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핀란드, 캐나다, 호주 유아교육과정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요소 탐색

        강은진,김아미,이지운 한국아동학회 2022 아동학회지 Vol.43 No.4

        Objectives: Digital media literacy has been recognized internationally as an important competence.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reflects digital media literacy as an essential competency for democratic citizenship. While the global trend suggests early childhood as the time for commencing digital media literacy education, the related elements are not specifically contained in the Korean national early childhood curriculum (Nuri Curriculum).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 for revision of the Nuri Curriculum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educational expectations, structures, and contents related to digital media literacy in early childhood curricula in Finland, Canada(Ontario), and Australia. Methods: Finland, Canada, and Australia implement lifetime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systematically include media literacy in national level early childhood curricula. Educational expectations, structures, and contents related to digital and media literacy were analyzed according to media literacy and related skills and elements. Results: First, the educational expectations from international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a reflects digital and media literacy competency. Second, the international curricula suggest active online safety in ways such as participating in a safe, media-friendly environment. Finally, the international curricula encourage active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by suggesting diverse ways of using media. Conclusion: For digital media literacy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the elements of digital media literacy should be more specifically contained in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Considering the change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global tre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competencies in digital media literacy comprehensively in the Nuri Curriculum.

      • KCI등재

        예비교사와 경력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수준 비교에 대한 사례 연구* - 국어교과를 중심으로 -

        김병수(Kim, Byoung­su),이현명(Lee, Hyun­Myoung)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교육연구 Vol.67 No.-

        본 연구는 교육과정 문해력 연구 중에서 교육과정 문해력 수준 비교에 대한 사례 연구이다. 교육과정 문해력의 사례를 분석하여 문해력 단계를 구체화하고 이를 통해 교사들의 전문성 단계(예비교사와 경력교사) 또는 관점에 따른 교육과정 문해력의 양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예비교사와 경력교사로 구분된다. 예비교사는 C교육대 학교 국어교육과 4학년 9명으로 교육실습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경력교사는 교육과정 문해력 탐색을 위해 참여관찰을 했던 경력 10년 이상의 교사 5명과 참여관찰에 어려움이 있어 개별적으로 동영상을 보내준 경력 10년 이상의 교사 1명을 포함한 총 6명이다.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로 교육과정 문해력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예비 교사 수업 10편과 경력교사 수업 9편을 수집하여 비교하였다. 예비교사와 경력교사 간 교육과정 문해력의 수준을 비교해 본 결과각 집단 간의 특별한 경향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단지 몇 가지의 특징을 들 수 있었는데, 예비교사는 교과서를 통한 교과서의 내용을 이해하고 있었고, 경력교사는 예비교사에 비해서 교육과정 내용의 성취 기준을 강조하고 있었다. 수업 지도안에 나타나는 교육과정 문해력은 형식적인 수업 지도안이나 수업 모형을 강조하는 측면도 있었고, 교육과정의 목표와 성격을 이해하고, 성취 기준에 있는 내용 요소와 기능 요소를 잘 반영한 수업들도 있었다. 교육과정 문해력에 대한 계속되는 연구는 교사가 수업 전문성뿐만 아니라, 개별 수업의 토대로 작용하는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전문성 신장에 목적을 둔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한 가지 이 연구 에서 시도된 교육과정 문해력 수준에 대한 구분은 연구자가 잠정적으로 구분한 것이며, 이에 대한 타당성은 계속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사 발달과 교육과정 문해력 수준 발달과는 꼭 일치하지는 않는 것임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levels of curriculum literacy. It articulates levels of curriculum literacy by analyzing a number of cases of curriculum literacy practices. At the same time, it also has an attempt to identify certain features of curriculum literacy in terms of its perspective or level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pre-service teacher and veteran teacher)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were divided into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 9 pre-service teachers were seniors at the Korean education department who were placed in practicum. 6 in-service teachers were veteran teachers who were more than 10 year teaching experiences and involved in classroom observation for exploring curriculum literacy.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case study which compared levels of curriculum literacy. For this purpose, these researchers collected and analyzed 10 class videos from the pre-service teacher and 9 class videos from the veteran teacher. As a result, there was no distinctive tendency observed between these two groups in comparison of levels of curriculum literacy. However, some important characteristics were constantly unfolded. For instance, pre-service teachers understood the content of teaching through a textbook itself. Veteran teachers emphasized more on achievement standards for curriculum contents than pre-service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in the lesson plan was underscored a forma lesson plan or an instructional model and understood goals and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some of teaching was throughly reflect on content and functional elements of achievement standards. A purpose of the continuous study of curriculum literacy was not only promoting the professionalization of teaching but also fostering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regarding curriculum based on each individual class. However, levels of curriculum literacy in this study were provisionally classified and constantly discussed its trustworthiness. These researcher came to realize that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literacy level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was not necessarily matched.

      • KCI등재후보

        2018 초등·중학 문해교육과정의 체제적 분석

        이민혜,박창언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1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literacy curriculum by examining the structure of the current 2018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iteracy curriculum, and by seeking ways to improve it. Method: A clear perspective was established by taking a systematic review focusing on the general outline of the 2018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iteracy curriculum. Result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onsists of a general introduction to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um and each subject, and guidelines for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curriculum were prepared for each city and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hereas the literacy curriculum did not provide sufficient explana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document system. A lack of content was found, and detailed plans were not presented on how to implement the curriculum in detail. Conclusion: In order to be reborn as a national curriculum in line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iteracy curriculum has been integrated and structured to have a document system equivalent to the 2015 basic curriculum. Although it is meaningfu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olid and specific plan to solidify the system as a curriculum.

      • KCI등재

        외국 자국어 교육과정의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내용 반영 양상 분석

        박혜림,이경화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4 敎員敎育 Vol.40 No.1

        연구목적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선행연구 및 국외 주요국의 자국어 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매체 교육과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미국, 캐나다, 호주의 자국어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관련된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각국의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내용 반영 양상을 우리나라 교육과정 매체 영역과 비교하여 매체 교육과정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미국의 자국어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내용은 복합양식 리터러시와 정보 리터러시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캐나다 온타리오주 자국어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내용은 미국과 비교하였을 때 참여적 리터러시와 비판적 리터러시와 관련된 것이 상대적으로 많다. 호주 자국어 교육과정은 지식 범주의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요소가 반영되었다는 점, 문학 영역에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결론 우리나라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시사점은 첫째, 매체 영역의 설정 문제를 재고할 필요가있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의 기능 요소를 보다 포괄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셋째, 태도 범주의 내용요소를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태도 범주의 내용 요소를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Purpose: By analyzing previous research on digital literacy and the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of major foreign countries, we aimed to critically review Korea's media curriculum and suggest ways to improve it. Methods: We analyzed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in the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of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Australia. Implications for media curriculum development were derived by comparing the reflection pattern of digital literacy-related content in each country with the media area of Korea's curriculum. Results: In the U.S. language curriculum, content related to digital literacy is centered on multimodal literacy and information literacy. In the language curriculum of Ontario, Canada, relatively much of the content related to digital literacy is related to participatory literacy and critical literacy. The Australian language curriculum is characterized by reflecting the digital literacy component in the knowledge category and including digital literacy-related content in the literature area. Conclusion: First, the implications for Korea's Korean language curriculum development include the need to reconsider the issue of setting the media area. Second, there is a need to deal more comprehensively with the functional elements of digital literacy. Third, there is a need to systematize the content elements of attitude categories. Fourth, there is a need to systematize the content elements of attitude categories.

      • KCI우수등재

        핵심역량 중심의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정 구성 및 효과 :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박윤미,나은영 한국언론학회 2023 한국언론학보 Vol.67 No.2

        Social media literacy is recognized as one way to help communicate well between users on social media and prevent various types of adverse effects that may arise from social media use. Especiall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actively participating and rapidly socializing in social media spaces, the importance of social media literacy is even great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curriculum and analyze the effects of education bas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 media usage pattern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ocial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centered on core competencies (access and use, social connectedness, digital ethics, civil engagement) and analyze the changes in the level of core competencies of learners before and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In six sessions, a social media literacy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upper elementary reflecting the core competencies of social media literacy was developed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Education was conducted by dividing 81 sixth graders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data analysis used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to compare the average social media literacy core competenci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 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xperimental group's mean scores of core competencies. Additionally, covariance (ANCOVA)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ost-test mean scores of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core competencies for social media literacy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post-test average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pre-test. Furthermore, when controlling for the influence of pre-tests in both groups, comparing the mean scores of post-tes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mean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s mean score. In conclusion, the social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centered on core competencies enhanced learners' social media literacy. Previous studies have mentioned that the social media literacy curriculum, including the media literacy curriculum, can positively promote learners' literacy. However, there has been a limit to presenting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is study is not only limited to proposing a social media literacy education curriculum but also developing an education curriculum centered on the core competencies of social media literacy and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hrough curriculum implement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and developing social media literacy education were presented.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는 소셜 미디어에서 이용자 간 원활한 소통과 소셜 미디어 이용 시 발생하는 다양한 유형의 부정적 영향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소셜 미디어 공간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며 급속하게 사회화되고 있는 초등학령기에게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등학령기의 소셜 미디어 이용 행태를 고려한 교육과정 구성과 교육의 효과 분석은 중요하게 취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핵심역량 중심의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해당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습자의 교육 전과 교육 후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핵심역량 수준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핵심역량이 반영된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정을 6차시로 개발하였으며, 초등학교 6학년 81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교육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핵심역량에 대한 평균 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험집단 내 핵심역량 평균점수 비교를 위해 종속표본 t-검정을, 그리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핵심역량 사후검사 평균점수의 통계적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핵심역량 평균점수는 통제집단 대비 실험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에서 사전검사 대비 사후검사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그리고 두 집단의 사전검사 영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사후검사 평균점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의 평균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결과적으로 핵심역량 중심의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증진에 기여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간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미디어 리터러시를 포함하여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정이 학습자의 리터러시 증진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언급해왔으나, 이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 결과를 제시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정 제안에만 그치지 않고 핵심 역량 중심의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교육과정 수행을 통해 그 효과를 분석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결론에서는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개선 및 발전에 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국가교육과정 사용자로서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리터러시 탐구

        김세영 ( Se-young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7 교육과정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교육과정 리터러시에 대한 나의 연구의 연장선이다. 나는 교육과정 리터러시를 이론화하는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 과정을 통해 교육과정 리터러시를 앎과 사용함, 수준, 영역, 요소가 만들어내는 3차원 공간에 가시적으로 드러낸 바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후속 연구로, 나는 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내가 발휘한 교육과정 리터러시가 무엇인지 그 양상을 탐구해봄으로써 실제 속에 나타난 교육과정 리터러시를 다시 이론화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용함의 교육과정 리터러시 중 해석, 편성, 표현을 중심으로 내가 발휘한 교육과정 리터러시를 살펴보았는데, 일차적으로는 나의 사례를 세밀하게 그려내어 교육과정이 바로 수업으로 구현될 때 그 양상이 어떠한지 드러냈다. 이차적으로는 나의 사례를 해석함으로써 그 이면에 담긴 발현 요인에 다가갔으며, 기존의 교육과정 리터러시 모형에 발현 요인을 추가하였다. 나의 사례로 본 결과, 교육과정 리터러시는 교사의 교육적 경험의 이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는 교사마다 다르기 때문에 각기 다른 교사의 교육과정 리터러시를 발굴해낸다면 교육과정 리터러시는 더 풍부하게 조명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n extension of my previous research, which was aimed at theorizing the concept of curriculum literacy. Throughout that research process, curriculum literacy was presented in three dimensions: 1) knowing/using; 2) levels; 3) fields; and 4) factors. In this study, I explored curriculum literacy as it applies to educational practice. Specifically, I focused on interpretation, organization, and expression as important factors of curriculum literacy. First, I described the appearance of the national curriculum when implemented directly as a lesson. Next, I identified the factors affecting curriculum literacy by interpreting my case. The results of my study indicate that curriculum literacy is closely linked with the experiential curriculum vitae of the teach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nrich curriculum literacy by identifying the curriculum literacy of teachers.

      • KCI등재

        장애성인의 문해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창빈(Changbeen Cho),장철승(Chulseung Jang),김두영(Dooyoung Kim)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1 재활복지 Vol.25 No.3

        이 연구는 장애성인의 문해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문해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거나 참여를 희망하는 장애성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수행하고 문해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이들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장애성인은 총 331명으로 지체·뇌병변장애인 114명, 시각장애인 100명, 청각장애인 37명, 발달장애를 동반한 중도중복장애인 80명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성인들은 국가 수준의 문해교육교육과정 고시와 이를 통한 학력 인정 제도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장애성인들은 국어, 수학 등 도구교과가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교육과정의 내용은 사회적응과 관련된 내용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교육과정의 난이도는 비장애인 문해교육 교육과정 대비 30% 수준으로 설정하기를 요구하였다. 셋째, 장애성인들은 문해교육 교육과정 활성화를 위해 장애인 문해교육전문 강사 양성, 장애인 문해교육 교과서 개발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문해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해 장애인 문해교육기관 선정 및 설치, 장애인 문해교육 교과서 개발, 장애인 문해교육 전문 강사 양성 및 보급 등과 같은 내용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the adults with disabilities on the literacy education curriculum. A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s with disabilities who have participated in literacy education or wish to participate, and their perceptions and needs of the literacy education curriculum were analyzed. A total of 331 adul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consisting of 114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brain lesions, 100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s, 37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s, and 80 persons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urvey s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dults with disabilities were highly aware of the necessity of notifying the national-level literacy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system for recognition of the school career through it. Second, adults with disabilities recognized that they needed subject tools, such as Korean and mathematics most, and they recognized the curriculum content related to social adaptation was the most necessary, and the difficulty of the curriculum was requested to be set at a level of 30% compared to the literacy education curriculum for persons without disabilities. Third, adults with disabilities perceived the most urgent task to cultivate instructors specialized in literacy education for the disabled and to develop textbooks for literacy education for the disabled to invigorate the literacy education curriculum. Also, based on the above findings, for the plan to revitalize literacy education for the disabled, contents such as selection and installation of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development of literacy education textbooks for the disabled, and training and distribution of specialized instructors for literacy education for the disabled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소양 함양 가능성 논의

        유성열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4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fostering digital literacy in the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digital literacy as the basic literacy pursu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considers the content standards established to teach it, and discuss the possibility of cultivating digital literacy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and the digital literacy composition syste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and digital literacy. Direct relationship refers to cases where digital literacy-related content is directly mentioned in the curriculum document, and indirect relationship refers to cases where related content is not revealed on the surface but is judged to be sufficiently relat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provides a space to sufficiently link and include digital literacy-related content at the curriculum level, and that the digital literacy composition system is designed in relation to the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both sides had made sufficient efforts to secure the possibility of cultivating digital literacy through the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by constructing and presenting a list of learning activiti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lower grade students.

      • KCI등재

        교육과정 문해력의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박윤경 ( Park Yun-kyoung ),김미혜 ( Kim Mi-hye ),김병수 ( Kim Byeong-su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논총 Vol.38 No.4

        미래 사회 대비를 위한 국가 교육과정 정책의 변화와 함께 교사들의 교육과정 전문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교육과정 문해력을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의 핵심으로 제시하고, 그 개념 및 특성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교육과정 문해력의 개념 정립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에 대한 역할 모델 및 국가 교육과정 문서의 성격을 둘러싼 이론적 논의를 소개한 후, 교육과정 실행 및 교육과정 재구성 개념이 갖는 한계에 대해 논하였다. 그리고 문해력 개념의 확장 과정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문해력의 개념을 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읽고 활용하는 것을 넘어 교육과정을 쓰는 능력으로까지 확장하고, 교육과정 문해력이 비교적 낮은 수준의 기능적 문해력 단계부터 높은 수준의 비판적 문해력 단계까지 분화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교육과정 문해력의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교육과정 문해력의 범위, 수준 및 교과(학교급)별 특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With changes in national curriculum policies for the preparation of future societies,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the curriculum professionalism of teacher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curriculum literacy by presenting the curriculum literacy of teachers as the core of curriculum professionalism and discussing its concept and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firstly, a theoretical discussion surrounding teachers’ curriculum professionalism was presented, and following this, the conceptual limitation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curriculum adaptation were discussed.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extension process of the concept of literacy, we defined the concept of curriculum literacy as the ability to read and write a curriculum, and proposed that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can be differentiated by level, from a relatively low level of functional literacy to a high level of critical literacy.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it was sugges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scope, level, and subject-based(school level-based)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literacy is needed in order to establish an academic foundation for the curriculum literacy in the future.

      • KCI등재

        역사 문해력의 개념과 역사교육과정 적용 - 미국, 영국, 호주 교육과정을 사례로 -

        박선경(Park, Seon-kyeong) 호서사학회 2021 역사와 담론 Vol.- No.97

        이 글은 현재까지 역사 교육 연구에서 역사 문해력(historical literacy)을 바라보는 몇 가지 관점을 살펴보고 이런 관점이 미국, 영국, 호주의 역사교육과정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의 연구에서 역사 문해력은 크게 역사적 사실에 대한 지식의 보유, 역사가의 탐구 과정 수행, 역사의식 함양의 측면에서 논의되었다. 전통적 관점에서 역사 문해력은 역사적 사실을 아는 것을 의미했다. 그러나 역사 교육 연구가 진행되면서 역사 문해력을 역사 탐구 수행 과정에서 동반되는 역사적 사고나 역사의식으로 보는 새로운 관점이 주목받고 있다. 이 글에서 살펴본 국가들의 경우 문해력을 역사 교육의 목적이나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할 역량 중 하나로 규정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 영국, 호주 세 나라의 교육과정에서 명시하는 역사 문해력은 공통적으로 역사 탐구 과정에서 작용하는 사고나 기능을 의미하였다. 이러한 관점이 가장 잘 드러나는 것은 미국의 교육과정이었다. 영국의 교육과정에는 역사 지식과 역사 탐구 수행 능력을 강조하는 역사 문해력의 관점이 동시에 반영되어 있었다. 호주의 경우에는 교육과정총론에서 제시된 범교과 차원의 문해력을 역사 교과에 통합하여 가르치고 있었다. 이때의 역사 문해력은 역사 텍스트를 읽고 의미를 구성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했다. 현재까지 역사 문해력이 학교 역사 교육에 미치는 뚜렷한 영향과 변화를 찾아보기는 어렵다. 역사교육과정에 반영된 역사 문해력도 대부분 역사 텍스트 읽고 쓰기에 집중되어 역사적 사고 및 역사의식 함양과 관련된 역사 문해력의 요소를 제시하지 못하였다. 이는 역사 문해력 개념이 추상적 성격을 가지며, 이를 보는 관점이 다양하다는데 기인한다. 그러나 역사 문해력의 성격을 구체화하려는 지속적인 노력은 역사 문해력 학습 내용과 방법을 선정하고 제시하는 데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everal perspectives on historical literacy in the previous studies on history education up to now and to look into how these perspectives are reflec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Australia. In the studies on history education so far, historical literacy has been largely discussed in three aspects such as having knowledge on historical facts, performing the inquiry process by historians, and cultivating historical consciousness. From a traditional perspective, historical literacy has meant knowing lots of historical facts. However, as studies on historical literacy have been gradually conducted, new perspectives on historical literacy are drawing attention as historical thinking or historical consciousness accompanied by the process of conducting historical inquiry. The countries that have sought the increase of historical literacy as a goal of history education and have reflected it in the curriculum are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Australia. These countries define literacy as one of the purposes of history education or the capabilities to teach for stud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istorical literacy specified in the curriculum of the three countries commonly referred to thinking or skill accompanied by the process of conducting historical inquiry. This perspective is emphasized in the United States history curriculum. In the case of the United kingdom history curriculum, the perspectives of historical literacy as knowledge of historical facts and the ability to conduct historical inquiry were compromised. In Australia, literacy has been presented as a general capability at the level of general introduction and it refers to the ability to read text and construct meaning. In Australia, teachers have incorporated general literacy into a specific curriculum and have taught it to students. Despite the high interest in literacy and active theoretical discussions in recent studies on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find obvious impacts and changes that affect history education. As historical literacy that is even reflected in the curriculum mostly focus on reading and writing historical texts, it could not extend the discussion to present elements of historical literacy associated with historical thinking and cultivation of historical consciousness in the curriculum. Because, it might be difficult to define the concept clearly due to the nature of historical literacy. There are some parts that are overlapped in the perspectives of historical literacy presented in this study. Nevertheless, consistent effort to clarify the nature of historical literacy will have implications for selecting the content of education on historical literacy and suggesting specific learning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