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기 경비행행동과 부모양육행동간의 병렬적 잠재성장모형 분석 -청소년에게 부모는 여전히 중요한가?

        이상균 ( Sang Gyun Lee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가족복지학 Vol.27 No.-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때까지 5년간 반복 측정한 청소년패널 종단자료를 이용하여 부모양육행동의 초기수준과 성장변화율이 청소년 자녀의 경비행행동의 수준과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청소년의 성별, 빈곤가구여부, 가구결손, 중학교 2학년 때의 비행친구와의 교류정도 등을 통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부모와의 유대감, 의사소통, 지도감독 등으로 구성된 부모양육행동은 중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때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성장궤적을 보였다. 음주, 흡연, 가출, 결석 등으로 구성된 청소년기 경비행행동 또한 중·고등학교 시기를 통해 증가하는 궤적을 보였다. 병렬적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중학교 3학년 시점에서 높은 수준의 부모양육행동을 경험한 청소년의 경우, 고등학교 3학년 때 경비행행동의 경험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양육행동의 증가추세가 빠르게 이루어지는 경우, 고등학교 3학년 때 경험하는 경비행행동의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행행동의 변화율에 대한 부모양육행동의 영향을 알아본 결과, 중학교 3학년 시점에서 부모양육행동의 수준이 높을 경우 비행행동의 증가변화율을 둔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부모양육행동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가파르게 증가하는 경우, 청소년기 비행행동의 증가율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기 비행행동의 감소를 위해 부모양육행동의 초기강화가 중요하며, 청소년기에서도 부모양육행동에 초점을 둔 가족체계개입이 비행행동의 감소 및 완화를 이끌어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에서 청소년기 비행행동 감소를 위한 사회복지실천전략과 후속연구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used two parallel process latent growth curve model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s on changes in children`s delinquent behaviors over five years during adolescent period. Five-wave panel data from a Korea Youth Panel Study were used for the parallel process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The sample consisted of 3,449 adolescents who were assessed at 5 measurement waves with approximately 1-year interval. Results showed that both adolescent`s delinquent behaviors and their parenting behaviors were characterized by positive linear growth over time. The initial level of parenting behaviors held at wave 2 significantly predicted the final outcome of delinquent behaviors at wave 5. The initial level of parenting behaviors was also predictive of the slope factor of delinquent behaviors, indicating that the higher initial level of parenting behaviors was associated with slower increases in delinquent behaviors over time. The higher rates of growth in parenting behaviors were associated with less delinquent behaviors. In addition, the slope factor of parenting behaviors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slope factor of delinquent behaviors, indicating that the rate of incline in delinquent behaviors was slower for those with higher rates of growth in parenting behaviors. The finding that parenting is strongly linked to delinquency in adolescence, and stresses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strategies early in adolescence.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future research topics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컴퓨터게임 사용과 음주 행동의 종단적 변화 잠재집단 간 관계: 순차과정 성장혼합모형(SP-GMM)의 적용

        하문선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11

        I examined the relations among the latent trajectory classes of computer games usage and problem drinking behavior in adolescence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sequential process growth mixture model(SP-GMM). I first modeled growth trajectories in each of the two phases with separate GMMs. I then associated latent trajectory classes of computer games usage and problem drinking behavior across the two phases using a sequential process growth mixture model. GMMs analysis showed that computer games usage and problem drinking behavior, respectively, have three types of latent trajectory classes. The latent trajectory classes were defined as high growth group(28.3%), moderate reduction group(27.2%) and low reduction group(44.6%) in computer games usage, and high growth group(5.2%), moderate growth group(25.3%) and low reduction group(69.5%) in problem drinking behavior. Next, SP-GMM analysis showed that 50% of high growth group in computer games usage appear to be likely progress to high growth group in problem drinking behavior. Therefore, appropriate screening and adequate interventions is needed for this crisis group. Subsequently, I tested whether the personal, socioenvironmental facto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rajectory class membership of computer games usage and problem drinking behavior across the two phases. Gender, academic achievement, parental support and friendship had significant effects on trajectory class membership of computer games usage and problem drinking behavior across the two phases, but self-efficacy and teacher support did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enrich future research on understanding adolescent problem behavior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strategies and intervention of counseling. Both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순차과정 성장혼합모형(SP-GMM)을 적용하여 중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까지 청소년의 컴퓨터게임 사용과 음주 행동의 종단적 변화에 대한 잠재집단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자료 중 1차년도에서 4차년도까지의 중3 코호트 2000명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청소년의 컴퓨터게임 사용과 음주 행동 각각의 다양한 하위집단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성장혼합모형(GMM) 적용 결과, 컴퓨터게임 사용의 3개 잠재집단, 음주 행동의 3개 잠재집단이 최종 선택되었다. 컴퓨터게임 사용은 고증가 집단(28.3%), 중감소 집단(27.2%), 저감소 집단(44.6%)으로 분류되었고, 음주 행동은 고증가 집단(5.2%), 중증가 집단(25.3%), 저감소 집단(69.5%)으로 분류되었다. 다음으로, 컴퓨터게임 사용에 대한 잠재집단과 음주 행동의 잠재집단 간 관계를 살펴보고자 순차과정 성장혼합모형(SP-GMM) 적용 결과, 특히 컴퓨터게임 사용의 고증가 집단의 50.0%가 이후 음주 행동의 고증가 집단으로 진행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위기집단에 대한 적절한 선별과 개입이 강조되었다. 마지막으로, 잠재집단들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사회환경적 변인을 살펴보고자 다항로지스틱 분석 결과 성별, 학업성적, 부모지지 및 친구관계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효능감과 교사관계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문제를 보다 입체적으로 이해하고 상담을 위한 개입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 SCISCIESCOPUS

        Repetitive grain growth behavior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grain boundary roughening in a model nickel system

        Jung, S.H.,Kang, S.J.L. Elsevier Science 2014 Acta materialia Vol.69 No.-

        In conjunction with a previous investigation [Jung SH, Yoon DY, Kang SJL. Acta Mater 2013;61:5685], we hav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grain boundary structure and grain growth behavior in a model Ni system. Ultrafine Ni powder compacts of 180nm size were sintered in a wide range of temperatures from 500 to 1150<SUP>o</SUP>C and for various times in wet H<SUB>2</SUB>. Between 500 and 600<SUP>o</SUP>C, abnormal grain growth (AGG) readily occurred, with the formation of cube-shaped grains. Between 650 and 900<SUP>o</SUP>C, grain growth behavior was stagnant up to 6000min due to impingement of rapidly grown abnormal cube-shaped grains during heating. At 950<SUP>o</SUP>C, some of the impinged abnormal grains suddenly grew after 20min, showing secondary AGG behavior. As the sintering temperature was increased further, the grain growth behavior became quite normal. These changes in grain growth behavior with increasing temperature were accompanied by the structural transition of grain boundaries from fully faceted to partially faceted and defaceted. The observed grain growth behavior with respect to the grain boundary morphology is explained in terms of a coupling effect of the maximum driving force for grain growth and the critical driving force for appreciable migration of faceted boundaries. The present experimental results appear to support the validity of the previously suggested mixed control model of grain growth and the principle of microstructural evolution in polycrystals.

      • KCI등재

        The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on Voice Behavior and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The Moderating Role of Career Growth Opportunity

        최용득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23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23 No.6

        Psychological safety has garnered sustained attention in both organizational practice and academia as a pivotal factor that can foster upward voice, team learning, and organizational learning. The field of organizational behavior has also witnessed a burgeoning body of research on the role and utility of psychological safet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ongoing discourse on two fronts. First, to further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intrinsic value of psychological safety, this research investigates whether psychological safety not only facilitates constructiv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organization but also encourages individuals to seek feedback for their personal growth and development. Second, this study considers career growth opportunities as a moderating variable to understand when psychological safety plays a more meaningful and pivotal role in facilitating the challenging behaviors. By examining the moderating role of career growth opportuni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afety and voice behavior as well as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this study aims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cognitive processes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It is suggested that career growth opportunities serve as a promotive context that enables psychological safety to positively influence voice behavior and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The results, derived from an analysis of data collected from 220 employees within a domestic IT service company, revealed the following key findings: First, psychological safety significantly predicts employee voice and their propensity for seeking negative feedback. Second, the perception of career growth opportunities enha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afety and both voice behavior and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This study, grounded in empirical findings, discusses i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hile acknowledging its limitations and propos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독재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주도적 행동 : LMX의 매개역할 및 성장욕구 강도의 조절효과

        김헌(Kim, Heon),오동진(Oh, Dongjin),손승연(Son, Seung Yeo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1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8 No.5

        리더의 행동은 부하, 즉 구성원들에게 긍정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그것은 리더가 가진 권력의 영향 때문일 것이다. 리더십 연구는 대부분 긍정적 측면에서의 리더십 효과를 탐구해왔다. 이는 리더십이라는 용어가 내포하는 긍정적인 뉘앙스 때문일 것이다. 그에 따라 각각 그 개념과 정의는 다르더라도 리더십의 여러 유형들은 구성원들의 직무태도, 직무성과 등 다수의 변수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많은 연구 증거들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최근 리더의 행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적 영향, 즉 부정적 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Einarsen, Aasland, & Skogstad(2007)은 구성원 뿐 아니라 조직에도 손상을 가하는 리더의 부정적 행동을 파괴적 리더십 행동으로 정의하였다. 이후 다양한 형태의 부정적 리더십 유형이 제시되었는데, 독재적 리더십은 대표적인 부정적 리더십 유형 중 하나이다. 국외 연구들에 의하면, 독재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의견을 무시하거나 의사결정과정에서 배제함으로써 구성원들에게 리더의 행위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유발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직무태도, 조직목표 달성에 대한 열정 등에 악영향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재적 리더십의 부정적 영향을 밝히는 국외연구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의 연구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는 독재적 리더십이 LMX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부하의 주도적 행동을 떨어뜨린다는 것을 밝히고자 국내에서 수행된 실증연구다. 아울러 이 과정에서 구성원의 성장욕구 강도가 어떤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공군 간부 272쌍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독재적 리더십은 LMX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로 인해 주도적 행동이 저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구성원의 성장욕구 강도가 높은 구성원일수록 독재적 리더십이 LMX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주로 서구에서 행해진 독재적 리더십의 부정적 효과가 동양 문화권에서도 유효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밝혔다. 구체적으로, 리더의 부정적 행동이 상사와 부하 간 관계의 질을 떨어뜨리며, 이는 다시 조직을 위한 구성원의 주도적 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냄으로써, 조직 내에서 리더의 역할, 행동이 얼마나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무한 경쟁 속에서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는 구성원의 주도적 행동을 장려하려면 조직의 경영진은 현장에서 어떠한 리더십을 강조하고 예방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re is an indicator that can accurately measure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a leader in organizational life. Strictly speaking, the behavior of a leader is bound to have a positive or negative effect on his or her subordinates, that is, subordinates of the organization. It may be due to the influence of the power of the leader. Leadership research mostly studies the leadership effect in a positive aspect. It can be said that the term Leadership has a positive meaning. Although the concepts and definitions of leadership revealed through positive leadership behavior are different, many studies have suggested that they have a positive effect on a number of variables such as job attitude,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members. However, research on the negative effects of leaders actions, that is, negative leadership, is increasing recently. It was revealed that the negative leadership type, named Destructive Leadership, negatively affects the job satisfaction of subordinates. Einarsen et al. (2007) defined leaders destructive behavior as behavior that negatively affects not only members but also organizations, negatively affecting organizational goals, tasks, resources, effectiveness, motivation, and well-being or job satisfaction of subordinates. Several types of negative leadership behavior have been suggested, but this study intensively studied autocratic leadership.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autocratic leadership induces negative feelings for leaders behaviors by ignoring subordinates opinions or excluding them from the decision-making process, ultimately adversely affecting job attitudes and commitment for achieving organizational goals.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conducted to cla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leader-member exchange(LMX)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cratic leadership and subordinate proactive behavior. As a result of analyzing 272 ROK Air Force officers and NCOs, it was found that autocratic leadership had a negative (-) relationship that negatively affected the leader-member exchange, and that the leader-member exchange mediated the negative effect of autocratic leadership on proactive behavior. In addition,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cratic leadership and leader-member exchange was also confirmed by the strength of the subordinates growth needs. The higher growth need strength, the stronger the negative effect of autocratic leadership on the leader-member exchange.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utocratic leadership undermines the leader-member exchange, and through this, subordinates engage in less proactive and non-participating behaviors. Research revealing the negative effects of autocratic leadership is increasing abroad, but there are few cases of empirical research on domestic c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leader s negative behavior can negatively affect the proactive behavior of subordinates for the organization are examples of how important leaders roles and behaviors can have, and provide implications in many aspects.

      • KCI등재

        경력성장기회의 적하효과가 결과변인에 미치는 영향

        김병우,강영순 리더십학회 2019 리더십연구 Vol.10 No.2

        The changes of the job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not related to the number of jobs but to the tasks, This study gave consideration to the situation in which the psychological contract between an organization and employees might weaken with the changing business management environment.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took a career growth opportunity as a key factor for identifying an organizational goal with a personal one, reinforcing bilateral capability of the organization and employees, making them substantial, and promoting mutual development. Data collection found that the supervisor's career growth opportunities positively affected those of the subordinate. The subordinate's career growth opportunities positively affected career-related continuous learning and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taking charge behavior. The subordinate's career growth opportunities negatively affected unethical behavior. On the basis of the performance and results of this study, some theoretical implications can be made as follows: First, it verified the trickle-down effect of career growth opportunities perceived by the supervisor and employees, which had not been covered by previous research on the trickle-down effect for many different concepts in the area of research on organizational behavior. Second, it identified the causes and resultant variables of career growth opportunities perceived by employees. This means expansion of the research area for the variables of career growth opportunities. Key words: Trickle-down effect, career growth opportunity, career-related continuous learning, taking charge behavior, unethical behavior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개념이 등장하면서 우리의 일상생활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춰 설계되었다. 4차 산업혁명의 일자리와 관련한 변화는 일자리의 수가 아닌 일자리의 직무가 변화하는 데 있으며, 경영환경의 변화에 따른 조직과 조직구성원 간의 심리적 계약관계가 약화되어 가는 상황을 고려하였다. 이런 점에서 조직과 개인의 목표를 일치시켜 조직과 조직구성원양자 간의 역량을 강화해 나가면서 내실을 다지고, 상호발전을 도모하는 요인으로 경력성장기회를 핵심변수로 설정하였다. 또한, 동일한 사회적 맥락을 공유하는 직속 상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경력성장기회의 인식이 전달되는 과정을 적하효과(trickle-down effect)를 통해 살펴보고, 경력성장기회가 직무수행의 긍정적 행동을 촉진하고, 부정적 행동을 저감하는 요인인지를 확인하고자하였다. 국내 공⋅사 기업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 결과, 상사의 경력성장기회는 부하의 경력성장기회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조직구성원(부하)의 경력성장기회는 자신의 지속경력학습과 적극적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윤리적 행동에 대해서는 부(-)의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사⋅조직 연구 분야의 다양한 제반 개념에 대한 적하효과를 다룬 선행연구들의 결과는 뒷받침하고 있으며, 경력성장기회변인의 연구영역을 확장하였다. 또한, 성과위주의 인적자원관리 관행에도 불구하고 고성과자뿐만아니라 모든 구성원들이 조직의 전략적 자원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일정 부분의 이론적⋅실무적 기여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에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키워드: 적하효과, 경력성장기회, 지속경력학습, 적극적 행동, 비윤리적 행동

      • 자기인식과 성장을 원하는 20대 여성의 인지행동치료 단일사례 연구

        박세아 ( Park Se-a ),김정민 ( Kim Jung-min ) 명지대학교 아동가족심리치료센터 2022 아동가족치료연구 Vol.2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가 성인의 자기 인식, 성장에 미치는 효과와 함께 인지, 정서, 행동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인지행동치료는 자기인식, 인지적 재구조화, 노출에 초점을 맞추어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은 자기인식 및 성장을 원하는 20대 여성이다. 연구는 화상상담으로 2021년 3월부터 2021년 6월까지 주 1회, 회기당 50분씩 총 10회기로 진행되었다. 연구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기별 기술을 바탕으로 내담자의 성장을 방해하는 사고, 행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담자는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스스로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적응적인 평가로 변화시켰고, 이러한 양상은 타인에게 폐를 끼친다는 생각을 하며 회피하던 모습의 완화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행동치료가 내담자의 인지, 정서, 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지행동치료가 내담자의 자기인식과 자기 성장에 인지, 정서, 행동적 변화를 통해 내담자의 자기인식과 성장에 효과적임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n adult self-awareness and growth and how it affects changes in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n this study was constructed with a focus on self-awareness, cognitive restructuring, and exposure.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adults in their 20s who want to know about themselves and grow through them. The study was conducted once a week from March 2021 to June 2021 with a total of 10 sessions, 50 minutes per session.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effect, based on the technology of each session, changes in thinking and behavior that hinder the growth of client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session progressed, the client found a negative evaluation of himself in a positive way, and this pattern was found to be a relief of the avoidance, thinking that it would cause trouble to others. Secon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client's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verified tha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in the client's self-examination and self-growth.

      • KCI등재

        양질의 일자리 요인이 근로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성장 균형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박준규,허철무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2 경영컨설팅연구 Vol.22 No.6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quality job factors on innovation behavior by using work-growth balance as a mediator for workers. Sub-variables of quality job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job characteristics, compens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collected 285 cop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SPSS v22.0 and PROCESS macro v4.0 were used to analyze the model based on the simple mediation model. First,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work-growth balance was significant but the effect of compensation was not significant. Job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the greatest effect on work-growth balance. Second, the effect of work-growth balance on innovation behavior was significant. Third, job characteristics, compens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d the greatest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and compensation had the smallest effect. Fourth, the work-growth balance was found to mediate between job characteristic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innovation behavior, but not between compensation and innovation behavior. As a follow-up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find other variables that can explain innovation behavior, second, it is necessary to follow-up studies such as finding new mediators other than work-growth balance. Third, it is expected that the follow-up study for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 analysis through the conditional process model in which the moderating variable is introduced will be meaningful. 본 연구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양질의 일자리 요인이 일·성장 균형을 매개변수로 하여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양질의 일자리 요인의 하위변수를 직무특성, 보상 및 대인관계로 구분하였다. 자료분석에는 설문조사로 수집된 285부를 사용하였으며,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SPSS v22.0과 PROCESS macro v4.0을 통하여 단순매개모형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로 첫째, 직무특성, 대인관계가 일·성장 균형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적이나 보상이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특성이 일·성장 균형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일·성장 균형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특성, 보상 및 대인관계는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대인관계, 직무특성, 보상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넷째, 일·성장 균형은 양질의 일자리 요인으로 직무특성, 대인관계와 혁신행동 간에서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보상과 혁신행동 간에는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근로자의 혁신행동에 영향을 주는 양질의 일자리 요인의 체계적 연구와 함께 일과 삶의 균형(WLB)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후속 연구로는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양질의 일자리 요인의 추가적 구성요소 발굴과 조절변수가 도입된 조건부과정 모형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고속인터넷 산업 성장요인에 관한 연구

        김헌진(Heonjin Kim),민수진(Sujin Min),송근혜(Geunhye Song),박세진(Sejin Park) 한국정보사회학회 2018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19 No.3

        국내 초고속인터넷 산업은 2000년대 초반 괄목할만한 속도로 성장하여, 한국이 IT강국으로 자리매김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러한 성공사례는 세계적인 주목을 받아 왔으며,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산업계와 학계에서는 성장과정과 동인에 대해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특정 산업주체만을 주목하여 산업생태계 차원에서의 종합적인 접근이 다소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초고속인터넷 산업성장의 요인을 산업생태계 참여자의 역할과 행동관점에서 조망하였다. 구체적으로, 어떤 참여자가 산업성장에 기여했는지, 참여자의 어떤 행동이 중요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차적으로 산업참여자의 역할과 행동에 관해서 기존 연구결과를 검토하였고, 2차적으로는 각 역할 및 행동의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해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도출된 산업생태계 참여자의 역할과 행동은 전반적으로 산업성장 및 발전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기업의 역할이 가장 크게 기여하였으며, 세부적으로는 기업의 제품전략과 이용자의 물리적 이용환경이 중요한 행동으로 나타났다. 초고속인터넷 산업성장에 있어서 주요 참여자의 역할과 행동이 유효했다는 연구결과는 향후 차세대 네트워크 산업의 성장견인 정책에 유익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e Korean broadband industry has shown an unprecedented growth and has driven the growth of korean IT infrastructure, which has received attention as a global success case. This attention has led to various researches on its growth processes and drivers. However, existing researches focused only on the specific participants and there was not enough consideration for comprehensive approaches at the ecosystem level. In this context, this study looked at the factors of growth in the korean broadband industry from the perspective of participant’s roles and behaviors. Specifically, we analyzed that which participants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industry and what kind of participant’s behavior was important. For this purpose, we reviewed the researches on the role and behavior of participants and conducted an expert survey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their roles and behavio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ll of the participants and their roles and behaviors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industry, the most significant of which was the role of firm. and It was also found that firm’s product strategy and user’s physical environment were important among the participants’ behaviors. Consequently, the fact that the role and behavior of major participants in the broadband industry growth has been effective will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industry policy of other ICT industries.

      • SCOPUSKCI등재

        Growth Characteristics of Amorphous Silicon Oxide Nanowires Synthesized via Annealing of Ni/SiO<sub>2</sub>/Si Substrates

        Cho, Kwon-Koo,Ha, Jong-Keun,Kim, Ki-Won,Ryu, Kwang-Sun,Kim, Hye-Sung Korean Chemical Society 2011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32 No.12

        In this work, we investigate the growth behavior of silicon oxide nanowires via a solid-liquid-solid process. Silicon oxide nanowires were synthesized at $1000^{\circ}C$ in an Ar and $H_2$ mixed gas. A pre-oxidized silicon wafer and a nickel film are used as the substrate and catalyst, respectively. We propose two distinctive growth modes for the silicon oxide nanowires that both act as a unique solid-liquid-solid growth process. We named the two growth mechanisms "grounded-growth" and "branched-growth" modes to characterize their unique solid-liquid-solid growth behavior. The two growth modes were classified by the generation site of the nanowires. The grounded-growth mode in which the grown nanowires are generated from the substrate and the branchedgrowth mode where the nanowires are grown from the side of the previously grown nanowires or at the metal catalyst drop attached at the tip of the nanowire 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