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지적 범주화 과정으로서의 법적 추론

        강태경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4 法學論集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의미론적 범주화의 관점에서 법적 추론을 이해하는 것이다. 법적 추론의 인지적 측면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은 범주화이다. 법적 추론의 인지적 측면을 연구해온 스티븐 L. 윈터(Steven L. Winter)는 법적 추론에서 범주화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법적 추론이란 성문규정으로 코드화된 범주들에 법적 사태가 포함 될 것인가를 판단하는 범주화 과정이다. 법적 추론에 관한 다양한 모형들은 법적 범주화의 과정에 관한 서로 다른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조지 레이코프(George Lakoff)의 인지의미론을 수용한 윈터의 설명을 따라 범주화의 관점에서 법적 추론을 재평가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통찰을 얻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첫째, 법규범이나 법적 추론에 반영된 이상적 인지모형에 대한 분석은 그 법규범과 법적 추론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것들에 대한 비판의 기준점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이상적 인지모형이 하나의 법적 사태에 대한 다양한 성격규정이 가능하게 하는 토대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그러한 가능성에 일정한 제약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legal reasoning as categorizing processes from the view of Cognitive Semantics. Great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categorization among cognitive dimensions of legal reasoning. Accepting George Lakoff's Cognitive Semantics, Steven L. Winter has paid great attention to the categorization in the cognitive dimensions of legal reasoning. Legal reasoning refers to decision making processes to subsume a certain legal state under its relative legal norms in which various categories are codified. Several models of legal reasoning can be considered as different approaches to legal categorizing processes. By re-understanding legal reasoning in terms of categorization as Winter does, we might gain two insights into legal reasoning: First, analysis of idealized cognitive models in legal norms and legal reasoning can provide critical viewpoints as well as descriptive explanations. Second, idealized cognitive models can not only lead various legal characterizations, but also impose some restrictions on them.

      • KCI등재

        로여링을 통한 맥락추론교육

        전해정 한국법철학회 2008 법철학연구 Vol.11 No.1

        The contextual reasoning is derived from feminist practical reasoning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excluded people including women as continually asking questions, and combines an Aristotelian-style practical deliberation with the feminist consideration of multiple perspectives, emphasizing on context. The epistemology of contextual reasoning is critically feminist standpoints which suggest the knowledge is socially situated and the people who experienced oppressions can understand other kinds of oppressions through reflection better than the people without the experience. The legal education of contextual reasoning can enhance law students to understand legal system and to develop legal reasoning as practicing with client in the field. Students sympathetically listen to the client’s experience with sensitivity of cultural and class differences, racism, and sexism. The client’s storytelling offers that students help in stretching their perspectives which open possibilities for examining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attorney-client relationship. Students become a supportive and respectful learner from the client’s life as asking questions of the excluded in the context of the client’s life. Students interact with clients to solve the problem using contextual reasoning. They develop a contextualized presentation of the client’s participation in events. This pedagogical method can be a model of prospective Korean law schools, which will take many institutional matters in order to implement it into the curriculum. Despite any barriers, the contextual reasoning with clinical education enriches no doubt the Korean traditional classroom in the law schools. The contextual reasoning is derived from feminist practical reasoning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excluded people including women as continually asking questions, and combines an Aristotelian-style practical deliberation with the feminist consideration of multiple perspectives, emphasizing on context. The epistemology of contextual reasoning is critically feminist standpoints which suggest the knowledge is socially situated and the people who experienced oppressions can understand other kinds of oppressions through reflection better than the people without the experience. The legal education of contextual reasoning can enhance law students to understand legal system and to develop legal reasoning as practicing with client in the field. Students sympathetically listen to the client’s experience with sensitivity of cultural and class differences, racism, and sexism. The client’s storytelling offers that students help in stretching their perspectives which open possibilities for examining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attorney-client relationship. Students become a supportive and respectful learner from the client’s life as asking questions of the excluded in the context of the client’s life. Students interact with clients to solve the problem using contextual reasoning. They develop a contextualized presentation of the client’s participation in events. This pedagogical method can be a model of prospective Korean law schools, which will take many institutional matters in order to implement it into the curriculum. Despite any barriers, the contextual reasoning with clinical education enriches no doubt the Korean traditional classroom in the law schools.

      • KCI등재

        세법상 법률 인공지능의 한계와 그 영향에 관한 試論的 考察

        정승영(Jeong Seungyeong) 한국세법학회 2020 조세법연구 Vol.26 No.1

        본 논문에서는 세법과 관련하여 법률 인공지능(Legal Artificial Intelligence)이 활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다루었던 주요 연구 사례들을 살펴보고, 법률 인공지능(Legal A.I.)이 자연인인 법률 전문가들과 같이 법적 추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시론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법률 인공지능의 법적 추론을 위한 설계 및 접근법은 우선 3가지 방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첫 번째는 법률 체계상 성문조항에 주로 바탕을 두고 접근하는 경우(Statutory Approach)이며, 두 번째는 판례법리에 따라 접근 체계를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Case-based Approach)이다. 그리고 세 번째로는 앞선 두 가지 방식이 혼합된 접근법(Hybrid Approach)이 있다. 본고에서는 법률 전문가로서 법률 인공지능이 법적 추론을 전개할 수 있는지를 위와 같은 접근법을 중심으로 대안적 패러다임까지 고려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기본적인 검토에 따르면 세법상 법률 인공지능이 가지는 한계점과 일부 활용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① 법률 인공지능의 논리 체계 내에서는 일정한 개별 용어별 가치를 부여하고 일정한 알고리즘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 한편, 법률 조항에서는 열린 개념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유형의 용어를 사용하면서 일정한 한계점이 나타나게 된다. 법률 용어 중 열린 개념의 용어들의 의미와 범주가 모호함과 애매함을 모두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용어 사용의 영향으로 의미론상(semantic) 한계점이 나타나게 된다. 이는 법률 인공지능을 설계하는 자가 개별 사례별 주요 용어의 가치를 설정하여야 하는 난점으로 이어져 법률 인공지능이 법적 추론으로 온전히 자체적으로 진행한다고 보기 어렵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 세법 관련 사례인 대법원 2016. 1. 14. 선고 2014두8896 판결과 연계하여 살펴보았다. ② 법적 추론은 비단조추론 구조를 따르고 있고, 법률 인공지능도 자연인인 법률 전문가의 추론 방식을 모사하고자 비단조추론 방식을 그 논리 체계에 반영하고 있다. 그리고 열린 개념의 용어 사용과 관련해서는 사례 기반 접근법에 따라 관련 해석을 선례에서 찾아 접근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문제점을 일부 해결하고자 한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 방식은 설계자의 주관적인 관점에 따라 판단 결과가 이끌어 나올 가능성, 새로운 사례에 대한 판단임에도 기존의 선례 논리와 판단 결과에 경도될 수 있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머신러닝 체계를 도입하여 법률 인공지능에 대한 기술적 보완이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Black-Box 문제가 나타나게 되고, 법률 인공지능이 논증하고자 하는 근거가 무엇인지 알 수 없는 경우도 나타나게 된다. ③ 다만, 법률 인공지능이 일정한 한계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연인인 법률 전문가가 법률 논증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특정의 세부 알고리즘으로서 활용하는 방안이나, 피고 또는 원고의 입장에 맞춘 논증의 기초 내용을 도출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발견된다. 이와 관련해서 국내 세법상의 관련하여 대법원 2012. 1. 19. 선고 2008두8499 전원합의체 판결, 대법원 2010. 2. 25. 선고 2007두18284 판결을 살펴보았다. This paper explores the limits and implication for using Legal Artificial Intelligence(hereafter Legal A.I.) in the tax law. Since 1950s, many scholars including jurists and computer scientists have studied to solve legal matters. That’s the reason that A.I. research started in the legal area:rules of the code and legal doctrines are performed to accord with the ‘if …… then’ pattern. Specially, statutory sections in the tax law attracts scholars’ academical interest. For instance, L. McCarty designed to the first version of TAXMAN for applying Internal Revenue Code Section 354 in 1977. However, Legal A.I. has fundamentally some limitation in legal reasoning part. This paper focuses on this limitation which can’t be performed legal reasoning by Legal A.I. in the tax law. In this regard, this paper consists 3 major parts. The first part(Chapter 2) explains computational approach of legal reasoning by Artificial Intelligence. First of all, it examines Stephen Toulmin’s basic model of legal reasoning, and modified model of Stephen Toulmin’s for applying tax rules. After reviewing human’s legal reasoning method, it also scrutinizes legal A.I. paradigms and 3 major approach of legal reasoning by A.I.:the Rule-Based Approach(or Statutory Approach), the Case-Based Approach and the Hybrid Approach with the former and the latter. The major part(Chapter 3) focuses on whether the A.I. be fully functioned to reach the same level to make reasonable resolution by legal reasoning in the tax law. It processes to review on these problems and to find limitations through considering 3 Korean tax cases including Supreme Court 2007Du18234 Decision, Supreme Court 2008Du8499 Decision, and Supreme Court 2014Du8896 Decision. First limit of Legal A.I. is that it can not legal-logically recognize and accept the full understandings of Open-Textured Predicates. Second limitation of Legal A.I. arises from the non-monotonic logic nature of legal reasoning with Open-Textured Concepts. Whereas finding these limitations, it would be possible to make the most use to identify technical details of tax matters : listing up for tax investigation, classifying a type of problematic economic transaction, and searching for tax avoidance schemes.

      • KCI등재

        가추법은 독자적 법적 추론방법인가 - 대법원 2019. 4. 18. 선고 2017도14609 전원합의체 판결과 서울고등법원 2010. 5. 31. 선고 2009노3108 판결을 중심으로 -

        한상훈(Han, Sang Hoon) 한국법학원 2020 저스티스 Vol.- No.181

        연역법이나 귀납법에 비하여 가추법은 비교적 최근에 정식화되었다. 연역법이 BC 4세기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정식화되었고, 귀납법이 근대 17세기 베이컨에 의해 체계화되었다면, 가추법은 19세기 미국의 철학자, 실용주의자 찰스 퍼스(Charles Peirce)에 의하여 정식화되었다. 물론 정식화되었다는 것이 그 이전에 실제로 사용되지 않았다는 것은 아니다. 이미 우리는 직관적으로 가추법을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고 있고, 수사기관이나 법원도 마찬가지이다. 단지 그것이 가추법인지 모르고 사용했을 뿐이다. 하지만 가추법이라는 추론방식에 대하여 메타적으로 인식하고 그 의미와 한계를 명확히 할 때 우리는 추론과정에서 오류를 줄이고 보다 올바른 법적 사고를 통하여 타당한 결론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사후적 경합범의 감경범위에 대한 대법원 2019. 4. 18. 선고 2017도14609 전원합의체 판결과 용산재개발 화재사건에 대한 서울고등법원 2010. 5. 31. 2009노3108 판결은 가추법이 적용된 대표적 사례이다. 가추법은 특유한 논증방법이지만 독립적 논증방법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하여 가추법의 의미와 필요성, 적절성이 감소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철학, 논리학, 과학에서 반복적 실험이 가능한 것과 달리, 법학에서는 한 번의 과거 사실에 대한 실체적 진실의 발견, 즉 구체적 사실관계의 확정이 중요하며, 신이 아닌 인간의 인식적 한계하에서 이러한 판단은 대단히 어렵고 곤혹스럽다. 이러한 구체적 사실관계에 대한 실체적 진실의 발견에 있어서 가추법은 연역법이나 귀납법이 제공할 수 없는 독자적인 유용한 논증방법을 제공해준다. 가추법은 법학방법론에서 특히 그 의미와 효용이 크고, 그 한계를 인식하여 올바르게 사용되는 한 적절하고 타당하다. 독자적이라는 의미를 특유한이라고 사용한다면, 가추법은 연역법, 귀납법, 유추법과 구별되는 독자적인 논증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더구나 법을 해석하고 사실을 확정하는 법학방법론에서는 더구나 그 중요성을 경시할 수 없다. 사회현상에 대한 경험적 관찰과 요청이 집적되어 법의 제개정에 이르는 과정은 크게 보아 귀납법이 사용되고, 성립된 법규범을 구체적 사실관계에 적용하는 과정은 법적 삼단논법이라고 하는 연역법의 형식을 띤다. 하지만, 개별법규범의 진정한 의미를 밝혀내고 사실관계의 다툼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추법이 활용되지 않을 수 없다. 그 대표적인 예를 우리는 용산재개발 화재사건의 서울고등법원판결과 사후적 경합범의 감경범위에 대한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서 찾을 수 있다. 재판단계에서 가추법은 적절하고도 의미 있는 독자적인 추론방법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더군다나 수사단계에서는 여러 가능한 범죄의 시나리오나 가능성을 놓고 증거를 수집하고 용의자를 좁혀가는바, 이러한 단계에서는 셜록 홈즈가 사용하는 가추법이 더욱더 중요하다. 특히 발견의 맥락에서 논의되는 “발견의 가추법”이 대두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Induction and deduction are more common types of inference whereas abduction, which is another type of inference is more obscure to the scholars. The theory of deduction was established by Aristotle in ancient Greece in the 4th century B.C., and the theory of induction was developed by Francis Bacon in the early modern period of the 17th century. In the 19th century, the American philosopher Charles Sanders Peirce launched his theory on abduction as an integral part of his agenda of pragmatism. While abduction itself is not explicitly recognized by the public by its own name of the theory, however, Peirce’s original idea of abduction or hypothesis is frequently and intuitively used in our daily lives, even within the judicial system. Accordingly, by exploring the method of abductive reasoning, the application of the abduction in law would advance a quest for cognition in the field of dogmatic jurisprudence and further contribute to the epistemology of solving legal questions by reducing errors in reasoning. The idea of abduction in legal reasoning has been adopted in recent Supreme Court case(En Banc Decision 2017Do14609 Decided April 18, 2019), where the Court"s ruling was on the scope of sentence reduction in the discount-for-multiple-offenses. Additionally, the Seoul High Court’s decision (Decision 2009No3108 Decided May 31, 2010), an arson case at Yongsan redevelopment area, is another representative case of an application of abductive legal reasoning. Abduction theory has its own unique characteristics in its reasoning, yet not independently distinctive from other methods of reasoning. However, abductive inference is key processes in legal reasoning facilitating an agent to deal with incomplete information, especially where the knowledge of both facts and law are merged. Unlike in the field of philosophy, logic, or science, there is no possibility to either recreate the facts experimentally or test the facts using quantitative methods on trial for legally relevant facts cannot be proved statistically. Therefore, it is worthwhile to employ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abductive reasoning in finding the legal truth and facts of the case where inductive and deductive reasoning contribute less. Albeit some limitations of the theory, however, the abductive reasoning has its notable value in the field of law, as long as it is well-utilized. When comprehending the concept of “independent” that pertains to the conspicuously unique traits, abduction has its own salient feature of reasoning method aside from induction and deduction. In law, statutory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f facts are crucial and they are the core process of the legal system. In the process of enacting amendments via empirical observations of social phenomena, inductive reasoning is used and when applying the rule to the specific set of facts in the case, deductive reasoning, also known as legal syllogism, is applied. As delineated in the previously stated cases of the Supreme Court and Seoul High Court, abductive reasoning plays a significant role in clarifying the individual rule of law and further resolving the disputes on the facts of the case. Therefore, at the trial stage, abduction provides an important and independent method of reasoning. Moreover, the significance of reasoning is more emphasized during the stage of investigation where relevant evidence is collected and the list of suspect gets narrowed down after contemplating on numerous sound criminal scenarios and possibilities of the crime. As the famous quote from Sherlock Holmes conundrum goes, “Eliminate all other factors, and the one which remains must be the truth.”

      • KCI등재

        자연법에서 법적 추론의 고찰

        오민용 한국법철학회 2023 법철학연구 Vol.26 No.1

        This article explores how legal reasoning is conducted in natural law theory. Natural law theory does not claim that there is an eternal, immutable answer that must be enforced on real legal issues. However, this misunderstanding often occurs. This article aims to eliminate such misconceptions by explaining how legal reasoning is conducted in natural law theory. The article covers two main issues: how positive law can be linked to natural law from the perspective of implementation, and how legal reasoning is conducted in natural law theory by exploring the fundamental elements of inference. To explore these issues, this article examines the claims of John Finnis, the founder of the declaratory natural law theory, within the framework of natural law theory. The article evaluates Finnis’s claims separately and present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his theory.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law is a implementation of natural law. Second, this implementation is not a capture or reproduction from natural law, but rather a work based on moral principles and general principles of law. Third, legislation, interpretation, application, and the duty of obedience in positive law are tasks that take place between the proposition of neighborly love in natural law and positive law. Fourth, legal reasoning in natural law is not a theoretical linguistic activity but a practical reasoning that is conducted based on basic goods, human existence, and reason(practical reasonableness). Fifth, the basic elements of this reasoning are choice, reason, and action. Sixth, legal reasoning is a technical inference for determining right and wrong. Seventh, according to legal reasoning, a judgment is a decision based on the absolute morality of basic goods and the evidence, rather than proportionality, due to the irreducible diversity between them. Eighth, this decision is made possible by the law and legal system, which are based on the absolute morality of basic goods and fairness. Ninth, according to natural law theory, there is not a single fixed, correct answer to any problem faced by natural reason. 본 글은 자연법에서 법적 추론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탐구한다. 자연법은 영원불변한 정답이 있고, 그 정답을 현실의 법문제에 강요하는 것을 자연법의 적용으로 오해하곤 한다. 그러나 자연법이론은 그런 주장을 하지 않는다. 본글은 이런 주장을 진지하게 직접적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다만 자연법에서 법적 추론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밝힘으로써 이런 오해를 없애는 간접적인 효과를 취할 뿐이다. 본 글에서는 크게 두 가지를 다룬다. 자연법에서 어떻게 실정법이 연결될 수 있는지의 문제를 이행의 관점에서 포착하여 다룬다. 그 후에자연법에서는 법적 추론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의 문제를 추론의 근본 요소를탐구함으로써 밝힌다. 본 글은 이 문제의 탐구를 위하여서 자연법 이론 중에 신고전적 자연법과 그 주창자인 존 피니스의 주장을 구체적으로 검토하는 방법으로 앞서 제기한 문제를 다룬다. 그리고 피니스의 주장을 따로 평가함으로써 그이론의 강점과 약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정법은 자연법으로부터의 이행이다. 둘째, 이 이행은 자연법으로부터의 포섭이나 재현이 아니라, 도덕원리와 법의 일반원리에 따른 작업이다. 셋째, 실정법의 입법, 해석, 적용, 준수의무는 이웃 사랑이라는 자연법의 명제와 실정법 사이에 이루어지는 작업이다. 넷째, 자연법의 추론은 언어철학의 이론 작업이 아니라 기본 좋음과 인간 존재, 실존 및 이성(실천적 현명함)을 요소로 해서 이루어지는 실천 추론이다. 다섯째. 이 추론의 기본 요소는 선택, 이유 및 행위이다. 여섯째, 법적 추론은 옳음과 그름을 결정하기 위한 기술적 추론이다. 일곱 번째, 법적 추론에 의하면 판결은 기본 좋음과 근거들 사이에 통약불가능함에 따라 비례성에 따른 판단이 아니라 결정이다. 여덟 번째, 이 결정은 기본 좋음이라는 절대 도덕과 공평함을 자기 존재의 토대로 삼는 법과 법체계 및 정치에 부여된 권위에 의해 가능하다. 아홉 번째, 자연법이론에 의하면 자연적 이성으로부터 당면한 문제에 대해서 단 하나의 고정된 올바른 대답이 있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 KCI등재

        법적 추론에서 정(情)의 적용 양상과 그 함의 분석 -『전발무사(剪跋蕪詞)』를 중심으로-

        이재복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95 No.-

        이 연구는 정약용이 『전발무사(剪跋蕪詞)』에서 정(情) 개념을 정상(情狀)과 감정(感情) 등의 뜻으로 사용했으며, 그것을 자신의 법이론을 구성하는 법률용어로 다뤘음을 밝힌다. 정상으로서의 정은 특정한 범죄와 관련된 일체의 사정을 뜻하며, 감정으로서의 정은 어떤 사건과 관련하여 일어난 마음 혹은 심리 상태를 가리킨다. 법률용어로서의 정은 법(法), 리(理)와 함께 법적 추론에서 고려해야 하는 요소로 서술된다. 이어서 이 연구는 법적 추론에서 정을 고려하는 일에 크게 세 가지 의미가 있음을 논한다. 첫째, 정상으로서의 정은 범죄 사실의 성립 여부, 수범(首犯)과 종범(從犯)의 분별, 범죄의 유형을 결정하는 문제 등에 중요한 근거가 된다. 둘째, 감정으로서의 정은 행위의 진실성을 판단하는 근거로서, 정약용은 감정에 근거한 행위도 충분히 신뢰할 만한 합리성을 지닌다고 생각했다. 셋째, 법률용어로서의 정은 ‘법적 추론이란 법과 정이 긴장을 이루는 가운데 적절한 결론을 내리는 것’이라는 정약용의 법이론을 구성한다. 이러한 법이론은 오늘날 감정의 개입이 법적 추론의 합리성을 저해한다는 일반적 견해와 대비를 이룬다. This study reveals that Jeong Yak-yong used the concept of jeong[情] in Jeonbalmusa to refer to circumstance[情狀] and to indicate legal emotion. Also, it is used as a legal term that constitutes a legal theory. Jeong as circumstance refers to all relevant situations related to a specific crime, and jeong as legal emotion refers to a state of mind related to crime. As a legal term, jeong is described as a factor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legal reasoning process, along with law[法] and principle[理]. This paper points out that considering jeong in legal reasoning has three main implications. First of all, jeong as circumstance is an important basis for whether to determine an incident as legal or illegal, distinguishing between main and minor offenders, and categorizing the crime. Jeong as legal emotion serves as a basis for judging the truthfulness of an act, the scholar believed that an act based on emotion is rational enough to be trusted. Lastly, jeong as a legal term constitutes Jeong’s legal theory that states ‘Legal reasoning is to draw appropriate conclusions while law and jeong creates tension’. This legal theory contrasts with the common view today that the involvement of emotions undermines the rationality of legal reasoning.

      • KCI등재

        법적 논증의 기초 ―대법원 판결과 페렐만의 신수사학

        하재홍 한국법철학회 2010 법철학연구 Vol.13 No.2

        As issues and problems of civil societies become more complicat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democratic solutions with the help of debates and argumentations are emphasized. Surely there are great needs to develop various argumentation skills in modern societies, and this lays big burdens on legal education, and it's a matter of grave concern that legal education ought to fulfill obligations to meet such demands. However, it is a general opinion that korean judicial officers, including judges and lawyers lack on understandings of legal argumentations. But this study shows a quite different understanding. In the history of rhetoric, there has been a good many skills of argumentations, but this article reviewed major argumentation skills introduced by Chaїm Perelman, representative one who revivified rhetoric in 1950s, and collated corresponding Cases. This study proves there are abundant Cases to demonstrate close relationship between rhetorical legal argumentation theory and korean legal practice, and asserts Cases simply has not been given proper analysis in basis of legal argumentation theory in rethorical tradition until now. In conclusion, rethoric is a valuable subject in the legal education because it has useful, profound contents for improving argumentation skills not to mention of legal reasoning. As issues and problems of civil societies become more complicat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democratic solutions with the help of debates and argumentations are emphasized. Surely there are great needs to develop various argumentation skills in modern societies, and this lays big burdens on legal education, and it's a matter of grave concern that legal education ought to fulfill obligations to meet such demands. However, it is a general opinion that korean judicial officers, including judges and lawyers lack on understandings of legal argumentations. But this study shows a quite different understanding. In the history of rhetoric, there has been a good many skills of argumentations, but this article reviewed major argumentation skills introduced by Chaїm Perelman, representative one who revivified rhetoric in 1950s, and collated corresponding Cases. This study proves there are abundant Cases to demonstrate close relationship between rhetorical legal argumentation theory and korean legal practice, and asserts Cases simply has not been given proper analysis in basis of legal argumentation theory in rethorical tradition until now. In conclusion, rethoric is a valuable subject in the legal education because it has useful, profound contents for improving argumentation skills not to mention of legal reasoning.

      • KCI등재

        법관과 법철학

        박은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서울대학교 法學 Vol.53 No.1

        법철학의 이론적 난제에 속하는 것들은 실천적으로 보면 모두 법관의 올바른 판단과 결정 행위에 관여되어 있다. 법철학은 법의 기본개념들을 분석하고, 이 기본개념들이 권위적 강제질서로서의 법제도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연결되는지 따지며, 더 나아가 법적 당위의 정당화근거를 찾고자한다는 점에서 "통합법학"을 지향한다. 통합은 "활동" 속에서 이루어지며 사법적 활동은 바로 이런 의미의 통합적 활동이다. 판결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법관의 추론과정은 필요충분조건을 갖춘 명제나 원리적 일관성 요구 수준을 넘어, 좀더 넓혀진 인간합리성과 객관성에 비추어 이해될 필요가 있다. 일상 언어를 포함하여 경험으로부터 발전된 인지 모델 및 "체화된 합리성"에 입각하면, 우리는 법적인 개념 구성이나 범주 설정에 대해 이른바 블랙박스 이론이나 규칙합리주의에서와는 다른 방식으로 더 잘 설명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법추론에서 핵심이 되는 모델케이스와 이와 연관된 다양한 확장 형태들의 관계를 "방사형((放射形, radial)" 범주 개념을 통해 더 구체화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법추론의 역동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현상들 사이에 기능적 유사성이나 내적 상관성을 찾는 유추의 역할을 더 주목해야 한다. 그밖에도 법관은 법사고에서 메타포의 역할과, 단어나 명제를 넘어 이것들을 상당수로 엮어 이루어지는 서사 즉 "이야기(narrative)" 구조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법관의 "올바른 추론"은 일반 규칙내지 원리의 중요성과 더불어 "상황의 중요성"을 아는 "프로네시스(phronesis)" 즉 실천적 지혜의 영역이라는 점도 기억해야 한다. Seen from the practical point of view, every difficult theoretical problem of legal philosophy is concerned with the question, "what judgments and decisions made by judges are correct ones?" A good answer to this question can be given by legal philosophy as "integrative jurisprudence". By "integrative jurisprudence", I mean that (i) it analyzes the basic concepts of law; (ii) it explores how these basic concepts are associated with legal institutions as an authoritative coercive order; (iii) it legitimates legal ought or norms of the society in one way or another. Given this, the integration is possible only within judge"s "activities"; in this sense, judicial activities are integrative activities. Under the rubric of integrative jurisprudence, judges" process of reasoning for legitimating their judgments should be deemed to be more than merely meeting the requirements of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or principled consistency. It rather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extended human rationality and objectivity. In this regard, special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the cognitive models and "embodied rationality" that burgeon from human experiences including those of ordinary language. This attention enables us to explain legal conceptualization or categorization better than does the so-called Blackbox Theory or Rule-rationalism. This explanation requires specifying a model case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extended ones. This specification, central to legal reasoning, is basically made through the concept of "radial category." In addition, the role of analogy-the functional similarity or internal correlations among complex phenomena-should be stressed in elucidating the dynamicity of legal reasoning. Next, judges need to be concerned with the role of metaphors in legal thinking and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consists in the combinations or sequences of words and propositions. Lastly, it should be noted that judges' "correct reasoning" lies in "phronesis"-i.e., the realm of practical wisdom tha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contexts" as well as that of the general rules or principles.

      • KCI등재

        법적 추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으로서의 인지적 분석: 성전환자의 공부상 성별 정정 사건을 중심으로

        강태경 ( Taegyung Gahng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서울대학교 法學 Vol.55 No.4

        본고는 법적 추론에 대한 윈터(Steven L. Winter)의 인지적 분석방법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인지적 분석방법을 우리 법원의 법적 추론에 적용해 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법적 추론에 대한 인지적 분석방법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 그분석의 토대가 되는 개념도구들인 개념적 은유(conceptual metaphor), 이상적 인지모형(idealized cognitive model), 방사형 범주(radial category)에 관하여 알아본다. 이를 통해서 인지적 분석이 비판적 분석의 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둘째, 인지적 분석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성전환자의 공부상 성별 정정 사건과 관련된 일련의 결정들을 인지적 관점에서 깊이 있게 분석·검토한다. 이러한 분석과 검토를 통해서 사고의 배경이 되는 인지적 기제들이 법적 쟁점(즉, 성전환자인 신청인의 법적 성별을 그들이 원하는 성별과 일치하도록 정정하는 것이 허용되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이해에 의미심장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인지적 기제들의 틀 안에서 법적 추론을 재평가하는 작업은 우리로 하여금 그러한 기제들이 법적 추론에서 담당하는 이중적 역할, 즉 법적 쟁점들에 대한 새롭고도 다양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며 동시에 그러한 가능성에 일정한 제약을 가하는 역할에 주목하게 만든다. 다시 말해, 인지적 분석은 법적 사태들과 개념들에 대한 새로운 의미 형성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My study aims to introduce Winter’s cognitive analysis method of legal reasoning, and to apply it to the reviewing of Korean courts’ judicial decisions. To understand the cognitive analysis method, one needs to understand the necessary conceptual tools such as conceptual metaphors, idealized cognitive models, radial categories used in cognitively analyzing legal reasoning. Cognitive analysis can be considered as a kind of critical analysis. Having established better understandings of the cognitive analysis method, I analyze and examine in-depth a series of judicial decisions on the correction of transsexual people’s legal sexes. This review demonstrates that cognitive background mechanism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inking about legal issues (i.e. deciding whether transsexual plaintiffs are permitted to change their legal sexes in accordance with their desired ones). Reappraising legal reasoning within the framework of cognitive mechanisms lets us pay attention to their conflicting roles in legal reasoning; cognitive mechanisms not only make it possible to understand legal issues in new and different ways, but also impose certain constraints on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s. Namely, it can provide new possibilities for making new meaning of legal issues and concepts.

      • KCI등재

        법에 의한 재판과 법적 추론 - 토마스 쿤의 패러다임 이론을 중심으로 -

        이동희 ( Lee¸ Dong-hee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45 No.4

        법에 의한 재판은 법률가가 전통적으로 강조해 온 것이며, 사회도 당연한 것으로서 그 의의를 인정해 왔다. 문제는 법에 의한 재판이 무엇이고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가라는 것이다. 법에 의한 재판은 법률의 기계적 적용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법관이 행사하는 권력을 포함한 권력 일반에 대해 그 자의적인 사용을 억제하는 것을 중심적 이념으로 한다. 법에 의한 재판의 전제인 법의 의미가 명확하다고 해도 법의 적용에 곤란이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법의 적용에 곤란이 느껴지는 경우, 재판의 당사자는 법적 추론이라는 수단을 사용하여 법 적용의 곤란에 대처하려고 한다. 법적 추론이란 법적 판단이 법의 문언에 합치한다는 것을 이론에 의해 논증하려고 하는 활동으로, 법적 이론구성이라고 불린다. 본 논문은 법률가가 일상적으로 행하고 있는 법적 추론이 형식이론보다 표준례(examplars)에 의한 법사고라는 일종의 유추적 사고(analogical thinking)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는 관점에서, 토마스 쿤(T. S. Kuhn)의 패러다임 이론을 참고로 법에 의한 재판의 문제를 고찰하려고 한다. 과학에 있어서의 문제해결이 어떻게 행해지는가에 관한 패러다임 이론은, 지금까지 법률가가 법적 문제의 해결에 관하여 단편적으로 기술하였던 것과 상당한 점에서 부합하며, 법적 추론을 전체로서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시사를 주고 있다고 생각된다. 표준례에 의한 법사고가 법에 의한 재판에 있어서 유일하고 올바른 답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법적 추론이 표준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법에 의한 재판도 그 활동에 의해 규율된 것으로서 그 나름의 합리성을 승인할 수 있을 것이다. ‘Trial by law’ has traditionally been emphasized by lawyers, and society has recognized its significance as natural. The problem is the definition of ‘Trial by law’ and how we can realize it. A trial by law does not mean the mechanical application of the law. Still, it should be based on its central ideology to restrain its arbitrary use of power in general, including the exercised by judges. Even if the meaning of the law, which is the premise of ‘Trial by law,’ is evident, there are cases where it is difficult to apply a law. If it feels challenging to use law, the parties to the trial could depend on a means of legal reasoning. Legal reasoning is an activity that attempts to argue by a theory that legal judgment conforms to the text of the law and is called a legal theoretical composition.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issue of ‘Trial by law’ by referring to the paradigm theory of T. Kuhn, from the viewpoint that legal reasoning, which lawyers routinely practice, is supported by a kind of analogical thinking of legal thought by exemplars rather than formal theory. The paradigm theory of solving issues in science is considerably in accord with what lawyers have described in solving legal problems in part and gives necessary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legal reasoning as a whole. Legal thinking according to standard practices does not provide the only and correct answer in trials under the law. However, if the legal reason is vital for customary practices, ‘Trial by law’will approve its rationality as its activities regulate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