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인프라로서의 커뮤니티 공간 시설 복합화 유형에 관한 연구

        이지미 ( Lee Jim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 배경 및 목적) 지역 공동체 구성원들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은 공동체 활성화를 촉진하는 사회적 인프라로 분류될 수 있다. 더불어 다양해진 지역민들의 요구수용과 높은 토지비용, 공간 조성에 수반하는 비용 문제를 해결하는 효율적 대안으로 시설 복합화 방식이 큰 흐름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커뮤니티 공간의 시설 복합화는 제한된 토지 사용과 비용 효율화의 필요성을 넘어 지역 공동체 구성원의 다양한 욕구 실현과 지역 정체성 확립에 이르기까지, 건축을 통한 다양한 프로그램 수용이 불가피한 현대건축이 당면한 상황을 반영한 특징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배경 아래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공간 활용 특성을 도출하고 지역 커뮤니티 공간 시설 복합화 양상을 유형화하여 사례 연구를 통해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를 통해 지역 커뮤니티 공간 활용 특성 도출과 시설 복합화 유형에 따른 사례 분석을 통해 지역 커뮤니티 공간 시설 복합화 양상의 실제상황을 살펴본다. (결과) 지역민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은 지역 공동체 유지와 활성화를 위한 필수적인 공간으로 공공공간과 그 특성을 공유한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 공동체 활성화 촉진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 사례 분석을 위해 지역성, 개별성, 접근성, 공유성, 다양성, 안전성 등 6개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지역 커뮤니티 공간 유형으로는 지역 특성을 기반으로 개별 커뮤니티 공간의 중심기능에 따라 공공행정 기관 중심, 학교 시설 중심, 문화 편의 시설 중심 등 3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사례 분석 결과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해당 지역 주민들의 요구수용을 바탕으로 공간의 중심기능을 선정하고 선정된 특정 기능이 중심되어 커뮤니티 공간이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커뮤니티 공간의 시설 복합화의 실질적인 이득은 지역 공동체 내부의 만성 민원의 해결뿐만 아니라 지역 공동체 주민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화합 도모에 이르기까지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다. (결론) 지역 정체성 확립과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공간 조성을 위해서는 각 지역 특성에 적합한 복합화 유형을 선택하고 그 유형에 따른 공간 조성이 이루어질 때 커뮤니티 공간 조성의 본래의 목적인 지역 공동체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다는 점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커뮤니티 공간 복합화 양상 자체가 최근 10년 사이에 두드러지게 나타난 현상이고, 시설 복합화를 통해 다양한 유형의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겠다는 정부 정책을 고려한다면 앞으로 커뮤니티 공간 시설 복합화 유형에 대한 더욱 면밀한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Background and Purpose) Community spaces for local community members can be classified as a social infrastructure that revitalizes the community. In addition, mixed-use facilities have become a general trend as an efficient alternative to meet the diverse needs of local residents, high land costs, and the cost problems accompanying the creation of a space. The mixed-use community spaces are also a feature that reflects the current situation facing modern architecture; it is inevitable to accept various programs through architecture beyond restricted land use and the need for cost efficiency to realize diverse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members and to establish a local identity. Under this social background,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meaning through case studies by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utilization to revitalize the local community and by categorizing the mixed-use facility aspect of local community spaces. (Method) It derived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y spaces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examined the actual situation of mixed-use facility aspects of local community spaces through case analysis. (Results) The community spaces for local residents are essential for maintaining and revitalizing the local community; they share the characteristics with public spaces. Based on this, six characteristics, such as locality, singularity, accessibility, commonality, diversity, and safety, were derived for the case analysis of community spaces to revitalize the local community. The local community spaces c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centered on public administrative agencies, centered on school facilities, and centered on cultural amenities by the main function of individual community spaces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ain function of the space was selected based on the needs of the local residents to revitalize the local community, and the community spaces were built focusing on the selected specific function. The tangible benefits of mixed-use community spaces have been shown in various form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community, from solving chronic complaints within the local community to working on harmony by operating various programs for local residents.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uch spaces could contribute to revitalizing the local community, which was the original purpose of creating a community space when a complexity type suitable for each region was selected. Space was created according to the type for creating the community space to establish the local identity and revitalize the community.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mixed-use aspect of community spaces has emerged prominently in the last 10 years, and the government policy promotes building various types of community spaces through mixed-use facilities, a further in-depth study on the mixed-use type of community spaces may be needed.

      • 여가레크리에이션을 통한 지역사회 발전의 방향적 탐색

        강현욱 ( Hyun Wook Kang ) 한국여가웰니스학회 2012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Vol.3 No.1

        지방자치와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여가레크리에이션을 쉽게 즐길 수 있는 환경조성을 위해서는 차별화 된 지역 특성을 파악하고, 보유하고 있는 자원의 장점을 알아보고, 역사성과 연계한 문화산업의 육성전략이 필요하다. 첫째, 지역사회레크리에이션 조직의 활성화 방안으로 지역 사회 레크리에이션을 위한 행정적 조직을 활성화하여 지역주민이 효과적인 레크리에이션을 즐길 수 있도록 기본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신체적 레크리에이션은 시설의 제공 없이는 그 활동이 거의 불가능하며 시설이 좋으면 지역 주민들에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준다. 셋째, 지역사회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의 효율적 개발과 운영을 위해서는 지역 사회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전담하는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좋고, 홍보활동을 적극적이어야 하며, 지역사회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다양화해야 한다. 넷째, 지역 사회레크리에이션 지도자의 활성화 방안으로, 지도자의 전문화, 근무조건을 개선으로 타 직종보다 나은 보수를 보장하여야 할 것이다. Developed countries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prosperity of local communities and regard competitiveness of local communities almost same as national competitiveness. Those countries introduced an idea of governance which local community members can participate in policy decisions and solve the problems by themselves. Governance is the idea that community members propose, accept, judge, and approve cases with local cooperation. It can make a decision faster, improve public welfare, create more employment, in the end, brings out groth and benefits in local community. In order to foster leisure-friendly environment under local self-government not only for local communities but also for visitors, it is necessary to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 of local community for differentiation strategy, to understand strong points of various resources that local community has, to enhance cultural industry connected to a native culture. Suggested strategies for revitalization of local community recreation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local community recreation organizations should be consolidated. Second, local community recreation facilities should be amplified. Third, local community recreation programs should be created. Forth, local community recreation leaders should be upgraded.

      • KCI등재후보

        지역매체 이용과 지역사회관계 활동에의 참여가 지역사회 유대 및 관여에 미치는 영향

        오미영(Mi-Young Oh)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08 언론정보연구 Vol.45 No.1

        본 연구에서는 지역TV, 지역신문, 케이블TV와 같은 지역매체 이용과 지역매체사가 행하는 다양한 지역사회관계 활동에 대한 참여가 지역민의 지역사회 유대 및 관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지역언론이 지역정체성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실증적인 차원에서 점검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지역매체 이용과 지역매체사가 행하는 지역사회관계 활동에 대한 참여는 지역사회 유대 및 관여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부 공중파TV 방송사 지역프로그램에 대한 시청과 강원지역 일간지구독은 지역사회 유대 및 관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앙 일간지나 원주지역 무가지 구독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 공중파TV 방송사가 행하는 지역사회관계 활동에 대한 참여는 지역사회 유대 구성요소 중 일체감과 애착에 그리고 B 공중파TV 방송사가 행하는 지역사회관계 활동에의 참여는 지역사회 유대와 관여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원주지역 무가지가 행하는 지역사회관계 활동에의 참여는 어떤 유의미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지역매체 이용과 지역사회관계 활동에의 참여가 지역사회 유대 및 관여에 미치는 영향은 거주민 유형, 매체유형, 매체사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언론이 지역정체성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오늘날과 같은 다매체 다채널의 매체환경 속에서 지역언론의 존재 의의를 제시해 준다고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iagnose the possibility of local media's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community identity. It investigated how the use of local media, such as local TV, local newspaper, and local cable TV, and the participation in diverse community relations activities, which is held or sponsored by local media, affect community ties and involvement.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01 residents in Wonju City. The finding shows that residents' use of local media and participation in community relations activities partially influenced community ties and involvement. In other words, watching some local TV programs and subscription to local daily newspapers had meaningful impacts on community ties and involvement, while the use of metropolitan daily newspapers or Wonju area's free newspaper shad no meaningful impacts on community ties and involvement. Moreover, the participation in community relations activities held or sponsored by a specific local media had meaningful impacts on identification of and attachment to the community-the components of community ties. In contrast, the participation in community relations activities held or sponsored by Wonju area's free newspapers had no meaningful impacts on both community ties and involvement. Meanwhile, the use of local media and participation in community relations activities had different effects on community ties and involvement according to resident type, media type, and media company. This study suggests that local media can contribute to forming community identity, thereby confirming why local media must exist in today's multimedia and multi-channel environment.

      • KCI등재

        지역공동체로 나아가는 기독교교육

        김도일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6 기독교교육논총 Vol.47 No.-

        현대는 사회학적으로 볼 때 불확실성, 위험, 소통부재와 고독의 시대이고, 인류문화학적으로 볼 때는 다음세대를 키워내는 마을이 사라진 시대이며, 교회사적으로 볼 때는 교회가 사회로부터 게토화 혹은 분리된 시대이다. 현대 교회는 조직신학적으로 볼 때 모이는 교회, 보이는 교회에 치중하다보니 흩어지는 교회, 보이지 않는 교회의 사명, 즉 하나님의 백성인 교회의 사명 수행은 잘 하지 못했다. 또한 현대 교회는 지역사회의 필요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여 신뢰를 잃었으며 결과적으로 교회의 수적, 질적 침체를 경험하게 되었다. 총체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 현대 한국교회가 신앙공동체이면서 동시에 지역공동체로서 존재하는 것은 교회론적으로 볼 때 당위성을 지닌다. 교회는 하나님의 백성이며 하나님의 백성은 지역사회에서 지역공동체로 나아가는 신앙공동체, 생활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이는 기독교교육이 기존의 교회 건물 안 교육을 넘어서서 지역사회로 나아가 가정, 교회, 마을을 통합하는 학습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말이다. 선교가 하나님의 선교(미시오 데이)인 것처럼, 교육도 역시 하나님의 교육(에듀카치오 데이)인 것이다. 하나님의 교육이 지역공동체 속에서 실현되려면 기독교교육은 신앙인들로 하여금 신앙공동체의 언어와 지역공동체의 언어를 통합적으로 구사할 수 있도록 이중언어교육을 수행하여야 한다. 무엇보다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이들을 타자화하고 객체화하여 오직 전도나 섬김의 대상으로만 삼지 말고 그들과 함께 존재함을 인지하는 자세를 견지하여야 한다. 기독교교육이 지역공동체로 나아가려면 디아코니아를 책임으로 인지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공정하고 진정한 환대를 실천해야 하며 예수님이 지상에서 사역하실 때 그랬던 것처럼 마을사람들과 함께 하는 코이노니아 정신을 실천해야 할 것이다. 한국교회는 한때 개인을 구원하고 가정의 부모를 깨우며 마을을 살리고 나라를 일으키는 교회였다. 그때는 교회가 진정한 신앙공동체의 정체성을 갖고 있었고 지역사회의 자랑이었고 신뢰의 대상이었다. 어느덧 비난의 대상이 되어 잃어버린 신뢰를 되찾기 위해서는 교회의 진정한 본질을 회복해야 한다. 하나님의 백성으로 이루어진 교회는 거룩한 신앙공동체이며 동시에 지역 속에 존재하면서 지역사회로 향하는 지역공동체를 이루어나가는 생활공동체가 되어 존재하는 곳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어 나아가야 할 것이다. 바로 이 하나님의 교육이 실현되는 것을 위하여 기독교교육은 교회로 하여금 지역사회에서 지역사회와 동떨어진 신앙공동체만을 이루는데 주력하는 데에서 벗어나 경계를 허물고 지역사회 속에서 학습, 돌봄, 문화의 지역공동체로 나아가는 교육선교적 사역을 감당하며 공존공생의 정신을 실천하게 하는 구체적인 연구를 계속 수행하여야 한다. "Educatio Dei" in and with Local Communities Doil Kim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This article is a culmination of research on the role/essence of church and Christian education in relation to local community. According to sociological perspectives our modern era is characterized by uncertainty, perennial danger, absence of communication, and absolute loneliness. It also fails to keep healthy communities (마을: maeul) in which future generations can grow as it incubates according to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In addition, our modern era is one in which churches have been isolated from communities and have become ghettos in recent Korean history. Modern churches which focused on the Ecclesia visibilisand Ecclesia of gathering too much  seemed to have failed to be the Ecclesia invisibilis and Ecclesia of scattering into the communities. How can we take part in healing this modern society? Can the church cure this sick society? With these kinds of quests in mind this research had begun. Church is the body of Christ and is not a building or the system itself although such are important elements. The church, being the people of God, did not figure out the needs of local communities in general and lost its trust in society. As a result the church is experiencing stagnation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Churches in Korea need to realize that they are a faith community not apart from communities but coexisting with local communities as well. The role of Christian education for the church is to let the church (people of God) realize its role and reason for being the church in the local community. The church needs to be not only the faith community but to go beyond the boundaries of faith community and become the life community in local areas. It means that Christian education must not be limited to the inside of a church builidng. Christian education needs to go beyond its building and create a learning ecosystem that embraces families, churches, and local communities. If the mission of the church is in essence the mission of God (Missio Dei), then the education of the church is also the education of God (Educatio Dei). This means that although it seems that humans perform all kinds of education for God’s creation, it is God in fact that carries out education. If this education of God is fulfilled in local areas, then Christian education needs to focus on educating the church to be equipped with the language of both the faith and local communities—this is called a bilingual education. The church must not regard people who exist outside of faith community as objects of evangelization. In fact the church exists in local communities and is part of them. Moreover, God so loved the “world” (cosmos) and gave His only begotten Son for all people, not just the people who are inside the faith community. For many years the church and Christian education felt their responsibility was to only spread the Gospel and serve the community (spirit of diakonia). But the church needs to overcome this attitude of “help” and be able to coexist with people in local areas (spirit of koinonia). There was a time when churches in Korea played the role of saving individuals, awakening parents, and reviving both communities and the nation with the spirit of the Gospel.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church had its healthy identity in balance and was the symbol of pride for the local people. However iteventually became a target of criticism as it lost its trust from society. The church needs its trust back from society which will only be possible when it restores its true essence and identity as the church of Christ. In order to regain society’s trust the church, as God’s people in local communities, must be the life community and be an example of true believers with its words and actions in local communities. ...

      • KCI등재

        지역사회경찰활동 활성화를 위한 지역치안협의회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김재운(Kim Jae Woon) 한국공안행정학회 2012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1 No.3

        전통적으로 경찰은 순찰을 통해 범죄를 예방하고 사회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경찰의 노력만으로는 범죄를 예방할 수 없다는 연구결과가 많이 나타났으며, 경찰은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범죄와 무질서에 대처하려는 인식의 전환이 일어났다. 경찰활동의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보완하기 위해 지역주민과의 협력을 통해 범죄를 예방하려는 접근방식이 지역사회 경찰활동이며,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다기관 협력방식의 지역치안활동이 전국적으로 시행되었다. 즉 2008년 이명박 정부가 출범하면서 경찰과 지방자치단체의 주도로 지방의회, 교육기관, 언론기관, 민간단체 등이 참석하여 법질서를 확립하고 치안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한 '지역치안협의회'를 발족하였다. 우리나라 지역사회의 종합적인 치안협력 네트워크 기구인 지역치안협의회가 지역사회경찰활동이라는 세계적인 추세에 맞추어가기 위해서는 지역사회경찰활동의 핵심적 구성요소인 전략지향 경찰활동, 이웃지향 경찰활동, 문제지향 경찰활동, 그리고 경찰활동의 분권화라는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점을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첫째, 지역치안협의회는 관계자 대부분이 지역사회의 기관장이나 단체장의 정기적인 친목 모임정도로 여기고 있는 실정이며, 지역사회의 범죄와 무질서를 통제하기 위한 지역사회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전략적 차원의 경찰활동은 수행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지역치안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참여 기관별 세부계획을 수립하여 정기적으로 진행사항을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경찰과 지역사회의 원활한 치안협력을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범죄와 무질서에 관한 전문적 식견이 있는 경찰관을 자치단체에 파견하고, 전국적인 지역치안전략 수립을 상담지원하고, 관련 공무원을 교육하며, 정보공유를 담당한 중앙단위의 전략지원팀의 설치가 필요하다. 둘째, 지역치안협의회 운영에 있어서 경찰과 지역주민과의 의사소통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으며 지역주민들은 경찰활동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는 등 이웃지향경찰활동이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현재 관변단체장 위주의 협의위원에 지방의원이나 이ㆍ통장 등 지역주민을 대표하는 인사가 위촉될 수 있도록 개선하여야 하며, 중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지역치안협의회에서 지역주민의 의견을 직접 청취하여 지역사회의 문제점을 공유하여야 한다. 셋째, 지역치안협의회는 지역사회에서 범죄와 무질서에 관한 문제점이 무엇인가를 파악하기 보다는 기관장의 치안활동이나 성과를 지역사회에 홍보하는데 치중하고 있어 문제지향 경찰활동이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협의위원들이 순차적으로 소관업무에 관한 지역사회의 치안문제를 발굴하여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회의진행을 실질화시킬 필요가 있다. 넷째, 지역치안협의회는 지역사회내 기관과 단체간의 네트워크 형성에만 치중하여 내부 직원에 대해서는 전통적인 경찰활동과 같이 공식적인 명령에 의한 준군대적 조직체계를 고수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치안협의회를 통한 지역사회경찰활동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경찰의 의사결정체계를 중간관리층에 위임함으로써 지역실정에 맞는 경찰활동을 수행할 필요가 있고 나아가 경찰활동을 수행하는 내부 경찰관의 직무만족도가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점이 보완된다면 지역치안협의회는 경찰과 지역사회의 협력방식에 의한 지역사회경찰활동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지역주민들에게 범죄와 사고로부터 안전한 삶을 보장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다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olice have traditionally played a role of preventing crime through patrol and maintaining public safety and order in society. However, many studies since 1970's indicated that the mere efforts of police cannot completely prevent crimes and the police started to cope with crimes and chaos in cooperation with community. An approach to prevent crimes in cooperation with commun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olicing is called community policing, which is recently presented as nation-wide community-based local security activities in Korea supported by multiple agencies. In this respect, 'Community Safety Committee' launched to establish law and order as well as infrastructure of public order with the participation of local council, educational institution, press, and private organizations, led by the police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with the advent of Lee Myung-Bak's administration in 2008. For community safety committee, an integrated security network of Korean societies, to be in international step with community policing, it is recommended to improve the followings within the framework of essential elements of community policing, including strategy-oriented policing, neighborhood-oriented policing, problem-oriented policing, and decentralization of policing. Firstly, most of the people concerned with community safety committee consider this meeting as a regular social gathering hosted by chief or head of local communities, and are not serving to integrated and systematic community policing to control crimes and disorder. Regular check up on the progress of community public safety plan by each participating agency is required to work on an improvement to the above issues. Meanwhile, it is imperative to dispatch police with professional knowledge in community crime and order to local governments, offer counseling service for establishment of community safety plan, train related public officials, and found central strategy team in charge of information sharing for successful cooperation between the police and community. Secondly, neighborhood-oriented policing is not in full operation due, in large part, to the little interest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police and local residents as well as the failure of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policing. Then the present consultative committee, mainly comprised of heads of aided organizations from government, is supposed to hire those who represent local residents such as town foreman, so that they could directly listen to the opinions of local residents at the community safety committee to share the problems of the community. Thirdly, community safety committee pays more attention to show off tangible results of chief of organization rather than to understand the problems of community crime and disorder, which leads to another failure to perform problem-oriented policing. Members of consultative committee will have to find out the loopholes of community safety in regular series to substantialize the meeting. Fourthly, community safety committee takes paramilitary form of organization led by official commands for internal employees, mainly focusing on networking local community for organization. However, it is indispensable to perform policing activities suited to local situations by delegating decision-making system of the police to middle management for revitalization of community policing through community safety committee, and then take internal police's level of job satisfaction into consideration. Provided that the above issues are settled down successfully, community safety committee will be able to promise local residents a high level of safety from crimes and accidents, serving to core roles of community policing based on cooperation between the police and community.

      • KCI등재

        마을목회를 위한 기독교윤리적인 근거와 과제의 모색

        정종훈 한국대학선교학회 2017 대학과 선교 Vol.35 No.-

        The modern Korean society confronts with the perils caused by in- dividualization and neo-liberalism. In the challenges of globalization, church-in-mission needs to focus on taking care of local issues and communities. This practical effort is undisputed to enliven local community ministry. The research seeks for Christian ethical foundations in the re- flection of Jesus’ teaching, discipleship, the essence of a church, the vocation of the members, and several theories of Christian ethics. I propose four precepts for promoting local community ministry; 1. Jesus serves in a local community in the direction of God. The Holy Spirit leads the people of God to serve a local community. 2. God prefers marginalized people in a local community and asks to pursue humanization of every member. 3. Three classical missions of church, Kerygma, Koinonia and Diakonia, are not limited in a church community, but extended to a local community. 4. We as the people of God, savor the proleptic anticipation of the kingdom of God in our local community. Lastly, the research presents three realms of church mission in building up local church ministry, such as localized, nationalized, and globalized mission. Marking 500th anniversary of the Reformation, I suggest that Korean churches repent of their isolation, indifference and negligence of a local community, and participate in proliferation of community well-being. 오늘 우리 사회는 매우 개별화되고 있다. 신자유주의의 양극화는 위험한 사회를 조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회가 서로 관심을 갖고 서로 돌보 는 마을공동체를 목회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매우 절실하고 자연스럽다. 연구자는 마을목회의 기독교윤리적인 근거를 예수의 가르침과 제자의 사 명, 교회의 본질과 구성원의 사명, 기독교윤리학의 이론들에서 찾는다. 연구자는 마을목회를 적극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 네 가지 윤리적 지침 을 제안한다. 첫째, 마을은 하나님의 방향이자 예수님의 섬김의 대상이며, 성령의 인도하심 가운데 교회와 기독교인들이 살아야 할 자리임을 직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마을의 주변부에 있는 지극히 작은 자들에 대해서 우 선적인 관심을 갖고, 모두의 인간화를 회복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교회의 케리그마와 코이노니아와 디아코니아가 교회 안으로 만 제한될 것이 아니라 마을공동체로 확장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지금 여기 마을공동체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선취하고 현재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끝으로 연구자는 마을목회의 과제를 지역마을 공동체를 향한 교회의 목 회, 국가마을 공동체를 향한 교회의 목회, 지구마을 공동체를 향한 교회의목회로 구분해서 제시한다. 올해는 교회개혁 500주년을 맞이하는 해이다. 한국교회는 그동안 마을공동체와 격리되었던 것, 마을공동체에 관심을 주지 못했던 것, 마을공동체의 일원으로서 풍성한 삶을 함께 살도록 더불어 노력하지 않았던 것을 회개하 고, 이제라도 우리가 거주하고 속해있는 마을에서 공동체를 함께 만들어가 는 일에 동참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주한미군과 주둔지 주변 지역사회의 관계 (1964~1973년)- 미군 대상 지역사회관계 프로그램 운용을 중심으로 -

        금보운 한국사학회 2019 史學硏究 Vol.0 No.133

        The Community Relations Program which had been managed by the U.S. Forces was intended to be utilized for operating the U.S. military bases in foreign countries. It means that the U.S. Forces in Korea and the local community relations were not be built accidentally but be constructed intentionally by the Cold War policy of the U.S. This article examines the way to provide the information of the local community to the soldiers and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in community which were included in the Community Relations Program. These could be found in the newspapers which were published by each unit bases of U.S. Forces in Korea. These newspapers provided the local information around the bases to soldiers and let them recognize their duty in that community as the U.S. nationals. In addition, the unit newspapers were expected to contribute to build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 local people by recommending the soldiers to join the local community. Letting the soldiers participate in the local community was regarded as the way to comfort the soldiers who couldn’t be adjusted to life in Korea as well. However, the information which was provided to the soldiers had contained prejudice on Korean society, even it made the indifference of the soldiers on local community worse. Also, these newspapers ignored the conflict between GIs and local people and made the crack on the mutual recognition. Finally, the Community Relations Program, which had been planned for the stable maintenance of the U.S. military bases in Korea, exposed its limitation to build amicable relationship based on sufficient mutual understanding under the neglecting of the Korean Government. 주한미군의 지역사회관계 프로그램은 2차대전 이후 미국이 해외에 배치한 미군기지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으로 활용되었다. 주한미군과 지역사회의 관계가 미군기지 주둔을 계기로 우연히 형성된 것이 아니라 미국의 대외정책 수행을 목적으로 계획하에 수립되었던 것이다. 본고는 그간의 연구들이 주한미군의 대민정책으로 주목해왔던 지역사회 프로그램에서 주한미군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 교육활동 및 참여유도 방식을 분석했다. 주한미군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관계 프로그램의 시행 양상은 각 부대에서 발간한 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부대신문은 주한미군 개개인에게 그들이 주둔하고 있는 지역과 연계된 정보를 제공하고, 지역에서의 임무를 주지시켰다. 이와 더불어 주한미군의 지역사회 참여를 유도하며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하게 했다. 주한미군의 지역사회 참여는 한국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병사들을 돕는 방식으로도 주목되었다. 하지만 주한미군에 제공된 지역사회에 대한 정보는 편견을 수반했으며, 오히려 주한미군의 지역사회에 대한 무관심을 심화시켰다. 또한, 우호적인 관계만을 보여주고 실제 갈등은 묵인하면서 지역주민의 미군에 대한 인식과 미군의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에 균열을 형성했다. 주한미군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수립된 지역사회관계 프로그램은 한국정부의 무관심 속에서 상호이해를 기반으로 한 관계를 구축하는 데 한계를 드러냈다.

      • KCI등재

        지역자산을 활용한 커뮤니티케어 운영에 관한 탐색적 연구

        강현철,최조순 한국지적정보학회 2019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1 No.1

        Since the government's announcement of the Community Care Policy, there is no specific information on how to organize and operate community care in the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oncepts and direction of community care that are currently being discussed are properly set in terms of regional assets. Particularly, community care policy can be important for how to utilize local assets and how to link them in order to secure sustainability in the local community. To this end, the approach based on local assets was restructured as a criterion for policy analysis and diagnosed by setting it as the criteria of autonomy, connectivity, locality, and diversity. In terms of the actual operating system and content, unlike the objectives and direction of the plan, it is judged that community care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from another type of care delivery system promo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is not in line with the basic direction of the policy to utilize local assets. In other words, community care cannot be seen as a suitable policy for the local community, as there is a combination of administrative, financial and legal relations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the dependence of pathways on existing social security policy initiatives and care services. In order to meet the policy goals and direction that community care wants to pursu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entities of the local unit, autonomy in the utilization of local assets, and autonomous operation of community care policies in accordance with local conditions. Without these factors being fully considered, the existing community care policy of the central government is likely to be realized as another failed welfare model. In order to derive the research results needed for more policy effects in the future, customized improvements by region should be supported based on systematic data such as surveys by local stakeholders that are actually operating. 정부의 커뮤니티케어 정책 발표 이후 구체적으로 지역사회에서 커뮤니티케어를 어떻게 구성하고 운영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가시적인 내용이 없기 때문에 커뮤니티케어 운영전반에 대한 합의도출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커뮤니티 케어의 개념과 방향성 등이 지역자산의 관점에서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는가를 규명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커뮤니티케어 정책이 지역사회에서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역자산을 어떻게 활용하고, 어떻게 연계할 것인가가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지역자산에 기반한 접근방법을 정책분석을 위한 기준으로 재구조화하여 자율성, 연계성, 지역성, 다양성의 기준으로 설정하여 진단하였다. 진단 결과, 제도의 목표 및 방향성과 달리 실제 운영 체계 및 내용 측면에서 보면, 커뮤니티 케어는 중앙정부 차원에서 추진하는 또 다른 형태의 돌봄 서비스 전달체계와의 차별성을 발견하기 어렵고, 지역자산을 활용하겠다는 정책의 기본적인 방향에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된다. 즉,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의 행정적·재무적·입법적 관계, 기존의 사회보장 정책 추진 및 돌봄 서비스 등에 대한 경로의존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커뮤니티케어는 지역사회에 적합한 정책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에 커뮤니티케어가 추구하고자 하는 정책 목표 및 방향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지역단위의 다양한 주체의 참여보장과 지역자산의 활용에 대한 자율성, 지역의 여건에 맞는 커뮤니티케어 정책의 자율적 운영이 보장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요소들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은 채 기존의 중앙정부 차원에서 추진된 방식의 커뮤니티 케어 정책은 또 다른 실패 복지모델로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 향후 보다 정책효과에 필요한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실제 운영되고 있는 지역별 이해당사자의 설문조사 등의 체계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지역별 맞춤형 개선사항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지역화폐 활성화 운영을 위한 플랫폼 모델에 관한 연구

        문석재(Seok-Jae Moon),유경미(Kyung-Mi Yu),류기환(Gi-Hwang Ryu) 융복합지식학회 2021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Vol.9 No.1

        지역화폐는 지역경제활성화 또는 지역공동체로 인식된다. 그러나 지역 화폐는 지역의 공동체를 실현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마을공동체는 주민 중심 생활자치, 주민자치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화폐의 수행 방식에 있어서도 근본적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지자체 주도의 지역경제활성화를 마을공동체가 함께 지역경제의 문제를 해결하는 주도적 공동체로 개편과 발전이 요구된다. 하지만, 마을공동체가 일상화되고 공동체의 유형이 다양화 되는 주민자치시대에는 지역경제활성화 정책인 지역화폐를 시민들에게 알리고 사용하라고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마을 공동체 측면에서 지역화폐 운영 방안을 바탕으로 공동체 구성원인 공급자, 마케터, 수요자 등의 플랫폼을 제시한다. 이 제안 플랫폼 모델은 지역주민들의 소득창출을 바탕으로 지역의 경제공동체를 구성할 수 있도록 정부, 지자체, 유관기업의 지역 정보 자원을 통합 운용하기 위한 ICT 기반의 통합 지역화폐 서비스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플랫폼이 서비스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첫째, 공동체가 구성원간에 경제적인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에서 사회적가치를 동시에 창출하는 경영전략으로써 상호간에 공유가치가 창출된다. 둘째, 공동체 구성원의 파편화된 정보를 통합화하여 공동체와 경제적, 사회적으로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된다. 셋째, 개인과 공동체간 상호 작용을 하여 지역경제활성화 측면에서 공동의 이익으로 변화된다. Local currency is recognized as a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or local community. However, local money is made up of a means of realizing local communities. In particular, the paradigm of the village community is changing to resident-centered living autonomy and resident autonomy, which predicts a fundamental change in the way local currency is performed. Local government-led local economy activation is required to be reorganized and developed into a leading community in which the village community solves problems of the local economy together. However, in the era of resident autonomy, when village communities become commonplace and the types of communities become diversified, it is not desirable to inform citizens of local currency, which is a policy of activating the local economy, to use.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esent a platform for suppliers, marketers, consumers, etc. that constitutes the community based on local currency management plans in terms of village communities. This proposed platform model provides an ICT-based integrated local currency service to integrate and operate local information resources of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related companies so that regional economic communities can be formed based on the income generation of local residents. When the platform proposed in this paper is serviced, it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First, as a management strategy that simultaneously creates social values in the process of creating economic values among members of the community, shared values are created with each other. Second, it is possible to interact economically and socially with the community by integrating fragmented information of community members. Third, the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s and communities changes into common interests in terms of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 KCI등재

        지역발전이론의 비판적 이해와 지역공동체에 관한 탐색적 연구

        신윤창,손진아 한국비교정부학회 2010 한국비교정부학보 Vol.14 No.1

        There is changed in quickly speed in paradigm of local development. Causes of change are not only transportation system and IT advancing technology but also cultural and environmental factors. Paradigm of local development is transforming in focusing more mental and environmental value than physical and external value. First, this study recognize that local development policy of growth theory have many problems, in especially distribution of unequal wealth and gap between wealthy and poors, and then understand that positive factors of local community connect to the internal resource of local city. Second, core of local development know that how do we industrialize internal resources of local city? Third,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having many advantages which economy resources and cultural resources are related to the local development, and these(economy and cultural) resources are connected to the advantage of local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