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가정 부문 에너지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이 에너지 절약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학(Lee, Yong Hak),임기추(Lim, Ki-Choo) 한국상품학회 2010 商品學硏究 Vol.28 No.4
최근 들어 국내 가정 부문 에너지 소비는 매우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환경의 보전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경제적 지출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가정 부문 에너지 소비는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대한 심도 있는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에너지 절약행동에 있어서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에너지 절약행동의 메커니즘으로 경제적 비용인식과 환경보전의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은 생활중시형, 절약의식형의 2가지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생활중시형 라이프스타일과 환경보전의식은 정(+)의 관계가 있었으며, 경제적 비용인식과 환경보전의식은 에너지 절약행동과 정(+)의 관계가 있었다. 절약의식형 라이프스타일은 경제적 비용인식과 정(+)의 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경제적 비용인식과 환경보전의식과 정(+)의 관계가 있었으며, 환경보전의식과 에너지 절약행동은 정(+)의 관계가 있었다. Recently, it is very rapidly increasing that energy consumption for the domestic household economy. So, the problem of energy consumption is regarded as important issue for not only environmental aspect but also consumers’ economy. Specifically, the household consumption of energy is intimately relatedwith lifestyle of consumers–but it has been rare of studies that had researched this area.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e mechanism for the effects of consumer lifestyle on consumer behavior of frugality. Specifically, the mediators are imposed of cost perception and propensity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Also, consumer lifestyle is composed of the livelihood type and the frugality type. In results, there i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livelihood lifestyle and the propensity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Both the cost perception and the propensity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a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 behavior of frugality. All positive relationships are appeared–between the frugality lifestyle and the cost perception, between the cost perception and the propensity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between the propensity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the frugality behavior.
[묵자(墨子)]를 통해 본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의미
전선숙 동양고전학회 2025 동양고전연구 Vol.- No.98
본고는 묵자 의 ‘절용⋅절장론’을 통해 현대사회의 생산과 소비 문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동체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상호이익을 담보할 수 있는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방향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묵자는 ‘절용⋅절장’을 통해 생산과 소비의 불균형과 바람직한 생산자와 소비자의 모습에 대하여 논했으며 모두의 이익을 존중하면서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들을 두루 사랑하는 태도[兼愛⋅交利]’를 강조했다. 묵자의 ‘절용’, ‘절장’, ‘겸애’, ‘교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방향성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생산과 소비의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인식과 올바른 태도를 키우는 교육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묵자의 겸애와 교리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인간의 삶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공동체의 구성원들은 환경에 대한 공동체의식을 갖고 전지구적 차원에서 인류 공동의 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무가 있으며 이러한 의식을 일깨우고 실천을 촉구할 수 있는 핵심적인 방법은 교육이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교육은 다 함께 각 개인의 이익을 추구하면서도 환경을 보전하고 앞으로의 미래 세대를 생각하며 윤리적 소비 및 생산, 그리고 성찰과 실천을 공유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scrutinize contemporary societal consumption issues through the lens of Mozi's ‘Theory of Frugality’ and endeavors to extrapolate pedagogical recommendations for the field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Mozi censured the extravagant utilization of commodities surpassing their original utility, manifesting apprehension regarding the consequential toll on human lives and property. In response, he advocated the virtue of "frugality" and underscored the imperative of embracing "an ethos of universal benevolence coupled with the simultaneous reverence for the interests of all." This philosophical tenet espoused by Mozi exhibits a discernible nexus with the principles underpinning ESD. Primarily, Mozi's "Theory of Frugality" proffers substantive insights conducive to steering the trajectory of ESD education. This proposition emanates from the recognition that the amelioration of environmental predicaments necessitates an educational paradigm fostering cognizance and cultivating a judicious demeanor towards the intrinsic quandary of consumption. Secondly, Mozi's advocacy for "respect for everyone's interests" introduces a novel paradigm for comprehending human existence within the framework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conception derives its significance from the imperativeness of accounting for the ecological legacy bestowed upon both the present and subsequent generations.
남성택(Nam Sung-Taeg),이상진(Lee Sang-Jin) 대한건축학회 201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6 No.5
Is Minimalism frugal? This question may expand the discussion on Minimalism, which has usually been discussed from formalistic and aesthetical perspectives because of its influence from Minimal Art. Of course, it is hard to deny the minimality or simplicity of form, ‘the final output’. Since architecture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other arts by process and means of construction, it requires discussion and . The discussion on Minimal Architecture needs to focus on both result and process/means. Sustainability become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and the process or means of construction are as important as the final result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ility. This paper aims to analyze Minimalism from the perspective of ‘Frugality', which is one of principles for sustainability. Reflecting Mies van de Rohe, `Less is More', he emphasized importance of minimum means to maximize architectural expression. If Minimalism is emerged from repulsion against the past excessive formalism, such as Postmodernism or Deconstructivism, its strategies shall focus on 'minimal means', instead of `minimal form'. Analysis on Minimalism from the perspective of frugality revealed contradiction between 'means' and 'result', and this may take a role to expand the discussion on Minimal Architecture beyond its form.
18세기 우키요조시(浮世草子)로 보는 도시 상공인의 양상과 윤리(2) - 『쇼아킨도 세타이카타기(諸商人世帯形気)』를 중심으로 -
고영란 일본어문학회 2020 일본어문학 Vol.88 No.-
The ethics of merchants in towns, as described in Ukiyozoushi, written from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converges on the notion of frugality. In the present study, I explore the image of merchant portrayed in Shoakindo Setaikatagi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ethic underlying it. My analysis reveals that the traditional notions of honesty, diligence, “frugality,” and the like are considered valuable properties for merchants in Shoakindo Setaikatagi. On the other hand, “frugality” alone does not make merchants rich, and the story depicts those who tell a lie, resort to a fraud, and so on for their business. This indicates that a more extended version of the ethical concept is described in Shoakindo Setaikatagi than in Toseimimochi Dangi, but it would not be reasonable to assume that this contradicts the consciousness of ethics in Confucianism. As can be seen in its title and its theme, the focus of this literary work is on “diverse dispositions of various merchants.” This feature of the work reflects the nature of public novels for merchant class people, which lays emphasis upon various dispositions of merchants. In other words, the work, I argue, focuses on commercial profits and the styles of merchants’ life, rather than the Confucian ethic.
특집: 성호학파의 가족관과 가족생활 : 성호의 가문의식과 일상생활
전성건 ( Sung Kun Jeon ) 한국실학학회 2013 한국실학연구 Vol.0 No.26
성호 이익의 가문은 옥동 이서와 성호 이익을 정점으로 문장 위주의 가문에서 의리 위주의 가문으로 변모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옥동 이서는 詩文으로 명망을 얻었지만 이를 일신하여 퇴계의 敬 사상을 이어받아 성호 가문이 퇴계의 도학을 받아들이는 계기를 만들었고, 성호 이익은 이를 더욱 발전시켜 퇴계 이황의 학문을 전범으로 받아들이는 한편, 시대적 상황에 맞게 퇴계의 학문적 성과를 발전시켜 성호학파를 구성하는 데에까지 나아간다. 그러나 성호 가문은 섬계 이잠에 의해 작성된 무술년의 상소문과 그에 따른 그의 장살사건으로 몰락하게 되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성호 가문의 중차대한 위기상황이 도래한 것이다. 이에 성호는 출사를 포기하고 학문에 침잠하여 후일을 도모하게 된다. 이를 정치적 위기상황에 대한 학문적 탈출구 마련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당연히 학문적 탈출구는 퇴계의 학문을 발전시키고 확대하는 데에서 시작되었다. 성호는 어느 정도 가문의 禍難이 정리되고 난 뒤에는, 퇴계의 적전을 잇고 있는 영남 남인과의 교류를 통해 학문적이고 정치적인 활동을 재개하는 한편, 몰락한 가문의 家計를 유지하는 데에 힘을 쏟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보이는 성호의 특징적인 사항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성호의 士庶人 의식과 절검의 실학정신이다. 전자는 그의 造命의 시각에서 살펴볼 수가 있으며, 후자는 그의 구체적 현실에서 살펴볼 수가 있다. 유학에서 빈부귀천은 천명에 기인한 것으로 인간이 어떻게 할 수 없는 것으로 인식되어져 왔지만, 성호는 조명의 논리를 통하여 인간의 노력을 통해 時勢에 대한 운명을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는 그가 제시한 士農一致의 시각에 반영되어 있다. 선비는 출사하여 현실에 참여해야 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시세에 의해 그렇게 되지 못했을 경우에는 농사를 짓는 등 현실을 직시하여 또 다른 영역에서 삶을 도모할 수 있다는 생각이다. 그리고 이러한 그의 조명의 논리는 그의 구체적 현실에서 절검의 실학정신으로 나타난다. 그가 집안의 일화를 바탕으로 조직한 삼두회가 그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콩죽, 콩나물, 콩메주 등을 담가 집안의 모임을 갖고 해마다 일정하게 삼두회를 개최하여 집안의 유훈으로 삼으려고 했던 노력이 바로 그것이다. 성호는 이 외에도 博奕雜戱를 멀리하도록 하였고 술·담배를 금지하는 등 절검의 실학정신을 가문의 유훈으로 삼으려고 하였다. This paper is on the family consciousness and his daily life with Seongho`s family as its Center as a part of the project called A Family Values and Family Life at the Practical Learning Research Conference on September 8th, 2013. Seongho family was and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amilies in Joseon Dynasty and Korea. Seongho family has a few peculiarities as in the following. First, it holds fast to traditional poem and handwriting methods which is related to the social intercourse. Second, it concentrates on the odes and rituals of neo-confucianism after this. It shows having self-rescue measures of the politically collapsing family by holding its bound in the late-Joseon dynasty. Seongho`s self-rescue measures of the politically collapsing family has two directions, which are the succession to the Toegye`s scholarship and the political exchange of the Young-Nam southerners. Also, he suggests family instructions so-called frugality whose typical instance is the very Samduhoe which is his family gathering for the self-rescue measures of the livelihood collapsing family. His philosophical premise on the basis of his family`s frugality results from his belief in improving his fortune. We want to call his belief the practical learning spirit of frugality.
전진동 한중인문학회 2022 한중인문학연구 Vol.77 No.-
Uiam Ryu In Seok was born in Chuncheon, Gangwon-do in 1842, in the late Joseon Dynasty. He went through a period of chaos in reign of potentates, and lived a period of upheaval called Japanese colonial era. In the late Joseon Dynasty, he early went under the leadership of Hwaseo Lee Hang-ro(華西 李恒老), one of the three great philosopher of Juri(主理) philosophy, and studied hard. And during the period of mayhem, he dedicated himself to saving the people and the country. As an Confucian scholar, he was the head of the righteous army who led the anti-Japanese army, and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he worked as an independence activist. He left a great mark on the history of Confucius in Korea and the history of anti-Japanese righteous army. He did the movement of Wijeongcheoksa(衛正斥邪) against Western aggression and devoted himself to the anti-Japanese righteous army movement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so he did not have time to take proper care of himself and his families. Naturally, he could not afford to accept a position as a public official. Like his teacher, he did not go to the public office through Gwageo tests(科擧). He was not a public official like this, but his integrity, a key virtue of public officials, was extraordinary. Nevertheless,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his thought of integrity. That is why it is worth studying his thought of integrity. There is a clear reason to study his integrity, a key requirement for public officials. He was born and liv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most chaotic and difficult times in Korean history, but he practiced the thought of integrity all his life. Integrity means 'nobility and lack of greed'. There are many conditions for integrity. But the most important of them are loyalty, sincerity, filial duty, innocence, frugality, benevolence, justice, virtue etc.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Ryu In Seok's life has all these things. These thoughts of his integrity can be summarized as loyalty, filial piety, benevolence, and frugality. He has been very filial since he was a child. He loved his neighbor and gave love to people he didn't know very well. It extended this filial piety to the country. That is loyalty. Finally, he lived a frugal and restrained life all his life, avoiding material and external things such as wealth, women, and alcohol. His thoughts of integrity greatly influenced the independence movement. Although he died in 1915 without seeing the independence of Joseon, he still lives and breathes in the spirit of the Korean people, and still teaches integrity. In this way, the thought of Ryu In Seok's integrity is still shining brilliantly. His thought of integrity is making our society fairer and cleaner. We hope that research on the integrity of Ryu In Seok will be more active in the future. 毅菴 柳麟錫은 조선 후기인 1842년 강원도 춘천에서 출생하였다. 일찍이 조선 후기 主理哲學 3대가의 한사람인 華西 李恒老의 문하에 들어가서 본격적으로 유학을 배웠다. 그리고 대혼란의 시기에 오직 백성과 나라를 구하겠다는 大義를 위해 자신의 몸을 바쳤다. 유학자로서 항일의병을 이끈 의병장이며, 일제강점기에는 독립운동가로 활동한 것이다. 서양의 침략에 맞서 위정척사 운동을 전개하고 일본이 침략해 들어오자 항일 의병운동과 독립운동에 헌신하느라 자신과 가족조차 제대로 돌볼 시간이 없었다. 스승과 마찬가지로 과거시험을 통해 벼슬길에 오르지 않았다. 그는 이렇게 공직자가 아님에도 공직자의 핵심 덕목인 청렴성만큼은 남달랐다. 그렇지만 그의 청렴사상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다. 그래서 그의 청렴사상을 구체적으로 조명해볼 가치가 있는 것이다. 청렴은 ‘성품이 고결하고 탐욕이 없음’을 뜻한다. 조선시대에는 ‘청렴결백한 관리’를 뜻하는 淸白吏를 선발하였다. 청백리가 갖춰야 할 조건은 많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것이 忠誠, 淸白, 勤儉, 敬孝, 厚德, 仁義다. 유인석의 삶을 조명해보면 이 모든 것을 갖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그의 청렴사상은 효도[孝], 사람다움[仁], 충성[忠], 검소[儉]로 요약할 수 있다. 그의 청렴사상은 實谷 李弼熙, 己千 李鎭龍, 湖隱 全德元 등 그의 제자들이 독립운동의 주역으로 성장하는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는 비록 조선의 독립을 보지 못하고 1915년 서거하였지만, 우리 국민들의 정신 속에 살아숨쉬면서 춘천에 세워진 의암유인석기념관이라는 곳에서 지금도 공직자는 물론 학생, 군인 등 신분과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청렴사상을 가르치고 있다. 이렇게 유인석의 청렴사상이 아직도 찬란하게 빛나고 있는 것이다. 그의 청렴사상으로 인해 우리 사회가 좀 더 공정해지고 깨끗해지고 있다.
전성건 ( Sung Kun Jeon ) 다산학술문화재단 2011 다산학 Vol.- No.19
본 논문은 다산 정약용의 『사례가식四禮家式』을 분석하고 그 저술의 성격과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례가식』을 논문의 대상으로 선택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산의 체제 개혁에 대한 구상에 중핵을 차지하는 ``방례邦禮``를 다룬 『경세유표經世遺表』에 대한 연구에 비해 사대부의 일상생활을 다룬 ``가례家禮`` 연구는 상당히 제한적으로 다루어졌기 때문이다. 둘째 『사례가식』에 관한 연구는 『성호예식星湖禮式』과 『가례작통家禮酌通』 등을 포함한 성호학파의 가례 관련 저술들과 더불어 성호학파의 ``사상사적 역할``과 ``예학사적 지위``를 ``학파적 맥락``에서 살펴보는 데에 필수적인 저서이기 때문이다. 셋째 이러한 학파적 맥락에서의 연구는 영남학파와 기호학파 등에서 제시하는 예학이론과의 비교를 통해 조선예학의 ``보편적`` 혹은 ``개별적`` 성격과 특징을 구명하는 데에 일조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례가식』의 성격과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사례가식』은 1808년에 저술한 『제례고정祭禮考定』 2권과 1810년에 완성한 『가례작의』「관례작의冠禮酌儀」·「혼례작의婚禮酌儀」 2권을 합하여 사례四禮 冠婚喪祭에 대한 예식禮式을 정비하여 일상생활에서 실천하기 위해 만들어진 실용적인 예서禮書였다. 다시 말하면 다산의 또 다른 저술인 『상례사전』은 50권 17책의 방대한 저술인데 이는 고례古禮의 원형을 고려한 작품이었고 따라서 그것을 참고하여 사용하기에는 너무 불편하였다 따라서 이를 절요본으로 만들어 ``행례의 간편화``를 위한 저술이 필요하 였는데 그것이 바로 『상의절요喪儀節要』이다. 그리고 이를 포함한 사례四禮 관련 실용 예서가 바로 『사례가식』에 해당되는 것이다. 다산이 저술한 『사례가식』은 전근대사회의 일상생활을 책임졌던 사례四禮를 다룬 저술로 당시 조선사회에서 보편적으로 적용·시행되었던 『주자가례朱子家禮』를 대체하려는 의도에서 저술된 것이었다. 여기에는 고례를 복원하고자 했던 의도가 있는 것도 틀림없는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고례이기 때문에 따라야 한다는 단순논리를 주장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조선의 변화된 현실에 맞게 의례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고례의 규정을 새롭게 살려 내고 이를 속례와 결합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on the SaRyeGaShik which is written by Tasan. He was a very critical thinker and politician in the late Chosen Dynasty, and he is called a compiler of Practical Thought實學思想 in the modern Korea. I think his intellectual interest was in the reform of the social structure of Chosen Dynasty in his life. SaRyeGaShik was a part of his reform which was a big plan unsucceeded regrettably through his life. It deals with SaRye四禮 such Gwan冠·Hon昏·Sang喪·Je祭 as rituals in confucianism. ChutzuChiali朱子家禮 had currency in that times. But, the things with that did not perfectly prove right in the Chosen`s livelihood. Therefore, he thought his job critically reconstructed ChutzuChiali into SaRyeGaShik which was apposite to the case. The ways he could achieve it, firstly examined the prototype of Korye古禮 called SangLyeSaChon喪禮四箋, secondly compared it with ChutzuChiali, and lastly reconstructed SaRye using Sokrye俗禮. In this ways, he completed SaRyeGaShik. It contains his critical mind which is not only to correct a mistake of SeongHoYeShik星湖禮式 which focused on excessive Frugality節儉, but also to correct a mistake of ChutzuChiali which could not be successfully carried out in his reality. In the final analysis, he wrote SaRyeGaShik as a part of his reform of the social structure of Chosen Dynasty in his life. For this work, he wrote SangLyeSaChon as a prototype of SaRye in advance, and then completed SaRyeGaShik as a practical writing on the basis of SangLyeSaChon.
조현철(Cho Hyun-Chul)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0 신학사상 Vol.0 No.149
영성은 삶의 궁극적 의미나 가치에 대한 인식과 실천과 성찰이며, 언제나 각 시대의 고유한 상황 속에서 구체적으로 표현된다. 현대 생태위기의 주요원인에는 근대 이후의 기계적 세계관에 바탕을 둔 인간중심주의가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생태적 세계관에 기초한 생태영성의 함양이 필요하다. 이 글은 생태영성의 기초를 성서에 놓음으로써 그리스도교 생태영성을 찾아보고, 이로써 생태의식의 고양과 함께 그리스도교에 제기된 생태적 비판에 적극적으로 응답하려고 한다, 생태영성의 특정으로는 인간과 자연 간의 밀접한 유대와 자연의 본질적 가치에 대한 깊은 인식과 실천을 들 수 있다. 성서의 핵심 주제의 하나인 “계약’과 창세기의 창조 설화나 예언서에 나타나는 인간과 자연의 밀접한 관계는 성서가 생태 영성의 원천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점을 인식함으로써 그리스도인들은 보다 더 생태적으로 민감한 삶, 곧 단순과 겁약의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pirituality is the recognition and practice of the ultimate meaning or value of life and a reflection on it, which is always concretely manifested in the proper situation of each age. At the root of the present ecological crisis is anthropocentrism based on the mechanistic world view since modem times, and we need to foster ecological spirituality grounded in the ecological world view. By grounding ecological spirituality in the Bible, this essay seeks to search for Christian ecological spirituality and thereby to respond actively to ecological criticisms raised against Christianity with the elevation of ecological awareness Ecological spirituality is characterized by a recognition and practice of the deep bond between humans and nature and the intrinsic value of nature . Covenant, one of the core biblical themes, and the intimate relationship of humans and nature found in the creation accounts of Genesis and in the Prophets show that the Bible can be a source of ecological spirituality. By recognizing this, Christians may live a more ecologically sensitive life, that is, a life of simplicity and frugality.
국문장편소설 <소현성록>을 통해 본 17세기 후반 놀이 문화의 일면
허순우,Hur,Soon-woo 한국고전연구학회 2015 한국고전연구 Vol.0 No.31
고전문학과 예술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진행한 ‘놀이 문화’에 관한 연구, 그 중에서도 ‘유흥 문화’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18세기 이후의 양상과 의미를 살피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많은 연구들이 18세기 이후의 놀이 문화가 앞선 시기보다 ‘상대적’, 혹은 ‘본격적’으로 발달했다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는 만큼, 과연 그보다 앞선 시기인 17세기 중후반의 놀이는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는지 의문이 든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임진왜란, 병자호란 이후부터 18세기 이전까지에 해당하는 17세기 중후반이 ‘본격적인 조선 후기’로 가는 “전환기”에 해당한다면 그 시기 사람들이 인식했던 놀이 문화의 양상과 그것이 내포하는 의미는 무엇인지를 17세기 국문장편소설 <소현성록>을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작품에 서술된 놀이나 취미 등이 당대의 놀이 문화를 그대로 재현한 것임을 확인하는 것에 목표를 두지 않았다. 대신 다양한 놀이나 취미들을 작품에 등장하는 것과 같은 형태로 상상하거나 수용하고 묘사할 수 있는 문화적 성향, 기호들이 존재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그 양상은 어떠하며 그것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에 초점을 맞춰 논의를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작품에 서술된 놀이 문화의 양상을 “집 안팎에서 벌이는 소비적 놀이”와 “사치품들을 수집하고 기르는 취미”라는 두 항목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3장에서는 2장의 내용을 근거로 하여, <소현성록> 속 놀이문화는, 작품 내적으로는 이념의 이면에 존재하는 세속적 욕망과 취향을 강하게 노출함으로써 작품의 결을 다양하게 형성하는 기능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작품 외적으로는 18세기 이후가 되어서야 조선사회가 사치와 향락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기존의 논의와 달리, 17세기 중후반의 상층 구성원들 또한 숭검(崇儉)의 절대적 가치에 얽매이지 않고 사치와 향락을 누리고 즐기려는 욕망을 지녔음을 보여주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Most of existing studies about entertainment culture -- especially adult entertainment culture -- which take classic literature and works of art as their subject are focusing on their appearance and significance since 18th century. However, as many of them describe the culture to have developed more ‘relatively’ and ‘earnestly’ than precedent era, the question arises that what was the development of entertainment of mid-late 17th century like.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entertainment culture perceived by people of mid-late 17th century -- for it was the ‘transition period’ to ‘late Choseon Dynasty true to the name’, betwee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Second Manchu war of 1636 and 18th century -- and what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culture, as Sohyeonseong-rok, a 17th century's Korean classical long Novel, its subject. Not only aiming to confirm that the games and hobbies reproduce the entertainment culture of the time, but this study also focused on the appearance and significance of the fact that there existed cultural tendencies and preferences with which various plays and hobbies could be imagined, accepted, and described in the same forms as in the novel. In chapter 2, the appearance of entertainment culture from the work is examined with division into two categories of ‘consumptive leisure activities inside and outside the house’ and ‘hobbies of collecting and growing luxury items’. And in chapter 3, based on what was dealt with in chapter 2, entertainment culture from Sohyeonseongrok is understood to be significant, owing to its internal function which gives various colors by strongly exposing worldly desire and taste at the back of ideology. With an external focus on the work, unlike existing arguments that interest in extravagance and pleasure raised its head only after 18th century in Choseon society, the novel gets its significance from the fact that it clearly shows the desire of upper classes of mid-late 17th century to enjoy extravagance and pleasure without being bound to frugality.
송천(松川) 양응정(梁應鼎)의 장인(匠人)에 대한 정치사상 연구
양승천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4 호남학 Vol.0 No.75
송천 양응정은 조선 중기 관료이며 문인으로 학자이다. 22세 때 생원시에 장원하고, 34세 때 문과에 급제했으며, 38세 때 중시에서 장원하였다. 문과에 급제하여 조정의 여러 부서를 역임한 후 59세 때 성균관대사성을 끝으로 은퇴하고, 제자들을 교육하다 63세로 생을 마감하였다. 양응정의 장인에 대한 정치사상으로 첫째, 애민사상을 강조하고 있다. 백성의 충성스런 절개는 윗사람의 자세에 달려 있으므로, 아랫사람에 대한 이해와 관용의 정신으로 백성을 부려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청렴사상을 강조하고 있다. 관리는 성품과 행실을 바르게 갖고서, 업무를 함에 있어 법과 제도를 성실하게 지켜 백성을 고달프게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셋째, 근검사상을 강조하고 있다. 나라 경영에 보탬이 안되는 일로써 백성에게 노역과 그에 따른 고통을 주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양응정의 장인에 대한 정치사상에 대한 의의는 관리가 행동하고 실천해야 할 가장 기본적이고 현실적 행동지침이다. 관리가 백성을 대할 때는 어떤 마음을 갖고 어떻게 처신을 해야 하며, 실용성을 벗어난 생활과 사치를 경계하고, 나라를 다스림에 있어 이롭지 않는 일을 하기 위해 이로운 일을 해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양응정의 장인에 대한 정치사상은 관리에 대한 가장 기본적이고 현실적인 행동지침으로, 관리가 어떻게 처신하고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경각심을 말하고 있다. Songcheon Yang Eung-jeong was a mid-Joseon Dynasty bureaucrat and literary scholar. He passed the Saengwonsi (first-time civil service examination) at the age of 22,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at the age of 34, and passed the Jungsi (second-time civil service examination) at the age of 38. After passing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serving in various departments of the government, he retired at the age of 59 as Head of Sungkyunkwan Academy, and died at the age of 63 while educating his students. Yang Eung-jeong's political thoughts for craftsmen emphasize the thought of loving the people first. Since the loyalty of the people depends on the attitude of the upper class, they should serve the people with a spirit of understanding and tolerance for the lower class. Second, it emphasizes the thought of uprightness. Officials should have good character and behavior, and should faithfully observe laws and institutions in their work and not cause hardship to the people. Third, it emphasizes the thought of diligence and frugality. It means that they should not impose labor and suffering on the people as something that is not conducive to the management of the country. The significance of Yang Eung-jeong's political thoughts about craftsmen is that they are the most basic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officials to act upon and practice. It means that officials should have a certain mindset and behavior when dealing with the people, beware of living outside of practicality and luxury, and not harm what is beneficial in order to do what is not beneficial in governing the country. Therefore, Yang Eung-jeong's political thought of craftsmen is the most basic and realistic behavioral guideline for officials, warning them about how they should behave and 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