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의 지식경영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S기업의 지식경영 실천 사례

        현경택 ( Kyung Taek Hyun ),홍아정 ( Ah Jeong Hong ) 한국지식경영학회 2010 지식경영연구 Vol.11 No.1

        As knowledge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means of production for a company to survive in a "knowledge-based society", knowledge management has become the key issue in the corporate sector. Despite its growing significance, there are limited numbers of research that describe how companies actually develop, share and practice their knowledge.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approach to explore on the actual process of knowledge management implementation. In-depth interviews with eleven senior managers, who were working at S global corporation,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how the participants perceive and how they actually perform in managing knowledge. While the participants tend to conceptualize knowledge management as building a technical system, their performance has shown that knowledge has been developed and shared through active interaction among the members in the company. The factors that impede knowledge management were caused by the individualized job assignment and inapplicable exercises that result in obscuring information flow and utilizing inadequate and low quality of knowled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knowledge management is not a matter of formality but a paradigm that assures for the flow and share of knowledge.

      • KCI등재후보

        지방공무원들의 지식공유 의도에 관한 영향요인 연구­Answer Tree 분석을 이용하여­

        김구 한국지방자치학회 2003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15 No.3

        This study is analyzed by decision tree to explain impacts of knowledge sharing intention in local government officials. To be aim of this study, one is classified organizational and management factor, relative factors,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and application IT in impacts of knowledge sharing through examination of preceded study. It is created the target variable with the impacts of knowledge sharing intention and the predictor variables with factors what these are classified, is used the CART algorism of SPSS Answer Tree program to analysis this conceptual modeling. A result of analysis is classified and identified that the knowledge sharing intention is rational organization culture in organizational and management factors, trust in members of relative factors, obviousness and usefulness in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facilitate knowledge sharing is suggested what one should have offered of learning opportunity to learn for knowledge sharing, building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community intra-organization.

      • 지식정보사회와 교육패러다임의 변화

        이해두 대구대학교 2006 대구대학교 학술논문집 Vol.1 No.2

        현대는 ‘과학·기술적 혁명의 시대’(the age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volution)라 할 수 있다. 보노 E. Bono에 의하면 ‘과학은 지식의 생성’(science is the generation of knowledge)이며 ‘기술은 지식의 응용’(technology is the application of knowledge)으로 풀이되고 있다. 과학적 기술적 혁명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곧바로 ‘지식의 폭발’the eruption of knowledge)이 계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지식의 혁명’(the revolution of knowledge)이 이루어지는 사회가 ‘지식 기반 사회’(knowledge based society)로서 이른바 ‘ 식·정보사회’(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인 것이다. ‘지식·정보사회’는 일반적으로 산업사회의 후기단계의 한 모습으로 풀이되고 있으며, 이 사회에 있어서는 ‘지식의 생성’과 ‘지식의 응용’에 최고의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산업사회가 제품이라는 유형의 물질을 중심으로 생산하는 사회라면, 지식·정보사회는 지식이라는 무형의 가치를 중심으로 생산하는 사회이다. 그러므로 생산의 양식도 ‘근육’ 중심에서 ‘두뇌’ 중심(from brawn to brain)으로 옮겨오게 된다. 산업사회가 ‘기계기술’(machine technology)에 기초했다면, 지식정보사회는 ‘지적기술’intellectual technology)에 기초하고 있다. 산업사회의 교육이 단순한 ‘지식의 전달’knowledge transmission)에 치중했다면, 지식정보사회의 교육은 효율적인 ‘정보의 가공’information processing)기능을 중시하게 된다. 본 연구는 지식정보사회를 맞아 교육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총체적인 입장에서 살펴보고 학교공동체(학교교육)와 전자공동체(사이버교육), 그리고 시민공동체(사회교육)가 어떻게 조화롭게 정합해 갈 수 있을까를 검토하고 아울러 대학교육의 변화의 길을 모색해 보았다. 지식정보사회의 발전적이며 긍정적인 미래를 위해서는 ‘인간의 얼굴을 가진 정보사회’(Information Society with Human Face)의 실현을 위한 교육시스템의 총체적 변혁이 요청된다. It is called that today is ‘the age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volution’. According to E. Bono, “science is the generation of knowledge and technology is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And the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volution’ means ‘the eruption of knowledge’.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so to speak knowledge based society is the one which the revolu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occurs progressively. In this society ‘the generation of knowledge(information)’ and ‘the application of knowledge(information)’ is estimated as the supreme primacy of value. While industrial society is based on the ‘machine technology’, information society is based on the ‘intellectual technology’, and the education in the industrial society emphasizes on the ‘knowledge transmission’, on the other hand the education in the information society emphasized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n the mode of education changes ‘from brawn to brain’. The author analyses the paradigm shift of education in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in general and gropes the possibilities of the harmonious way of combination amongst school community, cyber community and civic community, and the direction of change of college education together. Finally, we should examine the education system in the whole to pursuit the realization of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with ‘human face’.

      • KCI등재

        전략적 지식큐레이션을 위한 새로운 제언

        한병석 ( Byungsuk Han ),배경훈 ( Kyounghun Bae ),강형구 ( Hyoung-goo Kang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9 유라시아연구 Vol.16 No.2

        정보를 획득하고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경영학 연구 주제이다. 이미 사회과학의 많은 영역에서 정보의 획득과 관리에 대해 심도 깊게 다루고 있다. 최근에는 다루어야 할 정보의 양이 폭발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기존 정보를 재구성하고 이를 가치 있는 지식(knowledge)으로 바꾸는 것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방대한 정보의 바다에서 유용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류하기 위한 효과적인 정보 관리방안으로서 지식큐레이션(knowledge curation)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큐레이션 (Curation)은 원래 박물관에서의 미술품 선택과 관리를 의미했지만, 이제는 정보의 재구성이라는 개념으로 확장되어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식큐레이션에 대한 서비스는 수요 및 공급 양쪽의 측면에서 증가하고 있다. 수요 측면에서는 기존 정보에 대한 선택 대안이 너무 많아 큐레이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너무 많은 선택대안은 소비자의 유용성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공급 측면에서, 정보를 다루는 비용이 감소함에 따라 지식큐레이션을 더욱 합리적인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다. 빅데이터 기술 등과 같이 소비자에게 맞춤형 지식큐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의 진보가 뒷받침되고 있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식관리에 관한 기존의 연구문헌은 새롭고 떠오르고 있는 지식큐레이션의 개념을 충분히 다루고 있지 못하다. 기존 지식 관리 문헌은 확장되고 있는 새로운 개념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고는 지식큐레이션에 대한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지식큐레이션을 그 목적과 진행과정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분류방법에 따라 지식큐레이션은 네 가지로 세분화할 수 있다. 즉, 뉴스 접근법(News Approach), 박물관 접근법(Museum Approach), 네트워킹 접근법(Networking Approach) 및 개방형 혁신 접근법(Open-Innovation Apporach)이다. 구체적으로 뉴스접근법은 지식큐레이터가 기존 지식을 일방적인 방향으로 전달하는 것이며, 다각적 흐름을 통해 기존 지식을 전달하는 것은 네트워킹 접근법이 된다. 한편, 지식큐레이터의 목표가 일방적인 정보 흐름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것이면 박물관 접근법으로 분류할 수 있고, 지식 큐레이터가 참여자 간의 다각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할 때는 개방적인 혁신접근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본고는 지식큐레이션의 각 분류에 따라 큐레이터와 참여자들이 어떻게 특징 지어지는지도 설명하고 있다. 각각의 접근법은 강사(Lecturer), 연구자(Researcher), 조정자(Moderator) 및 혁신 관리자(Innovator)와 같은 서로 다른 역할로 설명할 수 있다. 뉴스 접근법은 큐레이터가 강사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것을 요구하고, 박물관 접근은 연구자로서의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그리고 네트워킹 접근법은 지식 큐레이터에게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개방형 혁신 접근법은 혁신적인 관리자로서의 역할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본고에서는 지식 큐레이션을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실무적인 방법론도 제시고하고 있다. 제안된 방법론은 앞서 설명한 네 가지 지식큐레이션 접근법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프로세스라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본고는 지식큐레이션의 목적과 실행방법에 대한 방안을 구체화한 첫 번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새로운 개념인 지식큐레이션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근거를 제시하고, 기존연구문헌의 한계를 보완한다는 점에서도 학술적 의의가 있다. 그러나 각 접근법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방법론에 대해서는 연구목적상 차기 연구주제로 다루고자 한다. 모쪼록 본고를 계기로 지식큐레이션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고대해 본다. How to acquire and to produce important information is critical. How to manage knowledge is also a significant topic in social science. Recently, as the amount of information has exploded, it becomes more important how to organize existing information and to turn much information into valuable knowledge. Furthermore, it is crucial for people to select the right information for themselves. In other words, in the vast ocean of information, we must be able to gather and classify useful information. Knowledge curation, as a management process of reorganization of information, is a promising strategy. Knowledge curation is an interesting concept. Curation originally meant the selection and care of objects to be shown in a museum, but now is used as a reorganization of the information. Knowledge curation services have grown due to both demand and supply factors. From the demand side, as there are too many choice alternatives about contents, the demand for contents curation increases. Contrary to common sense, too many choice alternatives can reduce the utility of consumers. From the supply side, as the cost of contents decreases, curation becomes cheaper. In addition, big data technologies make it possible to offer customized knowledge curation to consumers. However, existing knowledge management literature has not clearly incorporated this new concept yet. In this paper, we suggest a novel framework for knowledge curation in line with existing knowledge management literature.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paper to catalog knowledge curation on its goals and processes. This paper will make this emergent concept more useful and in turn, contribute to the body of knowledge management literature. We classify knowledge curation based on its process and its orientation. This classification yields four approaches to knowledge curation: news approach, museum approach, networking approach and open innovation approach. Four types of knowledge curation are summarized as below. When knowledge curation is to communicate existing knowledge in unilateral direction, it becomes the news approach. When it is to communicate existing knowledge through multilateral flow, it becomes the networking approach. When the goal of knowledge curation is creating new knowledge through unilateral information flow, the museum approach emerges. Lastly, when knowledge curation aims to create new knowledge through multilateral interactions between participants, it is the open innovation approach. And we suggest required roles for knowledge curator according to each approach. The news approach requires curators to become lecturer, the museum approach does researcher, the network approach does moderator, and the open innovation approach does innovation manager. Also, we suggest how to implement knowledge curation successfully. The suggested process describes the generic process that can be applied to all models of knowledge curation. It is desirable to repeat this procedure until the marginal cost of the procedure iteration is greater than the marginal utility. Future research can enrich this research with furthe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 A study on the impacts of informal networks on knowledge diffusion in knowledge management

        Hanool Choi,Keunwoo Yang 한국경영과학회 2008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

        Knowledge management has garnered attention due to its role of maintaining competitive advantage. Creating and sharing knowledge is an essential part of managing knowledge. However, the best knowledge is underutilized because employees tend to seek knowledge through their informal networks, not reach out to other sources for obtaining the best knowledge. Prior studies on informal networks pointed out a negative influence of heavy reliance on learning through informal networks but they paid little attention to a structure of informal networks and its impacts on diffusion of knowledge. The aim of our study is to show impacts of informal network on knowledge management by employing a network structure and investigating diffusion of knowledge within it. Our study found out that performance of learning becomes lower in a highly clustered network. Creating random links such as serendipitous learning can improve performance of knowledge management. When employees rely on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creating random links is not necessary. Costs of adopting knowledge affect performance of knowledge management.

      • KCI등재

        지식은폐와 지식공유의 영향요인과 관계에 관한 연구

        신가희 ( Gahee Shin ),곽선화 ( Sunhwa Kwag ) 한국지식경영학회 2017 지식경영연구 Vol.18 No.2

        Knowledge is important to both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Individuals can have the opportunity to have bargaining power within their organisations by having knowledge of know-how and ideas. Having ample knowledge of the organization can bring about advantages in securing competitive advantage. Organization wants to encourage employees to share knowledge. Despite the efforts to enhance knowledge sharing, often the effort failed. Employees are unwilling to share their knowledge or hide their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hiding and knowledge sharing based on exploring the influence factors of knowledge hiding and knowledge sharing. As a result, the influence factors of knowledge hiding and knowledge sharing were different. The influences of knowledge hiding influenced knowledge hiding only and did not affect knowledge sharing. This implies that knowledge hiding and knowledge sharing do not exist on a single line but exist independently of each other, such as `Herzberg`s two-factor theory`. This study suggests that knowledge hiding is a field of interest as well as knowledge sharing. In practice, it is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promoting knowledge sharing is not a way to reduce knowledge hiding, so the two concepts should be managed separately.

      • KCI등재

        지식과 사회 변혁: 한국의 지식 양상의 변화를 중심으로

        김상준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3 동서연구 Vol.25 No.1

        This paper explores the mode of knowledges which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ociety. It argued that “invention,” as a first mode of knowledge, enabled England to accomplish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18th century while “innovation” made possible American scientific revolution in 20th century. South Korea actually lacked both modes of knowledge in the process of its industrialization. Nonetheless, the country succeeded in both of rapid industrialization and development of society. The successes could be explained by “learning,” another mode of knowledge, rater than invention or innovation. However, facing globalization the demand of new innovative knowledge in the society has been intensified. Possibly, “convergence knowledge ” is a choice for innovative knowledge. With the emphasis on the convergence knowledge, this paper points out an intertwining development of “conventional and convergence” knowledge. Convergence knowledge needs to be created with expansions, not sanctification, of conventional knowledge. Certainly, there is a healthy cycle between conventional and convergence knowledge which would guarantee a sustainable development of innovative knowledge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변화를 ‘지식’이라는 관점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사회는 다양한 동기와 기제를 통해 변화하지만, 정작 변화요인으로서 지식의 존재양상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저조하다고 하겠다. 서구에서 지식은 크게 발명과 혁신을 통해 사회를 변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발명은 ‘시행착오(trial and error)’라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실용화되었다. 혁신은 발명과는 달리 이론(theory)과 작동원리(mechanism)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는 이들 과정은 결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는 매우 짧은 기간 동안 발전을 진행해왔다. 한국에서의 사회발전을 위한 주요 지식획득의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진다. 첫째, 근대화의 후발주자로서 선진국을 모방하고 학습하는 단계, 둘째, 유입된 지식을 국내적으로 재생산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선진국과의 평행선상에서 혁신하는 단계이다. 과거 한국은 학습을 바탕으로 빠른 성장과 발전을 이룩하였다. 중요한 이유는 한국이 ‘인적자원(human capital)’의 축적과정이 다른 나라들과 달랐기 때문이다. 또한 국가와 지식간의 긴밀한 관계 또한 학습을 확산하는데 유용하게 작용하였다. 하지만 한국 사회는 학습의 한계를 노정하고 있으며, 혁신을 위한 지식에 대한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혁신을 위한 노력이 강조되고 있으며, 그 중요한 대안으로 지식의 융복합이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식 융복합의 확산을 위해 두 가지 점을 강조한다. 첫째, 융복합의 발전을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기존 학문의 영역의 확장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융복합의 경향에서 간과되고 있는 기존학문 영역의 확장의 문제를 극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융복합 연구에는 창의성과 실현가능성 사이에는 일종의 반비례적 관계가 있다. 따라서 융복합의 확산에는 이들에 대한 적정한 조합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지방행정기관의 지식관리 유형과 성과에 관한 영향 분석 ―지방공무원의 행태 및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김구 한국지방자치학회 2002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14 No.2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performance difference through knowledge management methods in local administration. To find this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paper analyses effects of knowledge management methods on performance of public organizations empirically. For the performance difference analysis, the knowledge management methods have classified two the property codification of tacit knowledge and personalization of explicit knowledge. The analysis methods have used Cluster and ANOV A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have different from performance through knowledge management methods, especially on the functions of organization. The knowledge management for organization performance has not achievement as unilateral methods and strategy, but we have recognized the cycle process of tacit knowledge and explicit knowledge. This article is proposed the diagnosis indicators of knowledge management in organization units and service unit levels and to design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that match organizational circumstances.

      • KCI등재

        지식공유-지식창출-기업성과 간 관계에 대한 지식유형의 의미

        위신란(XinRan Yu),양오석(Oh-Suk Yang) 한국전략경영학회 2018 전략경영연구 Vol.21 No.1

        이 글의 목적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지식기반 관점에서 명시적, 암묵적 지식유형에 따른 지식공유가 지식창출, 기업 전사적 성과 및 해외자회사 성과와의 관계에서 나타내는 차이점을 고찰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지식창출이 지식공유-성과 간 관계를 매개하는 효과와 강도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에 진출한 글로벌 기업의 해외자회사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538개 설문자료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암묵적 지식공유와 명시적 지식공유 모두 지식창출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명시적 지식공유의 성과 개선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명시적 지식공유는 기업 전사적 성과에 대해 양(+)의 영향을 미치고 해외자회사 성과에 대해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암묵적 지식공유는 기업전사적 성과와 해외자회사 성과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암묵적 지식공유와 명시적 지식공유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지식창출의 매개효과를 통해 모두 확대된다. 넷째, 해외자회사 성과에 대한 지식창출의 매개효과는 명시적 지식공유가 더 크고, 기업 전사적 성과에 대한 지식창출의 매개효과는 암묵적 지식공유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t implications of knowledge sharing according to knowledge type in knowledge creation, the performance of MNCs, and foreign subsidiary performance and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creation between them. Then we explored the mediating strength from the Knowledge-Based View (KBV).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survey of 589 employees of foreign subsidiaries of MNCs that went into China. Except for unfavorable respondents we used 538 to analyz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key analysi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th explicit knowledge sharing and tacit knowledge shar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creation, and the effect of explicit knowledge sharing is greater. Second, only the explicit knowledge shar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overall MNCs and the tacit knowledge sharing has no effect on it and neither explicit knowledge sharing nor tacit knowledge sharing has on effect on the foreign subsidiary performance. Third, th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overall MNCs and the foreign subsidiary performance of tacit knowledge sharing and explicit knowledge sharing all extend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creation. Forth, in the implication of foreign subsidiary performance, the mediating strength of knowledge creation on explicit knowledge sharing is greater than tacit knowledge sharing but in the implication of the performance of overall MNCs, it shows that the mediating strength of knowledge creation on tacit knowledge sharing is greater than explicit knowledge sharing.

      • KCI등재

        중소기업의 지식공유 활동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지식경영시스템 수용 의도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전유리,홍아름 한국혁신학회 2019 한국혁신학회지 Vol.14 No.4

        In a hyper-connected technology society and the changing market environment to on-demand consumer created markets, the key element for innovation in enterprise is “creating and sharing knowledge.” In a knowledge society, it is important for companies to share knowledge in order to survive. Although there is a perception that knowledge sharing is essential for an enterprise to survive in the knowledge society, knowledge sharing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s still insignific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hat factors promote knowledge sharing in the enterprise and looked at the impact of SME's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on corporate performance, focusing on the acceptance intention of individual members of the organization for knowledge sharing and the use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employees of SMEs in Gyeonggi-do and collected a total of 170 responses by conducting a survey online.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show that in order for SMEs to be consistently competitive in the changing industrial ecosystem and corporate paradigm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operate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to raise the level of knowledge sharing and efficiently manage knowledge of organizational members. 초연결 기술 사회-모든 것이 연결되어 공유되는 사회-와 소비자가 만드는 수요자 중심 (On-demand)의 맞춤형 서비스가 요구되는 시장 환경의 변화에서 기업의 혁신을 위한 핵심 요소는 바로 ‘지식의 창조와 공유’이며, 지식사회에서 기업이 생존하기 위해서 지식공유는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나 중소기업에서의 지식공유는 아직 미미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내 중소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지식공유에 대한 조직원 개인의 수용 의도와지식경영시스템의 활용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지식을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는 지식공유의활성화의 주요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중소기업의 지식공유 활동과 기업성과와의 관계를 파악함에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중소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를 온라인으로 실시하여 총 170명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본 실증 연구 결과를 통해 4차 산업혁명의 변화하는 산업 생태계와 기업 패러다임에서 중소기업이 지속적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들의 지식공유 수준을 높이고 지식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지식경영시스템 구축 및 운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