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osers’ Consent or Non-Voter Consent? Satisfaction with Democracy in East Asia

        Timothy S. Rich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2015 Asi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23 No.3

        How do electoral outcomes influence views on democracy among East Asian countries? A sizable literature assesses differences between electoral winners and losers, but few cover East Asian cases. Using cross-national survey data from the Asian Barometer (ABS), this article analyzes the extent to which losers are less satisfied with democracy. Unlike much of the literature, this analysis also addresses a third category: those that did not vote. Empirical analyses controlling for demographic and institutional factors find that both losers and non-voters consistently have lower evaluations of democracy than winners, while losers appear to have less satisfaction than non-voters.

      • KCI등재

        이기호의 『버니』에 나타난 현상의 이중성과 사라진 변화의 가능성

        이규일(Lee, kyu-il)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8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3

        캐서린 흄은 작가에게 주어진 ‘사건, 사람, 상황’ 등에 대해서 ‘변형시키고 싶은 욕망’이 환상을 만들어낸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사는 발화자의 시각에 의해 선정되어 재해석된 이야기이므로 태생적으로 환상성을 지닌다. 그리고 반복된 환상은 우리를 시뮬라크르의 세계로 인도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는 환상이 감추고 있는 실재는 무엇이며, 환상은 우리에게 어떤 작용을 하는가를 밝히는 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가 접하고 있는 현상의 이중성과 그것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 된다. 이런 점에서 이기호의 「버니」는 합의된 적 없는 폭력을 합법화한 현실을 환상 속에 감춰둔 좋은 예시가 된다. 그가 바라보고 있는 사회적 문제의식은 학교라는 공간에서 시작한다. 학교는 학생에게 필수 지식을 전수하여 인재로 육성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그러나 작가의 눈에 비친 학교는 사회화라는 단어 뒤에 욕망의 거세와 가능성의 삭제가 자행되는 인형극 마당이다. 그곳에서 벌어지는 교육은 사실상 낙오자에 대한 낙인의 다른 명명이다. 「버니」는 끝없이 사회화와 비사회화의 경계를 비웃는다. 이 작품은 교육 받은 자는 낙오자를 저속하다 말하지만, 오히려 ‘나’는 교육 받은자의 위선을 경박한 리듬으로 폭로한다. 작가는 의도적으로 기의를 비틀어 경계를 지으려는 교육받은 위선자들에게 ‘바구니’라는 주인공의 별명을 되돌려준다. 「버니」는 낙오자의 한심스런 인생을 경박한 리듬으로 노래한다. 그러나 경박한 리듬 뒤에는 우리의 삶이 사회라는 극작가에 의한 인형극이 되었다는 사실이 숨겨져 있다. 그리고 누구도 이러한 마당극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사실이 저속함을 만들어 내는 환상 속에 감춰져 있다. 따라서 이기호의 「버니」의 실험적 문체는 단순히 수사법에 관한 논의로 끝나서는 안된다. 「버니」는 교육을 통해 스스로 덮어쓴 언어의 감옥에 대한 비판의식으로 재해석되어야 한다. Kathryn Hume insisted that the desire of transformation created fantasies about events, human and situations given to a writer. A narration has a fantasy by nature since it is chosen and reinterpreted by the narrator’s point of view. Moreover, the repeated fantasy guides us to the world of simulacre. In this circumstances, we need to find out the existence that the fantasy hides and how the fantasy affects on us. Thus,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duality of phenomena and its meaning that we encounter. In this way, “Bunny” by Lee ki-ho could be a great example that hides the reality in fantasies. The reality legalized the violence that has never been agreed. The writer’s awareness on social problems starts from the space, a school. A school is an organization that conducts a mission of rearing students into outstanding individuals by delivering essential knowledge. However, from the writer’s point of view, the school is a puppet theater that conducts the castration of desire and the elimination of possibilities with the word of socialization. In fact, the education in school is another call for stigma to losers. “Bunny” mocks the boundary between socialization and desocialization endlessly. Even though the educated said that losers are vulgar, ‘I’ in “Bunny” disclosed hypocrisy of the educated with a frivolous rhythm. The writer gave the nickname ‘basket’ of the main character back to the educated hypocrite. Through this, the writer criticizes the educated hypocrite who try to make a boundary by twisting the signifié intentionally. “Bunny” sings the pathetic life of losers with a frivolous rhythm. However, it is hidden that our life became a puppet show by the playwriter so called a society. Also, the fact that nobody is able to get away from the puppet show is hidden in the fantasy of vulgarness. Thus, the experimental writing style of “Bunny” by Lee Ki-ho should not be discussed in a simple rhetoric matter. “Bunny” should be reinterpreted as criticism on the prison of language that is covered voluntarily through education.

      • KCI등재

        선거과정과 결과에 대한 당선자와 낙선자의 인식차이: 제17대 국회의원선거 출마자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조진만,최준영,이동윤 세종연구소 2005 국가전략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mpirically if there exist perceptual differences between winners and losers with respect to electoral results and process, utilizing the survey on the candidates in the 17th Congressional Election. Our findings are as follows. In terms of electoral results, winners tend to think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abilities as the main factor for their victory. In contrast, losers tend to perceive the factors that were beyond their control such as regionalism or voters' identification on a particular political party are mostly responsible for their defeat. This finding suggests that Kingdon's congratulation-rationalization hypothesis is also applicable to the Korean case. On the other hand, empirical tests based on the satisfaction index on the electoral process indicate that winners tend to show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electoral process than losers do. With few exceptions, our findings hold even after other relevant variables are controlled, which signifies the solidity of our empirical findings. 본 연구는 선거과정에 후보자로 참여한 당선자들과 낙선자들의 유권자들에 대한 믿음이 차이를 보인다는 킹던의 주장과 논리를 수용하여, 제17대 국회의원선거에서 선거 과정(선거과정 만족도)과 결과(당락 결정요인)에 대한 당선자들과 낙선자들의 인식 차이를 설문조사를 토대로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그 동안 기존 연구에서 표본 수의 문제로 진행시킬 수 없었던 다양한 통제집단들을 설정하여 킹던의 주장과 논리가 한국의 사례에도 적실성을 갖는가 여부를 다각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제17대 국회의원선거에 출마한 당선자들의 경우 낙선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선거과정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개인적 수준에서 통제가 가능한 후보자 요인들로 인해 선거결과가 결정되었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남에 따라 킹던의 주장과 논리가 한국의 사례에서도 상당한 적실성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이 판명되었다. 그러나 특정 통제집단(선거출마 경험이 없는 출마자 집단)에서의 연구결과는 킹던의 주장과 논리가 적용되지 않는 영역도 충분히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중년남성 탈모자들의 두피 및 탈모관리 행동에 관한연구

        이은주 ( Eun Ju Lee ),이근광 ( Keun Kwang Lee ) 한국미용학회 2010 한국미용학회지 Vol.16 No.3

        This paper presents a research survey on the behavioral of scalp, and care of losing hair of middle aged men`s hair-losers in parts of Jeounju province. As for the shampoo period, shampoo everyday was the most replied by 71.6%, showing a statistically valid difference by age, education and average sleeping hours per day (p<.01). As for the hair cleanser, functional shampoo was the most replied by 50.3%, showing a statistically valid difference by marital status, education, occupation and average monthly income (p<.05). As to whether or not to care scalp and hair-losing that is part of items regarding actions for scalp and losing hair care, do care was the most replied by 47.5%, showing a statistically valid difference by marital status, education, occupation, average monthly income, smoking, and average sleeping hours per day (p<.05). In addition, except 25 men who do not make head skin care usually, 158 men replied the most for professional care by 31.0%, showing a statistically valid difference by education, occupation, average monthly income, smoking, and average sleeping hours per day (p<.05). As for the average number of professional scalp and losing hair cares, once a month was replied the most by 37.3%, showing a statistically valid difference by education, occupation, average monthly income, and drinking (p<.05). As for the monthly expenditure for scalp care, `below 30,000 Won` was replied the most by 36.7%, showing a statistically valid difference by education, occupation, drinking, and average sleeping hours per day (p<.05). As for the effect to make scalp problem and hair losing better by scalp, so-so was replied the most by 50.0%, showing a statistically valid difference by education, occupation, average monthly income, and smoking (p<.05). As to whether or not to take or use medicines for scalp care, `had taken or applied` was replied the most by 71.5%, showing a statistically valid difference by age, education and occupation (p<.01). As to whether or not to put a wig on, do not use was replied the most by 89.6%, showing no statistically valid difference (p>.05).

      • KCI등재

        Is There a New “Extremism of the Centre” in Germany?

        Ralf Havertz 한독사회과학회 2021 한독사회과학논총 Vol.31 No.4

        세이무어 마틴 립셋은 바이마르 공화국의 여러 계급의 투표행태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중도의 극단주의”라는 개념을 발전시켰다. 그는 계급과 정치적 행동, 특히 투표 사이의 연결을 가정하고 정치적 연속체 - 좌파, 우파, 중도 - 의 각 위치에 대해 잠재적인 민주주의 버전과 극단주의 버전이 있다고 주장했다. 최근 독일에서 급진적 우파 포퓰리즘 이 부상함에 따라 립셋의 테제가 이러한 정치적 현상에 적용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이 제기되었다. 이런 맥락에서 이 연구는 먼저 립셋의 이론 및 한스-게오르그 베츠에 의해 처음 도입된 립셋의 접근 방식의 변형으로 볼 수 있는 현대화의 패자 테제에 대해 살펴본다. 나아가 이 두 가지 이론적 접근이 독일에서 급진적 우익 포퓰리즘의 출현에 대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와 정도를 탐색한다. 립셋의 테제는 투표행태 분석을 기반으로는 검증할 수 없었다. 전반적으로 증거는 중도의 극단주의 이론보다는 현대화의 패자 테제를 더 강력히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급진적 우파 포퓰리즘은 중도의 극단주의에서 기인하는 현상이라기보다는 미래의 손실과 사회적 하향 이동이라는 두려움에 대한 반작용으로 보인다. Seymour Martin Lipset developed his concept “extremism of the centre” based on his analysis of the voting behaviour of different classes in the Weimar Republic. He assumed a connection between class and political behaviour, especially voting, and claimed that for each position on the political continuum – left, right, and centre – there is a potential democratic and an extremist version. With the recent rise of radical right populism in Germany, the question emerged whether Lipset’s thesis can be applied to this political phenomenon. This study gives an account of Lipset’s theory and also of the losers of modernization thesis, which was first introduced by Hans-Georg Betz and can be seen as a variation of Lipset’s approach. It explores whether and how far these two theoretical approaches have any explanatory power for the emergence of radical right populism in Germany. Lipset’s thesis could not be verified based on the analysis of voting behaviour. Overall, the evidence supports the losers of modernization thesis more strongly than the extremism of the centre theory. Radical right populism appears to be more a reaction to fears of future losses and social downward mobility than a phenomenon that could be attributed to an extremism of the centre.

      • KCI등재

        열등의식의 문학적 탐구 : 김승옥의 「더 많은 덫을」에 대하여

        김영찬(Kim Young-chan),김승옥 한국근대문학회 2010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1 No.1

        김승옥은 1966년 대중적 상업주간지인 『주간한국』이 지령 100호 기념으로 지식인 100명에게 투표를 의뢰하여 발표한 ‘오늘의 작가’에 선정된바 있다. 김승옥의 소설 「더 많은 덫을」은 그 선정결과가 발표된 『주간한국』 100호 기념호에 〈100인이 선정한 ‘오늘의 작가’의 ‘오늘의 작품’〉이라는 타이틀 아래 실린 것이다. 김승옥의 소설 「더 많은 덫을」은 그동안 독자의 기억에서나 문학연구의 영역에서나 유실되었던 작품이다. 그러나 「더 많은 덫을」은 ‘서울에서 산다는 것’에 임상심리 보고서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이 시기 그의 다른 작품과 비교할 때 작품의 질에서도 당연히 뒤떨어지지 않는다. 이 소설에서 주목되는 것은 전라도에서 상경한 촌놈으로서의 자의식, 그리고 그와 얽혀 있는 당대 한국사회의 사회문화적 환경과 사회심리의 표정, 그에 대한 심리적 반응 등이 거의 날것 그대로라 할 만큼 생생하게 증언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런 측면에서 이 소설은 김승옥 소설의 배면에 은밀하게 깔려 있는, 열등의식 가득찬 고단한 ‘상경 촌놈’의 내면풍경을 그 특유의 미려한 장식을 걷어내고 더욱 깊숙이 들여다볼 수 있는 흥미로운 자료로서의 가치도 높다. 김승옥의 소설 「마지막 덫을」은 비루한 자기보존을 위해 남모르는 안간힘을 써야 하는 소외된 열등생의 불행하고 눈물겨운 자의식의 분투를 보여준다. 그런 측면에서 이 소설은 너무나 욕된 생활 속을 죄충우돌 살아가야 했던 열등한 상경 촌놈들의 ‘서울살이’에 대한 또 하나의 눈물겨운 임상심리 보고서다. 그런 가운데서도 이 소설은 김승옥의 여타 임상심리 보고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준다. 그것은 ‘열등생’이라는 김승옥 고유의 토픽이, 열등감의 사회경제적 배후와 지역차별에 대한 문제의식과 결합되면서 한층 구체적이고도 집중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더욱이 전라도 출신에 대한 차별과 편견이라는, 사회적으로 중요하지만 문학에서 쉬 발설되지 않았던 민감한 문제를 소설 속으로 적극적으로 끌고 들어온 것 자체만으로도 이 소설이 갖는 문제성은 크다. 무엇보다 이 소설이, 소외된 주변의 욕망을 관리하는 동시에 식민화하는 1960년대 한국사회 근대화 과정의 심리적 결과를 화자의 복잡 미묘한 갈등의 굴곡을 통해 정면으로 포착하고 있다는 사실은 중요하다. 그런 측면에서 이것은 ‘서울에서 산다는 것’에 대한 김승옥식 임상심리 보고의 연장이자 그 사회문화적 구체화라 할 만하다. Seung-ok Kim was selected in 1966 as a “writer of the day” in the poll made by a popular magazine Weekly Korea; his fiction 「Even More Traps」 was published in the magazine as a "fiction of today novelist of today" selected by one hundred people. 「Even More Traps」 has been neglected by common readers and literary scholars. However, it is significant as a report of clinical analysis of ‘living or surviving in Seoul’ and comparable to his other works in terms of quality. What draws our attention in the work is that the psychological dynamism of the main character is so vividly described naked: his self-consciousness as a churl from the Cholla Province, a wretched rural area in Korean history; his psychological response to the socio-cultural milieu and mentality of the Korean society at the moment. In this respect, 「Even More Traps」 can be called a hard-boiled testimony of the inner landscapes of a churl who has come to Seoul, undecorated with the writer’s characteristic refined style. The writer carries out a more detailed profound investigation of his own topic of ‘losers’, regarding the socio-economic backgrounds of inferiority complex and the criticism of unjust discriminations against the rural. Furthermore, it is noteworthy his attempt to shed light on the sensitive issue-the discrimination and prejudices of those who are from the Cholla Province, for it has been neglected in literature in spite of its social connotation. More fundamentally, it is important that 「Even More Traps」 faces the psychological outcomes of the modernization of Korean society in 1960’s by the means of the dramatization of sophisticated inner conflicts of the narrator; it is a detailed version of the writer’s signature analysis of society from a clinical perspective.

      • KCI등재
      • KCI등재

        불가리아 영화 『갈증』과 『수업』 연구

        홍상우 ( Sangwoo Ho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8 슬라브연구 Vol.34 No.4

        불가리아 영화는 동유럽 영화사에서 인접 국가들과는 달리 주목받지 못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불가리아 영화는 권위있는 국제영화제에서 평가를 받기 시작했으며, 경쟁 부문에서 수상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불가리아 영화사 100주년을 맞이했던 2015년을 전후로 ‘불가리아 뉴웨이브’라는 용어가 생겨날 정도로 많은 작품들이 평단의 지지를 받았다. 본고에서는 2015년 제 15회 전주국제영화제에 출품되었던 영화 『수업』과 2016년도 소피아국제영화제 불가리아경쟁 부문 대상 수상작인 영화 『갈증』을 통해서 현대 불가리아 영화의 경향을 일부나마 파악해보았다. 최근 각종 권위있는 영화제에서 발표되는 불가리아 영화는 지역성과 보편성을 고루 갖추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앞에서 거론된 두 작품 모두 불가리아의 수도와는 거리가 먼 어느 벽지를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그곳에서 일어나는 일들은 인간의 보편적인 욕망, 혹은 어느 사회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사건들을 다루고 있다. 인간의 근원적인 욕망, 즉 성적인 욕망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는 영화 『갈증』은 성년의 문턱에 있는 소년과 소녀의 성적인 욕망을 에로틱한 형상보다는 생명의 근원으로서 묘사하고 있다. 영화 『수업』이 제기하는 문제는 앞에서 언급한 『갈증』과 비교하여 좀 더 사회적인 것이다. 주인공의 직업이 교사이며, 주요 사건이 학교에서 일어난다는 점에서 영화가 주는 사회적 메시지는 더욱 강하다. Bulgarian films have not attracted attention in Eastern European film history, unlike neighboring countries. In the 2000s, Bulgarian films began to be evaluated at prestigious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and more and more were awarded in the competition. Around the year 2015, when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Bulgarian Film Company was celebrated, many works have been supported by the critics, with the term ‘Bulgarian New Wave’ being born. In this article, I tried to grasp the trend of modern Bulgarian films in detail through the movie The Lesson which was presented at the 15th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n 2015 and the movie The Thirst which won the Grand Prize at the Sofia International Film Festival Bulgaria Competition in 2016. Bulgarian films, which have recently been announced at various prestigious film festivals, are characterized by their regional and universal characteristics. Although both of the works mentioned above are based on the village that is far from the Bulgarian capital, what happens there is dealing with human universal desires or events that can occur in any society. The movie The Thirst, which talks about human fundamental desires, sexual desires, depicts the sexual desires of boy and girl at the threshold of adulthood as a source of life rather than an erotic image. The problem posed by the movie The Lesson is more social than The Thirst mentioned above. The social message of the film is stronger in that the hero's occupation is the teacher, and the main event happens in the school.

      • KCI우수등재

        패자에 대한 경제학

        이인호 ( In Ho Lee ) 한국경제학회 2021 經濟學硏究 Vol.69 No.2

        본 연구는 패자에 대한 보상이 시장 경쟁에 가져오는 효과를 시장 참여자들에 대한 유인 제공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쟁에서 성공 시와 실패 시 받게 되는 보상의 상대적 차이가 기술 혁신에 대한 투자의 크기를 결정하는 모형을 분석한다. 경쟁에서 승자와 패자가 받는 보상의 차이는 흥미로운 양면적 역할을 하게 된다. 승자와 패자가 받는 보상의 차이가 경쟁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열심히 노력할 유인을 제공하지만 이 차이가 너무 크다면 애초에 경쟁에 참여하는 것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다. 기업들의 경쟁 참여 유인을 주기 위한 방법으로 패자가 겪게 되는 상대적인 손해는 유지하면서 전체적인 보상의 수준을 동일하게 올리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f compensation for losers on competition in terms of providing incentives to market participants. We consider a model in which the relative difference between the rewards received in case of success and failure in competition determines the size of investment in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difference in rewards between winners and losers in competition plays an interesting dual role. While the difference in rewards between winners and losers provides incentives to work hard, if the difference is too large, it prevents them from participating in the competition in the first place. To encourage participation in competition, we suggest increasing the overall level of compensation while maintaining the relative loss suffered by los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