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원론과 일원론: 서구의 이원론과 주자학의 이원론 비교

        진형준 ( Hyung Joon Chin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5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101

        Il faudrait dire que le neoconfucianisme resulte en effet de la grande conception synthetisante, initiee par Zhu Xi et relayee par ses disciples, laquelle englobe le confucianisme, le bouddhisme et le taoisme. Il est pourtant regrettable que la carte topographique du confucianisme coreen ne soit pas encore achevee malgre 500 ans d``histoire. Ce n``est que recemment que quelques tentatives ont ete essayees afin d``en esquisser le brouillon C``est en voulant apporter un coup de main a ce travail que nous commeneons notre article par une synthese sur les points de vue, de l``unicisme et du dualisme, concernant la doctrine du " Li " et du " Qi " du neoconfucianisme. Notre discours est aussi base sur la presupposition que l``unicisme et le dualisme ne sont pas derives de la philosophie occidentale, mais qu``ils sont les cadres epistemologiques sur le monde meme. Il se dit souvent que le monde occidental est base sur la tradition epistemologique du dualisme et notre monde sur celle de l``unicisme. Le malentendu de ce genre tient a l``incomprehension de ces courants de pensee. Faute de la comprehension appropriee, il arrive que meme les termes du dualisme s``emploient pour la pensee de l``unicisme et vice-versa. Il en est ainsi surtout quand on applique ces termes au confucianisme de Joseon. Le manicheisme persique est considere generalement comme un cas typique de la religion du dualisme, car dans sa doctrine s``accentue extremement le conflit dualiste entre le bien et le mal, et que le bien le conclut finalement en remportant la guerre. On entendrait ici par le dualisme que deux termes opposes n``impliquent aucune interrelation ouvrant une possibilite de leurunification ou de leur mise en ensemble, a force de leur deni reciproque et de leur incompatibilite totale. En cas de zervanisme qui partage la meme origine avec le manicheisme, se disparait ce caractere du dualisme : Ahura-Mazda, le bien divin, et Ahriman, le mal, s``unifient dans la divinite supreme, Zervan. Le caractere primordial de l``unicisme est la coexistence ou l``unification des entites contradictoires. L``unicisme n``est pas le paradigme philosophique dans lequel l``unite pratique du monde ou son unicite est tellement accentuee que la diversite du monde phenomenal se reduit en une seule entite ou une seule categorie ultime. Il faudrait donc dire que l``unicite pratique du monde est accentuee et que la diversite phenomenale s``inclut dans cette unicite. Quand la diversite phenomenale se reduit en une entite ou une categorie, comme le cas du manicheisme le montre, nous n``aboutissons pas a l``unicisme, mais au dogmatisme, version renforcee du dualisme. Dans la vision du monde de l``unicisme, ce n``est pas les differences entre les contradictoires et les heterogenes, mais leur coincidentia oppositopum qui est pris en compte. Il existe plusieurs definitions du confucianisme coreen : l``unicisme entre Li et Qi, le dualisme entre Li et Qi, l``unicisme du Li, l``unicisme du Qi, etc. Il est pourtant necessaire de faire attention a l``emploi des termes. Dans un cas, on emploie unicisme pour designer le dogmatisme, version extreme du dualisme, tandis que dans l``autre cas la pensee de l``unicisme est consideree comme du dualisme. Il pourrait y avoir plusieurs points de vue selon le polemiste, mais il est pourtant juste de considerer le grand cadre englobant le confucianisme coreen comme de l``unicisme. Quand il est mis en relief "Li et Qi ne se melange pas 理氣不相雜", le caractere de l``unicisme arriverait a se fragiliser. Lorsque l``on fait attention a "Li et Qi ne se separe pas 理氣不相離", le meme caractere arriverait, au contraire, a s``enforcer. Il n``existe pourtant aucun cas ou l``on tombe dans le dogmatisme qui exclut totalement l``un d``entre Li et Qi. Il n``y a donc pas de theories du Li pure ou du Qi pure dans le confucianisme coreen. Il ne peut pas y avoir de dualisme tel que cela puisque le dualisme est simple: on n``a qu``a insister sur l``un d``entre les deux elements contradictoires, en excluant l``autre. Le dogmatisme est le plus simple du monde.Le confucianisme coreen introduit le concept complexe et difficile qui est a la fois “理氣不相雜” et “理氣不相離”. Il ne renonce pas a la pensee difficile de l’unicisme. C’est ainsi qu’il n’arrive pas facilement a la conclusion. Que le confucianisme coreen ne s’ecarte pas du cadre epistemologique de l’unicisme, il signifie qu’il refuse la simplicite du dualisme et aucune logique reductrice et simple. S’il est difficile de trouver les idees du dualisme en confucianisme de Joseon, il ne veut pas dire que ses idees s’enferment dans le cadre de l’unicisme, mais plutot qu’elles ne choisissent pas aisement la simplicite du dualisme, d’ou la diversite et la subtilite epistemologiques des idees coreennes.

      • KCI등재

        창발적 이원론은 데카르트적 이원론을 극복하였는가?

        김남호(NamHo Kim)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6 인간연구 Vol.0 No.32

        스마트(Smart)와 플레이스(Place)의 심물 동일론(identity theory)의 쇠퇴 이후에 심리철학(Philosophy of Mind) 내에서는 다양한 이론 및 입장들이 등장하였다. 그런 흐름을 타고 데카르트의 후계자들이 새로운 형태의 실체 이원론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데카르트의 실체 이원론(substance dualism)은 인간을 신체와 생각하는 것(thingking thing), 즉 물질적 실체와 정신적 실체(mental substance)의 결합체로 봄으로써, 인간의 정신적 영역의 실재성을 이론적으로 옹호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20세기에 급속도로 발전한 신경과학은 영혼이나 정신적 실체를 가정하지 않고도, 인간의 정신적 능력 및 현상들의 많은 부분을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 이유로 데카르트의 비물질적 실체가 자연 내에 들어설 자리를 점점 더 좁히고 있다. 뿐만 아니라, 데카르트적 이원론(cartesian dualism)은 두 상이한 실체가 어떻게 서로 접촉하며, 인과적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설득력있는 대답을 제시해주고 있지 못하고 있다. 윌리엄 해스커(William Hasker)는 데카르트적 이원론이 직면한 이러한 난국을 창발 이론을 통해 타개하고자 한다. 해스커는 물질적 토대 요소로부터 새로운 실재(entity)가 창발되며, 그 새로운 실재는 그것의 물질적 토대 요소들로 환원되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인과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선보였다. 본 논문은 해스커의 창발적 이원론(emergent dualism)이 과연 데카르트적 이원론의 난점들을 잘 극복하고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 데카르트적 이원론이든 창발적 이원론이든, 실체 이원론은 해결될 수 없는 ‘인과적 상호작용의 문제’에 직면하게 되거나 아니면, ‘정체성의 위기’에 직면할 수밖에 없음이 드러날 것이다. After the decline of the identity theory of Smart and Place, various theories and positions emerged within the Philosophy of Mind. With such tide, the successors of Descartes began to seek a new type of substance dualism. The Cartesian substance dualism regards human as the combination of flesh and thinking thing, or the combination of physical substance and mental substance, to theoretically defend substantiality of mental domain of human. However, the neuroscience, which was rapidly developed in the 20<SUP>th</SUP> century, has indicated that many mental abilities and phenomena are explainable scientifically without introducing spirit or mental substance. Therefore, the Cartesian immaterial substance is losing its footing within the nature. Moreover, the Cartesian dualism may not suggest a convincing answer to how two different substances make contact and affect each other. William Hasker is willing to come up with a solution for such adversity of Cartesian dualism through the Emergent Dualism. Hasker brought this new idea that a new entity emerges from the physical foundational element, and this new substance may perform a causal power of new type that may not be returned back to a physical foundational element. This thesis is to review whether the Emergent Dualism by Hasker overcomes the adversity of Cartesian dualism. In the paper, the actual dualism, either Cartesian dualism or Emergent dualism, may have to face the problem of causal interaction or the crisis of identity.

      • KCI등재

        이원론 연구: 바울과 예이츠를 중심으로

        황남엽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6 문학과종교 Vol.21 No.3

        바울 신학은 영과 육체를 나누는 이원론의 관점을 지니고 있다. 예이츠 역시 인간의 정신과 육체를 구분하는 이원론의 사상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바울의 이원론에 관한 관점은 예이츠의 사상과 다르다. 바울은 영과 육체에 대해서 배 타적 이원론의 입장인데 반해, 예이츠는 상보보완적인 관점에서 이 문제를 다루 고 있다. 바울의 이원론은 인간의 윤리성과 도덕성을 제고함으로서 종교적 목적 을 이루는 긍정적이고도 필수적인 요소를 지닌다. 그러나 그의 이원론은 보다 더 극단화되거나 배타적으로 이원론화 되어 더욱 엄격한 금욕주의를 산출한다. 결국 인간의 생명의 본성을 억압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과 관련하여 예이츠는 종교 안에 갇힌 배타적 이원론으로부터 파생된 억압적인 금욕의 한계성을 간파 한다. 그리고 자신의 상호 보완적인 이원론에 대한 관점을 바탕으로 종교로부터 파생된 배타적 이원론의 한계성을 극복한다. 결과적으로 예이츠는 정신과 육체 에 대한 이분법적 이원론에 대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Paul’s theology contains the concept of dualism on the one hand, which divides the spirit from the flesh. Equivalently, Yeats is concerned with dualism related to both the human spirit and the flesh. Paul’s perspective on dualism is different from Yeasts.’ His thought can be expressed as an exclusive dualism between the spirit and the flesh, whereas Yeats’ perspective is based on a complementary dualism. Paul’s dualism clearly has a positive and fundamental value to protect human ethics and morals for religious purposes. However, the dualism has the possibility of being a more extreme and exclusive type of dualism, which consequently produces a more austere asceticism. It results in the repression of the human nature and life as a whole. In contrast, Yeats detects the limitation of oppressive asceticism from an exclusive dualism in religion. His perspective on dualism is an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an extreme and exclusive dualism, which derives entirely from religion. In short, his dualism suggests a new paradigm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irit and the flesh.

      • KCI등재

        미셸 앙리의 신체철학

        이은정(Eun-Jeong Lee) 한국현상학회 2015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64 No.-

        이 글은 미셸 앙리의 신체철학을 해명한다. 미셀 앙리의 신체철학은 일원론이 아닌 이원론이다. 우리는 미셸 앙리가 자신의 신체철학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데카르트 이원론을 비판적으로 계승했다고 볼 수 있다. 데카르트 이원론은 분명 잘못되었으며, 이에 비판의 대상이 된다. 데카르트 이원론을 비판한 뒤에, 미셸 앙리는 놀랍게도 데카르트 이원론의 ‘폐기’가 아닌 ‘수용’을 주장한다. 이는 많은 철학자가 데카르트 이원론을 넘어서고자 했던 것과 매우 다른 시도와 주장이 아닐 수 없다. 우리는 데카르트 이원론이 야기한 ‘아포리아’를 잘 안다. 전혀 다른 두 실체로 설정된 몸과 마음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데카르트 이원론의 참된 수용은 이 문제를 해결했을 때만 가능할 것 같다. 미셸 앙리는 과연 많은 철학자가 해결할 수 없다고 선언한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이를까? 그렇지 않다면, 이러한 문제를 낳은 이원론에 그 첫 번째 잘못이 있는 것이고, 따라서 이원론을 철회하는 것이 맞지 않을까? 이에 미셸 앙리의 첫번째 대답은 상호작용의 문제는 “거짓-문제”이며, 따라서 폐기하는 것이 옳다는 것이고, 두 번째 대답은 그러한 상호작용의 문제가 놓이는 철학적 지평으로서 이원론은 수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때 수용은 무조건적인 수용이 아닌 ‘비판적’ 수용을 말한다. 이 글은 미셸 앙리의 신체철학이 어떤 의미에서 이원론이며, 왜 이원론이어야 하는지를 설명하고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그리고 그러한 설명과 이해에 없어서는 안 되는 것으로서, 미셸 앙리가 상호작용의 문제를 어떻게 논파하는지에 초점을 두겠다. 이원론의 수용은 미셸 앙리에게 오면 하나의 몸이 아닌 두 개의 몸이 있다는 주장의 수용을 또한 말한다. 어째서 하나의 몸이 아닌 두 개의 몸일까? 이어서 볼 글은 이를 이해하는 데 또한 도움을 줄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the philosophy of the body in Michel Henry. Henry’s philosophy of the body is not a monism but a dualism. We may think that in the foundation of his philosophy of body, Michel Henry succeeds to Cartesian dualism critically. Cartesian dualism certainly has flaws and in turn, it becomes the subject of criticism in Michel Henry. After having criticized it, Michel Henry says, to our surprise, not rejection but its decisive acceptance. This is a very different attempt and affirmation from the ways in which many other philosophers have tried to overcome Cartesian dualism. We know aporia arisen by Cartesian dualism. How can we explain the interaction of the body and the soul which are considered as two quite different substances? The true acceptance of Cartesian dualism would be possible only when we resolve this problem. Will Michel Henry come to solve this problem considered “insoluble” by many philosophers? If not, it would be that the dualism that spawned such a problem is wrong in the first place and should be rejected. To this question, the first response from Michel Henry is that the problem of interaction is a “false problem” and it must simply be rejected. And the second answer is that this dualism as a philosophical horizon on which such a problem is placed must be accepted. However, it is not an unconditional acceptance but a critical acceptance.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and understand what is meant by “dualism” in Henry’s philosophy of body and what it should be as duality. And it will mainly discuss the issue on how Michel Henry comes to refute the problem of interaction as a false problem, which will be essential for the actual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about Henry’s dualism. In Henry’s philosophy, the approval of dualism means that the acceptance of the assertion that there is not a body but two bodies. Why would there be two bodies and not one? This article will help us to understand it.

      • KCI등재

        라자리-라덱과 피터 싱어의 실천이성의 이원론 극복 논증에 관한 연구

        정호상 한국윤리학회 2024 倫理硏究 Vol.144 No.1

        시지윅은 타산의 원칙에 기초한 이기주의와 보편적 박애의 원칙에 기초한 공리주의 방법이 서로 상충할 수 있음을 주장하면서 이성이 상충하는 행위를 합당하게 명령할 수 있다는 실천이성의 이원론을 제기한다. 그는 두 방법이 충돌한다면, 둘 중 하나는 수정되거나 거부되어야 한다는 전제 아래 이원론을 극복하기 위한 논증들을 검토하지만, 만족스러운 답을 얻지 못한다. 그러나 이원론의 수용은 보편화 가능성에기반한 도덕 체계를 훼손하면서 비합리적 충동에 의한 행위를 모두 허용할 수 있다. 그렇기에 실천이성의 이원론은 어떻게든 극복되어야 한다. 라자리-라덱과 피터 싱어는 진화론을 활용해 이원론 극복 논증을 전개한다. 이들은 ‘꾸러미로서의 이성’을 통해 인간이 진화적 압력과 구분되는 도덕적 진리를 인식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진화적 폭로를 활용해 보편적 박애는 진화적 폭로에서 제외되지만 타산은 폭로에 노출됨을 논증함으로써 합리성 측면에서 이원론이 극복 가능함을 주장한다. 그러나 보편적박애 또한 진화적 폭로에 노출된다는 반론이 제기된다. 무엇보다 타산과 보편적 박애의 조화 방안을 다루는 추가적인 논의가 요구된다. Sidgwick argues that egoism based on the principle of prudence and utilitarianism based on the principle of universal benevolence may conflict with each other, and raises the dualism of practical reason that reason can reasonably command conflicting conduct. He examines arguments to overcome dualism on the premise that if the two methods conflict, one of them must be modified or rejected, but does not get a satisfactory answer. However, the acceptance of dualism would undermine morality based on the possibility of universalizability and permit conduct driven by irrational pulses. Therefore, the dualism of practical reason must be overcome somehow. Lazari-Radek and Peter Singer use evolutionary theory to develop an argument for overcoming dualism. They argue that through ‘reason as a package’, humans can recognize moral truths distinct from evolutionary forces, and they use evolutionary debunking to show that principle of universal benevolence is exempt from debunking, while principle of prudence is exposed to debunking. So they argue that dualism of practical reason can be overcome in terms of rationality. However, there are objections that universal benevolence is also exposed to evolutionary debunking. Above all, additional discussions are required to address ways to harmonize prudence and universal benevolence.

      • KCI등재후보

        한국 복지국가의 성과와 한계 : 복지이원주의의 정치

        김원섭,유진숙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18 노동연구 Vol.37 No.-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welfare system is the welfare dualism. The welfare dualism means that the social policy provides differentiated rights, benefits, and services according to beneficiaries. The welfare dualism was formed as a development strategy of the authoritarian developmental state. Even after democratization, the welfare dualism has not been completely overcome but reproduced. The reproduction of the welfare dualism is to be understoo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 of the social contract which has driven the reforms of the welfare expansion. The social contracts was composed of center-left governments, democratic labor unions, and progressive civic movements. They led to the building of the welfare state centered on expanding social insurance systems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y also made a contribution to the reproduction of the welfare dualism.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welfare expansions after democratization can be understood as a combination of unintended results and political strategies of social contracts. 한국 복지제도의 가장 큰 특성은 복지이원주의이다. 복지이원주의는 복지정책의 권리, 급여, 서비스가 수혜자에 따라 차별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복지이원주의는 권위주의적 발전주의 국가의 성장전략과 복지전략으로 형성되었다. 하지만 민주화 이후에도 복지이원주의의 극복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복지확대에도 불구하고 핵심제도인 사회보험에서 영세자영업자, 비정규직, 여성 등 국민의 거의 절반은 부분적 또는 전면적으로 배제되어 있다. 복지이원주의체제가 민주화 이후에도 재생산되고 있는 것은 복지확대를 주도한 한국 사회동맹의 성격과 연관이 있다. 한국의 사회동맹은 중도좌파 정부, 노동사회의 내부자, 엘리트 중심의 시민운동에 의해 구성되었다. 이들은 한국에서 사회보험 확대 중심의 복지국가 건설에 상당한 기여를 하였지만 동시에 복지이원주의의 유지에도 기여하였다. 그런 관점에서 민주화 이후 복지확대의 성과와 한계는 사회동맹의 복지확대전략이 초래한 비의도적 결과와 의도적 전략의 결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실체 이원적 인간론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 : 부활체의 문제를 중심으로

        김남호 ( Kim Nam-ho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7 기독교철학 Vol.24 No.-

        기독교 교리의 핵심 중 하나는 바로 부활(영: resurrection, 독: Auferstehung)에 대한 믿음이다. 부활은 십자가에 못 박혀 돌무덤에 묻힌 예수를 통해서 발생한 하나의 사건이다. 신약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도 예수처럼 부활하게 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부활은 하나의 사건이고, 하나님의 약속이며, 그 전 과정의 메카니즘이 밝혀지지 않은 기적이다. 그러나 부활의 문제는 형이상학적으로 인간론의 문제와 인격 동일성의 문제와 맞물려 있다. 본 논문은 부활체의 문제를 중심으로 해서, 실체 이원적 인간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실체 이원적 인간론은 실체 이원론을 바탕으로 한 인간론이므로, 실체 이원론이 직면한 심각한 이론적 난점이 실체 이원적 인간론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뿐만 아니라, 실체 이원적 인간론은 유아주의적 삶의 태도와 죽음의 파토스라는 또 다른 문제를 초래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동물주의(animalism)와 구성 관점(constitution view)이 제시된다. 본 논문은 왜 구성 관점이 부활체의 문제와 인간론의 문제에서 가장 신뢰할만한 이론인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One of the core doctrines of Christianity is faith about resurrection. Resurrection is an incident from Jesus who has been buried under the stone grave after he was crucified on the cross. The New Testament of the Bible states that those who believe in Jesus Christ will resurrect as Jesus Christ did. Resurrection is one incident, the promise by God, and the entire mechanism of this wonder has not been clarified. However, the issue with resurrection is metaphysical, and it is interconnected with the issue of human theory and the sameness of human identity. In this study, centered on the issue of the resurrected, the human theory of substance dualism is critically reviewed. The human theory of substance dualism is based on substance dualism, and thus the theoretical difficulties that the substance dualism faces are applied to this human theory of substance dualism. Moreover, the human theory of substance dualism brings another problems called solipsistic attitude of life and pathos of death. As a solution, the animalism and the constitutional view are proposed. In this paper, the reason that the constitutional view is the most reliable theory for problems with the resurrected and the human theory.

      • KCI등재

        홉킨즈와 예이츠의 비교연구

        정석권(Seokkweon Cheong)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7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39

        The two great transitional figures who opened the way for modern English poetry-G. M. Hopkins and W, B. Yeats-are different in a various way, but we can find some similarities in their revolt against dualism. Their revolt against dualism can be better understood in three illuminating contexts. First of all, we can find some compatibility in Eastern revolt against dualism, especially that of Zen Buddhism, which is more highly developed and more extensive than Western version. It is also useful to relate their dualistic conflicts to the ancient Western philosophy of Heraclitus described in Hopkins’s and Yeats’s poems. Lastly we need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Pre-Raphaelite natural supernaturalism on both Hopkins and Yeats, a more recent attempt to reject the dualistic habits traditional in Western thought and to unite real with ideal, the world of becoming with the world of Being. Thus despite their differences, both Hopkins and Yeats, throughout their poetic careers, tried to revolt against dualism. Dualistic thought strictly divides the opposites which indeed are dependent on each other, necessary to each other for the achievement of wholeness. Through their revolt against dualism and the quest toward the vision of wholeness, Yeats and Hopkins tried to liberate man from his spiritual dungeon of Manichean dualism.

      • KCI등재

        명대 기론적 경향과의 비교를 통해 보는 조선시대 이기이원론의 특징

        장숙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9 民族文化硏究 Vol.51 No.-

        명대유학은 국초에 주자학이 관학으로 채택된 이후 이기론에 있어 주자의 이기이원론을 계승한다. 그러나 명대중엽의 羅欽順(1465-1547)에 이르면 禪學과 양명 心學의 일원적 경향을 비판하기 위해 理氣는 一物이며 기만이 실체이고 리는 기의 조리일 따름이라고 주장하게 된다. 그리고 王廷相(1474-1544)은 정주리학의 리절대적 사고를 비판하고 도불을 극복하기 위해 원기론을 제기함으로써 완전히 기론화하게 된다. 그러나 조선의 경우는 花潭 徐敬德(1489-1546)에 의해 도불의 허무적멸성을 비판하고 유가적인 실제성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기론이 주장되기도 했지만, 퇴율이후 조선유학이 뿌리를 내리면서 학파의 구별없이 주리적 이기이원론을 견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조선조유학자들은 학파와 개인에 따라 조금씩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공통적으로 나흠순의 이기일물설과 도심인심체용설을 비판하고 있다. 조선조 유학자들이 나흠순의 일물설을 비판한 핵심은 결과적으로 리가 기에 종속됨으로써 리가 갖는 가치적인 측면, 즉 현상배후에 순수지선한 본체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증할 수 없다는 것과 현상적인 악이 단지 기의 과불급이 아니라 본래적인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는 점에 있으며, 또한 인심도심을 성정체용으로 구분한다면 애초에 인심도심설에서 제시한 精一執中의 수양론을 무시하게 된다는 점에 있었다. 이로 미루어 보면 퇴율이후 확립된 조선유학은 현세적인 인륜도덕과 그러한 도덕을 실천하기 위한 개인의 수양을 중시하는 가치관이 중심이었다는 것, 그리고 그 도덕의 근거로서 리를 절대시 하였으며, 이런 입장에서 현세적인 도덕가치를 보증하지 못하는 기론과 양명심학을 배척하였던 것임을 알 수 있다. Chu Hsi(朱熹, 1130~1200), the most influential Neo-Confucianist of Song(960~1279) China, maintained that all things are brought into being by the union of two universal aspects of reality: qi, the vital (or physical, material) force; and li, the rational principle(or law). The source and sum of li is the Taiji(T'ai Chi, 太極), meaning the Great Ultimate. The source of qi(ch'I, 氣) is not so clearly stated by Chu Hsi, anyway his theory is metaphysical dualism. The mainstream of Neo-Confucianism in Early Ming(1368~1644) China was li-qi metaphysical dualism. Luo Ch'inshun(羅欽順, 1465-1547) maintain li-qi metaphysical monism that Li and qi is united entity and qi is the substantial basis of Li, the postscript law of qi. He developed this idea to encounter the Chan Buddhism(禪學) and the metaphysical monism of Yangming School of Mind (Chinese: 陽明心學). Furthermore, Wang Tingxian(王廷相, 1474-1544) developed qi metaphysical monism from the li-qi. In Joseon(1392-1910) Korea, Seo Kyung-Deok(1489-1546) criticized Daoism and Buddhism emptiness on the basis of Confucian qi (ch'I, 氣) realism. But mainstream of Korean Neo-Confucianism is li-qi metaphysical dualism since Yi Hwang and Yi I. Neo-Confucianist of Joseon Korea criticized Luo Ch'inshun's li-qi metaphysical monism, for it weaken li, the principle as collateral aspects of qi the phenomena. So far as li became collateral aspects of qi, the moral principle has no origins in the human nature and the morals would be regarded as artificial protocols. Korean Neo-Confucianists maintained li-qi metaphysical dualism to emphasize the indepenency of moral principle from the phenomena, and they developed moral cultivating theories on the basis of li-qi metaphysical dualism.

      • KCI등재

        서양에서의『바가바드 기타』연구 동향

        류황태(Lyoo, Hwang Tae)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08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18

        The articles on the Gita are grouped into four. The first is those which have superficial remarks on it with one or two sentences. The second is those of professionals not in Gitalogy(Study of the Gita) but in their own field such as philosophy, religious studies, mathematics, medicine and education. They select particular features for their own purpose. Usually the cosmology of Brahman and its tributaries are the main use. The third group is those of western thinkers who see the Gita from the perspective of Advaita Vedanta (impersonal non-dualism). The last is the writings of Hindu thinkers, whose mentality seems different from that of their western counterparts, see the Gita in personal (theistic) dualism. There have been many occasions which deny the framework of the impersonal non-dualism to which westerners are accustomed to. Gandhi is a good example. His peculiar interpretation of the Gita is near neither to the traditional Hindu viewpoint nor to the western one. This makes westerners confused and to explore further. Consequently, the contemporary western scholar’s viewpoint seems to be nearer to theistic dualism. All the articles together could give a picture of Gita’s identity. However, no one alone can’t satisfy in explaining it. There is an allusion that the only way to understand the Gita is in each and everyone’s own personal religious (awakening) experience as happened in Arjuna. Until then many Gita lovers will pursue to identify its nature. One thing we should pay attention to is the usage of the Gita as a means to convey writers’ (or commentators’) viewpoint, field of profession and national culture. To grasp its nature is one thing and how it can be used seems to be another. This aspect of Gitalogy seems to be more substantial in the present world of glob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