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귀인성향과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에 대한 조사연구

        이재호,정누리 韓國英才學會 2015 영재교육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성별, 학년, 영재교육기간에 따른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와 귀 인성향의 차이를 알아보고, 귀인성향,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 ICT 역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 다. 이를 위해 초등 정보과학영재 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는 첫째, 귀인성향의 차이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내적성향이 더 높았고 외적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학년이 6학년보다 내적, 외적성향 모두 점수가 높았고 1년과 2년 이상 교육받은 학생들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의 차이에서 남녀 간 의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5학년이 6학년보다 몇 가지 요인에서 점수가 높았다. 영재교육기간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귀인성향은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와 내적성향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외적성향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ICT 역량의 하위요인인 ICT 원리에 대한 이해는 내적 성향과, SW코딩 능력은 외적성향 중 과제곤 란도 요인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ICT 역량의 몇 가지 하위요인과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의 하위요인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시사점은 여학생들이 정보과학의 성취결과 를 노력 귀인에 더 많은 비중을 부여하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고학년 학생들에게 정보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계기가 필요하다. 그리고 정보과학영재의 선발 과정에 서는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 역시 선발 요인으로 비중 있게 고려해야 하며 정보과학학습에 대 한 노력에 가치를 두도록 장려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ims at figuring out specific characteristics of affective attitude of gifted and talented in information, predicting follow-up activities and desirable direction of learning.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paper as educational directions and suggestions for elementary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information are as follows: First, in gender ratio of gifted and talented in information, including the fact that ratio of boys is high, there remain the previous prejudice of higher information capability and it seems that girls who depend on external factors, parents and teachers should make more efforts to help girls trust their own capability in information science and lead them to give more value to attribution of efforts for achievement in information science. Second, as grade is higher, motivation to learn information science and attitude for success in information science among sub-elements of attitude to information science, motivation to seed positive recognition to higher graders is required. Third, in screening and selecting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information, attitude to information science should be considered as main cause and the existing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information should be prompted to improve their attitude to information science with value on effort for information science.

      • KCI등재

        Longitudinal Analysis of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in JASIST 1985-2009*

        서은경 한국정보관리학회 2010 정보관리학회지 Vol.27 No.2

        In recent years, the changes in information technology have been so dramatic and the rate of changes has increased so much that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rigorously evolves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proliferates in diverging research directions dynamically.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provide a global overview of research trends in information science and to trace its changes in the main topics over time. The study examined the topics of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JASIST between 1985 and 2009 and identified its changes during five 5 year periods. The study found that the most productive area has consistently been ‘Information Retrieval’, followed by ‘Informetrics’, ‘Information Use and Users’, ‘Network and Technology’, and ‘Publishing and Services’. Information retrieval is a predominant core area in Information Science covering computer-based handling of multimedia information, employment of new semantic methods from other disciplines, and mass information handling on virtual environments. Currently Informetric studies shift from finding existing phenomena to seeking valuable descriptive results and researchers of information use have concentrated especially on information-seeking aspects, so adding greater sophistication to the relatively simple approach taken in information retrieval.

      • KCI등재

        지식정보처리역량 관점에서 중학생들의 과학탐구활동 어려움 분석

        손미현,정대홍,손정우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3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is one of the essential competencies in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which is highly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iddle school students’ difficulties in science inquiry activity in view of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Collection, processing, and application of information are extracted as common elements of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through literature search. Data were obtained from eight students of a middle school in Seoul for five months and were analyzed based on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o extract students’ difficulties. As a result, the element of information collection is observed through science inquiry and the element of information processing is observed in hypothesis setting step, inquiry result analysis step, and inquiry result sharing step. The element of information application is observed in the creation of posters for sharing and inquiry reports. Difficulties in information collection were found in lack of confidence in information gathering, systematic search strategy, and information reliability. Difficulties in information processing appeared in the inexperience of analysis program use, information trans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linkage information. Difficulties in information application were caused by the lack of effective organization and effective expression of information.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provide a clue as to how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can be established in science education. 지식정보처리역량은 정보화 사회에서 필수적인 역량 중 하나이며 과학교육과도 매우 연관성이 깊은 역량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탐구 과정에서 나타나는 지식정보처리역량의 요소를 찾아보고 중학생들이 이와 관련하여 어떠한 어려움을 겪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지식정보처리역량의 정의에서 공통된 요소인 정보 수집, 정보 처리, 정보 활용의 세 가지 요소를 추출하 였다. 또한 서울시에 위치한 중학교에서 동아리 활동을 하는 학생 8명의 탐구활동을 5개월간 참여관찰 하여 자료(면담 및 관찰 전사본, 탐구 보고서, 탐구일지, 현장 노트 등)를 수집하였고, 지속적 비교분석 법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범주화하고, 지시정보처리역량 요소와 관련된 어려움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정보 수집 요소는 탐구를 진행하는 내내 관찰할 수 있었으며 정보 분석 요소는 가설 설정 단계와 탐구 결과 분석 단계, 탐구 결과를 공유하는 단계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정보 활용 요소는 탐구 보고서 작성 및 공유를 위한 포스터 제작 등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이 겪은 어려움으 로는 정보 수집에서는 정보 수집의 확실성, 체계적인 검색 전략, 정보의 신뢰성 등을 확보하지 못한 점에서 나타났다. 정보 분석에서 겪는 어려움은 분석 프로그램의 사용, 정보 변환, 연계 정보의 해석 등의 미숙함에서 나타났다. 정보 활용에서 겪는 어려움은 정보의 조직화, 효과적 표현 능력의 부족함에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지식정보처리역 량이 과학교육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지 그 단초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수학, 과학, 정보 문항이 초등 영재 선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민미경 ( Min Mee Kyung ),김갑수 ( Kim Kap Su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8 한국초등교육 Vol.29 No.3

        이 논문의 목적은 초등학교 과학영재를 선발할 때에 수학, 과학, 정보 분야의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이 영재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8년도 S대학 과학영재 교육원 지원자 1,117명, 1차 합격자는 201명, 최종합격자 114명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지원자의 총합과 상관관계 분석에서 수학은 0.865이고, 과학은 0.672이고, 정보는 0.626으로 상관관계가 매우 높다. 1차 합격자들의 경우에는 수학 0.611, 과학 0.499, 정보 0.22로 3개 분야 모두 0.01%이하의 유의 수준으로 의미가 있다. 최종 합격자에서는 수학은 0.531, 과학은 0.514, 정보는 0.314로 의미가 있다. 두 번째, 4학년, 5학년, 6학년의 세 집단에 대한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한 결과 지원자의 세 집 집단 간에 차이가 있다는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1차 합격자에서 수학, 과학, 정보, 총합은 5%이하의 유의수준에서는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최종 합격자에서는 수학에서 유의수준 5%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고, 과학 및 정보는 유의한 차이점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총합은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성별 차이를 보면 지원자에서는 수학과 정보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보였고, 과학은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1차 합격자들과 최종 합격자들에서는 성별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수학, 과학, 정보 문항들은 지원자, 1차 합격자, 최종합격자들 모두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년별 유의미한 차이는 지원자, 최종 합격자들에서는 차이가 있고, 성별 유의미한 차이는 수학, 정보만 지원자들에 대해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how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mathematics, science, and information is related to giftedness when selecting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117 applicants, 201 students of first passers, and 114 students of final passers for 2018 science and gifted education center in S university, First, in correlation analysis with total score of 1,117 applicants, the mathematics field is 0.865, the science field is 0.672, the information field is 0.626, the correlation is very high. The first passers of 201 students are 0.611 in mathematics, 0.499 in science, 0.22 in information, which means that all three fields are meaningful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0.01% or less. In the final admitted 114 students, the mathematics field is 0.531, the science field is 0.514, and the information field is 0.314. Second, the results of the ANOVA for the three groups of 4th, 5th, and 6th graders show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of applicants. The first passers have no difference in mathematics, science and information field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5% or less, and that the final admitted passers have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level of significance of 5% in mathematics, an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ience and information.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score. Third, gender differences show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mathematics and information in the applicants, no difference in science. Also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assers and final admitted students. In conclusion, we can see that the mathematics, science, and information items are all correlated with applicants, first-passers, and final admitted student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ades for applicants and final admitted students, a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between mathematics and information only applicants.

      • KCI우수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및 학령인구 급감에 대응하기 위한 국내 문헌정보학과의 정체성과 발전 방향 모색

        장로사,노영희 한국문헌정보학회 202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4 No.2

        This study recognizes the need for Korean university society to have to prepare for the coming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for rapid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presents a diagno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department of domestic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o respond to such issues, it explores the identity of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there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as of February 2020 that 36 universities offer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hile 18 universities abolished the department. Further, compared to 2013, 2019 saw the number of the students enrolled and full-time faculty decline by 38.5% and 13.4%, respectively. Thus, the identity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s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ere examined by dividing the issue into 5 parts. Five proposals thus were presented: First, convergence education is required at the level of academic identity. Second, at the level of law and state,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t should be guaranteed that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hould be promoted and that the employment should be stabilized. Third, at the level of association, the social image of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hould be enhanced. Fourth, at the level of universities, the support for and promotion of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hould be boosted. Fifth, at the level of the department, student-oriented education should be bolstered and the employment rate should be enhanced. 본 연구는 한국 대학사회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 및 대학 입학자원의 급감에 대비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현 국내 문헌정보학과의 현황을 진단하였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향후 문헌정보학과의 정체성 및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2020년 2월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에 문헌정보학과가 설치된 대학은 총36개교(2년제 4곳, 4년제 32곳)이며, 학부과정이 폐과된 대학은 총8개교(2년제 5곳, 4년제 3곳)이고, (교육)대학원이 폐과된 곳은 총10개교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2013년과 대비하여 2019년에 입학 정원수는 38.5%가 감소하였으며, 전임교원수도 13.4%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한국의 문헌정보학과의 정체성 및 미래 발전 방향을 크게 5가지로 구분하여 첫째, 학문 정체성 차원에서 융합교육 필요, 둘째, 법․국가차원에서 문헌정보학과 진흥 및 사서 취업 안정성 보장, 셋째, 협회차원에서 문헌정보학과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 제고, 넷째, 대학차원에서 문헌정보학과 지원 및 홍보 확대, 다섯째, 학과차원에서 학생중심 교육 강화 및 취업률 향상을 도모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과학치안 구현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김문귀(Kim, Moon-Kwi),임형진(Lim, Hyung-Jin) 한국법학회 2018 법학연구 Vol.69 No.-

        4차 산업혁명시대의 도래에 따라 과거의 경찰활동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과학치안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는 과학치안 연구의 일환으로 2017년부터 다중로그 기반 치안서비스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동 연구는 잠재적 피해자, 잠재적 가해자, 특정 범죄자 등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 및 경찰 보유 데이터(범죄정보)를 수집․분석․활용하여 과학적 범죄예측 및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서 국민 안전을 효과적으로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런데, 다중로그 기반 치안서비스 개발 및 실제 적용을 위해서는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CCTV 등 다양한 센싱자료를 통해 잠재적 피해자․가해자 등의 다양한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해야 하고, 막대한 양의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찰데이터를 분석․활용하여야하기 때문에 헌법상 보장된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및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이라는 기본권 침해를 둘러 싼 법적 논란이 제기될 수 있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동 서비스 구현의 합법성을 담보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미래 첨단형 과학치안을 구현하고자 하는 ‘다중로그 기반 치안서비스’ 연구 및 실제 적용을 위한 법적 근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현행법상 다중로그 기반 치안서비스가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어떤 범위까지 가능한지 그리고 허용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어떤 입법적․제도적 개선이 필요한지를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현행법은 ‘개인정보보호’라는 이익 혹은 가치를 중시한 나머지 다중로그 기반 치안서비스 구현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개인정보 혹은 범죄정보의 활용을 상당 부분 제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법이 ‘과학치안’을 위축시키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개인정보 혹은 범죄정보의 오남용을 막을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한다면 과학치안 구현과 개인정보 및 범죄정보 보호는 서로 양립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서로 대립되어 보이는 이익 혹은 가치들이 서로 조화롭게 양립될 수 있는 방향으로 현행 ‘개인정보 보호법’, ‘형사절차 전자화법’ 등과 같은 개인정보 혹은 범죄정보의 보호․이용에 관한 법률들을 개정하고 해당 정보의 오남용을 막을 기술적․관리적․행정적 보안장치가 마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향후 과학치안을 위한 법제도 개선을 위한 시발점으로서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science policing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ast police activities. In this situation, ETRI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has been conducting research on multi-log based security service since 2017 as a part of scientific security research. The study aims to secure national security effectively by developing a system that can collect, analyze, and utiliz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potential victims, potential perpetrators, specific criminals, and police possessed data (crime information). However, for the development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multi-log based security services, it is necessary to collect and use various personal information related to potential victims and perpetrators through various sensing data such as smart phones, wearable devices, and CCTV.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utilize the police data including various personal information. Therefore, the legal controversy surrounding the infringement of basic rights such as privacy and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can be raised. Hence, the work of ensuring the legitimacy of implementation of the service should be preced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legal basis for research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Multilog-based security service to implement future high-tech science security. For the purpose, this paper examined whether multi-log based security services are possible, to what extent they are possible, and which legislative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are needed for unacceptable areas. As a result of the review, we found that the existing law emphasizes the benefit or valu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restricts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or criminal information, which is essential for implementing multi-log based security services. In the end, the law is shrinking science policing. However, if legal and institutional devices are established to prevent misuse of personal information or criminal information, implementation of scientific security and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crime information can be compatible. Therefore, the laws on the protection an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or criminal information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Criminal Procedure Electronics Promotion Act’ need to be revised in order to be able to harmonize the interests or values t hat are confronted with each other. Also, technical and administrative security measures need to be developed to prevent misuse of information.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as a starting point for the future improvement of the legal system for science policing.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외 정보학 분야의지식 생산 · 전파 · 구조 특성 분석

        김은진(Eun-Jin Kim),이성숙(Sung-Sook Lee)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사회과학연구 Vol.27 No.3

        This study understood the overall cyclical process of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knowledge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formation science, centering around the interactive relationships among researchers, research activities and research knowledge based on this, it compared and analyzed the knowledge structure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formation science and draw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tatistical analysis and a network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co-author, citation and keyword with academic articles published in the representativ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formation science journals, JKOSIM and JASIST between 2010 and 2014. To sum up the research results, it is found that there are similar production, propagation, and structure of knowledge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formation science. However, It was found that, in the domestic information science, overall, studies in the field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lated to the library such as information service, informetrics and information use were actively conducted. In contrast, in the international information science, interdisciplinary studies were actively conducted, like computer-related information science from theoretical and technical aspects, such as informetrics, information retrieval, and information use.

      • SCOPUSKCI등재

        초·중등생의 성별에 따른 생명과학캠프의 효과

        박지나,장유진,한고운,홍종원,윤성은,박천호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10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3 No.4

        대학에서 실시하는 생명과학캠프가 참가학생의 성별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고려대학교의 생명환경과학캠프에 참여한 초·중생을 대상으로 2009년 7월 20일부터 8월 11일의 기간 동안 총 385부의 설문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평소 과학을 좋아하는 정도 및 캠프를 통해 과학이 좋아진 학생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고, 캠프 참가에 있어서는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자발적으로 참여하였으나 캠프 수업의 흥미정도나 만족도에 있어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캠프의 수업이 학교 과학수업에 도움을 주는 정도에 대해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으며 캠프 재참여, 추천여부에 대한 의사 또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긍정적이었다. 학교수업 외에 과학공부를 더 해야한다는 과학교육의 필요성 인식 정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과학캠프를 통하여 장래희망에 영향을 받은 정도와 과학관련 직업선택에 영향을 받은 정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examined effect of life science camp on the degree of interest in science by gender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be aroused on the degree of interest in science and risen accessibility to science. In addition, this investigation was analysed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the science camp taken place at the Korea Univ. by 385 surveys. Thos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ositive science interests rate of participate students in the science camp was that male was more than female, the increasing of science interests after the science camp was too. Female participants joined voluntarily was more than male, but male's interesting and satisfaction about camp teaching was higher than female's. The other side, female had thoughts that the science camp would be help to school science class more than male. The female's intension about rejoining, recommendation the camp was also higher. On the perception of informal science education, female thought more necessary than male. The effect of the science camp to future job was better to male, and the intention to get a job in the sphere of science was also male was higher than female. After the science camp, the increasing of the university's positive image and interesting to enter the university appeared higher in the female.

      • KCI등재후보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윤리적 문제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의사결정유형

        이현주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8 교과교육학연구 Vol.12 No.2

        As science has become integrated with economic, commercial, military, political or other social activities, it often brings up various moral, ethical, social problems related to its development. These are generally named socioscientific issues(SSI). Current science education aims to educate students as future citizens who are scientifically literate, and the inclusion of SSI into science curricula has been generally regarded as an essential element to achieve this aim. However, a onsiderable amount of research has reported that only a small percentage of science teachers address SSI in the science classroom. And most science teachers still feel that their most important task by far is to teach the principles of science, and any substantive pedagogical changes represent a burden. The author attempted to figure out the reasons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e of science teachers in terms of their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SSI and nature of science. As an initial step, the author asked 21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o write weekly journals regarding 8 kinds of SSI after participating in class discussions, and identified some decision-making patterns from their respon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howed different decision-making patterns depending on the issues, such as emotive informal reasoning, rationalistic informal reasoning, evidence-based compromising, and emotion-based compromising. Their decision-making patterns also represented their view of science, and the teachers tended to have somewhat ambiguous, but positive expectation or fear toward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addition, this study showed the possibility that the teachers could expand their view of science and enhance their decision-making skills by continuously experiencing SSI decision-making process. 과학기술은 자연현상을 이해하고 그 규칙성을 찾아내는 순수 과학적 성격(truth-seeking)에서 점차 경제·사회·정치 등 사회의 여러 영역과 접목되면서 여러 가지 윤리적·도덕적 문제를 낳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윤리적 문제(socioscientific issues, 이하 SSI)라고한다. 현재 과학교육은 SSI를 도입함으로써 학생들에게 과학-기술-사회의 주요 논쟁들에 참여하고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즉 ‘과학적 소양’(scientific literacy)을 길러주어야 함을 강조해오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과학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SSI 도입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첫 단계로 중등현장에서 과학을 가르칠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3·4학년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SSI에 대한 인식과 의사결정의 유형을 분석해 보았다. 예비교사들은 총 8주에 걸쳐 8개의 과학과 관련된 윤리·사회적 문제(SSI)에 대해 30-40분 정도 토의시간을 가진 후 각 주제에 대해 저널을 작성하였고, 본 연구자는 각 주제별 응답의 경향성을 파악하여 4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참여자들은 SSI 주제가 지닌 성격에 따라 다른 의사결정 유형을 보였다. 맞춤아기나 대리모와 같이 현실성이 적다고 판단되는 주제들에 대해서는 감정기반의 사고를 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안락사와 유전자조작식품과 같이 사회의 주체로서 당면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해서는 장단점을 고려하여 논리적으로 근거를 제시하는 사고유형을 보였다.원자력 발전과 배아복제와 같이 부작용은 있으나 현실적 이득을 고려해야 하는 주제에 대해서는 찬반의 의사결정 보다는 보완책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의사를 결정하였으며, 과학기술로 인한 삶의 변화 및 인터넷 사용과 같이 우리 삶에 깊숙이 파고들어있는 과학기술의 만연함에 관한 주제에 대해서는 대립된 감정 사이에 갈등을 경험한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예비 교사들이 주제를 자신이 당면한 현실적 문제로 받아들일수록 근거를 명확히 제시하여 의사를 결정하는 경향을 보인다고도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참여자들에게 SSI에 대한 계속적인 의사결정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과학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관점을 확대·확립하고, 보다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과학이 삶에 미친 영향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이승은 ( Seungeun Lee ),박다혜 ( Dahye Park ),박종석 ( Jongseok Park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科學敎育硏究誌 Vol.45 No.2

        이 연구는 학생들이 어떤 과학적 경험을 하고 이러한 과학적 경험이 학생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함으로써 과학 교육과정의 목표가 의도한 바대로 달성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과학사의 이해’를 수강하는 문과 계열 학생 81명, 이과계열 학생 125명에게 ‘과학이 내 삶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로 에세이를 쓰게 하고, 과학 전문가들의 세미나를 통해 분류 기준을 수립하여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친 과학적 경험과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과학 관련 영상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더불어 수업, 도서, 첨단기술/과학기기가 학생들의 삶에 영향을 미친 과학적 경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경험을 형식 학습과 비형식 학습으로 분류 한 결과, 대부분의 경험이 비형식 과학학습으로 나타났다. 학번에 따라 과학적 경험을 분류한 결과 높은 학번(7차 교육과정만 이수한 학생)에 비해 낮은 학번 학생(2007이나 2009 교육과정도 경험한 학생)들이 영상, 첨단기술/과학 기기에 더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와 반대로 높은 학번의 학생들은 수업과 도서/글에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그러한 과학적 경험을 통해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조사한 결과, 그들의 일상 생활에 영향(삶의 질 개선, 진로, 지식의 확장)을 받거나 과학에 대한 인식(과학에 대한 긍정적 정서, 흥미 발현, 과학의 양면성 인식)에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학적 경험과 그 영향력의 관계를 살펴보면 학생들이 삶에 가장 영향을 준 경험으로 꼽은 영상이 일상 생활과 과학에 고르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에서의 경험은 진로나 지식 확장이 아닌 과학에 대한 긍정적 정서 발현(20회)과 과학에 대한 흥미 향상(17회)에 집중되어 있다. 과학적 경험이 미친 영향을 문·이과 계열별로 분류해서 확인해 본 결과 이과계열 학생들이 문과계열 학생들에 비해 과학적 경험을 통해 더 많은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다양한 과학적 경험을 통해 삶에 영향을 받고 있으나 이는 학교에서의 형식 과학학습보다 비형식 과학학습에 의한 경우가 많았으며 수업은 학생들의 삶을 변화시키는 데까지 이르는 경우는 많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학생들은 과학교육 목표 중 ’호기심과 흥미‘의 측면은 충족하고 있으나 ’문제 해결‘ 같은 상위 목표에까지 이르지는 못했다. 따라서 ’문제 해결, 과학적 소양 발현‘이라는 과학교육의 목표와 연관된 비형식 과학적 경험을 수업에 도입해야 하며, 학생들이 선호하는 비형식 과학학습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students' meaningful scientific experiences and to ascertain the path through which the experience led to learning. The subjects of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Science' were asked to write an essay on the subject of ‘Effects of science on my life' to 81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literature and 125 students in the science department. After that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established through scientific experts' seminars, and the scientific experiences that affected students and their effects were examined. The results from analyse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tudy about Science Education experience that has impacted students’ lives, the students were influenced by images, most of which were influenced by scientific videos. They were also influenced by science classes and science books. As a result of classifying science experience, most of the experience is composed of Informal Science Learning.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how students were influenced by their scientific experience, they found that they were affected by their daily life or influenced by scienc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can be confirmed that Informal Science Learning experience is an important learning form that has a great influence on students. Therefore, appropriate Informal Science Learning experience should be introduced into the class,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he Informal Science Learning experience preferred by the students should be d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