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경(內經)』과 『의학입문(醫學入門)』, 『동의보감(東醫寶鑑)』 에 나타난 식이(食餌)의 오미(五味)비교

        조학준 ( Hak Jun Jo ) 대한한의학원전학회(구 대한원전의사학회) 201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23 No.6

        In order to setup the diet guideline of five grains, five meats, five fruits, and five vegetables for the diseases of five organs, I reviewed the their tastes by comparing 『Naekyeong』 with 『Euhakibmun』, 『Dongeuibogam』. ``Ma(麻)`` in 『Naekyeong』 means not a hemp, a ramie or a jute, but a sesame(胡麻;참깨). ``Maik(麥)`` in it means both a barley(大麥;보리) and a wheat(小麥;밀). ``Guak(藿)`` in it means bean leaves(콩잎), leaves of a red-bean(팥잎) or brown seaweed(海藻;미역). ``Gyu(葵)`` in 『Euhakibmun·Jangbujobun(臟腑條分)』 is a miswritten word for ``Welsh onion(蔥)`` caused by similarity of shape of word. Food of a salty taste according to five elemental arrangement in 『Naekyeong』 is really salty according to 『Euhakibmun』 and 『Dongeuibogam』. But a barley(大麥) and a wheat(小麥) of sour taste are bitter, a chicken of sour taste or hot taste is sweet, nonglutinous millet of sour taste is sweet, an apricot of bitter taste is hot, a sesame seed of sweet taste is sour, a nonglutinous rice of hot taste is sweet, and a horsemeat of hot taste is bitter according to them. There are two ways to recommend the food for diseases of five organs. One way is to promote or control the Qi(氣) of five organs according to 『Somun(素問)』 and 『Euhakibmun · Jangbujobun』, the other way is to build up the Yin(陰血) of five organs according to 『Yungchu(靈樞) · five tastes(五味)』. The two different ways are not contradictory to each other, but complement on the view point of their substances(體) or actions(用).

      • KCI등재

        현대 한국식 상차림에 나타난 색채에 관한 연구

        이승은(Seung Eun Lee),윤민희(Min Hie Y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3

        오늘날 경제적인 성장과 함께 사회가 풍요로워지면서 음식문화에서 먹는 즐거움뿐만 아니라 식탁의 시각적인 즐거움을 중요하게 나타나고 있다. 상차림에서 음식을 담는 식기, 식탁, 꽃 등 식공간의 장식과 분위기를 나타내는 디자인적 측면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상차림에서 색채조화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세계 여러 나라들과의 활발한 문화교류로 우리의 식탁 문화는 서구화, 퓨전화 되고 있으며, 특히 현대 한국식 상차림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상차림도 서양 사조를 모방하기 보다는 우리 민족의 정서와 문화가 깃들어 있는 전통 상차림을 새롭게 해석하여 현대적이면서도 세계적 보편성을 가진 상차림의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는 문헌 및 사례연구를 통해 현대 한국식 상차림에 있어 시대변천에 따라 내재된 음양오행에 따른 색채의 원형적 속성이 어떠한 외적 표현으로 계승되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전통의 미를 현대감각에 맞게 재구성하여 발전, 계승한 현대 한국식 상차림의 색채를 제안한다. 오늘날 한식 상차림의 범위는 크게 ‘한국의 전통 상차림’과 ‘현대 한국식 상차림’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한국의 전통 상차림’은 일상식이나 혼례·제례상차림과 같이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상차림의 원형적 요소를 현대적으로 재현한 상차림으로 보고, ‘현대 한국식 상차림’은 전통적인 한국 상차림을 재해석하여 현대적인 감각에 맞게 변형, 계승된 상차림으로 나누어 연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전통 상차림’과 ‘현대 한국식 상차림’의 개념 및 유형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상차림의 개념과 형태가 급격히 변화되고 있지만 과거의 원형적인 요소가 현재까지 보존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우리 민족 의식구조의 바탕이 된 유교(儒敎)· 불교(佛敎)·도교(道敎)사상과 음양오행이 한식 상차림에 각각의 중요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셋째, 통과의례상차림(돌상, 혼례·제례상차림)과 같은 오늘날까지 원형적 요소를 재현한 ‘한국의 전통 상차림’은 오방색을 사용하여 음양오행사상에 따라 색에 의미를 부여하고 관념적인 의미에 중점을 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대 한국식 상차림’은 전체적 이미지를 원색이 아닌 2차색인 간색을 주로 사용하고 음식, 센터피스는 색채조화를 고려하여 오방색을 강조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측면과 같이 ‘현대 한국식 상차림’은 시간·장소·목적(T·P·O:Time, Place, Object)에 따라 색채사용을 적절하게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현대 한국식 상차림’의 색채를 제안할 수 있으며, 한국의 전통 상차림을 현대적 의미로 재해석하여 한국의 전통미를 살리면서 실용적인 기능성과 시각적인 미적 감각을 강조한 상차림의 재창조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Nowadays as becoming abundant socially along with economic growth, the visual joy for the dining table as well as the joy of eating in the food culture appears to be important. The importance of coloring harmony in the spreading table as becoming greatly important in designing viewpoint demonstrating atmosphere and decoration in the dining space food containing of table wares, tables, flower etc. in spreading the table. Today the culture of our dining table is turning into the westernization and fusionization for active cultural exchange with several nations in the world. In particular, the modern table spreading on Korean fashion is affected in this influences. In this point of view, we need to seek for direction of commonly world-wide to include modern oriented explaining newly traditional spreading table containing emotion and culture of our nation rather than imitation of western current in spreading table. Through literature and case studies, in this respect of the study it is recommended for coloring of Korean fashion spreading table that the traditional beauty should be re-instituted for improvement, succession in review with any external expression in its character originally following inward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with the transformation of era in modern spreading table of Korea. Modern spreading table of Korea is comprehensively daily ceremony, Korean complementary fashion spreading table originally from the traditionally old fashioned spreading table of Korea required to be explained to classify into transformed and succeeded to spreading table of Korea to suit for modern taste with complementary trends. The consequence of analyzing these elements are to the following. Firstly, though idea and shape of traditional spreading table of Korea rapidly changing through theoretic review against idea of example between traditional spreading table of Korea and complementary spreading table of Korea, it could be known the traditional spreading table is succeeding to the complementary spreading table up to this date. Secondly, it could get to know the facts that the thought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based on the habitual structure of our people involve in the importance of spreading Korean table. Thirdly, such a passing ceremonial spreading table(first day party for infant, marital ceremony, spreading table for ancestor) demonstrates original ceremonial method using a variety of colors following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to render meaning of its color and concentrated in ideal meaning. Complementary spreading table of Korea is chiefly using the entire image for the secondary color namely brown color. Using five colors and its emphasizing is hopeful taking into account of coloring harmony. In the meantime, as such a view complementary spreading table of Korea should use colors suitably following Time, Place, and Object.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suggested of Korean complementary spreading table and coloring harmony. The traditional spreading table is required to be re-instituted to revive Korea traditional beauty to expect re-creation of spreading table stressing on practical capability and visual beautiful sensation.

      • KCI등재

        한국 전통상차림의 색채연구

        이승은 ( Seung Eun Lee ),이헌국 ( Heon Gook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3

        한국 전통상차림의 색채연구는 한국·중국·일본의 문화적 특성과 색채연구를 바탕으로 하며, 연구범위는 조선시대 후기(17-19세기)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전통상차림의 사례연구는 상차림 유형의 주조색·보조색·강조색을 색채 측정기로 측색하여 먼셀값으로 표시한 후 전통상차림의 색채팔레트와 색채스케일을 제시하였다. 한국의 문화적 특성에 바탕을 둔 전통상차림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전통상차림의 색채는 음양오행의 상징성을 바탕으로 하며 이러한 특성은 현재까지 계승되고 있다. 둘째, 한국 전통상차림의 색채를 살펴보기 위해 중국의 명·청 시대, 일본의 에도(江戶)시대 상차림의 색채를 비교 분석하여 한·중·일 색채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한·중·일은 공통적으로 적색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색채배색은 한국의 상차림에서 고·중명도에 중·저채도의 색채특성이 나타났다면 중국은 고명도·고채도의 대비조화를 일본은 저명도· 저채도의 유사조화를 선호하였다. 한국은 전통 상차림에서는 적색계열의 색을 선호하였으며 고·중명도에 중·저채도의 색채특성을 나타냈다. 한·중·일 상차림의 색채표현 특성의 비교 연구 바탕으로 한국의 전통상차림에 나타난 색채특성을 연구할 수 있다. 한국의 전통상차림 색채특성에 관한 연구는 현대적 의미로 재해석하여 한식문화의 특성과 정체성을 세계 속에 알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research studied the color arrangements of traditional Korean table settings based on a comparison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the 17C to the 19C. The case studies were categorized through a value conversion of dominant color, secondary color, and accent color, measured by chromatometer, into Munsell hues upon which the color palettes and chroma scale of traditional table settings were represented. The research findings on Korea`s tradition-based table arrangements are listed as follows. Firstly, the traditional Korean table setting colors are based on the symbolism in Ying-Yang and Wu Xing philosophy and are still utilized today. Secondly, to examine the chromatics features of Korean table arrangements, a study was done by means of distinguishing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with the two neighboring countries at the same time - the Qing and Ming Dynasties in China and the Edo period in Japan. These three countries show a common preference for red. However, the Chinese approach visualizes a high magnitude in both brightness and chroma while the Japanese approach shows low to low on these scales, and the Korean approach is characterized by moderation. Traditionally, the Korean approach favors shades of red on table arrangements, and this is distinctively registered as mid-to-high on the gray scale and mid-to-low on the chroma scale. It is expect that there will be an opportunity, through a modern reinterpretation of the color attributes of Korean table arrangements, to disseminate Korean food culture and its identity worldw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