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사.한의사 복수면허자의 특성 및 근무현황에 대한 조사 연구

        최병희,한경연,임병묵,정민정,윤영주,Choi, Byung-Hee,Han, Gyung-Yeon,Lim, Byung-Mook,Jeong, Min-Jeong,Yun, Young-Ju 대한예방한의학회 2011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15 No.1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dual medical license holders who have both the medical doctor (MD) and the Korean medicine doctor (KMD) license in Korea, and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cooperational strategy between conventional western medicine and traditional Korean medicine. Methods : The questionnaire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working status were developed and administered for both dual license holders and medical students with MD or KMD license. The data of 187 perso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 Mean age of dual medical license holders is $42.28{\pm}6.54$ and most of them are male(86.0%). 75.2% of them obtained MD license first. However among the students who had MD or KMD license, 73.7% had KMD license. The mean time for obtaining the additional license was $10.11{\pm}4.905$ year. Forty nine dual license holders are opening both medical clinic and Korean medicine clinic. Conclusions : To promote the role of dual license holders for collaborating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developing an integrative medical curriculum should be enhanced, and the studies investigating the practice characteristics, and self-consciousness of dual license holders are required.

      • KCI등재

        의사-한의사 복수면허자의 진로 선택, 학습 경험 및 업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박인효 한국보건사회학회 2023 보건과 사회과학 Vol.- No.6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periences of individuals holding dual medical licenses, including both medical doctor and Korean Medicine (KM) doctor licenses. The study examines their motivations for obtaining dual licenses, their study and work experience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fellow students and physicians.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gain insight into how dual license holders establish their identities in the South Korean medical system, which is strictly divided into modern and traditional sectors. To achieve this objective, a qualitative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with six multiple licensees of medical doctors and KM doctors. The data indicate that interview participants were interested in obtaining multiple licenses either before, immediately after, or long after completing their first medical schools. During the process of acquiring multiple licenses, respondents recognized differences between biomedicine and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nd encountered conflicts between medical doctors and KM doctors in their learning process and relationships with their professors and fellow physicians. In this process, it can be observed that dual license holders are often required to choose between their Western medical identity and their KM identity, in situations where conflicts arise between Western medical doctors and KM doctors. Consequently, they may face challenges in fully utilizing their medical skills within the South Korean healthcare system.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relied on quantitative analysis,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ow the lives and experiences of medical holders of both medical doctor and KM doctor licenses are link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medical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medical pluralism. 본 연구는 의사 면허와 한의사 면허를 복수 취득한 의료인들의 복수면허 선택 과정 및 학습경험, 면허 취득 후의 진료 경험 및 동료 의료인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현대 의학과 전통의학 분야로 엄격히 분리이원화된 한국의 전문직 의료체계의 환경에서 이들은 어떠한 경험을 하며 자신의 의료적 정체성을 만들어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의사-한의사 복수면허자 6명을 대상으로 질적 면접 조사를 시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따르면, 면담참여자들은 첫 번째 의학 계열에 진학 후 면허 취득 전, 첫 번째 면허 취득 직후, 혹은 면허 취득 후 임상/연구직에 오래 종사한 후 복수면허 취득에 관심을 갖게 된 것으로 답하였는데, 이들은 상대측 의학지식에 대한 관심과 처음 선택한 분야의 의학지식에 대한 의구심, 의학적 지식의임상적 구현과정에서 한계 인식, 상대측 의료인과의 만남과 처음 선택한 의료인과의 갈등 관계속에서 복수면허 취득에 관심을 갖게 된 것으로 답하였다. 복수면허 취득 과정에서 응답자들은학습과정과 동료 학생 및 교수와의 관계 속에서 의학과 한의학의 차이, 의사와 한의사 간의 갈등에 대해 인식하게 되는 한편, 복수면허 취득 후에도 이러한 차이와 갈등은 경력을 이어가는과정에서 이들의 직업적 선택과 정체성 형성 과정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러한과정에서 복수면허자들은 의사, 한의사 간 갈등이 첨예한 상황에서 한쪽으로의 의료적 정체성을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거나, 자신들의 의료적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게되는 환경에 처해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양적분석을 바탕으로 한 선행연구와 달리 의사-한의사 복수면허자들이 자신의 실제 경험 속에서 복수면허 취득 동기와 학습 및 임상경험 등 복수면허자로서 자신의 의료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에 대해 스스로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삶과 경험 속에 한국 의료체계의 분리이원화된 특성이 어떻게 드러나는지에 대해 의료다원주의 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