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한국무용연구’의 연구경향 분석

        유지영 ( Yoo Ji-young ) 한국무용연구학회 2021 한국무용연구 Vol.39 No.2

        본 연구는 지난 40년간 ‘한국무용연구학회’의 학문적인 성취를 밝히기 위하여 분석적 시각에서 학술지의 연구동향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무용학회의 현황과 한국무용연구학회의 학술활동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텍스트 마이닝을 적용하여 ‘한국무용연구’ 학술지의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연구재단에서는 학회의 통합을 요구하고 있으나 무용전문학회는 소폭 증가되었다. 둘째, 과거 한국무용연구학회의 학술활동은 여름무용학교와 같은 교육활동의 주제와 같은 맥락으로 개최되었다. 셋째, ‘한국무용연구’ 학술지에서는 ‘춤’보다 ‘무용’이라는 용어를 학문적으로 많이 사용하였다. 넷째, 2010년 이전에는 가면극에 나타나는 무용의 놀이성 연구가, 2010년 이후에는 무용 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무용교육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전체 학술지의 연구주제는 무용교육 분야에서도 ‘공연 문화로서의 무용예술 교육’, ‘한국무용 교육의 특성’, ‘무용예술 교육의 구조와 발전(개선) 방안’으로 분류되었다. This study is aimed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of journals from the analytic viewpoint in order to examine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Society of Dance Studies’ for the last 40 years. To address the goal, first of all, this researcher investigated the status of dance societies and the status of academic activities carried out by the Society of Dance Studies and also applied text mining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of journals published by ‘the Journal of Korean Dance’. According to the findings, first, alth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demands the integration of societies, societies specialized in dance have increased slightly. Second, the activities previously done by the Society of Dance Studies were held within the context like the topics of educational activities, for instance, the summer dance school. Third, journals published by ‘the Journal of Korean Dance’ tend to use the term, ‘dance’, more than ‘chum’ academically. Fourth, before 2010, research on the playfulness of dance found in the masque was often carried out whereas after 2010, research on dance targeting those majoring in dance was frequently done. Fifth, concerning the research topics of entire journals, in the area of dance education, too, they have been classified into ‘education on dance art as performing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education’, and ‘the structure and plans of development(enhancement) for dance art education’.

      • KCI등재

        ‘한국무용’ 장르의 연구동향

        김미경 한국무용연구학회 2020 한국무용연구 Vol.38 No.2

        The present study was to provide an information necessary to establish the research direction for the ‘Korean dance’ genre, by analyzing its current status and research trend of the ‘keyword’ presented in the published papers in the dance related journals since 1973 us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Total 2,483 Korean dance related papers were selected from the journals and the 4,569 key-words were finally selected through the calibration process for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NetMiner and UCINET/NetDraw Program. The networks of the selected top 15 key-words with high frequencies from total key-words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frequency and proportion of co-occurrence, degree centrality index, and network map. The papers of Korean dance genre were most frequently presented the key-words related to research participants such as ‘female dance major college student, dancer and the elderly’. The type of dance was second frequently described key-word. The papers presented most frequently ‘traditional dance’, ‘folk dance’, ‘creative dance’, and ‘new dance’ key-words in a row among the type of dance. It was concluded that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researches of Korean dance genre since 1973 wer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Korean dance program’ on ‘participation, job satisfaction, self management, and devotion’ of the ‘dance major college students, dancers, and the elderly’. 이 연구는 1973년 이후 출판된 ‘한국무용’ 장르에 해당하는 학술지 게재논문을 대상으로 키워드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한국무용’ 장르의 연구동향을 파악함으로써 ‘한국무용’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첫째, ‘한국무용’ 장르 학술논문의 발표현황을 파악하고 둘째, ‘한국무용’ 장르 학술논문의 키워드를 분석하고 연관단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종 선정된 ‘한국무용’ 관련 논문은 2,483편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논문으로부터 얻은 키워드는 정제과정을 거쳤으며 최종 선정된 키워드 수는 4,569개이다. 학술논문의 네트워크는 동시출현(co-occurrence) 빈도와 비율, 연결중앙성(degree centrality) 지수, 연결망 지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관단어 분석은 전체 키워드 중 연결중앙성이 높은 상위 15개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논문자료는 Excel system에 자료를 입력한 후 NetMiner와 UCINET/NetDraw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1973년 이후 2019년 10월 현재까지 한국무용 관련 학술지 게제논문은 총 2,483편이 발표되었다. 둘째, ‘한국무용’ 장르 연구는 연구대상인 ‘전공 여자 대학생과 무용수, 그리고 일반 노인’ 관련 키워드가 가장 많이 제시되었다. 또한 ‘전통무용’, ‘민속무용’, ‘창작무용’, ‘신무용’ 순으로 무용유형과 관련된 키워드가 많이 제시되었다. 셋째, 네트워크 기반 키워드는 ‘한국무용프로그램이 전공자, 무용수, 노인, 참여 만족도, 직무 만족도, 자기관리, 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 KCI등재

        동시출현단어 연결망 분석을 통한 무용학술연구의 지적 구조 탐색

        강윤주 ( Yun-ju Kang ),윤미라 ( Mi-ra Yoon ) 대한무용학회 2018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6 No.6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cademic research trend of dance and to analyze a co-word network in multiple research fields of dance. We selected a total of 6,798 research journals focused on dance from 1964 to 2017, which are registered or expected to be registered on Korea Citation Index (KCI) according to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The data was classified into 14 areas of dance academic research, based on the classification table of academic research fields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results of a content analysis,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 co-ward analysis, and a network analysis showed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researches on dance had significantly increased in quantity and quality since 1990. Second, regarding keywords, ‘dance’ was the most widely used keyword and the most significant subject term in dance academic researches. Third, each different subject area was covered with its property within the 14 research areas based on a co-word network of a key term ‘dance’.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 : 국내 무용교육학 연구 동향 분석: 주요 학술지를 중심으로

        김혜정 ( Hye Jeong Kim ) 한국무용과학회 2015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10년 동안의 국내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무용교육학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국내 무용 교육학의 현 위치를 파악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학진 등재지로 무용학의 다양한 학문 을 아우른다고 판단되는 대한무용학회, 한국무용과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의 학술지 총 세 개를 선정하였다. 분석자료 는 2004년부터 2013년까지 세 개의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렇게 자료수집 및 분석된 것을 토대로 내용분석(contents analysis)을 하였으며, 그 결과 총 203개의 논문이 추출되었다. 연구결과 국내 무용교육학을 1 기(2004~2006), 2기(2007~2009), 3기(2010~2013) 세 시기를 구분하여 ‘연도별 출판 현황’, ‘연구주제별 출판 현황’, ‘연구대 상자별 출판 현황’, ‘연구방법별 출판 현황’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째, 연도별 출판현황은 무용교육학 관련 논문의 양적인 성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연구주제별 출판 현황은 프로그 램 개발 및 효과, 무용학습효과, 무용교수법 등 무용교육의 실질적 발달에 따른 연구가 폭넓게 진행되었다. 셋째, 연구 대상별 출판 현황은 유아를 포함한 일반 초·중·고·대학생, 무용전공 초·중·고·대학생, 노인을 포함한 일반성인, 무용교사 및 교수, 무용전공인, 장애우 순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넷째, 연구방법별 출판 현황은 양적 연구 논문, 질적 연구 논문, 통합 연구 논문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자는 무용교육학 연구범위가 확대되어 일부 학회지에 편향되어 출판되는 현 상황에서 벗어나 다양한 학술지에 무용교육학 관련 논문이 출간될 필요가 있다. 또한 무용교육학 의 양적, 질적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학회지 마다 각각의 전문성을 토대로 그 분야에서 바라보는 무용교육학의 다양한 사고방식의 지식과 경험을 수용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향후 교육과정, 교수학습방법, 평가 등 무용교육학 연구 범위가 균형 있게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domestic research trends of dance education in major korean journals for the last ten years, to understand the present status and to find out the future assignments of domestic dance education. For that, the three journals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and The Korea Society of Dance Documentation from Korean Citation Index were selected as study objects, which could be judged as representative ones of various parts of dance. And research papers of those three journals from 2004 to 2013 were collected. Among those materials, by contents analysis, total 203 pape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the study results, domestic dance education research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 of first(2004-2006), second(2007-2009), and third(2010-2013) stage, and the conclusions were deducted by the analyses according to the publication conditions of years, study subjects, study objects, and study method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publication conditions of years, the quantitative improvement of study papers was confirmed. Second, according to the publication conditions of study subjects, the various study subjects like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s, effects of dance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were researched by practical improvement of dance education. Third, according to the publication conditions of study objects, the studies on ordinary elementary·middle·high·university students including preschooler, elementary·middle·high·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ordinary adults including the elderly, dance teacher and professor, dance majors, and the disabled were performed in the order of written. Fourth, according to the publication conditions of study methods, quantitative study, qualitative study, and integrated study were performed in the oder of written.

      • KCI등재

        체육철학의 연구동향: 『한국체육철학회지』를 중심으로

        송형석 ( Hyeong Seok Song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15 체육과학연구 Vol.2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에 게재된 체육철학 분야 연구 논문들을 분석하여 최근 10년간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체육철학 연구에 의미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해당기간 동안 게재된 총 510편의 연구물을 선정하였으며, 이것들을 연구방법과 연구영역 두 측면으로 나누어 그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영역은 체육철학의 분류기준에 따라 형이상학, 인식론, 가치론 세 영역으로 분류하여 각 영역별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연구방법 측면에서 이론연구의 비율이 높았고(448편, 88%), 경험연구의 비율은 낮았다(62편, 12%). 경험연구는 대부분 질적 방법(59편. 95%)에 의존하고 있었으며, 양적 방법에 의존한 연구는 소수(3편, 5%)였다. 연구영역 측면에서 형이상학적 연구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274편, 54%), 다음으로 가치론적 연구(215편, 42%), 그리고 인식론적 연구(21편, 4%)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체육철학이 강한 현실참여의욕과 연구의욕을 지니고 있는 반면에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성찰의욕은 약하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성찰성의 결여는 자칫 학문적 질의 하락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체육철학의 향후 과제로서 부단한 자기지시적 작동과 자기성찰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examine research trends of sport-philosophical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All articles from the years 2005 through 2014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were analyzed by research method and by research domain of the philosophy of sport.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literature analysis concerning the research methodolog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was larger than that of survey research and observational research. This means that the main research methodology of the philosophy of sport is a literature analysis. In terms of the domain of philosophy of sport, the rates of metaphysical research was larger than that of the other domains. This means that the main domain of philosophy of sport is metaphysics. On the other hand, the rates of epistemological research was smallest. This means the lack of self-reflection in philosophy of sport.

      • KCI등재후보

        한국무용학회지 연구동향 분석

        추나영 한국무용학회 2017 한국무용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한국의 무용학 연구에 있어서 학문적인 통합과 공동체 형성을 목표로 학문적 정보제공과 다양한 교류활동을 위해 그동안 출간하였던 한국무용학회지의 연구동향에 대해 분석하고 앞으로 노력해야할 과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무용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총 152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영역과 연구방법으로 구분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무용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영역은 중분류 12개 영역과 소분류 24개 영역에서 연구가 이루어 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용예술경영학, 무용교육학, 무용심리학 관련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가 고르게 이루어졌으며, 통합연구도 2편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양적 연구에서는 회귀분석을 이용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질적 연구에서는 문헌이나 동영상, 사진 등 자료를 분석한 연구가 가장 많이 게재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search trend of research articles of Korean Journal of Dance during the last ten-year period, from 2007 to 2016. This study analyzed 152 research articles in research field and research method. Fitst, the collected data was classifies 14 medium division and 37 sub-division of research field category, and 3 research methods category and 14 data processing method category. The classified data was analyzed in frequency analysis using IBM SPSS statistics 23.0 program. The result was as follows. First, it was published that research articles was 12 medium division and 24 sub-division of research field category in Korean Journal of Dance. Second,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published almost equally in the research method, and 2 integrated studies were conducted. the research article using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most frequently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and, the research that analyzed the data such as literature, video, and photograph was the most published in the qualitative research.

      • KCI등재

        스포츠윤리 연구동향 분석:한국체육철학회지를 중심으로

        김지호,김재형,박성주 한국체육철학회 2017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5 No.3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trend in the field of sport ethics by classifying 1,137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Philosophy Society for Sport & Dance between 1992 and December 2016 into eight topics.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argues for the need to do more research about sports ethics. The four conclusion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pers on sports ethics published in the journal during the above time period constitute 12.6% (144 papers) of all publication included in the journal. Second, the subjects of these papers were: Competition & Fair Play (34, 23.6%); Sports & Ethical Discourse (32 papers, 22.2%); Sports & Inequality (18, 12.5%); Athletic Performance Enhancement & Doping (17, 11.8%); Sports Organization & Ethics (16, 11.1%); Sports & Violence (12, 8.3%); Environment & Animal Ethics in Sports (8, 5.6%); and Sports & Human Rights (7, 4.9%). Third, researching for sports ethics has been expanded in term of quantity and quality for the past ten years. This expanded research includes a variety of subjects, such as practical issues distinguished from theory. This article concludes with a suggestion of new practical topics yet to be studied in this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스포츠윤리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기존 스포츠윤리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체육철학회(2015)에서 발간한 2급 스포츠지도자 자격검정 표준교재인 『스포츠 윤리』, 김정효(2015)의 저서인『스포츠윤리학』, 국외 스포츠윤리 분야의 저명한 학자인 Morgan, Meier, Schneider(2001)가 편저한『Ethics in Sport』, 그리고 Morgan(2007)의『Ethics in Sport』를 검토하여 연구동향 분석을 위한 틀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도출한 분석틀을 토대로 스포츠윤리 연구주제를 8가지로 구분하고 1992년부터 2016년 12월까지 한국체육철학회지에 게재된 1,137편의 논문을 주제별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윤리 관련 논문은 총 144편으로 한국체육철학회지에 게재된 전체 논문의 12.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주제별로 살펴보면, 경쟁과 페어플레이 34편(23.6%), 스포츠와 윤리적 담론 32편(22.2%), 스포츠 속 불평등 18편(12.5%), 도핑과 경기력향상 17편(11.8%), 스포츠조직과 윤리 16편(11.1%), 스포츠와 폭력 12편(8.3%), 스포츠 속 환경윤리 및 동물윤리 8편(5.6%), 스포츠와 인권 7편(4.9%)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최근 10년간 스포츠윤리 관련 논문은 양적으로 크게 증가했으며 연구주제 또한 단순한 윤리적 담론에서 벗어나 실제 스포츠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윤리적 이슈들이 다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동향 분석을 통하여 장차 스포츠윤리 연구에서 불필요한 중복 연구를 최소화하고 실제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스포츠윤리 연구영역과 앞으로 연구되어져야 할 연구주제에 대한 방향성과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수업성찰일지로 본 성인발레 학습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김수아,박수영 한국무용예술학회 2023 무용예술학연구 Vol.91 No.2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experiences on adult ballet learn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analysis of the method revealedthe followings: (1)the participants’ experience of writing a reflective journal was meaningful as a meansof understanding ballet and learning ballet terminology. (2)the process of writing a reflective journalhelped participants enhance their cognition and body awareness. (3)participants experienced fluctuations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during the process of writing a reflection journal. (4)writing areflection journal motivated participants and allowed them to experience a sense of self-efficacy in theirballet class. (5)the participants reflected on the meaning of ballet while writing a reflection journal, andthis process of reflection was expanded and connected to the external aspect. Therefore, in ballet classesfor adult learners, an education combining practical lessons with the acquisition of terminology andtheory is required.

      • KCI등재

        무용학 분야의 장애인 관련 연구동향

        차지은 ( Ji Eun Cha ),이연수 ( Youn Soo Lee ) 대한무용학회 2015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3 No.1

        This research analyzed the presentation year, type, research object, research subject and method by 120 domestic master``s thesis. As the research result, the research has been activated since 2000, in respect of analysis object research per object, majority of them were the research on physical disability. Also, most of them were focusing on the children, however, on the toddlers and elderly people were insufficient. The majority was the utilizing experimental study method, but research on physical-sensible perception ability was insufficient. For more in-depth research, the research on dancing for the handicapped considers more systematic and multi-sided researches for the object.

      • KCI등재

        “스포츠 허스토리”: 한국 여성 체육사 연구 동향과 과제, 2007~2016

        최여미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18 체육과학연구 Vol.29 No.1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in Korean women’s sport history and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by reviewing journal articles conducted in the last ten years (2007-2016). [Method] The articles were selected from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 for Physical Education, Sport, and Dance, which is the only, representative sport history journal in South Korea. 66 articles identified as studies of women’s (or women-related) sport history were analyzed in five categories, including a) period, b) theme/topic, c) purpose, d) method, and e) country. [Results] Specifically, the analysis by period showed that 90% of the research focused o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hile only 7% of the research was set in pre-modern history.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theme/topic, genre has been studied most often with 36%, followed by figure (20%) and facility/institution/organization (15%). By the criteria of purpose,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48%) focused on historical evolution and transition, while the research on comparison/relation was of little scholarly interest. Regarding the category of method, textual analysis was used most often, with 70% followed by oral life history (27%). By the criteria of country, the largest ratio of papers studied Korea (75%) while only 3% of studies examined other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or Japan. Comparative, diasporic, or transnational studies were the second most popular subcategory (11%).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it was acknowledged tha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lack of interest in women’s sport history by Korean scholars and “sport herstory” is largely underresearched. In addition, the excessive concentration on a specific period or a particular theme was also exposed. To rectify the biased research practice and promote scholarly growth and enhancement in both academia of Korean women’s sport history and Korean sport histor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xpansion of historical materials, application of new methodology, cross-disciplinary conversation, and theorization in studying women’s sporting experiences. [목적] 본 연구는 지난 10년 동안 수행된 체육사 연구 중 여성 관련 체육사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과제와 연구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기획하였다. [방법] 2007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 체육사 분야의 유일한 전문 학술지인 『한국체육사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으며, 이를 연구 대상 시기, 연구 주제,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연구 대상 국가 등 5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 분석 결과, 282편의 논문 가운데 23%에 해당하는 66편의 연구들이 여성 체육 관련 연구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시기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체의 90%에 해당하는 연구가 근대와 현대시기에 집중되어 있으며, 전근대시기를 대상으로 삼은 연구는 전체의 7%에 불과했다. 주제별 검토에서는, 종목/장르에 포함되는 연구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36%), 다음으로 인물(20%), (교육)제도/정책/대회(15%) 순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분류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다수의 연구들이 연대기적 접근 방식을 통해 고찰되었음(48%)을 알 수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지역간 혹은 시대간 비교사적 접근을 통한 여성 체육사 연구는 적었다. 연구 방법적인 측면에서는, 문헌고찰 방식의 연구가 전체의 70% 비중을 차지했으며, 구술/생애사적 연구가 27%로 그 뒤를 이었다. 연구 대상 국가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체의 약 4분의 3에 해당하는 연구(75%)가 한국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국가간 비교연구나 디아스포라 관련 연구가 11%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미국과 유럽에 관한 연구(9%)나 동아시아에 대한 연구(3%)에 대한 관심도는 낮은 편이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여성 체육사 분야에 대한 학계의 근본적 관심이 여전히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연구의 주제적, 시대적 편중화를 해소하기 위해, 사료 확장, 새로운 방법론의 적용, 학제간 교류, 이론화 등이 요구되었다. 여성의 주체화를 전제로 한 이와 같은 다양한 연구 전략에 대한 모색은 한국 여성 체육사는 물론이고 한국 체육사 전반을 보다 풍성하게 만드는 데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