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제강점기 공주 송산리고분의 조사

        정상기(Jung,Sang-Ki) 중앙문화재연구원 2012 중앙고고연구 Vol.0 No.10

        宋山里古墳群은 공주시 錦城洞에 위치하고 있다. 이 지역에는 발굴된 고분 7기를 포함하여 모두 20여기 이상의 백제고분이 자리잡고 있었는데, 현재는 7기가 복원되어 있다. 1971년 武寧王陵이 발견됨으로써 이 지역이 熊津時代 백제의 왕릉지구였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고분은 표고 130m의 宋山을 북쪽의 主山으로 한 남쪽 경사면에 분포되어 있는데, 구릉 윗부분의 1~4호분이 한 그룹을, 그 남쪽사면에 무령왕릉과 5·6호분이 한 그룹을 형성하고 있다. 그 구조는 크게 한성도읍기의 전통을 이어받은 穹窿狀天井을 가진 횡혈식석 실분과 새로이 중국 남조로부터 수용한 전축분으로 대별된다. 이중에 전축분은 무령왕릉과 6호분인데, 처음에 왕묘는 횡혈식석실분이었으나 남조의 영향으로 전축분으로 전환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밖에 서울의 석촌동 적석총과 유사한 方 形 유구가 2기 조사되었으나 구체적인 매장시설이 확인되지 않아 祭壇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 고분군의 대부분은 일제강점기때 도굴과 발굴조사에 의해 그 존재가 알려졌는데, 발굴보고서가 간행되지 않았거나 疏略하여 그 실상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하지만 현 재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유리건판 38,000여매 중에서 송산리고분군의 1920 ~1930년대 모습을 담은 80여매와 『昭和二年度古蹟調査報告』, 2002년 간행된 有光敎一 등의 『朝鮮古蹟硏究會遺稿』Ⅱ권, 輕部慈恩의 『考古學雜誌』에 수록된 「公州に於ける百濟 古墳」 논문 등을 참고하면 일제강점기 송산리고분군의 대략적인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웅진 백제시대 최초의 벽돌무덤으로 알려진 송산리 6호분과 지금은 사라진 송산리 29호 분의 자료들이 확인된다. 약 80여매의 유리건판 중 상태가 불량한 것과 능산리고분군 관련 자료를 잘못 판단한 것을 제외하면 총 72매의 송산리고분군 관련 유리건판이 확인되었다. 이를 고분군 별로 확인하여 보면 제1호분 건판이 12매, 제5호분 건판이 9매, 제6호분 건판이 18매, 제29호 분 건판이 31매, 기타 송산리고분 출토 유물 2매 등이다. 제1호분 건판은 1927년 촬영되 었는데, 연도와 배수구 모습, 천정모습, 도랑모습과 함께 출토 유물로 허리띠 장식과 영락 장식품, 철정 등 철기류들의 모습이 확인된다. 제5호분은 1927년 촬영되었는데, 遺構인 연도와 배수로 위주로 촬영되어 있다. 제6호분은 전축분으로 일찍부터 네 벽에 표현된 사 신도로 유명하였는데, 벽면의 사신도와 함께 전축분의 발굴모습, 각 벽면과 고분내의 전 돌 모습 등이 비교적 자세히 촬영되어 있다. 제6호분은 1932년 가루베지온(輕部慈恩)에 의해 확인되었으나, 정식 조사는 1933년 조선총독부박물관에 의해 실시되었다. 그러므로 벽돌무덤인 제6호분 관련 유리건판은 조사를 실시한 1933년 촬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제29호분은 발굴 조사전의 모습과 함께 조사 진행과정, 석실의 내부 모습과 함께 연도와 배수구 모습 등이 자세히 촬영되어 있는데, 이는 1933년 조사 당시에 자료들을 촬영했 기 때문인 것 같다. 이상으로 일제강점기의 공주 송산리고분군의 모습과 발굴경과 등을 간단히 알아보았다. 지금은 송산리고분군에 7기의 고분이 복원되어 있지만 일제강점기만 하더라도 송산리 고분군에는 약 20여기의 고분들이 산재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송산리고분군 중 29호분의 경우에는 학술적으로 조사되어 많은 자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래 고분이 소 재하던 현재의 송산리 6호분 부근에서는 흔적도 확인할 수 없다. 일제강점기에 발굴되어 현재 국립공주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전 공주 송산리고분 출토유물들은 대부분이 송산 리고분군에서 출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에 수많은 도굴과 일본인에 의해 발굴되었으나, 보고서 미발간과 소략한 보고로 인해 송산리고분군에 대한 정보가 매우 부족한 현실에서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약 80여매의 유리건판은 송산리고분군 중 제1·5·6·29호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일제강점기 여러 자료와 유리건판에서 확인된 중요한 자료를 소개하여 웅진 백제시대 고분문화에 대한 실질적인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고자한다. Songsan-ri Tumulus is located in Geumseong-myeon, Gongju. In this area there are more than Baekje tombs including the 7 excavated tombs. As of now, a total of 7 tombs are restored. When the Tomb of King Muryeong was discovered in 1971, it was revealed that this area was a royal tomb district in the age of Woongjin. The tombs are located on the south slope of Mt. Songsan with a altitude of 130m, the main mountain to the north. Tombs No. 1~4 on the upper part of the hill form a group, and the Tomb of King Muryeong and toms No. 5 and 6 further south form another group. Their structure is largely divided into the tunnel-entrance stone chamber tombs with a vault, which inherited the tradition of the Hanseong Period, and the brick chamber tombs fresh from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Among them, the Tomb of King Muryeong and tomb No. 6 are brick chamber tombs. At first, royal tombs were tunnel-entrance stone chamber tombs with a vault, but under the influence of Southern Dynasties of China, they changed to brick chamber tombs. In addition, two square-shaped historical relics, resembling the stone-mound toms in Seokchon-dong, Seoul, were investigated, but specific burial facilities were not confirmed. So some view them as altars. The presence of most of these tombs was known by tomb robbery and excavation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but as no excavation report was published, or the reports were so poorly written that it is difficult to know what they were really like. Currentl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s about 38,000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80 or so of them are the images of the Songsan-ri tombs photographed in the 1920’s and 1930’s. It is deemed that if related research is furthered by utilizing the gelatin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reference material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They contain materials regarding Songsan-ri tomb No. 6, known as the first brick tomb of the age of Woongjin Baekje, and Songsan-ri tomb No. 29, which does not exist anymore. Some of the 80 or so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were in bad condition, or pertained to Neungsan-ri tombs, which were mistaken as Baekje tombs. Excluding them, it was confirmed that a total of 72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were related to Songsan-ri tombs. Looking at the tombs one by one, 12 of the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pertain to tomb No. 1; 9 of them pertain to tomb No. 5; 18 of them pertain to tomb No. 6; 31 of them pertain to tomb No. 29; and 2 of them pertain to relics excavated from Songsan-ri tombs. The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pertaining to tomb No. 1 were photographed in 1927. The shape of chimneys and drains, the shape of ceilings and the shape of ditches were verified, and the excavated relics included ironware like belt ornaments, bead-necklace ornaments and iron nails. Tomb No. 5 was photographed in 1927 with focus on relics like the chimney and the drain. Tomb No. 6 is a brick chamber tomb. It has been famous for the ‘Painting of the Four Gods’ drawn on the four walls. Along with the ‘Painting of the Four Gods’ on the walls, the excavation of the brick chamber tomb, and the clay bricks on each of the walls and inside the tomb are photographed in detail. Tomb No. 6 was confirmed by Karube Jion in 1032, but formal investigation was conduc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Museum in 1933. Therefore, the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pertaining to tomb No. 6, a brick tomb, are deemed to have been photographed in 1933 when the investigation began.

      • KCI등재

        부여(扶餘) 능산리고분군(陵山里古墳群) 성격(性格)에 대한 재고(再考)

        김규운,양숙자 국립문화재연구원 2016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9 No.2

        Royal tombs in Neungsan-ri had been studied several tim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But, conceiving the general complexion of them is difficult for lack of data an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re still insufficient. Thus, necessity of new approach and understanding in Royal tombs in Neungsan-ri are emphasized by the reviewing existing studies and conservation history. The Serial numbers of the Royal tombs in Neungsan-ri has been registered arbitrarily without clear guidelines from Japanese Colonial era until present time. It means previous studies were devoid of consideration for serial number changes. And, research has shown that Royal tombs in Neungsan-ri counts at least twenty, taking No.8 tomb of recent study into consideration. Moreover, in case of eastern tombs it needs changes in the existing perception that Royal tombs in Neungsan-ri consist of only six-tombs becaus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eastern tombs and central sixtombs considering the burial chamber and lacquered wooden(koyamaki) Coffin. Ultimately, current state of Royal tombs in Neungsan-ri doesn't have authenticity because they had been found and regulated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Consequently, it is required to overall study into entrance to burial chamber and covered burial stone marker and exaggerated mounds, ignored another tombs other than six-tombs in the center. 능산리고분군은 일제강점기에 몇 차례 조사되었으나 아직까지 그 전체적인 양상을 이해하기에는 자료가 턱없이 부족하다. 또한기왕의 조사자료에 대한 분석 자체도 부족하다. 따라서 능산리고분군이 어떻게 조사되었고, 보존되어 왔는지에 대한 검토를 통해능산리고분군을 새롭게 이해하고 접근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하였다. 능산리고분군의 일련번호는 일제강점기부터 지금까지 확실한 기준이 제시되지 않은 채 자의적으로 부여해 왔다. 이는 당시 조사과정에서 일련번호가 어떻게 변하였는지에 대한 검토가 없었기 때문으로 보았다. 그리고 능산리고분군은 현재 정비되어 있는 7기로구성된 것이 아니라 이미 일제강점기에 서쪽부터 3+4+7+5기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現8호분의 성과를 더하면 적어도20기로 구성된 고분군임을 제시하였다. 또한 동고분군의 경우, 현실의 규모, 고우야마키로 제작한 목관에 옻칠을 한 공정까지 중앙의 6기와 비교해도 크게 차이가 없는것으로 보면서 6기만을 왕릉군으로 설정해 온 기왕의 인식에 변화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궁극적으로 현재 정비되어 있는 능산리고분군은 일제강점기에 이미 정비가 완료되면서 원래 가지고 있던 정보를 하나도 표현하고있지 못함을 지적하였다. 현실로 진입하는 입구시설, 호석을 덮어버리고 고대하게 과장된 봉분이 그러하고, 심지어 주위에 다른 고분들이 분명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제대로 된 지표조사 한번 없었던 문제점을 부각시키면서 능산리고분군에 대한 전반적인조사가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