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호운용성 기반의 전술데이터링크를 통한 지휘통제체계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강택신,김재홍,김광제,정승훈,김종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2

        The visualization of the battlefield in modern warfare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victory. The visualization of these battlefields becomes possible by sharing the latest information in real time through the weapons systems possessed by each armed forces. And as a weapon systems became environments that can be done to facilitate the flow of information through data links. Interoperability between weapons systems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meet the changing battlefield environment. In order to cope with existing North Korean threats and potential threats, especially under limited military financing,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smoothly distribut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actical data links among the introduced weapon systems. However, our reality is that we are paying additional costs to share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ministry data links introduced by each armed forces. In order to overcome this reality, our military is trying to guarantee the interoperability between the weapon systems from the stage of introducing the weapon system to the JCS. In the case of the Korean peninsula, it is a very diverse and complex battlefield environment. In order to carry out smooth coalitions and joint operations with the ROK and US forces, information sharing and recognition of battlefield situations and support for final decision should be performed. To provide integrated information through interoperable tactical data links plays a decisive role in the decision of the command. In order for the weapon system, which has a large defense budget, to perform its functions, the interoperability based tactical data link system development is required. 현대전에서 전장의 가시화는 승리의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장의 가시화는 각 군이 보유하고 있는 무기체계를 통해 최신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함으로써 가능해진다. 그리고 무기체계가 최첨단화 되면서 데이터링크를 통한 정보 공유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이 되었다. 변화하는 전장환경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각 무기체계간의 상호운용성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제한된 국방재원하에서 현존하는 북한의 위협과 잠재적인 위협에 맞서 대응하기 위해서는 도입되는 무기체계간에 전술데이터링크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원활하게 유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의 현실은 각 군이 도입한 무기체계간 데이터링크를 통한 정보 공유를 위해 비용을 추가로 지불하고 있다. 현재 우리 군은 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합참 차원에서 무기체계 도입 단계에서부터 무기체계간 상호운용성 보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반도의 경우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전장 환경이라 할 수 있는데 육․해․공군 및 미군과 원활한 연합․합동작전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장상황에 대한 정보공유와 인식, 그리고 최종 결심지원까지 전술데이터링크를 통한 작전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상호운용성이 보장된 전술데이터링크를 통해 통합된 정보제공이 지휘결심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만큼 대규모의 국방예산이 투입되는 무기체계가 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호운용성 기반의 전술데이터링크체계의 발전이 요구된다.

      • 드론 RC 조종신호의 암호화 전송 기법에 대한 연구

        가충희(Chung-Hee KA),박진우(Jin-Woo PARK),나희재(Hee-Jae NA),정용범(Young bum Jung),황재성(Jae Sung Hwang) 한국정보기술학회 202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2 No.12

        최근 드론의 활용이 증대되면서 드론의 통신보안에 대한 이슈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영상과 Telemetry Data를 AES, ARIA 등의 암호화 알고리듬을 통하여 드론의 지상단으로 전송하고 있다. 하지만 해당 방법은 드론을 수동적으로 제어하는 RC 조종기의 데이터를 암호화하기는 어렵다. 현재는 조종신호의 암호화를 위하여 RC 조종기가 아닌 USB 타입의 조종기를 통하여, 드론의 GCS와 드론의 조종 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조종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있다. 한편 많은 회사들이 RC 신호에 의한 조종기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왔고 그 신호적 특징 때문에 USB 타입 조종기는 하드웨어적인 기능과 조종 감도가 RC 조종기 보다 떨어진다. 무엇보다 USB 타입 조종기의 큰 단점은 현재 사용되는 GCS 시스템과 물리적으로 연결이 되어야하기 때문에 드론을 운용하는 데 있어 많은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RC 조종 신호를 암호화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Recently, as the use of drones has increased, issues regarding the communication security of drones have arisen. Therefore, video and telemetry data are transmitted to the ground end of the drone through encryption algorithms such as AES and ARIA. However, this method is difficult to encrypt the data of the RC controller that manually controls the drone. Currently, for the encryption of the control signal, the control data is encrypted by configuring the GCS of the drone and the control data of the drone to be networked through the USB type controller, not the RC controller. On the other hand, many companies have continuously developed the remote controller by RC signal for the drone controller, and because of the signal characteristics, the USB type controller has lower hardware functions and control sensitivity than the RC controller. Above all, the biggest drawback of the USB type controller is that it is inconvenient to operate the drone because the controller has to b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GCS system currently used.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encrypting a general RC control signal and try to verify it.

      • 무인기 산업 활성화를 고려한 무인기 주파수 확보 방안

        오경륜,심용섭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11

        군사용 무기로 인식되던 무인기를 요즘은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방송에서는 무인기를 활용하여 획득한 영상의 사용빈도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무인기의 활용분야가 확대될수록 무인기운용에 필요한 주파수에 대한 수요도 증가한다. WRC(세계전파통신회의) 2012년 회의에서는 안전한 무인기 운용을 위해 무인기 제어링크용 주파수로 5030-5091MHz를 분배하였고, 국내에서도 2012년 12월에 이 대역이 무인기 지상제어용으로 분배되었다. 제어용링크 이용 활성화를 위해 2015년 3월부터 해당대역에 대한 세부기술기준을 연구하기 위한 연구반이 구성되어 활동 중에 있으며, 이르면 2015년 말에 해당대역에 대한 전파 기술기준이 고시될 예정이다. 무인기 산업 활성화 및 상용화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임무데이터 통신링크용 주파수 대역이 확보되어야 하지만 아직까지 무인기 임무데이터용 주파수를 할당한 나라는 없는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무인기 관련 제도개선 등 산업 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진행 중으로, 임무데이터 통신링크용 주파수 확보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무인기 상용통신링크 분석 및 전 세계 활용주파수 현황에 대해 검토하고 단계적 임무데이터 통신링크용 주파수 확보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se days, a UAV that were identified as military weapons were easily able to encounter in everyday life. The frequency of use of the broadcast image obtained utilizing UAVs is growing day by day. As the application fields of the UAV is increased demand for the frequencies required to operate UAVs. In the Meeting of WRC(World Radio-communication Conference) 2012, the band, 5030-5091MHz, was distributed for UAV Control & Command(C2) link for the safe of UAV operation, it has been distributed in Korea as the UAV ground C2(Control & Command) link band in December 2012. a study group for detailed technical standards of the C2 link consists of the activities and, radio technology standards will be notified in the late or 2015. For the UAV industry activation, and the preparing the commercialization the UAV, the payload link frequency should be ensured, even though any a countries did nor allocate the frequencies for the UAV payload link. Wide range of efforts for revitalization of UAV industry, such as UAV related regulation improvements are in progress, the payload link frequency shall be provided.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UAV commercial communication link analysis, and worldwide frequency for UAV utilization status and proposed frequency assignment for a step-by-step plan to secure.

      • KCI등재

        무인항공기용 비행제어컴퓨터 아키텍처 최적화 설계 및 성능 평가

        김우리얼 ( Woo-ri-ul Kim ),송동현 ( Dong-hyun Song ),박상웅 ( Sang-woong Park ),안태식 ( Tae-sik Ahn ) 한국항행학회 2023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7 No.6

        무인항공기용 비행제어컴퓨터는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항전 장비로, 고장에 대한 마진을 위해 다중화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중화 된 비행제어컴퓨터는 채널 간 동기화 및 고장분리를 위해 디스크리트 신호 및 CCDL (cross channel data link)을 통한 인터페이스가 포함되어야 한다. 무인항공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민간 및 군에서 AAM (advanced air mobility) 및 저피탐 등 다양한 형태의 플랫폼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플랫폼들은 고성능 비행제어를 위한 제어 성능 고도화 및 탑재장비의 SWaP (size, weight and power) 최적화를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무인항공기용 최적화된 다중화 비행제어컴퓨터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입출력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 설계를 수행하였다. 또한 구현된 비행제어컴퓨터와 입출력 소프트웨어를 통해 입출력 처리 성능을 평가 하였다. Flight control computers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are avionics that require high reliability and are generally designed to be multiplexed for margins on failures. The multiplexed flight control computer should include an interface through discrete signals and CCDL for synchronization and fault separation between channels. With the development of unmanned aerial vehicle technology, various types of platforms such as AAM and LPI are being developed in the private and military, which require advanced control performance for high-performance flight control and SWaP optimization of onboard equipment. In this paper, we designed a optimized flight control computer architecture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for multiplexing processing and performed a software design for input and output control. In addition, input/output processing performance was evaluated through the implemented flight control computer and input/output software.

      • KCI등재

        Present and Future of Air Navigation: PBN Operations and Supporting Technologies

        Manuel López-Lago,José Serna,Rafael Casado,Bermúdez Aurelio 한국항공우주학회 2020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 Vol.21 No.2

        The present work reviews the new concept of operation that will be soon implemented in SESAR and NextGen (January 2020) using new state-of-the-art technology mainly based on onboard avionics: data link equipment, broadcast and surveillance systems, and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area augmentation. One of the main improvements of Performance-Based Navigation (PBN) is the use of satellites and more precise and accurate onboard instruments than current standard avionics related to ground-based navigation aids (VOR, NDB, DME, etc.). Air navigation systems have been without mayor updates for nearly 40 years, when most Very High Frequency Omnidirectional Range (VOR) and Tactical Air Navigation (TACAN) systems were implemented worldwide in the civil and military fields, respectively. These standard navigation systems lack new required performance navigation and required big deal of maintenance, especially in redundant systems. Recently, the development of new and precise GNSS and communication systems has allowed their use on different scenarios: Instrumental Flight Rules (IFR) departures, initial and final approaches, etc. Additionally, in several international airports, Ground Based Augmentation System (GBAS) approaches have been already successfully tested and implemented. Related to GBAS, the 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 Broadcast (ADS-B) is a cooperative technology that enhances pilots and controllers’ situation awareness, since ADS-B broadcasts own and other aircraft position. Controller Pilot Data Link Communications (CPDLC) may be another key element of the PBN concept of operations (CONOPS), since it provides air–ground data communications for the air traffic control (ATC) service and the aircrew, reducing risks associated to human factor: poor speaking, radio congestion, message confusion, standardization, etc. The main goal of this review is to present the PBN concept and the potentially supporting Communication, Navigation and Surveillance (CNS) systems, in the context of the NextGen and SESAR Air Traffic Management (ATM) modernization programmes.

      • Data Link Control 방식을 이용한 PLC 중앙 감시 및 제어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손태훈,원태현 동의공업대학 1999 論文集 Vol.25 No.1

        This paper presents a design of PLC central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ing data link control formula. Communication program for monitoring and control have been developed by BASIC language.

      • KCI등재후보

        Fully connecting the Observational Health Data Science and Informatics (OHDSI) initiative with the world of linked open data

        Banda, Juan M. Korea Genome Organization 2019 Genomics & informatics Vol.17 No.2

        The usage of controlled biomedical vocabularies is the cornerstone that enables seamless interoperability when using a common data model across multiple data sites. The Observational Health Data Science and Informatics (OHDSI) initiative combines over 100 controlled vocabularies into its own. However, the OHDSI vocabulary is limited in the sense that it combines multiple terminologies and does not provide a direct way to link them outside of their own self-contained scope. This issue makes the tasks of enriching feature sets by using external resources extremely difficult. In order to address these shortcomings, we have created a linked data version of the OHDSI vocabulary, connecting it with already established linked resources like bioportal, bio2rdf, etc. with the ultimate purpose of enabling the interoperability of resources previously foreign to the OHDSI universe.

      • KCI등재후보

        Fully connecting the Observational Health Data Science and Informatics (OHDSI) initiative with the world of linked open data

        Juan M. Banda 한국유전체학회 2019 Genomics & informatics Vol.17 No.2

        The usage of controlled biomedical vocabularies is the cornerstone that enables seamless interoperability when using a common data model across multiple data sites. The Observational Health Data Science and Informatics (OHDSI) initiative combines over 100 controlled vocabularies into its own. However, the OHDSI vocabulary is limited in the sense that it combines multiple terminologies and does not provide a direct way to link them outside of their own self-contained scope. This issue makes the tasks of enriching feature sets by using external resources extremely difficult. In order to address these shortcomings, we have created a linked data version of the OHDSI vocabulary, connecting it with already established linked resources like bioportal, bio2rdf, etc. with the ultimate purpose of enabling the interoperability of resources previously foreign to the OHDSI universe.

      • KCI등재후보

        데이터 링크계층에서 선택적 접근제어를 이용한 내부통신망 컴퓨터 간의 통신제어

        송한춘,신용만 한국통신학회 2012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7 No.6

        본 논문에서는 ARP poisoning기술을 적용하여 내부 네트워크의 데이터링크 계층의 MAC주소를 통제함으로써 내부 네트워크 의 특정 컴퓨터에서 다른 특정 컴퓨터로의 통신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접근통제를 할 수 있는 보안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 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데이터링크 계층에서의 선택적 접근제어를 통한 컴퓨터 간의 통신제어 시스템을 실험실 환경에서 시험통신망을 구성하여 성능평가 시험을 실시하였다. 성능평가 결과, IP주소 수집 및 관리, IP 충돌방지, 비정상 패킷의 자동감지 및 차단 등의 내부 네트워크에서 컴퓨터 간의 접근통제를 통한 통신제어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시스템은 기업 내부네트워크에서 각 사용자 컴퓨터 간의 통신기능을 통제함으로서 불법적인 정보유출을 방지하고 IP주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보안시스템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