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佛敎學報(불교학보)를 통해 본 한국불교연구의 동향

        이기운(Ki Woon Lee),조기룡(Ki Ryong Cho),윤기엽(Ki Yeop Yo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3

        『불교학보』는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에서 발간하는 불교학 전문 학술지로서, 불교교학 불교사 불교문화 전반에 관한 논문을 게재하고 있다. 이 논문집은 1962년 창설된 불교문화연구소에서 이듬해 창간호를 시작으로 2012년 12월 현재 50년 동안 63집을 발간하고 있다. 불교계에 이렇다 할 학술논문집이 없었을 때, 불교계 최초로 창간되어 그동안 불교학자들의 학문적 업적을 발표하는 대변자로서 역할을 충실히 해왔으며, 한국 불교학의 흐름을 보여주고 새로운 학문적 방향을 제시하는 선구 논문집으로서 소임을 다해왔다. 이제 연구원 개원 50주년 63집을 발간하면서, 그동안의 연구성과를 회고하고 불교학보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새로운 50년 불교학보의 나아갈 길을 전망하고자 이 글은 기획되었다. 그동안 불교학보게재논문의 동향을 보면, 다음의 몇가지로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한국불교의 각성을 통하여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게재 논문들은 한국불교의 각성을 통하여 교학사상과 불교사, 불교신앙과 문화에 있어서, 한국불교의 주체성을 밝히고자 노력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교학연구의 탈근대화를 이끌었다는 것이다. 동국대학교가 세워지면서 불교계에는 비로소 현대적 불교교육이 실시되어 불교학자들이 배출되었다. 이들을 중심으로 한 현대적 불교학의 성과들은 『불교학보』를 통하여 학계에 소개되면서 현대적 불교학으로서 학문경향이 학계에서 자리잡는데 선도적 역할을 하게 되었다. 셋째, 종파의 탐구와 禪學의 연구가 깊이 있게 이루어지면서 근본불교부터 대승불교에 이르는 교파의 교학사상을 바로 밝히려는 노력과 선학의 체계적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넷째, 고자료의 발굴을 통하여 한국 불교학 학문적 발전에 기여했다는 점이다. 다섯째, 전통적인 불교학 외에 현대과학과 의학 예술과 관련된 다양한 응용 불교학이 소개되었다. 다음은 앞으로 『불교학보』가 나아갈 길에 대해서는 한국불교학의 정체성을 바로 세우고 미래불교의 비젼을 다음 몇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는 1960년대 이후 2000년대에 이르는 동안 한국 불교학의 硏究推移를 통해서 한국 불교학의 정체성을 이어가고, 한국 불교학의 학문적 토대를 마련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앞으로 전통 불교학을 기반으로 응용 불교학을 더욱 진흥시키는데 초석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는 불교학계의 권위지로서의 위상을 유지 발전시키고, 우수한 신진학자의 학문적 성과를 발표하는 등용문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는 것이다. 끝으로 이와 같은 『불교학보』의 방향설정을 통하여, 우리논문집은 국내저명학술 지로서 만족하지 않고 불교학계의 국제저명학술지로 지향점을 두어 한국 불교학을 국제 불교학계에 널리 알리는 데에도 게을리 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The Bulgyohakbo(Journal for the Buddhist Studies; 佛敎學報) is a professional academic journal issued by the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at Dongguk University, and it is publishing treatises in general on Buddhist doctrinal studies, the history of Buddhism, and Buddhist culture. Beginning with the first issue in 1963 after the foundation of the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in 1962, it has published 63 treatise collections as of Dec. 2012 for 50 years. When there were no treatise collections to speak of, it started its publication for the first time in the Buddhist community. Since publishing its first issue, it has faithfully played a role of a spokesperson presenting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Buddhist scholars, and it has filled its role of a pioneering collection of treatises showing the flow of the Korean Buddhist Research and proposing new directions for the Buddhist research. While we publish the 63rd treatise collection in commemoration of 50th Anniversary of the institute, this writing was planned in order to look back on its academic achievements, ascertain its identity, and to put its course during its new 50 years into perspective. If we get a full review of the treatises which was published in the Bulgyohakbo, tha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reatises published in the magazine confirmed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through disillusion toward Korean Buddhism. This means that they tried to clarify the independence of Korean Buddhism in respect of Buddhist philosophy, the history of Buddhism, Buddhist faith, and Buddhist culture through reopening their eyes to Korean Buddhism. Secondly, they led the modernization of Buddhist doctrinal studies. After Dongguk University was founded, modern Buddhist education was conducted in the Buddhist community, and Buddhist scholars began to be turned out. Their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modern Buddhist research were introduced to the academic world through the Bulgyohakbo, so that this magazine came to play a leading role in establishing an academic trend as modern Buddhist research in the academic circles. Thirdly, as research on Buddhist orders and Seon studies was done in depth, the efforts to correctly illuminate the doctrinal philosophies of all denominations from the fundamental Buddhism to Mahayana Buddhism were made, and a systematic research on Seon studies was done. Fourthly, the excavation of old materials contributed to the academic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t research. Fifthly, diverse applied Buddhist studies in relation to modern science, medicine, and art besides the traditional Buddhist research have been introduced. Next, regarding the course this Bulgyohakbo should take, as far as the task to set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t studies right and the vision of the future Buddhism First,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progress of Korean Buddhist research from 1960s to 2000s, it should keep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and it should prepare the academic foundation of Korean Buddhist studies. Secondly, it should become the cornerstone of the promotion of applied Buddhist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Buddhist research. Thirdly, it should maintain and develop the status of an authoritative journal in the Buddhist academic circles, and it should fulfill the role of the gateway to the publica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s by excellent rising scholars. Finally, through establishing these directions for the Bulgyohakbo, our collection of treatises should aspire toward a well-known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 never satisfied with the status of a famous Korean academic journal, so that it should show no neglect of promulgating Korean Buddhist studies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community.

      • KCI등재

        한국학계의 일본불교연구 동향

        원영상 한국불교학회 2013 韓國佛敎學 Vol.68 No.-

        This paper is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modern trend ofJapanese Buddhism research in the academic world of Korea. First ofall, we can see that the research result on the Japanese Buddhism inKorea for nearly a century are just the beginning. The JapaneseBuddhism did not receive attention from academia until a recent date,although many of the researchers feel superiority to the JapaneseBuddhism because Buddhism was spread to Japan from the KoreanPeninsula by Koreans in ancient era. Nevertheless, it is encouraging thatresearches in various fields of the Japanese Buddhism are proceedingbriskly. Thus, the trend of research in this paper is divided into 7 parts. The first, it is a field of study on the history of communicationin Buddhism between Korea and Japan. This field which continues tobe study recently, is researched on ancient Buddhism based on thehistorical fact that Buddhism was introduced into Japan from theBaekje Kingdom. The Second, the fields of study on the ancient,medieval, and modern Buddhism which had its beginning at the startof the 80`s, are the studies of Japanese Buddhism itself. The third, itis studies on the Buddhism in modern and present age. Many researchresults of this field sparked by studies on modern history in theacademic circles of history, are being achieved from the early 2000s. The fourth, it is the fields of comparative study and literature research. Researchers in this field view the Japanese Buddhism objectively. Thesefields are set in a cultural area of Chinese character like in Korea. Thefive, it is the study on Buddhist literature which is focused on classic works of literature in Japan. The six, it is the studies of Buddhist artand Buddhism culture. The seven, it is the studies on life and death,funeral, and other related fields in Japanese Buddhism which is calledFuneral Buddhism. Lastly, it is the forecast and task on the study of JapaneseBuddhism. This part is treated with holistic assessment of 7 parts inwhich was divided by the volume of research. We need to studyJapanese Buddhism from objective point of view. The study also shouldbe based on the principle of reciprocality between Japan and Korea. The bibliography of last part is a list of research papers and booksquoted in this paper. 본 연구는 근ㆍ현대 한국학계에서 행해진 일본불교에 대한 연구동향을 총괄적으로 살펴 본 것이다. 먼저 한 세기 동안의 일본불교에 대한 한국학계의 연구 성과는 걸음마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일본열도에 대한 불교전파자로서의 우월감은 있으나 일본불교사연구소와 같은 일본불교의 전문 연구기관을 제외한다면 일본불교에 대한 본격적인 학계의 조명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최근 일본불교에 대한 각 분야의 연구가 활성화되는 현상은 고무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구 동향을 7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한일 불교교류사 연구로써 백제가 일본에 불교를 전파한 역사적 사실을 기점으로 고대를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는 분야로 현재에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본격적인 일본불교연구라고 할 수 있는 일본 고대ㆍ중세ㆍ근세불교에 대한 연구 분야로 80년대부터 태동되었다. 셋째, 일본 근ㆍ현대불교의 연구로써 최근 역사학계의 근대사 연구에 의해 촉발되어 2000년대부터 왕성한 연구 활동을 보이고 있다. 넷째, 한일불교 비교 및 문헌연구로 전자와 같은 연구 선상에서 한자문화권이라는 역사적 배경 속에서 일본불교를 객관적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일본 불교문학연구로써 풍부한 일본불교의 고전문학텍스트를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여섯째의 일본 불교미술 및 기타 문화연구와 더불어 불교에서 파생된 다양한 문화를 대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곱째, 생사ㆍ장례 및 기타분야 연구는 소위 장례불교로 일컬어지는 일본불교의 특성에 대한 연구 분야와 함께 불교와 관련된 기타 분야의 연구 현황을 다루었다. 그리고 일본불교연구의 전망과 과제에서는 연구동향을 양적으로 나눈 일곱 분야의 연구에 대한 총체적인 평가를 다루었다. 일본불교 연구는 토착화된 지역불교에 대한 객관적인 연구 시야를 확보해야 함은 물론 상호 호혜적인 입장에 입각한 연구가 활성화 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참고문헌은 본 논문에 인용된 논문과 저술의 전체 목록을 정리한 것이다.

      • KCI등재

        일제시대 불교계 인물들에 대한 연구 성과와 동향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 불교 사상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이덕진 ( Duck Jin Lee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06 禪文化硏究 Vol.1 No.-

        일제시대 불교계 인물들의 불교 사상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한 연구 성과와 동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우선 연구대상이 될 일제시대 불교계 인물들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대상 인물을, 경허선사를 필두로 하여, 백용성, 박한영, 만공선사, 한암선사, 한용운, 권상로의 일곱 스님으로 정하였다. 전체자료를 중심으로 보면 한용운이 제일 많아서 불교와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자료만도 106편으로 전체의 약 27.6%이다. (한용운의 경우 전체 연구 자료는 765건이다.) 다음으로 백용성이 84편으로 전체의 약 21.9%이다. 세 번째는 경허인데 76편으로 전체의 약 19.8%가 된다. 그 다음으로 박한영과 만공 그리고 한암이 각 31편으로 약 8.1%이다. 마지막으로 권상로가 25편으로 약 6.5%이다. 우리는이 통계를 통해서 이 인물들에 대한 불교계의 관심도를 점쳐볼 수 있을 것이다. 그 다음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보면 역시 한용운이 제일 많아서 88편으로 전체의 35%이다. 다음으로 백용성이 53편으로 전체의 약 21.2%이다. 세 번째는 경허인데 43편으로 전체의 약 17.2%가 된다. 그 다음으로 박한영이 21편으로 약 8.4%이다. 그 다음은 만공이 17편으로 약 6.8%를 점하고 있으며, 한암이 15편으로 6%를 점유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권상로가 13편으로 약 5.2%이다. 우리는 이 통계를 통해서 이 인물들에 대한 전문 연구자의 관심도가 불교계의 대중적 관심도와 별로 다르지 않음을 엿볼 수가 있다. 이 일곱 분의 스님에 대한 연구결과를 분석한 결과 이제 앞으로 천착해야 될 총체적인 연구 과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근 현대 불교에 대한 불교계의 관심이, 특히 종단 및 학계의 관심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리고 그 관심은 전문 연구자의 확보와 근 현대 불교에 대한 강좌개설로 이어져야 한다. 둘째, 지난 100년 간의 불교에 대한 제대로 된 자료의 수집과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학제간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일제의 종교정책에 대한 기본적인 정리가 필요하다. 다섯째, 민족운동 독립운동 반봉건운동과 연관된 근 현대 고승들의 사상 및 활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여섯째, 근 현대 불교가 가지고 있던 미래지향적 불교사관을 끄집어내는 작업이 필요하다. In order to study the result and trend of research focused on studies of the Buddhist philosophy of Buddhist monks while under Japanese imperialism, we first selected the people in the Buddhist circle who will be the subjects of the study. As a result, seven monk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beginning with the Rev. Gyeongheo and including Yongseong Baek, Hanyeong Park, the Rev. Mangong, the Rev. Hanam, Yongun Han and Sangro Gwon. With regards to the entire collection of documents, those which mentioned Yongun Han made up the largest group. The documents regarding his relationship with Buddhism numbered 106, making up 27.6% of the entire collection. This was out of a total of 765 research documents referring to Yongun Han, Next came the 84 documents on Yongseong Baek, taking up about 21.9%. 31 documents referred to Hanyeong Park, Mangong and Hanam each, comprising 8.1% of the total. Last, 25 documents referred to Sangro Gwon, making up 6.5%. From these statistics, we will be able to estimate the interest in Buddhism of those monks. Next, looking at the available research papers, 88 papers referred to Yongun Han, 35% of the entire collection. Yongseong Baek followed with 53 papers making up about 21.2%. Third was Gyeongheo with 43 papers, making up 17.2%, Next came Hanyeong Park with 21 papers, comprising 8.4%. After that was Mangong with 17 papers, making about 6.8%, followed by Hanam with 15 papers, totaling 6%, and last was Sangro Gwon with 13 papers, making up 5.2% of the papers. From these statistics, we can see that the interest level of professional research on these monks was not that different from the interests of the public in the world of Buddhism. By analyzing the research results on these seven monks, we could see the research tasks needed for the future. First, the Buddhist circle, especially the involvement of different Buddhists sects and academia on modern and present Buddhism, is definitely needed. And these interests should be followed up with professional researchers and open lectures on modern and present Buddhism. Second, collecting good data on Buddhism for the last hundred years and its systematic research is necessary. Third, cooperative research among academia is necessary. Fourth, basic research surveying the Japanese religious policy under Japanese imperialism is necessary, Fifth, research on the monks philosophy and activities in the modern and present era related to national movement, independent movement, and anti-feudalism movement is necessary, Sixth, a future-oriented Buddhist historical view that modern Buddhism had, needs to be exposed.

      • KCI등재

        Trends of Research on Pre-Modern Korean Buddhism in North America (2000–2021)

        김성욱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2022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 Cultur Vol.32 No.2

        This paper is a survey of the research on Korean Buddhism in North America from 2000 to 2021, highlighting the contributions of scholars from this region. Focusing on the research findings that cover various topics of Korean Buddhism, in particular, of pre-modern times, this paper outlines the trends of research by dividing this period into two eleven-year sub-periods: (1) 2000 to 2010, and (2) 2011 to 2021. The fifty journal articles, book chapters, disserations, and books for the twenty-two-year span can be divided into three topical areas: (1) the meaning, feature, or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m within the Korean or East Asian context, focusing on Korean Buddhism from a religious studies, comparative religions, or socio-political perspectives; (2) the thought and practice of Korean Buddhism, fousing on specific monks, texts, practices, or rituals in Korea; (3) Korean Buddhism from the art historian perspective, including research on Buddhist paintings, statues, temples, or pagodas. The research findings saw an increase in research numbers in the second sub-period in all three topical fields, but these findings are still few in number, which suggests that pre-modern Korean Buddhist studies have not been firmly established in North America. With more materials available through online databases, it is expected that more research will be produced in the future with more diverse approa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