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의 정서 단어 추출을 통한 문학 작품의 정서 분석

        함준석 ( Jun Seok Ham ),이신영 ( Shin Young Rhee ),고일주 ( Il Ju Ko ) 한국감성과학회 2011 감성과학 Vol.14 No.2

        본 논문에서는 단위 시간 동안 주로 작용하는 정서를 ``지배적 정서(dominant emotion)``라고 정의하고, 문학작품의 지배적 정서 흐름을 자동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한국어는 언어 구조적 특성상 접미어에 따라 의미가 역전되거나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소설이나 수필 같이 일정 이상의 분량을 가진 텍스트에서 정서 단어를 추출한다면 어느 정도 추출이 잘못되어도 지배적 정서 흐름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 다. 문학작품에서 지배적 정서를 추출하기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문학작품의 전체 텍스트에서 형태 소를 분석하여 형태소 단위의 단어를 추출한다. 추출된 단어를 정서 단어 데이터베이스와 매칭하여 정서적 의미를 담고 있는 단어를 분리해 낸다. 분리된 단어들을 정서 모델에 사상하여 해당 단어가 갖고 있는 정서를 도출한다. 도출된 정서 단어들을 통해 지배적 정서를 분석한다. 제안한 방법론에 따라 현진건의 현대소설 ``운수 좋은 날``과 윤오영의 수필 ``방망이 깎던 노인``을 분석한 결과, 지배적 정서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었다. We define a ``dominant emotion`` as acting dominantly for unit time, and propose methodology to extract dominant emotion in a literature automatically. Due to the nature of the Korean language, it is able to be changed or reversed owns meanings as desinence. But it might be possible to extract a dominant emotion in a text has a small quantity like a fiction or an essay. A process to extract a dominant emotion in a literature is as follows. At first, extract morphemes in a whole text. And dispart words having emotional meaning as matching emotion terms database. Map disported terms to a affective circumplex model and matching it with basic emotion. Finally, analyze dominant emotion according to matched basic emotion. And we adjust our methodology to two literature; modern fiction ``A lucky day`` by Jingeon, Hyun and essay ``An old man who shave a bat`` by Woyoung, Yun.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grasp flows of dominant emotion.

      • KCI등재

        정서 차원 공간에서 소설의 지배 정서 분석 및 분류

        이신영(Shin-Young Rhee),함준석(Jun-Seok Ham),고일주(Il-Ju Ko) 한국인지과학회 2011 인지과학 Vol.22 No.3

        소설, 블로그, 채팅 메시지, 상품평 등의 텍스트는 전반적인 정서의 흐름을 가지고 있다. 텍스트 간의 정서 흐름의 유사도를 비교하면 유사한 정서 흐름을 갖는 텍스트를 분류할 수 있고, 상품 추천이나 의견 수집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에서 정서 단어를 순차적으로 추출하고 쾌-불쾌, 활성화의 2차원으로 분석하여 텍스트의 정서 흐름을 파악하였다. 또한 텍스트의 순차적인 흐름을 시간 차원으로 설정하여 텍스트의 전반적인 정서 흐름인 ‘지배 정서(dominant emotion)’를 파악하기 위하여 쾌-불쾌, 활성화, 시간의 3차원 공간에서 정서 흐름을 탐색하였다. 또한 이 3차원 공간 안에서 유클리드 거리를 사용하여 지배정서 흐름의 유사도를 계산함으로써 유사한 정서 흐름을 가지는 텍스트를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을 통해 한국 근대 단편 소설들을 분석하여 지배 정서를 분석하였고 유사한 지배 정서를 가지는 소설들을 분류하였다. The text such as stories, blogs, chat, message and reviews have the overall emotional flow. It can be classified to the text having similar emotional flow if we compare the similarity between texts, and it can be used such as recommendations and opinion collection. In this paper, we extract emotion terms from the text sequentially and analysis emotion terms in the pleasantness-unpleasantness and activation dimension in order to identify the emotional flow of the text. To analyze the ‘dominant emotion’ which is the overall emotional flow in the text, we add the time dimension as sequential flow of the text, and analyze the emotional flow in three dimensional space: pleasantness-unpleasantness, activation and time. Also, we suggested that a classification method to compute similarity of the emotional flow in the text using the Euclidean distance in three dimensional space. With the proposed method, we analyze the dominant emotion in korean modern short stories and classify them to similar dominant emotion.

      • KCI등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ssociations between Korean Emotion Terms and Color Terms

        김지인,이지영,서종석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硏究 Vol.- No.65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ssociations between emotions and color terms. At first, we surveyed high-frequent Korean emotion terms to establish the basic emotional terms in Korean. Secondly,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ten basic Korean emotional terms retrieved from the survey and color terms were examined and applied to depict a two-dimensional model of Korean emotional terms. Results revealed that two particular dimensions of emotions are important in the model of Korean emotional terms, which are Valence (negative-positive) and Arousal (activated-sleepy). The current results suggest that th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djectives and colors can be examined in the two-dimensional model of emotion.

      • KCI등재

        소셜 미디어에서 사용되는 한국어 정서 단어의 정서가, 활성화 차원 측정

        이신영 ( Shin Young Rhee ),고일주 ( Il Ju Ko ) 한국감성과학회 2013 감성과학 Vol.16 No.2

        소셜 미디어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사용자가 생성한 텍스트 데이터가 급증하고 있다. 오피니언 마이닝에서는 이러한 사용자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견을 추출하고 있다. 특히 오피니언 마이닝의 세부 분야인 정서 분석에서는 텍스트에서 사용자의 정서를 추출하는 것이 주된 목적인데, 이를 위해서는 정서 단어 목록 구축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미디어의 정서 분석을 위해서 대표적인 소셜 미디어인 페이스북 텍스트를 사용하여 정서 단어 목록을 구축하였다. 페이스북 텍스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한 후 정서 단어를 선별하고 설문을 통하여 정서가와 활성화 차원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서가, 활성화 차원을 포함한 267개 정서 단어 목록을 구축하였다. User-created text data are increasing rapidly caused by development of social media. In opinion mining, User`s opinions are extracted by analyzing user`s text. A primary goal of sentiment analysis as a branch of opinion mining is to extract user`s opinions from a text that is required to build a list of emotion terms. In this paper, we built a list of emotion terms to analyse a sentiment of social media using Facebook as a representative social media. We collected data from Facebook and selected a emotion terms, and measured the dimensions of valence and activation through a survey. As a result, we built a list of 267 emotion terms including the dimension of valence and activation.

      • KCI우수등재

        정서 단어 분류를 통한 정서의 구성 차원 및 위계적 범주에 관한 연구

        이준웅(June Woong Rhee),송현주(Hyun Joo Song),나은경(Eun Kyung Na),김현석(Hyun Suk Kim) 한국언론학회 2008 한국언론학보 Vol.52 No.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basic level category of Korean emotion terms and to explore underlying dimensional structures of emotions. A group of 170 students evaluated prototypicality of 265 emotion terms selected from Park and Min's (2005) emotion study. Another group of 109 participants sorted out the list of 115 emotion terms with high propotypicality using a criterion of similarity. The data of similarity sorting were subject to cluster analysis. The resulting dendrogram suggested a basic level of emotion categories comprising the positive emotions such as 'joy', 'pride', and 'love' and the negative ones such as 'fear', 'anger', 'pity', 'shame', 'frustration', and 'sadness.' The similarity sorting data were transformed into a distance matrix and analyzed using MDS. A two-dimensional structure of emotions was obtained: The first dimension was 'affective valence', the second 'arousal.' An additional analysis revealed the third dimension identifiable as 'self or other- centered orientation.' Implications of the basic level emotions for communication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리처드 파워스의 소설『갈라테아 2.2』에 기술된 인공 지능(AI) 헬렌(Helen)의 특징적인 언어양상 연구

        박환영(Hwanyoung Park) 바른역사학술원 2024 역사와융합 Vol.- No.19

        리처드 파워스의 소설『갈라테아 2.2』은 작가의 상상력에 기초한 인공지능과 관련한 허구적인 이야기임에도 불구하고 인공지능(AI) 언어의 과제와 전망에 대해서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주기도 한다. 특히 인공지능 헬렌은 한편으로는 언어학습자로서 또 다른 한편으로는 챗봇(chatbot)과 같은인간의 대화상대자로서 언어학습을 진행하는데 그 중에서도 호칭(terms of address)과 지칭(terms of reference) 그리고 인간의 감정을 내재하고 있는 신체관련 은유표현에 주목할 수 있다. 인공지능 헬렌과 관련한 호칭 및 지칭과 관련해서 인공지능 헬렌은 대부분‘헬렌’이라는 이름(first name) 외에도‘기계’,‘네트워트 덩어리’,‘양철 전화기’,‘임프 H’등으로 호칭되거나 지칭되기도 하며, 인간을 모방하는 기능을 강조하여‘쌍둥이’혹은‘똑똑한 앵무새’로 지칭되기도 한다. 이와 비교해서 릭(Rick)은 자신의 이름(first name)으로 호칭되면서도‘리처드’외에도 리키(Ricky)와 리치(Richie)와 같은 애칭으로 호칭되기도 한다. 한편 인공지능 헬렌은‘배가 꼬였다’,‘몸이 오그라들다’그리고‘목숨이 끊긴다’등에서 처럼 신체와 관련한 구체적인 감각을 통하여 감정을 생동감 있게 전달하고 있는 은유표현을 이해하는데 부족함을 느낀다. 이것은인공지능 헬렌의 언어가 가지고 있는 한계이면서 좀 더 기능이 향상되고 진화된 인공지능 헬렌의 필요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임프 H인 인공지능 헬렌은 임프 A에서 진화한 가장 최신 버전인 셈이다. 따라서『갈라테아 2.2』에서 인공지능 헬렌의 죽음은 호칭체계를 섬세하게 구사할 수 있고, 감정이 내재된 신체관련 은유표현을 이해할 수 있는 좀 더 진화한 임프 I로 다시 부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고도 볼 수 있다. Richard Power’s novel Galatea 2.2 presents the task and prospect of Artificial Intelligence’s language although the novel is based on story-telling and the author’s imagination. In particular, it is worth to note not only terms of address and terms of reference but also terms of body concerning Artificial Intelligence Helen. She is mostly addressed by her first name (Helen) and other terms such as machine, apparatus, bag of networks, fancy tin-can telephone, distributed process, multidimentional shape, etc. Also, Artificial Intelligence Helen is a symbol of A (a twenty-two year old woman and post-graduate student) and imitating A, some terms like ‘a gifted cockatiel’ and ‘twin’ are used for Helen in terms of reference. In comparison, Rick is addressed in various ways, that is first name, surname, affectionate names and other nicknames. In addition, Artificial Intelligence Helen has no nose, mouth or fingers and only she has partially functioning eyes and ears. Thus Helen is not able to fully understand metaphorical language expressions concerning emotion. For instance, in some expressions like ‘your stomach in knots’, ‘embarrasment shrinks you’, or ‘amazement strikes you dead’. Helen could not feel the meanings and thus she has a lack of knowledge in similar linguistic circumstances. Lastly, Artificial Intelligence Helen is Imp. H. It means that Helen has been evolved from Imp. A, Imp. B, Imp. C, and so on. So the shut down of herself in the novel suggests and hints at the revival of a new vers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may be named “Galatea 3.3”.

      • 기획논문2 : 다문화가정 여성 학습자의 담화상황별 화용교육1 -가정 내 담화상황을 중심으로-

        문금현 ( Keum Hyun Moon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5 한국어와 문화 Vol.18 No.-

        다문화가정 여성 학습자의 화용교육은 초급부터 시작하고 중급에서는 감정표현과 고정 화용표현에 대한 중점 교육을 하며 고급에서는 화용표현에 대한 심화 교육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먼저 호칭어 교육은 초급에서 직계가족 중 부모, 형제에 대한 기본 호칭어를 학습하고 상하 서열과 남녀 구분 및 친가, 외가 여부에 따라서 호칭·지칭어가 구분됨을 인지시킨다. 중급에서는 직계가족의 배우자 등으로 확장 학습이 필요하며 가계도에 대한 인식도 필요하다. 고급에서는 친척 호칭어와 난이도 높은 호칭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감정표현 교육은 초급에서 긍·부정의 기본 감정표현을 결합구성을 통해서 익히고, 중급에서는 수식어에 의해서 감정표현을 더 상세하게 할 수 있도록 중점 교육이 필요하며, 특히 부정적인 감정표현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다. 고급에서는 감정의 정도가 심화된 감정표현과 유의·반의관계에 있는 감정표현에 의한 관련 학습이 필요하다. 셋째, 고정 화용표현 교육은 초급에서 가장 기본적인 인사표현과 각 유형별 전형적인 고정 화용표현들이 학습되고, 중급에서는 세부적이고 구체적으로 표현되는 인사표현과 각 유형별로 확장된 형태의 고정 화용표현 학습이 필요하며, 특히 요청, 거절표현을 공손하게 표현하는 학습이 필요하다. 고급에서는 빈말 인사표현과 문상이나 병문안 등 특정 상황에서 사용하는 위로표현 및 고급 공손표현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따라서 각 담화상황별로 다양한 모형을 제시해 주는 자료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It is desirable to initiate pragmatic education of female learners in multi-culture families in the beginning course. In the intermediate level, it is required to provide education focusing on emotional expression and fixed pragmatic expression. In the advanced level, it is effective to educate advanced pragmatic expression. First of all, address term education was provided learning basic address terms i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brothers/sisters among family members in a direct line in the beginning level. In addition, it is needed to make female learners recognize how address terms are categorized depending on family member rank, gender, and father`s or mother`s side of family. In the intermediate level, expanded learning is needed to spouses of families in a direct line along with recognition of family tree. In the advanced level, it is needed to learn address terms of relatives and high level reference forms and address terms. Secondly, emotional expression education shall start from the beginner level. However, it is also needed to provide education focusing on co-occurred phrases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In the intermediate level, it is required to provide education on detailed and refined emotional expression by modifiers. Especially, it is highly needed to learn expression on negative emotion. In the advanced level, it is needed to learn emotional expression of synonymy or antonymy and expressions of intensified emotion. Third, fixed pragmatic expression education can be provided in each category. In the beginner level, it is needed to learn the most fundamental greeting expression, traditional pragmatic expression commonly used in each of the types and basic polite expression. In the intermediate level, it is needed to learn specific greeting expression and fixed pragmatic expression in the extensive form. Especially, it is required to learn expression methods for the request or refusal in a polite form. In the advanced level, it is needed to learn false promise greeting expression, comforting expression used in specific situations such as condolence call or hospital visiting and advanced polite expression. Therefore, it is needed to establish data providing various types of model in each of the discourse situations.

      • KCI등재

        A Corpus-Based Study of Kasum ‘Chest/Breast’ as a Locus of Emotions in Korean

        김해연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018 언어학 Vol.0 No.82

        Cognitive linguistics has explored body-part terms, particularly the heart, as a way of characterizing the embodied nature of language. The present research explores the uses and meanings of the Korean body-part term kasum ‘chest/breast’ as a locus for emotional feelings by analyzing a written corpus from the perspective of Metaphor Theory. Examination shows that kasum is used to describe physical or physiological aspects of the chest as its literal meanings. Analysis of the co-occurrence relations shows that kasum is viewed as a site for emotion/feelings, treating it as (i) a locus of emotional feelings, and (ii) abstract entities/objects. It shows that the extended meanings, being derived from conceptual metaphors, are based on viewing kasum as in the following terms: (i) a locus of emotion/feelings, (ii) a container of emotions, (iii) an entity/a material, (iv) a storage/hiding place, etc. Finally, this research shows that in Korean the chest plays an important role in expressing emotional feelings based on the folk views of the chest as a site of emotions.

      • KCI등재

        A Corpus-Based Study of Kasum ‘Chest/Breast’ as a Locus of Emotions in Korean

        Haeyeon Kim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018 언어학 Vol.0 No.82

        Cognitive linguistics has explored body-part terms, particularly the heart, as a way of characterizing the embodied nature of language. The present research explores the uses and meanings of the Korean body-part term kasum ‘chest/breast’ as a locus for emotional feelings by analyzing a written corpus from the perspective of Metaphor Theory. Examination shows that kasum is used to describe physical or physiological aspects of the chest as its literal meanings. Analysis of the co-occurrence relations shows that kasum is viewed as a site for emotion/feelings, treating it as (i) a locus of emotional feelings, and (ii) abstract entities/objects. It shows that the extended meanings, being derived from conceptual metaphors, are based on viewing kasum as in the following terms: (i) a locus of emotion/feelings, (ii) a container of emotions, (iii) an entity/a material, (iv) a storage/hiding place, etc. Finally, this research shows that in Korean the chest plays an important role in expressing emotional feelings based on the folk views of the chest as a site of emotions.

      • KCI등재

        정의 문학론과 근대 문학 개념의 미분화 양상 고찰

        백지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民族文化硏究 Vol.56 No.-

        "정"은 근대 초기 문학 개념의 핵심어로서 전통적 가치 구도를 전복하고 새로운 세계상을 형성하기 위한 기획의 중심에 놓여 있었다. 당시의 담론들이 근거했던, 지정의 삼분법에서 진선미 삼분법으로의 이행 경로는 "정-미"의 부각을 위한 분리와 배제의 논리였고 이로써 문학의 예술적 "심미화"가 점차 확립되어 근대 문학의 자율적 개념 또한 정착되었다고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정-미"를 문학의 중심에 두는 와중에 문학을 둘러싼 다른 맥락들이 자연스럽게 정리되거나 해소된 것으로 간주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정의 문학"에 관한 논의는 대체로 근대 계몽기 이래의 "삼분주의"-"지덕체"의 교육론과 "지정의"의 심성론, "진선미"의 가치론 등-의 구도를 의식한 채 전개되었다. 그러나 이 삼분법들이 표면적으로는 "분립적 병행론"의 성격을 띠고 각각의 가치들이 상호 대립하는 배타적 범주화를 초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자기 모순적 논리들의 혼매(昏昧)를 감안하고 본다면 실제적 혹은 심층적으로는 이미 삼분법의 제약을 위반하고 있었거나 애초에 분화 자체가 명확치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그 복잡한 양상의 초기적 일면을, 특히 "정"이라는 용어의 특수한 용례들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정"을 개념화하기 이전 시기에 가령 "상무정신" 등이 담당했던 "계몽"의 역할을 마음의 자율로 떠안은 "정"의 영역은 지정의 삼분 구도에서 지와 의에 대등해지기보다 지와 의보다 월등한 위상으로 초월하였다(본론의 1절). 감정, 성정, 동정, 인정 등을 다소간 무차별하게 포함해버린 "정"의 거대한 범주는 진선미 삼분법에 의해 분화되는 가치라기보다 진선미를 모두 포섭해버리는 의의로 이어졌다(본론의 2절). 대략 이러한 전개를 통해 "정"의 다채로운 용법들을 살펴 정의 가치가 진선미 중 어느 한 쪽으로만 수렴되지 않았음을 입증하였고, 이 과정에서 전근대 시기의 문학 개량론들과 1910년대인들의 의식 사이의 유사성을 의도적으로 부각시켜보기도 하였다. 이 시기 문학론들은 스스로 출현할 수밖에 없었던 이론적 필요성이 아니라 새로운 문학을 창안하려는 기획에 의해 존재하는 것이었다. 그랬기에 "예술적 자율성"은 언제나 구체적 형상이 아니라 미라는 형상의 개념으로 대체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 글에서는 한국 근대 문학의 예술적 자율성의 기원으로 여겨져 온 "정"의 개념이 정신력이나 가치관을 분화하기보다는 통합하는 "초월적" 위상에 놓여 있었음을 그 초기적 용법을 통해 고찰하였다. 이는, 이 시기 정의 개념에서 근대 문학의 예술적 자율성의 단초를 엿보았던 기존의 연구들이 "정-예술-미"의 연속성을 강조하였던 것을 보정(補正)하면서, 근대 문학의 "미적 자율체"로서의 위상은 진선미 삼분법에 의해 분할된 영역의 한 지점에서 결정되기보다 삼분법이라는 표면적 구도가 합체되거나 무화되는 지점에서 말해졌음을 보인 것이다. Generally Speaking, the concept of "Literature of Emotion" has been recognized as one part of "the Trichotomy"-ji·deok·che[智德體, Intelligence· Virtue·Physique] or ji·jeong·eui[知情意, Intelligence·Emotion· Volition] or jin·seon·mi[眞善美, Truth·Good· Beauty]- since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However, it contained a lot of self-contradiction logically. The concept of "Literature of Emotion" has originated from the integrated point of three fields. It was already the violation of the classification. This article was investigated by a special usage of the term, "Jeong[Emotion]". The area of "Jeong" went beyond complex phase of three parts, rather than stayed at the comparable phase. (Section 1 of Ⅱ) Broad area of that term, including multiple meanings, subsumed all three parts and became to be the overall status. (Section 2 of Ⅱ)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