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일제강점기 공주 송산리고분의 조사 = A Study On the Songsan-ri Tombs, Gongju Based On the Dat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524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宋山里古墳群은 공주시 錦城洞에 위치하고 있다. 이 지역에는 발굴된 고분 7기를 포함하여 모두 20여기 이상의 백제고분이 자리잡고 있었는데, 현재는 7기가 복원되어 있다. 1971년 武寧王陵...

      宋山里古墳群은 공주시 錦城洞에 위치하고 있다. 이 지역에는 발굴된 고분 7기를 포함하여 모두 20여기 이상의 백제고분이 자리잡고 있었는데, 현재는 7기가 복원되어 있다. 1971년 武寧王陵이 발견됨으로써 이 지역이 熊津時代 백제의 왕릉지구였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고분은 표고 130m의 宋山을 북쪽의 主山으로 한 남쪽 경사면에 분포되어 있는데, 구릉 윗부분의 1~4호분이 한 그룹을, 그 남쪽사면에 무령왕릉과 5·6호분이 한 그룹을 형성하고 있다. 그 구조는 크게 한성도읍기의 전통을 이어받은 穹窿狀天井을 가진 횡혈식석 실분과 새로이 중국 남조로부터 수용한 전축분으로 대별된다. 이중에 전축분은 무령왕릉과 6호분인데, 처음에 왕묘는 횡혈식석실분이었으나 남조의 영향으로 전축분으로 전환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밖에 서울의 석촌동 적석총과 유사한 方 形 유구가 2기 조사되었으나 구체적인 매장시설이 확인되지 않아 祭壇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 고분군의 대부분은 일제강점기때 도굴과 발굴조사에 의해 그 존재가 알려졌는데, 발굴보고서가 간행되지 않았거나 疏略하여 그 실상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하지만 현 재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유리건판 38,000여매 중에서 송산리고분군의 1920 ~1930년대 모습을 담은 80여매와 『昭和二年度古蹟調査報告』, 2002년 간행된 有光敎一 등의 『朝鮮古蹟硏究會遺稿』Ⅱ권, 輕部慈恩의 『考古學雜誌』에 수록된 「公州に於ける百濟 古墳」 논문 등을 참고하면 일제강점기 송산리고분군의 대략적인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웅진 백제시대 최초의 벽돌무덤으로 알려진 송산리 6호분과 지금은 사라진 송산리 29호 분의 자료들이 확인된다. 약 80여매의 유리건판 중 상태가 불량한 것과 능산리고분군 관련 자료를 잘못 판단한 것을 제외하면 총 72매의 송산리고분군 관련 유리건판이 확인되었다. 이를 고분군 별로 확인하여 보면 제1호분 건판이 12매, 제5호분 건판이 9매, 제6호분 건판이 18매, 제29호 분 건판이 31매, 기타 송산리고분 출토 유물 2매 등이다. 제1호분 건판은 1927년 촬영되 었는데, 연도와 배수구 모습, 천정모습, 도랑모습과 함께 출토 유물로 허리띠 장식과 영락 장식품, 철정 등 철기류들의 모습이 확인된다. 제5호분은 1927년 촬영되었는데, 遺構인 연도와 배수로 위주로 촬영되어 있다. 제6호분은 전축분으로 일찍부터 네 벽에 표현된 사 신도로 유명하였는데, 벽면의 사신도와 함께 전축분의 발굴모습, 각 벽면과 고분내의 전 돌 모습 등이 비교적 자세히 촬영되어 있다. 제6호분은 1932년 가루베지온(輕部慈恩)에 의해 확인되었으나, 정식 조사는 1933년 조선총독부박물관에 의해 실시되었다. 그러므로 벽돌무덤인 제6호분 관련 유리건판은 조사를 실시한 1933년 촬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제29호분은 발굴 조사전의 모습과 함께 조사 진행과정, 석실의 내부 모습과 함께 연도와 배수구 모습 등이 자세히 촬영되어 있는데, 이는 1933년 조사 당시에 자료들을 촬영했 기 때문인 것 같다. 이상으로 일제강점기의 공주 송산리고분군의 모습과 발굴경과 등을 간단히 알아보았다. 지금은 송산리고분군에 7기의 고분이 복원되어 있지만 일제강점기만 하더라도 송산리 고분군에는 약 20여기의 고분들이 산재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송산리고분군 중 29호분의 경우에는 학술적으로 조사되어 많은 자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래 고분이 소 재하던 현재의 송산리 6호분 부근에서는 흔적도 확인할 수 없다. 일제강점기에 발굴되어 현재 국립공주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전 공주 송산리고분 출토유물들은 대부분이 송산 리고분군에서 출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에 수많은 도굴과 일본인에 의해 발굴되었으나, 보고서 미발간과 소략한 보고로 인해 송산리고분군에 대한 정보가 매우 부족한 현실에서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약 80여매의 유리건판은 송산리고분군 중 제1·5·6·29호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일제강점기 여러 자료와 유리건판에서 확인된 중요한 자료를 소개하여 웅진 백제시대 고분문화에 대한 실질적인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고자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ngsan-ri Tumulus is located in Geumseong-myeon, Gongju. In this area there are more than Baekje tombs including the 7 excavated tombs. As of now, a total of 7 tombs are restored. When the Tomb of King Muryeong was discovered in 1971, it was revealed...

      Songsan-ri Tumulus is located in Geumseong-myeon, Gongju. In this area there are more than Baekje tombs including the 7 excavated tombs. As of now, a total of 7 tombs are restored. When the Tomb of King Muryeong was discovered in 1971, it was revealed that this area was a royal tomb district in the age of Woongjin. The tombs are located on the south slope of Mt. Songsan with a altitude of 130m, the main mountain to the north. Tombs No. 1~4 on the upper part of the hill form a group, and the Tomb of King Muryeong and toms No. 5 and 6 further south form another group. Their structure is largely divided into the tunnel-entrance stone chamber tombs with a vault, which inherited the tradition of the Hanseong Period, and the brick chamber tombs fresh from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Among them, the Tomb of King Muryeong and tomb No. 6 are brick chamber tombs. At first, royal tombs were tunnel-entrance stone chamber tombs with a vault, but under the influence of Southern Dynasties of China, they changed to brick chamber tombs. In addition, two square-shaped historical relics, resembling the stone-mound toms in Seokchon-dong, Seoul, were investigated, but specific burial facilities were not confirmed. So some view them as altars. The presence of most of these tombs was known by tomb robbery and excavation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but as no excavation report was published, or the reports were so poorly written that it is difficult to know what they were really like. Currentl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s about 38,000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80 or so of them are the images of the Songsan-ri tombs photographed in the 1920’s and 1930’s.
      It is deemed that if related research is furthered by utilizing the gelatin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reference material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They contain materials regarding Songsan-ri tomb No. 6, known as the first brick tomb of the age of Woongjin Baekje, and Songsan-ri tomb No. 29, which does not exist anymore. Some of the 80 or so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were in bad condition, or pertained to Neungsan-ri tombs, which were mistaken as Baekje tombs. Excluding them, it was confirmed that a total of 72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were related to Songsan-ri tombs. Looking at the tombs one by one, 12 of the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pertain to tomb No. 1; 9 of them pertain to tomb No. 5; 18 of them pertain to tomb No. 6; 31 of them pertain to tomb No. 29; and 2 of them pertain to relics excavated from Songsan-ri tombs. The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pertaining to tomb No. 1 were photographed in 1927. The shape of chimneys and drains, the shape of ceilings and the shape of ditches were verified, and the excavated relics included ironware like belt ornaments, bead-necklace ornaments and iron nails. Tomb No. 5 was photographed in 1927 with focus on relics like the chimney and the drain. Tomb No. 6 is a brick chamber tomb. It has been famous for the ‘Painting of the Four Gods’ drawn on the four walls. Along with the ‘Painting of the Four Gods’ on the walls, the excavation of the brick chamber tomb, and the clay bricks on each of the walls and inside the tomb are photographed in detail. Tomb No. 6 was confirmed by Karube Jion in 1032, but formal investigation was conduc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Museum in 1933. Therefore, the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pertaining to tomb No. 6, a brick tomb, are deemed to have been photographed in 1933 when the investigation bega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일제강점기 공주 송산리고분군 모습과 발굴 경과
      • Ⅲ. 1 ~ 8 호분, 29 호분 발굴 결과
      • Ⅳ. 일제강점기 기록에 보이는 송산리고분군의 모습
      • Ⅴ. 유리건판과 일제강점기 자료에 보이는 송산리고분군
      • Ⅰ. 머리말
      • Ⅱ. 일제강점기 공주 송산리고분군 모습과 발굴 경과
      • Ⅲ. 1 ~ 8 호분, 29 호분 발굴 결과
      • Ⅳ. 일제강점기 기록에 보이는 송산리고분군의 모습
      • Ⅴ. 유리건판과 일제강점기 자료에 보이는 송산리고분군
      • Ⅵ. 송산리고분군 출토 유물
      • Ⅶ.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상기, "일제강점기 자료로 본 송산리와 능산리 고분군" 國立中央博物館·韓國考古美術硏究所 10 : 2009

      2 국립공주박물관, "송산리고분군과 무령왕릉의 조사, In 武寧王陵 신보고서 Ⅰ" 2009

      3 李南奭, "송산리고분군" 공주시·공주대학교박물관 2010

      4 공주시, "백제인의 무덤"

      5 李南奭, "백제의 고분문화" 서경 2002

      6 李南奭, "백제 문화의 원형"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원형복원센타 2004

      7 국립공주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

      8 국립공주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

      9 윤용혁, "가루베 지온의 백제연구" 서경 2010

      10 李南奭, "百濟의 彫刻과 美術" 公州大學校博物館·忠淸南道 1992

      1 정상기, "일제강점기 자료로 본 송산리와 능산리 고분군" 國立中央博物館·韓國考古美術硏究所 10 : 2009

      2 국립공주박물관, "송산리고분군과 무령왕릉의 조사, In 武寧王陵 신보고서 Ⅰ" 2009

      3 李南奭, "송산리고분군" 공주시·공주대학교박물관 2010

      4 공주시, "백제인의 무덤"

      5 李南奭, "백제의 고분문화" 서경 2002

      6 李南奭, "백제 문화의 원형"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원형복원센타 2004

      7 국립공주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

      8 국립공주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

      9 윤용혁, "가루베 지온의 백제연구" 서경 2010

      10 李南奭, "百濟의 彫刻과 美術" 公州大學校博物館·忠淸南道 1992

      11 安承周, "百濟의 彫刻과 美術" 公州大學校博物館·忠淸南道 1992

      12 李南奭, "百濟墓制의 硏究" 서경 2002

      13 公州大學校博物館, "百濟古墳資料集"

      14 李南奭, "百濟 石室墳 硏究" 學硏文化社 1995

      15 李南奭, "熊津時代의 百濟考古學" 서경 2002

      16 박천수, "東아시아 古墳 歷年代 資料集" 학연문화사 2011

      17 有光敎一, "朝鮮古蹟硏究會遺稿Ⅱ" 유네스코東아시아문화연구센터·財團法人東洋文庫 2002

      18 小泉顯夫, "朝鮮古代遺跡の編年"

      19 姜仁求, "古墳硏究" 學硏文化社 2000

      20 輕部慈恩, "公州に於ける百濟古墳" 1934

      21 野守健, "公州 宋山里 古墳 調査報告書, In 昭和二年度古蹟調査報告 第二冊" 朝鮮總督府 1935

      22 中央博物館, "1920~30년대 송산리고분의 조사, In 武寧王陵 新報告書 Ⅰ" 국립공주박물관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3 2.65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