enacted the laws according to the moral motives, the laws would not necessarily become moral. For the most unjust rules were enacted by the idealists rather than wicked governors. Therefore the claim that the internal morality of law affect positively the external morality of law lacks proper foundation. But the whole system of the law can be morally affected through the governor`s observance of the principles The definition of the wicked regime which the debate between Kramer and Simmonds presupposes cannot be accepted. Because the wicked regime must be defined not in terms of wickedness of governors` motive but that of laws they enacted.

      • KCI등재

        칸트의 실천이성에 따른 교육의 과제

        심준섭 ( Shim Joon-seob ),노상우 ( Ro Sang-wo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8 교육철학연구 Vol.40 No.3

        본 연구는 칸트의 실천이성을 분석하여 인간의 도덕적 행위의 선험적 조건들을 알아보고, 교육이 추구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가를 밝히고 있다. 이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은 이성에 의해 선험적으로 내재해 있는 도덕법칙을 발견하고, 도덕법칙에 스스로 종속되고 따르는 자율적 의지를 가지고 있다. 인간은 또한 그 자체로 선의지를 본래적으로 내재하고 있는데 이것은 일체의 자연적 경향성에서 독립하여 도덕법칙을 의식하는 의지이다. 인간은 초월적 자유를 선험적으로 가지고 있고, 이를 인식함으로써 도덕적 존재가 될 수 있다. 자유는 도덕법칙의 존재근거로서, 인간은 이를 통해 자연의 인과법칙에서 벗어날 수 있다. 둘째, 인간은 교육을 통해서만 도덕적 인격체가 된다. 칸트에 있어서 교육은 훈육, 문화화, 시민화, 도덕화의 단계로 이루어져야 하며, 개별적 능력, 사회적 개별성, 도덕적 개별성이 함양되어야 한다. 따라서 교육에서 첫 번째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도덕적 성격의 형성이다. 배운 내용을 실천으로 옮기기 위해서는 실천하려는 심성, 성격이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훈육의 산물인 습관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자신의 준칙에 따라 자율적으로 행동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요구되는 이성의 힘은 소크라테스적 문답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 방법을 통해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도덕적 성향을 길러야 한다. 도덕적인 인격체가 되기 위해서는 선의지를 통해 모든 자연적인 욕망의 경향성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그 결과로 학습자는 내적 자유를 얻게 될 것이고, 도덕법칙을 존경하며 진정으로 도덕적 실천을 결단하게 된다. This paper analyzes Kant's practical reason related to human life in the age of widespread moral destruction in order to explore a transcendental condition of moral behavior and what the task of current education is. The argum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human beings have found a transcendental, moral principle by reason, and are subordinate to the moral principle of one’s own accord and follow it with free will. We are also predisposed to good will. Good will as a free will is transcendentally inherent in the reason, and it is independent of the whole natural tendencies and is conscious of the laws of morality. Human beings intuitively have a transcendental freedom, and so by recognizing this, humans can be moral beings. Transcendental freedom is the basis of moral principle. Through this human beings can escape from the laws of cause and effect. Second, because humans only become virtuous through education, education must consist of steps of ethical training, enculturation, civilization, and moralization. This has to foster individual capacity, social individualization, and moral individualization. Accordingly the first consideration in education is a formation of moral character. To put into practice the contents we have learned through education, we should form our disposition. To overcome the customs that we have attained by discipline, we also need to act according to principles of autonomy. For these, the power of reason can be formed through Socratic dialectic. We need to cultivate ethical nature of judging and doing for oneself. To become a moral person, we must escape from the tendency of desire naturally. This means that the learner will get inner freedom and conduct the moral practices out of respect for moral law.

      • KCI등재

        정제두의 心卽理說에 관한 연구

        김윤경(Kim, Yun-kyeong) 한국양명학회 2012 陽明學 Vol.0 No.31

        “本心이곧天理(心卽理)”라는 육구연의 통찰은 이후陽明學의기본명제가 되었지만, 그 주안점이 인간의 보편적인 도덕심에 관한 대원칙을 정립하는데 있었지 현실상의 도덕판단과 행위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있었던 것은 아니다. 이런 관점에서 정제두는 天理를 “窮究해야 한다”고 본 육구연의 本心과理개념을“설명하기 어렵다”고 논평했다. 이에반해, 구체적인 是非가 일어나는곳에서 온당하게 판단하고 행위 할줄 아는 良知가 곧 理라고 규정한 왕수인의 논리는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왕수인의 心卽理說은 本心인 良知가 곧 天理라는 의미 이외도 本心이 곧 도덕적 실천조리를 창출한다는 의미를 포함하는 것이다. “마음이 사물에 있으면 理가된다”는 말은 이점을 잘 설명해 준다. 그러나 왕수인은 현실을 살아가는 개개의 인간이 불완전한 본심으로 불완전한 실천 조리를 창출해내는 과정 속에 놓여있다는 사실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心卽理說을 통해 설명하지는 않았다. 정제두는 이러한 왕수인의 논설을 심화시켜서 현실에서 온전하지 못한 판단을 내리기도하는 개체들에 관한 설명을 포함하는 心卽理說을전개했다. 정제두는 무엇보다도 현실을 살아가는 인간의 실존적인 도덕 판단과 행위에 주목하고 이를 生理로 설명하였다. 그것은 本心이 天理라는 의미와 本心이 도덕적 실천조리를 창출한다는 의미 이외에도 현존재인 인간의 心이 도덕적 실천조리를 창출하는 실존적인 구조를 갖는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정제두 心卽理說의 기반은 한 마음의 뿌리이며 구체적인 현실 속에서 쉼없이 작용하는 生理에 있었고 이점은 그가 인간의 실존적인 행위에 주목함으로써 기존의 心卽理說을 한층 더 발전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ough Yuk Gu-yeon’s insight that “the mind is identical to the Principle” has been a basic thesis in Yang Myeong Studies, its main concern is with the establishment of a great principle with respect to the universal human mind of morality, but not with a concrete explication of the practical moral judgment and action processes. From this perspective, Jeong Je-du has made such a remark that it is “difficult to explain” Yuk’s ideas of the natural mind and the Principle, which claims that we should explore the Principle of Nature once and for all and. On the other hand, Wang Su-in’s logic has been positively accepted that the innate knowledge of good is the Principle, as it were, with which one can desirably judge and behave where some specific rights and wrongs occur. Wang’s theory of the identification of mind with the Principle has the meaning not only that the innate knowledge of good, the natural mind, is the principle of nature, but also that the natural mind creates the principle of action. The remark that the mind becomes the Principle when it consists in things well makes this point. However, even though Wang has been fully aware of the fact that individuals living the reality lie in the process in which they create incomplete principles of action from their incomplete minds, he has not explain his awareness via the theory of the identification of mind with the Principle. By deepening such a logical dissertation of Wang’s, Jeong Je-du has developed the theory of the identification of mind with the Principle, which includes an account for those individuals that often make incomplete judgments in the reality. Paying attention, first of all, to the existential moral judgments and actions made by human beings who live reality, he explains this with the creative principle of nature. In addition to the meaning that the natural mind is the Principle of Nature and that the natural mind creates the moral principle of action, it emphasizes that the mind of the human as a spontaneous existence has an existential structure in which the moral principle of action is created. The foundation of Jeong Je-du’s theory of the identification of mind with the Principle lies in the creative principle of nature that is the root of a mind and incessantly works in specific reality, and this point has been further developed from the existing theory of the identification of mind with the Principle by him with attention to the human’s existential action.

      • KCI등재

        순암 안정복의 『周易』 인식과 象數義理論

        엄연석(Eom, Yeon-Seok)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9 철학사상 Vol.34 No.-

        본 논문에서는 상수(象數)와 의리(義理)를 조화와 균형의 시각에서 이해하는 순암 안정복의 『주역』에 관한 인식의 특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안정복은 象數를 중시하는 입장에서는 호체괘와 효변설 같은 방법적 기준을 중시하였으며, 義理를 중시하는 입장에서는 卦名과 함께 卦爻 사이의 比應 관계와 같은 기준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안정복은 『주역』은 象數와 義理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理는 占에 의지하고 占 또한 理를 벗어난 것이 아니라는 견지에 『주역』을 이해하였다. 이러한 그의 시각은 기본적으로는 상수와 의리를 조화와 균형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이다. 안정복은 ‘괘명’을 중시하고, 괘효사 사이의 호응관계에 따라 『주역』 괘효사를 해석하거나, 도덕적 의리 실천의 관점에서 괘효사를 이해함으로써 의리역학적 관점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도덕적 지향과 실천 여부로 인격을 구별하는 君子와 小人의 개념을 통하여 괘효사를 의리역학적으로 해석하기도 하였다. 다른 한편 그는 「河圖洛書」의 자연의 法象이 드러내는 수리적 원리에 대한 인식과 互體卦(互卦)를 이용한 『주역』의 괘효사 해석 사례, 「잡괘전」이해 등을 통하여 상수역학적 해석방법에 의거하여 『주역』을 이해하고 있다. 象數와 義理의 조화를 지향하는 안정복의 『주역』에 대한 인식은 기본적으로 『주역』을 미래를 예측하는 점서로서의 기능과 함께 특정한 실천 상황에서 인간이 어떻게 행해야 할 것인가 하는 의리적 목표를 함께 통섭하는 의미를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은 인간이 실현하고자 하는 보편적 의리와 함께 구체적이고 특수한 상황의 특성[吉凶]에 대한 객관적평가를 함께 중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상수와 의리를 조화와 균형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안정복의 『주역』인식은 경세론이나 역사사상과 관련하여 특수한 시대적 상황에 대한 구체적 인식의 중요성과 같은 측면을 중시하는 것과 연결될 수 있다. 이것은 바로 안정복의 상수와 의리의 조화를 추구하는 『주역』에 대한 인식이 그의 경세론과 주체적 의리적 역사관에 철학적 토대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is thesis intended to examine a characteristic of Sun-am An Jeong-bok’s perception of the Book of Changes, who grasps the symbol-number and rational principle in equal and harmonious point of view. An Jeong-bok valued such as hexagram of relative linking [互體卦] and the theory of lines-change[爻變說] in favor of symbol-number, and attaches importance to the name of hexagram [卦名] and relative response between two lines with relate to rational and moral principle. However, a characteristic of An Jeong-bok’s understanding of the I Ching lied in the thought that the symbol-number is connected with the rational and moral principle organically, and the rational and moral principle relies on divination and the divination doesn’t deviate from rational and moral principle. His outlook as this is that he understands symbol-number and rational and moral principle in harmonious and equal point of view. An Jeong-bok manifested the support of rational and moral principle theory by valuing name of hexagram and interpreting sentences of hexagram and lines of the I Ching in accordance with relationship of the relative response between them, and viewing sentences of hexagram and lines in relation with moral practice. He interpreted sentences of hexagram and lines morally by discriminating a superior man from inferior one. On the other hand, he understood the I Ching according to the interpreting methodology of the symbol-number theory of the I Ching through perception of the mathematical principle which natural model and symbol of Hado-Lakseo exposes, and the interpreting example of sentences of hexagram and lines availed of hexagram of relative linking and comprehension of Commentary of Mixed Hexagram[雜卦傳] etc. Basically, An Jeong-bok’ perception of the I Ching, who aimed at a harmony between symbol-number and rational and moral principle, has the meaning that he integrates organically function of divination forecasting future and the moral act of man through it.

      • KCI등재

        도덕교육에서 내용과 형식 간의 논란과 그 해소를 위한 통합적 방법

        남궁달화(Namkung Dalwha),박윤명(Park Yoon-Myung) 한국교육철학회 2007 교육철학 Vol.32 No.-

          There is a controversy between "content approach should be centered in moral education" and "form approach should be centered in moral education". This article analyzed "content" vs". form approach"to moral education: those theories analyzed as "content" are S. Freud"s, R. Coles"s, and social learning theory; and as "form" are R. M. Hare"s, L. Kohlberg"s, and J. Wilson"s. After the analysis, this article tried to explore how to integrate the two kinds of approaches on the base of R. S. Peters"theory.<BR>  Peters sees the relation between "content" and "form" as the paradox of moral education: that is, the relation of the two can be appeared to be contradicted, but it implies a truth in it. The controversy will be continued, as far as we see only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two. However, if we see the truth in it, there will be no more controversy. Then, what is the truth between the two? It is the complementary nature between the two.<BR>  We see the paradox of the moral education in Peters" saying that "We can and must enter the palace of Reason through the courtyard of Habit and Tradition". The former works as form and the latter as content. We can also see it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gnitive stages of moral development presented by Piaget and Kohlberg: that is, in the characteristics that stages form an invariant sequence. The conventional stage that habit(content) works overridingly is presupposed for the postconventional stage that reason(form) works overridingly. There are few people who think that the moral life in the levels of conventions is desirable and enough. The ultimate goal of moral education should be in the levels principles.<BR>  However, there is no one who can develop the stage of postconventions without developing the levels of conventions; no one who can enter the Palace of Reason without through the courtyard of Habit and Tradition. This tells that the relation between habit(content) and reason(form) is complementary rather than contradictory. When we think the relation of the two like this, it will be meaningless that one claims moral education should be "content" approach, the other, no, moral education should be "form" approach". It is because the nature of morality is in itself consisted of the two. This means that moral education should be approached to be integrated of the two, in order to achieve the nature of morality and, at the same time, the ultimate goal of moral education. When we see the relation between "content" and "form" in moral education as complementary rather than contradictory, the controversy between the two will be resolved, which also means the two kinds of approaches will be integrated as a whole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