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마을 공동체 조직화 사업으로서 ‘평생학습 마을 만들기’ 성공 추진을 위한 과제 탐색

        배영주 경인행정학회 2014 한국정책연구 Vol.14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some tasks for successful 'lifelong learning community building' project. Since the Ministry of Education started the project of 'lifelong learning city' in 2000, lots of local governments have been push ahead the 'lifelong learning community building' as part of the 'community building' project. But Most studies on it have been conducted only in lifelong learning/education area and there were no sufficient checks or studies in the areas of community building. So, we can not know whether or not lifelong learning community building was successfully implemented as a kind of community building project. In this study, I carried out literature analysis and case study for exploring and checking the orientation, key factor and, in particular, some practical problems in lifelong learning community building project. Through this work, I could figure out that lifelong learning community building has not realized fully it's orientation and goals as a community building project, and I could also find that the features of lifelong learning, which has two aspects, namely, personal motivation and expectations for growth and collective expectation of community all at once, were served as a limit to successful community building project. By paying attention to the breaking points, I was able to present four tasks for successful projects, and also point out a new possibility of lifelong learning community building. 이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평생학습 마을 만들기’의 성공 추진을 위한 과제 탐색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2000년, 교육부가 ‘평생학습도시’ 조성 사업을 착수하기 시작하면서 여러 지자체들이 ‘평생학습 마을 만들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그와 관련된 관심이 대체로 ‘평생교육’ 활성화와 복잡하게 겹쳐져 ‘마을 만들기’ 사업으로서의 점검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마을 만들기의 의미와 지향점, 발전 과정과 성공 요인 등을 정리하여 마을 만들기가 단순히 마을 단위 잘살기 운동이나 주거환경개선 사업이 아니라 주민의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고 마을을 자치 공동체로 재구조화하려는 공동체 조직화 사업임을 확인하고, 그것을 준거로 현재 추진되고 있는 평생학습 마을 만들기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마을 공동체 조직화 사업으로서 평생학습 마을 만들기 사업의 특징 및 한계점을 추출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마을 만들기 사업 내용으로서 평생학습이 다른 사업 내용들과는 다른 한계점과 동시에 가능성도 가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지역사회 평생학습동아리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효영 한국성인교육학회 2019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2 No.1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circles. As the influencing factors, personal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social factors, community participation and learner competence factors were set and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basic data and implications that can activate the participation of community lifelong learning circles. For this purpose, 1,302 adult learners of 61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 Learner participation group is higher than non - participation group in terms of learner type, duration of lifelong learning, perception of lifelong education policy,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academic and social interaction with instructor and learner, community participation and learner competence. First, the personal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ion in the first lifelong learning circle are the type of adult learners and the duration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Second, the environmental factors are the existence of lifelong learning cities, the characteristics of management of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number of teachers and lecturers, and the number of classrooms. Third, social factors are social relations among learners, community participation and learner competence. Community involvement and learner competency factors are community involvement, self - directed learning, problem - solving skills, and interpersonal skil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 proposed a plan to expand participation in learning circles. In other words, it is the continuation of learning participation and improvement of learning environment, development of self-resilience and capacity of community residents, and practice of result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circle. These include ways to positively impact the lifelong learning of the community and the lives of learner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ifelong learning as well as the participation and activation of lifelong learning circles in the community. 본 연구는 평생학습 동아리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이다. 영향요인으로서 개인요인, 환경요인, 사회적요인, 지역사회참여와 학습자 역량 요인을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 목적은 지역사회 평생학습동아리 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는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발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61개의 평생교육기관 성인학습자 1,302명을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방법(logistic regression)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자 유형, 평생학습 참여기간, 평생교육 정책 인지 정도, 평생교육기관 경영특성, 교수자 및 학습자와의 학문적․사회적 상호작용, 지역사회참여와 학습자 역량 면에서 평생학습동아리 참여 집단이 미참여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요인별로 정리하면, 첫째 평생학습동아리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요인은 성인학습자의 유형, 평생학습 참여기간이다. 둘째 환경 요인은 평생학습도시 여부, 평생교육기관 경영특성, 교육기관 교․강사 수, 강의실 수이다. 셋째 사회적 요인은 학습자 간 사회적 관계, 지역사회참여와 학습자 역량이다. 지역사회참여와 학습자 역량 요인은 지역사회 친목조직 참여, 자기주도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대인관계능력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습동아리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즉 학습 참여 지속과 학습 환경의 제고, 지역사회 주민의 자생력 및 역량 개발, 학습동아리 참여의 결과의 실천 등으로서 지역사회 평생학습과 학습자 개인의 삶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방안 등이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평생학습동아리 참여 및 활성화뿐만 아니라 평생학습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농촌지역 평생교육활성화를 위한 평생학습매니저의 역할 분석

        지희숙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4

        This study analyzed the roles of lifelong learning managers who are active in rural areas of Eup and Myeon units and for this, it selected the Didimdol area of Choongnam as its research subject area and analyzed data collected through literary analysis, personal interviews, and participative observation. Lifelong learning managers in the Didimdol area were shown to survey and utilize area resources, survey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conditions, discover resident learning centers, provide learning counseling in communities, survey resident education demands, develop, manage, and evaluate resident education programs, organize and support community learning clubs, establish Eup and Myeon lifelong learning cooperation systems, discover and utilize community education activists, create a culture of care in community lifelong learning, and improve problems of community lifelong learning sites. These signify roles of community unit lifelong learning educators as educational mediators who connect area-based lifelong learning centers, Eup and Myeon community residents, and community- based lifelong learning manager support policies are needed for the vitalization of lifelong learning in rural areas of the elderly. 본 연구는 농촌 읍・면 단위에서 활동하는 평생학습매니저의 역할을 분석하기 위해 충남 디딤돌지역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문헌분석, 개인 면담, 참여관찰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디딤돌지역의 평생학습매니저는 지역 자원 조사 및 활용, 마을 평생교육실태 조사, 주민학습장 발굴, 마을로 찾아가는 학습상담, 주민 교육요구 조사, 주민교육프로그램 개발・운영・평가, 마을 학습동아리 조직과 지원, ・면 평생교육협력체계 구축, 마을 교육활동가 발굴과 활용, 돌봄의 마을 평생학습문화 조성, 지역 평생교육현장의 문제를 개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지역 거점 평생교육센터와 읍・면 마을 주민을 연결하는 교육매개자로서 마을 단위 평생교육사의 역할을 의미하며, 고령농촌지역의 평생교육활성화를 위해서는 마을 기반의 평생학습매니저 지원 정책이 요구된다.

      • KCI등재

        평생학습도시 조성정책의 질적 성과분석

        이창기(Lee Chang ki),고영상(Ko Young Sang),박경호(Park Kyoung Ho) 서울행정학회 2010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1 No.1

        This research is an assessment of the effectiveness of the lifelong learning and community building policy designed to promote development of a learning and knowledge driven society. The logic of the lifelong learning and community building policy centers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local community through the continuing education of local residents. This research was based on the statistic data about the quality of 76 lifelong learning cities authorized by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From the data we verified the time series changes statistically. As a result, we ascertained that the lifelong learning society construction policy is providing positive effects on social cohesion, social inclusion, and the social empowerment of the local community. On the other hand, we could not verify a relationship with social economic securit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the lifelong learning and community building policy is helping the local residents not to walk away from their local community and gives them more opportunities to express themselves culturally and politically. The increasing number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desiring to participate in the lifelong learning community building policy shows that the construction policy has the potential to extend further into Korean society. Therefore our government should change the lifelong learning and community building policy to formal project instead of a voluntary one which is run with grant funding. The government should be prepared to extend and develop lifelong learning cities utilizing standard empirical measures.

      • KCI등재

        행군마을의 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에서 나타난 학습 생태적 특성

        박선경 교육종합연구원 2013 교육종합연구 Vol.11 No.4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lifelong learning community : interactionbetween harmony of human being and life theory as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concept of the mechanism changes by clarifying the formation of lifelong learningcommunity with the ecological view. Hence the qualitative case research method was implemented in this study throughcollecting the data from bibliographic data, focused interview, participants observationand unofficial interview in Hang-Gun Village, Yong-in City where the lifelong learningvillage built up in graying rural area. As a result, this study drew out four steps as the formation of lifelong learningcommunity in Hang Gun; 1)foundation forming, 2)adopting, 3)maintaining, 4)growing. Infoundation forming stage, the function and role of community hall were restructuredinto the lifelong learning village. In adopting stage, co-existence of an order and chaosfeatured the newly formed learning environment, the learner has transfigured frompassive role into active learner based on the sense of responsibility. In the period ofmaintaining, community learning became the resident's life in accordance with usefullearning and tangible learning outcomes. In growing stage, the expansion ofparticipation in community learning influenced the impetus of co-exist learning. The learning ecological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formation of lifelong learningcommunity in Hang-Gun village as follows: complexity of dynamic interaction betweenvarious components, co-evolution of lifelong learning, formation of reciprocal lifelonglearning network and dynamic learning as the growth mechanism.

      • KCI등재

        지역사회중심 평생교육지원체계 분석

        허정무,홍진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1

        As municipalities are settled each municipality has the time to establish and enforce policies for lifelong education and the circumstances of the escape from the framework of the planning and execution of the existing centralized lifelong education policy communities needs. There is a very meaningful thing to municipalities comprehensive review of whether to build a community-based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and presents a systematic way. Residents of the area were promoting social research for the purpose of continuing to explore ways to resolve the problem of lifelong education policy and lifelong education community support systems to meet the needs and circumstances.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and discuss the results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development policies into effective community-based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s analysis considering the actual situation of the residents of realistic needs and the community.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build a seamless network of regional systems of human resources and material resources of community in order to win the community to move as one organism. Lifelong learning community was formed in the area because two ways to establish a real strategy for all educational resources in the community and pursue the characterization of the community, ultimately based on the linked and integrated, and community needs. Community members were raised that the need to take full advantage of all the resources in the region to be actively involved in activities for community development, prerequisite, the formation of community residents by residents around the community. 지방자치제가 정착됨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는 기존의 중앙집권적인 평생교육정책의 기획과 집행의 틀에서 벗어나 지역사회 주민들의 요구와 실정에 맞는 평생교육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해야 할 시점에 있다.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사회중심 평생교육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체계적 방안을 제시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지역사회 주민들의 요구와 실정에 부합하는 평생교육정책 수립과 지역평생교육 지원체계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를 추진하였다. 평생학습도시 육성정책 현황에 대한 평가 결과와 논의 결과를 토대로 주민들의 현실적인 요구와 지역사회의 현실적 여건을 고려한 효율적인 지역사회중심 평생교육지원체계 분석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사회가 하나의 유기체처럼 움직이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인적 자원과 물적 자원의 원활한 네트워크 체계의 구축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지역평생학습공동체 형성은 지역사회의 특성화를 추구하며, 궁극적으로 해당 지역사회의 모든 교육 관련 자원을 연계·통합하고,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실제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일이 요구되기 때문이었다.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지역사회 주민들이 지역 내 모든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활동에 적극 참여하여야 하는, 지역민에 의한, 지역민의 지역공동체 형성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KCI등재

        소외계층아동을 위한 지역참여 평생학습활동에 관한 실천연구

        김경희(Kyung Hi, Kim),정은희(Eun Hee, J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3 평생교육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소외계층아동을 위한 평생교육활동을 구성하고 실천함에 있어 교육대상자를 결핍모델 관점이 아닌 성장모델 관점으로 인식하고, 교육활동에 참여하는 주체들간 소통적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소외계층아동의 삶의 역량, 평생학습역량을 확장시켜가도록 돕는 교육실천연구이다. 교육실천연구의 과정은 크게 평생학습활동 준비와 시작, 학습활동 구성 및 실행, 학습결과의 확인 이렇게 세 가지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확인된 내용을 간단히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학습활동 준비와 시작단계에서는 소통과 상호작용의 통로 만들기 및 아이들과의 첫만남이 이루어진 단계이다. 가장 먼저 소통과 상호작용을 위한 지역참여 평생학습활동팀을 구성하였고 아이들의 학습욕구를 파악하기 위해 3차까지 인터뷰를 실시하였는데 처음에 소외계층아동들의 “경험의 부족”에서 오는 “학습의욕의 빈곤상태”를 확인하게 되면서 기존의 연구계획을 변경하여 아이들의 학습욕구 형성을 위한 사전 프로그램을 실시하기도 하였다. 사전 프로그램 후 다시 인터뷰를 통해 다양한 학습욕구를 갖게된 아이들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학습활동 구성 및 실행단계에서는 소외계층아동들이 원하는 학습활동을 구성하게 함으로써 배움에 대한 실질적 자유를 경험해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아이들의 학습역량이 발현될 수 있는 학습활동의 장을 만들어가기 위해 지역참여 평생학습활동팀안에서 지속적인 반성적 검토과정을 통해 학습활동을 촉진하는 요소들을 발견하여 학습활동의 원칙으로 적용하였다. 셋째, 학습결과의 확인단계에서는 참여주체들이 동반성장해 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아이들은 평생학습역량 즉 삶의 역량이 확대되어가는 태도의 변화를, 지역참여 평생학습활동팀내 성인들은 평소 자신들의 고정관념이나 교수방법 등을 반성적으로 검토해가는 모습들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is a critical action research. Based on the perspective of ‘growth model’ rather then that of ‘deficiency model’ and by constructing community involved, interactive educational activities, this study purports to expand lifelong learning capabilities of vulnerable children. The phases of this critical action research comprise three phases: Initiatives of community involved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actual practice of community involved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reflection of community involved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In the first phase, community involved research team is formed. Through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s among the members of this team, educational frameworks, purpose, goals and actual interactive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have developed. In the second phase, actual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for the development of lifelong learning capabilities of vulnerable children, have practiced. In the third phase, the research team have reflected together, with regard to effectiveness of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leading to enhancing and expanding lifelong learning capabilities.

      • KCI등재

        평생교육활동가의 학습 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지희숙 한국평생교육학회 2015 평생교육학연구 Vol.21 No.3

        이 연구는 평생학습마을사업에 참여한 주민이 평생교육활동가로 성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어떤 학습에 참여해 어떻게 성장하고 있는지 이들의 일상적 학습에 관한 논의가 부족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평범한 주민에서 평생교육활동가로 성장한 평생학습마을매니저의 학습경험의 실제를 기술하고, 그러한 학습 활동 의 특성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해 평생학습마을을 조성해가는 평생학습마을매니저 12명에 대해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평생학습마을매니저는 자신의 ‘일’과 마을 내·외부 주체와의 ‘관계’ 속에서 주도적으로 학습하며, 마을의 복합적인 맥락 속에서 학습하였다. 그 결과 평생학습마을매니저는 개인 차원에서 주체적인 학습자로 성장하고, 조직 차원에서 주민의 평생학습을 지원하는 교육 매개적 역할을 수행하며, 지역 차원에서 평생학습을 중심으로 지역 참여의 수준을 높 여가는 시민의 정체성을 획득하였다. 이러한 평생학습마을매니저의 일상적 학습에서 나타난 특성은 일상성, 공공성, 운동성이다. This study started from a question that there have not been enough discussions on the daily takeaways of a manager of the lifelong learning community, even though they have grown to be lifelong education activists after participating in the city's lifelong learning project. So, this research describes the takeaways of the lifelong learning community managers, who have transformed from normal residents to lifelong education activists, and analyzes the features of their learning activities. In order to conduct this research,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have been done to 12 lifelong learning community managers. Their learning activities have occurred during their work and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ships of the community, and the aspects have appeared differently in the complex context of community. As a result, lifelong learning community managers grew up as independent learners individually and acquired own his or her identity as a citizen who participated more in the community around lifelong leaning. The daily takeaways of lifelong learning community managers are characterized by dailiness, publicness, and motility of learning.

      • KCI등재

        학습자 조사에 기초한 평생학습도시의 발전과제

        변종임(Byun Jong Im),권인탁(Kwon In Tak),김남선(Kim Nam Sun),양병찬(Yang Byung Chan),양홍권(Yang Heung Kweun) 교육종합연구원 2007 교육종합연구 Vol.5 No.1

        세계화, 정보화, 지식기반 사회의 도래로 인하여 단위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주민의 학습기회 증진을 통한 지역주민의 능력 신장과 이를 통한 지역혁신을 추구하는 사업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 평생학습도시 사업은 이 같은 지역단위 활성화 사업의 대표적 사업이다. 평생학습도시 사업은 사업이 추진되는 지역의 맥락에 따라 각기 상이한 목적과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01년부터 교육인적자원부의 평생학습도시 사업을 추진하여 2007년 현재 전국적으로 57개의 평생학습도시가 선정되었다. 현 시점에서 평생학습도시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들이 평생학습도시 사업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무엇을 요구하고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은 향후 평생학습도시 사업의 정책 방향과 사업내용을 제언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본 연구는 2004년까지 선정된 19개의 평생학습도시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평생학습도시 사업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추진 방향을 논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평생학습도시 사업은 주민의 학습기회 증진, 삶의 질 향상, 공동체 의식 제고, 지역인적자원 개발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 평생학습 활성화의 과제로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주부에 대한 평생학습 기회 증진 등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평생학습도시 조성 사업이 내실 있게 추진되기 위해서는 이 같은 지역주민의 구체적인 요구에 기초하여 직업능력 개발, 지역공동체 형성,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평생학습도시 특성화 전략을 입안하고 추진하여야 한다.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whose aim is to encourage regional innovation and development was initially launched by the Kwang- Myoung city and has been expanded to other local citie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 HRD. As of in 2006, there are 57 Lifelong Learning Cities which are providing its citizens with various lifelong learning programs. Whereas it has been said that this project has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citizens learning abilities, expansion of opportunities for lifelong learning, and the funding for lifelong learning, there has been no systematic analysis on what kind of factors have affected the performances of each project.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aims to discuss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Lifelong Learning City. For this purpose, the surveys learners enrolled in these institutions were conducted. A survey of students engaged in learning programs in lifelong learning cities showed that while the students were enjoying more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developing a stronger sense of community,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slow progress of the local economy and human resources. According to the survey,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education programs were regarded as the most critical requirement for the promotion of lifelong learning, followed by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the improvement of public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lifelong learning. In terms of types of education programs, liberal education was most in demand, followed by leisure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his finding suggests that lifelong education centers, libraries, resident self-governing centers should be used as primary lifelong learning facilities. In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place more emphasis on the promo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in line with other related government projects, the improvement of related laws and systems, the improvement of related human resources management and the facilitation of lifelong learning campaigns by smaller local administrative units such as eup, myeon, and dong. The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should encourage an ac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lifelong learning. This participation could be the basis for regional innovation through the creation of communities, the integration of neighboring societies, the stimulation of the local economy, and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 KCI등재후보

        학습도시에서의 주민 교육공동체 운동의 전개

        양병찬(Yang Byungcha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7 평생교육학연구 Vol.13 No.4

          현재 교육인적자원부가 추진하고 있는 평생학습도시조성 사업에 많은 도시들이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이들 도시들에서 지역의 자발적인 학습 참여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적 과제에서 본 연구는 평생학습도시 사업이 추진 중인 세 지역(부천시, 해운대구, 창원시)에서 이미 존재하고 있던 풀뿌리 주민교육 운동을 분석하여 지역 주민에 의한 실제적인 학습 지원 네트워크의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정부의 학습도시 정책 투입 이전의 주민 운동 전개과정과 정책 추진 이후 시스템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지자체의 학습도시 정책과 주민의 교육공동체 운동과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BR>  분석 결과, 주민 조직을 중심으로 한 소규모 학습마을 운동을 비롯하여 주민자치센터를 기반으로 성장하고 있는 주민(학습) 조직, 민·관 파트너십을 통한 평생학습도시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주민참여와 평생학습의 관련성을 찾을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주목하였던 것은 한 도시안에서 기존의 주민교육공동체운동과 학습도시 정책과의 관련성이었는데, 도시마다 차이가 있었다. 어느 경우에는 주민 운동과 도시 정책 간에 서로 상승 작용을 하기도 하는 반면, 다른 경우에는 서로 상관없이 존재하기도 하였고 심지어는 서로 갈등 관계를 보이기도 하였다. 이상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었다. 첫째 학습도시의 리더십은 정치리더십에서 지역리더십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둘째, 중층적 학습구조를 통해서 지역 문제를 해소하여야 한다. 셋째, 학습동아리의 육성을 통해서 지역공동체의 주체를 만들어간다. 넷째는 지역공동체와 행정 간의 파트너십이 구축되어야 한다.   This paper revie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y education movement and the lifelong learning policy in three cities. In these days, there are many cities accept the lifelong learning city policy as their own strategy for the community building. Therefore the current lifelong education policy focused to solve the community problem. The policy stress the residents" participation the community edcuation but it is very difficult task for many local governments.<BR>  In this contexts, it is mentioned three alternative education movement activities in Korean lifelong learning cities; 1) Bucheon Local Agenda for building the lifelong learning city 2) Bansong poor community revival movement in Hawoondae, 3) Grass-roots Social Education Centers in Changwon city. All for them used a new paradigm of the lifelong learning for the social movement.<B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e following implications; At first, the learning cities leadership from the political leader to the community leaders. Secondly the leaning cities policy overcome their community problems, such as social differential, by using the extension strategy. Thirdly the leaning circles are building for the main participants on the community building movements. Fourthly the leaning cities have to build the partnership between the local community move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Lastly the residents should take part in the decision making of the community lifelong learning planning.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the policy perspective changing from the assimilation perspective to the empowerment perspective based on the learning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