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대상의 오감을 활용한 채소 선호도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평가

        문혜경 ( Hye-kyung Moon ),허은실 ( Eun-sil Her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7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0 No.1

        This study developed a vegetable preference increase program that can be applied at the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CCFM) for children in child-care facilities and kindergarten and the training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192 5-year old children. Teachers considered ‘disliked food’ (3.23±0.85/out of 5) as the most serious nutritional problem and typical disliked food was ‘vegetables’ (54.2%). Based on this finding, to increase the preference for vegetables, a five-phase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In this program, each phase was composed of activities to increase children's interest in vegetables by using each sense out of the five senses. Center dieticians had visited and conducted the program in 12 facilities. By using an illustration assessment tool, the training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children's knowledge level and their preference changes in vegetables. Consequently, as examined by 10 questions on the knowledge of vegetables, trained children's (in total 192) knowledge of vegetables had considerably increased (p<0.01, p<0.001), and their preference for 15 out of the 16 vegetables, except for carrots, also showed a considerable preference increase after the training (p<0.01, p<0.001). Therefore, this program is considered to have contributed to reducing disliked vegetable eating behaviors.

      • KCI등재

        『식료찬요(食療纂要)』중(中) 오채(五菜)를 이용한 식치(食治) 연구(硏究)

        심현아 ( Hyun A Sim ),송지청 ( Ji Chung Song ),엄동명 ( Dong Myung Eom ) 대한한의학원전학회(구 대한원전의사학회) 2011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24 No.5

        Objective: 『Sikryochanyo』written by Jeon Soonyi is the first food-Therapy book at Korea. In 『Sikryochanyo』, there are many kinds of food-Therapy including Five-Vegetable therapy. Method: We will try to find out cases of food-therapy with Five-Vegetable in 『Sikryochanyo』. Result: In 『Sikryochanyo』, Five-Vegetable were treated as materia medica widely. Green onion, one of Five-Vegetable as materia medica was the major in use and porridge or soup were the major in frquency. Conclusion: On several types of Five-Vegetable, such as parts or whole, methods to make, the prescription shape etc., there are plenty of usage with its own effectiveness.

      • KCI등재후보

        오색(五色) 채소 유래 천연 색소를 이용한 건강 맞춤형 컬러 치즈 떡 개발에 관한 연구

        최희영 ( Hee Young Choi ),이승구 ( Seung Gu Lee ),최하늘 ( Han Eul Choi ),박종혁 ( Jong Hyuk Park ),허창기 ( Chang Ki Heo ),오전희 ( Jeon Hui Oh ),오현희 ( Hyun Hee Oh ),정후길 ( Hoo Kil Jung )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 2013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JMSB) Vol.31 No.1

        본 연구는 오색 채소 유래 천연 색소와 치즈의 첨가량에 따른 떡의 이화학적 변화와 관능검사를 통해 치즈와 우리나라 전통 떡을 이용한 새로운 제품의 생산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오색의 치즈를 넣은 떡에서 대조 구에 비해 단백질과 지방 총고형분 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난것으로 나타났고, pH 값도 치즈의 첨가량에 의해 더 낮은 값을 나타냈다. 미세구조를 알아본 결과, 치즈 첨가량이 많이 들어있는 첨가구일수록 더 촘촘한 표면을 나타내며, 기공의 입자가 덜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인 기호도 부분에서는 대조구와 첨가 구에서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부드러움은 대조구보다 첨가구4%에서가장높게나타났고, 특성강도검사에서는치즈향과유지방향 항목에서 치즈 첨가량이 많이 들어 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견고성과 탄력성은 대조구가 실험 구에 비해 다소 낮았고, 그 외에 부서짐 성과 부착성에서는 실험구가 대조 구에 비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오색 치즈 떡을 제조 시물리적, 이화학적 결과를 고려하여 최적의 첨가량은 4%가가장 적합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dding cheese in the manufacture of rice cakes having 5 different vegetable-derived natural coloring materials were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Rice cake samples were prepared without (control) or with the addition of 2.0%, 3.0%, or 4.0% cheese. Changes in pH, external appearance, total solid conten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extur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monitored during storage. The sensory and texture characteristics of the rice cakes with cheese were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color,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 total solid content and pH of the cheese-treated rice cake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during storage. Rice cakes added with cheese had higher liquid flavor than control. Results revealed that rice cakes added with cheese at less than 4% addition had the best taste, appearance, and sensory properties. Moreover, the addition of cheese to five-colored rice cakes provides additional nutrients while maintaining flavor and quality.

      • KCI등재

        장서각 소장본 『향약집성방』 향약식물 5부(초목과곡채) 목록화 및 북송대 『증류분초』 식물부와 비교 연구

        김일권(Kim, Il-gwon)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 장서각 Vol.0 No.43

        이 글은 국내 최우량 완질본으로 새로 부각된 장서각 소장본 『향약집성방』(인조11, 1633년 중간본, 훈련도감 소활자본, 藏J017341~4)의 판본가치를 주목하고, 「향약본초편」의 이른바 〈향약식물 5부〉(초목과곡채)에 대한 식물목록화를 수립하면서, 장서각본에 표기된 중간본(1633)의 향명표기를 전면 재검토하여 분석한 연구이다. 그간 선행연구는 우량본 없이 이런저런 여러 잔본을 합성한 채로 연구한 까닭에 향명표기가 일정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본 연구는 이를 일정 개선하는 연구의의가 있다. 5부 중 가장 분량이 많은 〈초부〉는 별도 연구로 수행하여 논문게재하였고(『장서각』 41, 2019), 본고는 그에 이어 나머지 4부(목과곡채)를 후속 연구하였고, 이 결과로서 본고 말미에 〈『향약집성방』 「향약본초편」 향약식물 5부(초목과곡채) 종합목록표〉를 수록할 수 있었다. 우선 수록항목에는 식물이 아닌 것도 포함되어 있어서 이를 분리하는 분류작업을 고찰하였고, 그 내역 결과는 제1 〈초부〉 179항 157종, 제2 〈목 부〉 79항 52종, 제3 〈과부〉 27항 27종, 제4 〈미곡부〉는 36항 24종, 제5 〈채부〉는 41항 40종이며, 총 362항 300종으로 추산되었고, 이 전체를 목록화하였다. 이들 목록에서 우리말 鄕稱(鄕名과 卽稱)을 재분류하면, 〈초부〉는 157종 중 97종(62%), 〈목부〉는 52종 중 23종(44%), 〈과부〉는 27종 중 8종(30%), 〈미곡부〉는 24종 중 9종(38%), 〈채부〉는 40종 중 28종(70%)에 매겨져 있었다. 전체로는 총 300종 중 165종(55%)에 이르므로 과반수 가량에 향칭을 매긴 상황이다. 이때 〈채부〉의 향칭비율이 가장 높아 당시 우리말 식물지식의 착근 정도가 매우 높았음을 보이고, 〈초부〉가 그 다음 높고, 〈과부〉와 〈미곡부〉는 가장 낮은 비율이어서, 15세기 세종시대 당시 우리말 향칭의 면모를 짐작케 한다. 이 향칭 분석 과정에서 〈목부〉 명칭의 혼동 상황이 종종 확인되었으며, 욱리인(산매자)과 곡약(조리참나무)은 반대로 된 경우이고, 유피(楡皮)는 느릅나무, 무이(蕪荑)는 느름나무로 재정의할 만하고, 안식향은 황칠나무, 오배자는 북나무로 대비할 만하다고 보았다. 〈과부〉의 순우리말 향명 중 이스랏(櫻桃), 오얏(李), 먿(柰), 가얌(榛子) 등의 표기법을 다시 활성화하는 문제를 제기하였고, 〈미곡부〉의 우리말 향칭은 불과 수수□(秫米), □동□(靑粱米), □보리(穬麥), 모밀(蕎麥)의 4종에 불과하였으며, 그외 출미(秫米)는 『향집』이 수수쌀, 『동의』는 찰기장쌀로 달리 불렸고, 광맥(穬麥)은 『향집』이 쌀보리, 『동의』는 것보리로 달리 불렀고, 찹쌀의 한자명이 『향집』은 도미(稻米), 『동의』는 나미(糯米)로 다르게 표기한 점 등을 검토하였다. 가장 높은 비율로 향칭이 매겨진 〈채부〉에서 『향집』 기준으로 동와(冬瓜), 겨자(芥), 고사리(蕨), 파(葱), 미나리(水斳), 가지(茄子) 등 12종에는 향칭이 없는 문제가 주목되었다. 또 구(韭)는 소불(蘇勃), 해(薤)는 부추(付菜)라 향명을 매겨 『동의보감』과 반대인 상황이었다. 또 상추(白苣)의 향명이 사라부로(斜羅夫老)인데 『동의보감』의 부루(萵苣)와 통한다 보였다. 덧붙여 향칭한 식물종이 『향약집성방』에 330종이던 것이 『동의보감』에서 459종으로 크게 150% 증가된 흐름을 검토하여, 조선초기와 중기 사이에 우리말 전통식물지식의 확장 국면을 담아내고자 하였다. 끝으로 북송대 『증류본초』가 『향약집성방』의 식물목록으로 수록된 문제를 비교하였고, 그 결과 〈초부〉는 449종 중 157종(35%), 〈목부〉는 262종 중 52종(20%), 〈과부〉는 53종 중 27종(51%), 〈미곡부〉는 48종 중 24종(50%), 〈채부〉는 65종 중 40종 (62%)을 수록하여, 가장 높은 비율이 〈채부〉 〈과부〉 〈미곡부〉에서, 가장 낮은 비율은〈목부〉와 〈초부〉에서 찾아졌다. 양자의 목록 순서가 동일하고, 내용 역시 부분 편집전재한 방식이어서, 조선초 향약식물지식의 성립과 전개에 북송대 식물학의 성취와 체계에 대해 향후 더욱 주목하여 심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 전망되었다. This is an analytical examination of the vernacular names of plants appeared in Hyang’yak jipseongbang (Compilation of Native Korean Prescriptions, the second edition, 1633) of Jangseogak Archive. This edition is recognized for its invaluable quality in its print condition and containing the Native Plants in Five Classifications, namely Herb, Wood, Fruit, Grain, and Vegetables in the chapter Hyang’yak boncho ( Native Korean Prescriptions). Having established the catalog-making which provides a central reference, this study significantly improved upon the previous studies that dealt with the collection of scattered names from various sources. Following the Herb research (published in Jangseogak 41, 2019) the other four parts are now studied and resulted in the “Comprehensive List of the Five Classifications: Herb, Wood, Fruit, Grain, and Vegetables.” This includes respectively 179 examples in Herb, 79 in Wood, 27 in Fruit, 36 in Grain, and 41 in Vegetables thus to a total of 362 articles. Among these more than half (55%) is written in vernacular names, in which 70% of Vegetables, 62% of Herbs and lower percentages in Fruit and Grain names are included. This and various other indicatives reveal the aspects of vernacular naming during King Sejong period in the 15th century. Additionally, a comparison is made between Hyang’yak jipseongbang (1433) and Dong’eui bogam (Exemplar of Korean Medicine, 1610) which revealed a 150 % increase of vernacular names from 330 types to 459 types. It indicates the increase in the usage of traditional Korean names of plants, which occurred in the period between early Joson and mid Joseon. Finally regarding the establishment and spread of the knowledge of plants, Hyang’yak jipseongbang is compared to Jeongryuboncho of Northern Sung (960-1127)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채소류의 기미론(氣味論) 연구 -「임원십육지」 [정조지] 중 <식감촬요>와 「동의보감」 [탕액편]를 중심으로-

        차경희 ( Gyung Hee Cha ),송윤진 ( Yun Jin Song ),이효지 ( Hyo Gee Lee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한국조리과학회) 2006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2 No.5

        Classifying vegetables recorded in Sikgamchalyo of Jeongjoji of Limwonsibyukji and Tangaekpyeon of Donguibogam and comparing the types features, efficacy and side effects based on Kimi Theory(氣味), we found forty one leafy vegetables, six root vegetables, nine fruit vegetables, nine mushrooms, seven seaweeds and two other vegetables in Limwonsibyukji and thirty five leafy vegetables, eight root vegetables, eight fruit vegetables, one mushroom, two seaweeds and one another vegetable in Donguibogam. According to the literature, vegetables are classified by five conditions(五氣) and five tastes(五味) and many are cold with sweet and bitter taste or warm with hot taste. They are efficacious in protecting the five viscera, building up energy, controlling heat, calming febrile diseases, promoting urination and excretion, calming cholera morbus, improving skin condition, calming the stomach, neutralizing poisonous effects and improving eyesight. To help prevent and cure diseases, those with cold physical constitution must take warm vegetables to vitalize their physiology and those with hot physical constitution cold vegetables for balance. To improve their physical health, our ancestors tried to control their bio rhythm with food and medicinal material and promoted health and prevented diseases by taking such food. We therefore expect that we can have a healthy dietary life by taking advantage of the five conditions and five tastes of vegetables and continuing the spirit of Yacksikdongwon(藥食同源).

      • KCI등재

        채소류의 기미론(氣味論) 연구 - "임원십육지" 중 [정조지] 중 <식감촬요>와 "동의보감" [탕액편]를 중심으로-

        송윤진,이효지,차경희,Song, Yun-Jin,Lee, Hyo-Gee,Cha, Gyung-Hee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6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2 No.5

        Classifying vegetables recorded in Sikgamchalyo of Jeongjoji of Limwonsibyukji and Tangaekpyeon of Donguibogam and comparing the types features, efficacy and side effects based on Kimi Theory(氣味), we found forty one leafy vegetables, six root vegetables, nine fruit vegetables, nine mushrooms, seven seaweeds and two other vegetables in Limwonsibyukji and thirty five leafy vegetables, eight root vegetables, eight fruit vegetables, one mushroom, two seaweeds and one another vegetable in Donguibogam. According to the literature, vegetables are classified by five conditions(五氣) and five tastes(五味) and many are cold with sweet and bitter taste or warm with hot taste. They are efficacious in protecting the five viscera, building up energy, controlling heat, calming febrile diseases, promoting urination and excretion, calming cholera morbus, improving skin condition, calming the stomach, neutralizing poisonous effects and improving eyesight. To help prevent and cure diseases, those with cold physical constitution must take warm vegetables to vitalize their physiology and those with hot physical constitution cold vegetables for balance. To improve their physical health, our ancestors tried to control their bio rhythm with food and medicinal material and promoted health and prevented diseases by taking such food. We therefore expect that we can have a healthy dietary life by taking advantage of the five conditions and five tastes of vegetables and continuing the spirit of Yacksikdongwon(藥食同源).

      • KCI등재

        『내경(內經)』과 『의학입문(醫學入門)』, 『동의보감(東醫寶鑑)』 에 나타난 식이(食餌)의 오미(五味)비교

        조학준 ( Hak Jun Jo ) 대한한의학원전학회(구 대한원전의사학회) 201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23 No.6

        In order to setup the diet guideline of five grains, five meats, five fruits, and five vegetables for the diseases of five organs, I reviewed the their tastes by comparing 『Naekyeong』 with 『Euhakibmun』, 『Dongeuibogam』. ``Ma(麻)`` in 『Naekyeong』 means not a hemp, a ramie or a jute, but a sesame(胡麻;참깨). ``Maik(麥)`` in it means both a barley(大麥;보리) and a wheat(小麥;밀). ``Guak(藿)`` in it means bean leaves(콩잎), leaves of a red-bean(팥잎) or brown seaweed(海藻;미역). ``Gyu(葵)`` in 『Euhakibmun·Jangbujobun(臟腑條分)』 is a miswritten word for ``Welsh onion(蔥)`` caused by similarity of shape of word. Food of a salty taste according to five elemental arrangement in 『Naekyeong』 is really salty according to 『Euhakibmun』 and 『Dongeuibogam』. But a barley(大麥) and a wheat(小麥) of sour taste are bitter, a chicken of sour taste or hot taste is sweet, nonglutinous millet of sour taste is sweet, an apricot of bitter taste is hot, a sesame seed of sweet taste is sour, a nonglutinous rice of hot taste is sweet, and a horsemeat of hot taste is bitter according to them. There are two ways to recommend the food for diseases of five organs. One way is to promote or control the Qi(氣) of five organs according to 『Somun(素問)』 and 『Euhakibmun · Jangbujobun』, the other way is to build up the Yin(陰血) of five organs according to 『Yungchu(靈樞) · five tastes(五味)』. The two different ways are not contradictory to each other, but complement on the view point of their substances(體) or actions(用).

      • KCI등재

        불교 문헌에 나타난 오신채(五辛菜) 항목의 혼란과 정립에 관한 고찰

        공만식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3 불교문예연구 Vol.- No.21

        The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confusion and establishment of the Five Pungent Vegetables in the translated Chinese Buddhist canon and Chinese Buddhist literature which were written in China. The thought of the Five Pungent Vegetables in China was introduced from Indian Buddhist canon such as the Lankavatara sutra, but the name of items of the Five Pungent Vegetables in Chinese Buddhist literature is not identical with the Indian one. The naming of items of the Chinese Five Pungent Vegetables was influenced by traditional Chinese Four Pungent Vetables and the two items of them do not exist in Indian canon. The history of agriculture in China shows that four pungent vegetables in China are established before Indian Buddhist canon arrive to China. The last item of the Five Pungent Vegetables in Indian Buddhist canon is “hiṅgu” in Sanskrit and the vegetable did not exist in China, that is why the “hiṅgu” was extremely confused by Chinese Buddhist authors and other vegetables in China are misunderstood as the “hiṅgu”. However, the two Buddhist monks such as Sanskrit experts, Xuanying and Huiri in Tang dynasty who studied in India and travelled the Central Asian countries corrected the mistake of the naming of “hiṅgu” which is the last item of the Five Pungent Vegetables in Chinese Buddhist literature. Even after the correcting of the wrong naming of the “hiṅgu”, the misunderstanding of the name of hiṅgu contined till the Qing dynasty. 본 논문은 중국 불교 오신채 규정 성립의 혼란과 정립과정을, 마늘, 파, 부추, 염교 등 4가지 백합과 훈채와 중국에 존재하지 않았던 훈채인 흥거를 통해 고찰하려는 작업이다. 인도 오신채와 중국 오신채 항목은 마늘과 파를 제외한 훈채명이 일치하지 않으며 불일치하는 훈채명의 정립은 중국 농업사에서 4가지 백합과 훈채의 성립과 관계되어 있다. 중국에서 번역되거나 중국에서 찬술된 훈채 관련 경전인 능가경 과 범망경 은 5세기경에 중국에서 번역되거나 찬술되는데 이 시기에 중국 농업사에서는 마늘, 파, 부추, 염교의 4가지 백합과 훈채가 농업상 정착되어 있었다. 중국 훈채 관련 경전에서 가장 먼저 언급되는 마늘[大蒜]은 전한시기 장건의 서역 사행을 통해 중국에 전래되면서 중국 토종인 소산(小蒜)을 누르고 마늘을 대표하는 훈채로 정립된다. 또한 염교[薤]는 중국 자생종 식물로서 인도에는 없는 훈채이나 중국 불교문헌의 백합과 4가지 훈채로 자리잡는다. 오신채 중 주로 마지막에 언급되는 흥거(興渠)는 중국에 없었던 식물인 관계로, 중국불교문헌에서 많은 혼란과정을 보여주는데 흥거는 유채를 의미하는 운대(芸薹, 蕓薹)나 고수풀을 의미하는 호유(胡荽)로 착락되거나 식질(蒠蒺, 무)로 오해되기도 하였다. 흥거가 유채나 고수풀로 착란된 이유로는 형초세시기 에 보이듯 중국 전통의 훈채로 존재했다는 이유와 도교의 오신채 중 두 가지 항목으로 기능하고 있었다는 사실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혼란을 거쳐 중국불교는 당나라 시기에 인도와 서역사정에 밝은 범어 전문가인 현응이나 혜일과 같은 승려들에 의해 흥거의 정체가 파악되고 중국에서는 아위(阿魏)라는 명칭으로 오신채 항목으로 정립되게 되었다. 그러나 교통, 통신의 미발달은 당나라 시기 그 실체가 파악된 흥거는 그 이후 시기에 있어서도, 심지어 청나라 시기까지 이전의 혼란상이 문헌에서 교정되지 않는 채 여전히 잘못된 훈채명이 사용되는 문헌이 존재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