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집단살해죄 관련 국제형사재판소(ICC)의 법리 분석

        김영석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6 法學論集 Vol.21 No.2

        이 논문에서는 집단살해죄 관련 ICC의 법리를 분석하였다. ICC의 집단살해죄 관련 법리는 1948년 집단살해죄 방지협약 이래로 국제사법재판소, 구유고재판소(ICTY), 르완다재판소(ICTR) 등을 통해 발전해 온 국제법 원칙에 충실하게 부합한다고 평가된다. 로마규정 제6조는 집단살해죄 방지협약 제2조의 규정을 그대로 채택하여 집단살해죄를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ICC의 범죄구성요건을 작성하면서, 국가들은 기존에 발전하여온 집단살해와 관련한 법규범(jurisprudence)을 충실히 반영하고자 하였다. 한편, ICC의 알 바시르 사건 판례에서도 제1전심재판부는 처음에는 “구체적 위협”을 관계 요건으로서 요구하였으나, 상소심재판부와 두 번째 체포영장을 발부할 때의 제1전심재판부는 이러한 요건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바, 이는 기존의 집단살해죄 관련 법규범에 부합하는 태도로 보인다. 다만, 집단살해죄의 공모 범죄의 범위가 ICC규정에서는 다소 축소되었다는 점과 집단살해의 특정한 의도가 없는 상급자도 부하의 집단살해죄를 방지하거나 처벌하지 못한 결과로 함께 집단살해죄를 범한 것으로 처벌될 수 있다는 점이 ICC의 집단살해죄 관련 특수성 또는 기존의 집단살해죄 관련 국제법 규범과의 차이점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수성은 ICC의 설립을 위한 로마회의시 국가들의 의견을 반영한 것으로서 ICC를 설립하는 국가들이 기존의 국제법 규범과의 차이를 선택한 것이다. 이러한 국가들의 선택이 집단살해죄와 관련한 국제형사정의에 더 부합한 것이었는지는 향후 ICC의 집단살해죄와 관련한 재판과정에서 더 검증이 될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ICC가 집단살해죄를 관할범죄로서 국가들의 이견 없이 규정함으로써, 집단살해죄를 금지하는 것이 국제법상 강행법규(jus cogens)라는 것을 확인하여 준 것 이라고도 할 수 있다. This article reviews the ICC’s jurisprudence on the crime of genocide. The jurisprudence of the ICC with resepct to the crime of genocide is consistent with the pre-existing international law such as the 1948 Genocide Convention, the jurisprudence of the ICJ, ICTY and ICTR. On the other hand, in Al Bashir, the Pre-Trial Chamber I of the ICC had required “concrete threat” as a contextual element of the crime of genocide, but, later it did not require this element. The later decision by the Pre-Trial Chamber I seems to be more compatible to the pre-existing law on the crime of genocide and Article 6 of the ICC Statute. Two aspects of differences between the ICC’s jurisprudence and the pre-existing law on the crime of genocide were pointed out. First, Article 25 (3)(d) of the ICC Statute is different from Article 3 fo the Genocide Convention in that the former does not provide “conspiracy” under the Anglo-American common law while the latter provides it. Second, Article 28 of the ICC Statute provides “superior responsibility” and under this provision, a superior can commit crime of genocide on the basis of superior responsibility even though he or she did not have specific intent of genocide. These differences are resulted from the negotiations and decisions taken by states at the 1998 Rome Conference establishing the ICC. These decisions by the states have yet to be proved whether they are more effective in enhancing international criminal justice against the crime of genocide. Lastly, the fact that the crime of genocide was included as one of the crimes within the jurisdiction of the ICC without any objections from states confirms the prohibition of the crime of genocide is a jus cogens.

      • KCI등재

        집단살해죄(Genocide), 인도에 반한 죄 등에 관한 국제형사법적 고찰

        박선기(PARK, SEON KI) 한국법학원 2015 저스티스 Vol.- No.146_2

        이 논문의 목적은 집단살해죄, 인도에 반한 죄에 대한 국제법적 규범을 검토해 보고, 구유고 국제형사재판소, 르완다 국제형사재판소, 로마규정에 기한 국제형사재판소 등에서 실제 이와 관련된 사건을 처리하면서 발전시킨 법리들을 살펴보고 소개함으로써, 북한과 관련하여 벌어지고 있는 반인권적 사건들에 대해 향후 제기될 수 있는 각종 국제법적 문제들을 미리 대비하고, 더 나아가 보다 심도있는 논의의 바탕을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르완다 국제형사재판소에서 실재 재판관으로 활동하면서 접하였던 집단살해죄, 인도에 반한 죄에 대한 다양한 사례와 법리들을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도 이 분야에 대한 보다 깊이있는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집단살해죄(Genocide)란 국제형사판소 관할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국민적·인종적·민족적 또는 종교적 집단 자체를 전부 또는 일부 파괴할 목적으로 그 집단의 구성원을 살해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는바, 이는 국제형사재판소 규정을 비롯한 다양한 국제 규범에 나타나 있는 개념으로서 그 가벌성은 국제적으로 확립되어 있다고 볼 수 있겠다. 특히 집단살해를 선동하는 행위도 처벌대상이 되며, 르완다에서 벌어진 종족간의 집단살해 사건에서도 선동행위인 증오연설 등이 문제가 되었고, 실제 르완다 국제형사재판소에서 이 문제가 다루어진바 있다. 인도에 반한 죄(Crimes against humanity)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국제규범 및 국내이행입법이 그 개념과 유형을 규정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analyze the international criminal law standards regarding genocides and other crimes against humanity, to proactively prepare for international criminal law complications that may stem from the current inhumane acts in North Korea by considering legislation advanced by the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Former Yugoslavia (ICTY) and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Rwanda (ICTR) in prosecuting actual cases of genocid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as well as the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and to lay the groundwork for deeper discussions on the topic. In particular, by providing actual genocide and crimes against humanity cases and the various legal responses effected while presiding as judge in the ICTR, the ultimate aim is to create a forum for more profound discussion on this critical topic in South Korea. A genocide is, according to the relevant legislation from, and prosecution of such criminal cases by,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CC), the deliberate killing to annihilate a part or all of an ethnic, racial, religious group in a country; the prevalence of legal responses from the ICC and other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s to such acts is a testament to the deep history of genocides. In particular, acts instigating genocides are also subject to prosecution: hate speeches and other similar acts incited tribal genocides in Rwanda, and were prosecuted in the ICTR accordingly. Crimes against humanity have also been addressed by the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s and the implementing law, attesting to the deep roots of these criminal acts.

      • 개인의 국제범죄로서의 침략범죄

        오미영(Mi-Young Oh) 大韓赤十字社 人道法硏究所 2006 人道法論叢 Vol.- No.26

        국제형사재판소(ICC)로마규정은 집단살해죄, 인도에 반한 죄, 전쟁범죄, 및 침략범죄에 대하여 관할권을 가진다. 이러한 규정을 보면 ‘침략범죄’도 다른 세 가지 범죄와 함께 개인을 처벌하는 ‘개인의 국제범죄’로서 법전화가 진전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침략범죄’에 대해서는 일단 삽입시키기는 하였으나, 정의조항과 관할권행사조건을 규정한 조항을 채택하는 일은 2009년 후로 미루었다. 그 결과 ICC는 현실적으로 침략범죄에 대해서는 이러한 두 가지 조항이 마련될 때까지 관할권 행사를 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침략범죄의 정의와, 개인의 침략범죄에 대한 처벌을 뉘른베르그재판과 동경재판을 통하여 살펴보고, 개인의 침략범죄와 국가책임과의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ICC에서는 왜 ‘침략범죄’에 대해서만 그와 같은 규정을 정하였는지, 그 원인은 단순히 절차상, 각국간의 정치적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이었는지 아니면 ‘침략범죄’가 다른 범죄와는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었는지에 대해서도 고찰해 보았다. 우선, 여러 제안들을 살펴본 결과, 국가의 ‘침략’행위를 ‘침략범죄’의 구성요소로서 개인처벌의 전제로 규정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일치하고 있다. 이는 ‘국가의 국제범죄’로서의 ‘침략’에는 ‘개인의 국제범죄’로서의 ‘침략범죄’가 전제가 된다는 특이성을 가지고 있다고도 이해 할 수 있다. 하지만 개인처벌의 전제가 되는 국가의 ‘침략’의 법적행위에 대해서는 대립이 있었다. 이러한 대립은 ‘침략범죄’에 대해서 ICC에서 관할권행사를 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개인의 국제범죄’로서의 ‘침략범죄’에 대한 ICC의 관할권행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국제형법의 법전화에 있어서 ‘침략범죄’의 전제인 국가의 ‘침략’ 그 자체가 ‘국제범죄’라는 것을 직시하여야 한다. 그리고 국가의 ‘침략’의 인정과 정의를 둘러싼 각국간의 정치적 이해대립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The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ICC) has jurisdiction over crime of genocide, crime against humanity, war crimes and the crime of aggression. The statute shows that "the crime of aggression", like the other three crimes, has also been undergoing legislation as an "international crimes of individuals" to punish individuals. Even though "the crime of aggression" has been inserted, however, adoption of definition clause and provision to prescribe preconditions to the exercise of jurisdiction has been delayed after 2009. As a result, the ICC cannot exercise jurisdiction over the crime of aggression until the two provisions are introduced. This treatise investigated the definition on the crime of aggression and punishment on individual crime of aggression through the Nuremberg trials and the Tokyo trials, and relations between individual crime of aggression and responsibility of state. In addition, the treatise investigated why the ICC prescribed such provisions to "the crime of aggression" alone, and what the reason is; whether a mere procedural difficulty of coordination of political interests of the countries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ime of aggress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other crimes. First of all, each proposal has a sameness of prescribing the "aggression" of state as a composing element and a premise of punishment of individuals.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re is a peculiarity that "aggression" as an "international crime of state" is a premise of "the crime of aggression" as an "individual international crime". However, there has been a dispute about legal activities of "aggression" of state which constitutes a premise of punishment of individuals. This dispute prevents the ICC from exercising jurisdiction over "the crime of aggression". Therefore, to make it possible for the ICC to exercise jurisdiction over "the crime of aggression" as an "international crime of individual", it is essential to make it clear that "aggression" of state, which is a premise of "the crime of aggression" in legislation of international criminal code, itself is the "international crime". Futhermore, it is needed to coordinate political interests on recognition and definition of "aggression" of state among countries.

      • KCI등재

        고(故) 이창호(李昌鎬) 교수 연보(年譜) 및 유고(遺稿) : 산청,함양,거청 민간인학살사건의 법적 재검토

        이창호 ( Chang Ho Lee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evelopment courses of the Genocide against Residents in Sancheong-Hamyang-Geochang Territories at Korean War, to define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it, to examine the problems of the past Geochang Military Trial on 1951 concerning the Genocide, to analyse critically a series of judicial and legislative actions conducted by Korean government after that trial, and to propose rightful solutions to the victims and their bereaved with general principles concerning the purge of the past. Only one day on 7. Feb. 1951, military forces of the 11th Division of the Korean Army killed seven hundreds or more civilians in Sancheong-Hamyang Territores without any justifiable reason, without any fair trial, only for the purpose of successful execution of their plan of operation so-called ‘scorched-land strategy.’ And the same troops killed 719 civilians in Geochang Territory, according to same operation order from the day of 9. Feb. to 11. Feb. 1951. Both are can be called ‘Genocide against Civilians in Sancheong-Hamyang-Geochang Territories.’ This is a past Korean version of killing field. Conclusionally I assert in this study that is is a a state crime or state terror, and genocide, and it is a crime against humanity and war crime. Korean government should reveal the truth of the whole aspects of ‘the Genocide’, and make restitution for all damages of victims and their bereaved, in spite of having past over half century. And government should also take all proper measures involving activities of cultivating peoples`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to prevent another genocide. The table of this article is as follows: 1. Preliminary remarks 2. Courses of development and legal definition of ‘Genocide against Civilians in Sancheong-Hamyang-Geochang Territories’ (1) Summery of courses of ‘the Genocide.’ (2) Courses of settlement progressing after the Genocide. (3) Why should it be called ‘Genocide against Civilians in Sancheong-Hamyang-Geochang Territories’ (4) Characteristic legal definition of ‘the Genocide.’ 3. Legal re-examination of ‘the Genocide’ (1) Re-examination of 1951 Trial for ‘the Genocide.’ (2) Comments on the proceeding civil actions for ‘the Genocide.’ (3) Examination of ‘Amendment Draft of the Act on Special Measurement for the Geochang Accident etc.’ (4) Wrongfulness of exercising the veto right against the ‘Amendment Act.’ 4. Conclusion

      • 國際法上 公訴時效가 適用되지 않는 犯罪에 대한 一考

        김병렬(Byung-Ryull KIM) 大韓赤十字社 人道法硏究所 2006 人道法論叢 Vol.- No.26

        公訴時效란 검사가 일정한 기간동안 公訴를 제기하지 않고 형사사건을 방치하는 경우에 訴追機關의 訴追權을 소멸시키는 제도를 말한다. 戰爭犯罪 혹은 人道에 반하는 범죄 등 국제법상의 특정범죄에 대해서는 이러한 공소시효제도를 적용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전쟁범죄인에 대한 처벌노력은 전범자의 망명을 허용했던 네덜란드 정부의 引渡拒否와 상급기관의 명령에 의하여 범죄행위를 수행하였다는 피고인들의 변명 등에 의해 유야무야 되었다. 하지만 이처럼 전쟁범죄자들의 처벌이 유야무야 되었다고 해서 그 시도가 전혀 의미를 갖지 않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움직임을 바탕으로 하여 제2차 세계대전 중인 1943년에 國際聯合 戰爭犯罪委員會가 창설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한편 전쟁범죄와는 달리 인도에 반하는 범죄에 대한 처벌 논의는 1943년의 모스크바선언에서부터 처음으로 시작되었다. 그 후 우여곡절 끝에 1945년 8월 8일자 유럽추축국의 주요 전범 기소 및 처벌에 관한 런던협정과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소헌장에 의해 처벌이 명문화된 후 연합국 통제위원회법 제10호에서 처벌대상 범죄행위가 인도에 반하는 범죄행위로까지 확대되었다. 그리고 이어지는 뉘른베르크 전범재판에서 많은 전범자들이 이러한 혐의로 재판을 받았다. 이 재판 이후 전쟁범죄와 인도에 반하는 범죄 그리고 인류의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범죄행위에 대하여는 반드시 사법적 제재조치를 취하여야 한다는 인식이 점차 보편화되었다. 그러나 전쟁범죄자 등에 대한 사법적 제재조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勝戰國에 의한 이러한 재판의 적법성 여부, 전쟁범죄 등의 公訴時效와 관련해서는 쉽게 국제적인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 결국 수많은 논란 끝에 1966년에 가서야 국제연합총회는 ‘뉘른베르크 사법재판소의 선언에 의하여 인정된 국제법상의 원칙과 국제사법재판소의 판결’을 추인할 수 있었으며, 다시 2년이 지난 1968년에야 ‘戰爭犯罪 및 人道에 反하는 罪에 대한 公訴時效不適用에 관한 協約’(Convention on the Non-Applicability of Statutory Limitations to War Crim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을 채택할 수 있었으며 이 협약 제1조에서 전쟁범죄, 제네바 제협약의 중대한 위반, 인도에 반하는 죄, 강제적 추방, 집단살해죄 등을 공소시효가 적용되지 않는 국제법상의 범죄로 명문화하였다. 하지만 이 협약이 발효된지 35년이 넘는 현 시점에서도 불과 46개국만이 이에 가입하고 있는 바 전쟁범죄자를 포함한 국제법상의 특정범죄자들의 예외 없는 처벌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국내법상으로 시효의 적용을 배제하는 것은 각국의 상황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대부분 내란과 외환의 죄 정도에 불과하다. 살펴볼 때 내란과 전쟁이 주체상의 차이는 있을지 몰라도 본질적으로 폭력을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일치하는데도 하나는 시효의 적용이 배제되는데 다른 하나는 그렇지 않다면 법적 정의면에서도 결코 바람직하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에 많은 국가들이 조속히 이 협약에 가입해야 할 것이다. A statute of limitations is a statute which terminates prosecuting body's right to prosecute if a prosecutor left a criminal case untrea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international law, there is a statute of limitations for certain crimes, such as war crim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Post-First World War efforts to punish war criminals proved futile, as the government of the Netherlands accepted war criminals seeking refuge and refused to extradite them, and another war criminals appealed that they simply carried out upper echelon's orders. Nevertheless, being futile does not mean these efforts were insignificant since they paved the way toward the establishment of the "War Crime Commission" of the League of Nations in 1943. The Moscow Declaration of the 30th October 1943 kicked off a debate on a crime against humanity. After much meandering, the punishment of war criminals was codified by the "London Agreement for the Prosecution and Punishment of the Major War Criminals of the European Axis" of the 8th August 1945 and the Charter of the International Military Tribunal in Nuremberg. And the jurisdiction of the Nuremberg International Military Tribunal was expanded by "Allied Control Council Law(ACCL)" Order No. 10 to include the indictment of crimes against humanity, and a number of war criminals were tried at the tribunal afterward. After the trial, the idea had become prevailing that judicial sanctions should be taken against war crimes, crimes against humanity and peace as well as crimes threatening the stability. However, despite the expanding recognition that judicial sanctions should be taken against war criminals, no international consensus had been reached on legality of such trials by victorious countries and a status of limitation on war crimes until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It was only in 1966 when the UN General Assembly could approve "International Law Recognized by the Charter of the Nuremberg Tribunal and the Judgement of the Tribunal", and again in 1968, the General Assembly adopted the "Convention on the Non-Applicability of Statutory Limitations to War Crim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Article 1 of the convention provides that no statutory limitations shall apply to war crimes, "grave breaches" enumerated in the Geneva Conventions, crimes against humanity, evictions by armed attack and the crimes of genocide. However, the fact that only 46 countries have ratified the convention, which came into force 35 years ago, pose a stumbling block to the unexceptional punishment of specific crimes including war crimes. The extent to which the application of the statutory limitations can be abated in domestic law vary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in each country. Yet, only a handful of crimes such as a rebellion and foreign currency related crimes enjoy the benefit of such abatement. Although a rebellion and a war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who is the subject, they are essentially the same in that violence is used in both of the two events. Thus, the fact that the statutory limitations apply in one but in the other runs counter to the goal of achieving legal justice. This is the very reason why more states should ratify the convention.

      • KCI등재

        국제사법재판소 집단살해방지협약 적용사건에 대한 비판적 분석

        원유민(WON Yoomin) 대한국제법학회 2014 國際法學會論叢 Vol.59 No.3

        국제사법재판소는 1995년 7월 스레브레니차에서 발생한 집단살해와 관련된 세르비아의 국가책임에 대해 2007년 2월 최종판결을 내렸다. 국제사법재판소는 세르비아가 당사국으로 있는 ‘집단살해죄의 방지 및 처벌에 관한 협약’상 당사국에게 집단살해를 저지르지 않을 의무가 인정된다고 하였다. 국제사법재판소는 더 나아가서 국가의 집단살해 금지의무뿐만 아니라 집단살해에 대한 공범행위를 하지 않을 의무도 인정된다고 보았다. 하지만 집단살해방지협약은 원칙적으로 개인이 저지르는 집단살해 범죄에 대한 국가의 의무를 규정하는 조약이다. 개인형사책임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집단살해방지협약을 근거로 국가 스스로 집단살해를 저지른 것에 대한 국가책임을 인정할 수 있는지 의문이 생긴다. 집단살해방지협약상 국가의 집단살해금지의무가 인정되는지 본다. 집단살해방지협약 제1조의 문언은 국가의 집단살해 금지의무를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다. 집단살해방지협약이 규정하고 있는 집단살해 방지의무와 집단살해 금지의무는 전혀 다른 성질의 규범이기 때문에, 집단살해 방지의무에 집단살해 금지의무가 논리적으로 전제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집단살해방지협약의 교섭 기록과 역사적 배경에 의하더라도, 당시 당사국들은 국가가 집단살해를 저지른다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 않았다. 이 판결은 집단살해방지협약이 개인의 범죄를 전제로 한다는 점과 협약의 어떠한 조문도 국가의 집단살해 금지의무를 규정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설득력있게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국가에게 집단살해 금지의무가 인정되어야 한다는 당위성의 무게 때문에 목적론적 해석에 치중하였고, 집단살해방지협약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데도 국가의 집단살해 금지의무를 추론을 통해 이끌어내었다. 하지만 집단살해방지협약은 국가의 집단살해 금지의무에 대해 침묵하고 있고, 국가의 집단살해 금지의무는 집단살해방지협약이 아니라 관습국제법에 근거하여 인정된다. 국제사법재판소는 집단살해방지협약 제3조를 근거로 집단살해 공범금지의무를 인정했지만, 집단살해방지협약 제3조는 개인의 구체적인 행위유형을 규정한 조항으로, 국가의 행위유형과는 관계가 없다. 특히 제3조는 처벌조항인데, 국가는 ‘형사처벌’의 대상이 되지 않으므로, 공모 · 선동 · 미수 ·공범이라는 구체적인 행위유형을 처벌하는 제3조가 국가책임에 당연히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국가책임의 본질적인 성격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만 형사법논리를 차용하여야 하는데, 국가책임과 미수는 친숙하지 않은 개념이다. 국가의 집단살해 금지의무가 결과의무라는 점을 생각하면 국가의 집단살해 미수는 상정하기 어렵다. 또한, 국제사법재판소는 집단살해책임과 집단살해 공범책임이 흡수관계에 있다고 했는데, 집단살해 행위와 선동 · 공범 행위는 행위의 주체가 다를 뿐만 아니라 행위의 유형도 다르기 때문에, 직접 집단살해를 저지른 행위에 타인을 선동하거나 교사방조한 행위가 포함되지 않는다. 국제사법재판소는 개인형사책임의 특수한 유형인 공범책임이 아니라 ILC 국가책임에 관한 초안 제16조에 따라 다른 국제법주체의 위법행위에 대한 원조 · 지원행위(aid and assist)가 있었는지 살펴보았어야 한다. 형사법 논리에 따라 국제법에 이질적인 행위유형을 국가에 바로 적용하는 것보다는, 국가책임의 고유한 규범체계에 따라 검토하는 것이 더 적절하였을 것이다. 이 판결은 개인형사책임과 국가책임의 개념을 명확하게 구별하지는 않았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개인형사책임과 국가책임은 책임의 평면을 달리하는데, 집단살해방지협약을 근거로 개인이 아닌 국가에 대해 형사적인 법리에 따라 국가책임을 인정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국제사법재판소는 세르비아의 국가책임을 판단하면서 형사법 논리에 상당부분 의존하였는데, 그 결과 개인의 형사책임을 단순하게 국가에 확장한 것과 같은 논리구조를 갖게 되었다. 집단살해방지협약과 관련된 국가의 책임은 국제인권조약상 의무, 민사상 국가배상의무 등과 결합하여 다양한 모습으로 국내법원과 국제재판소 등에서 문제될 수 있고, 각 재판부는 자신이 맡은 사건에서 문제되는 ‘책임’의 성격이 어떤 것인지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이 사건은 세르비아의 집단살해방지협약상 의무위반의 국제법상 국가책임이 문제된 사안이므로, 집단살해방지협약의 형사법적 성격에 주목하는 것보다는 국제법의 일반법리에 따라 세르비아 국가책임을 판단하였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hereinafter “ICJ”) announced on 26 February 2007 its final decision over Bosnian Genocide case, in which responsibility of Serbia for the genocide in Srebrenica was at issue. The Court found that the obligations of Stat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the Prevention and Punishment of the Crime of Genocide (hereinafter “Genocide Convention”) extend to the obligation not to commit genocide and the other acts enumerated under Article Ⅲ.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obligation not to commit genocide themselves is imposed upon States by the Genocide Convention, which primarily prescribes criminal liability of individuals. The States’ obligation not to commit genocide themselves is not expressly imposed by the actual terms of the Genocide Convention. As the obligation not to commit genocide is distinct from an obligation to prevent genocide, the former obligation should have been expressly stipulated in different provision if it had been intended by the State parties. Travaux preparatoires and historical context of Genocide Convention show that States were not conceiving State responsibility for committing genocide themselves. It seems that the judgement of ICJ adopted teleological interpretation due to the necessity to impose upon State the obligation not to commit genocide. However, the Genocide Convention does not prescribe State’s obligation not to commit genocide. Such obligation is recognized by customary International Law, not by the Genocide Convention. The Court also found that the obligations of State parties extend to the obligation not to commit acts enumerated under Article Ⅲ, including complicity. In fact, Article Ⅲ prescribes different types of criminal liability of individuals, not those of State responsibility. Article Ⅲ cannot be applied automatically to States parties, since States are not subject to criminal responsibility and subsequent punishment. With respect of ‘Attempt’, State’s responsibility for attempting ‘genocide’ without outcome is not conceivable in that the obligation not to commit genocide is obligation of result, which can be breached only when the individual whose acts are attributable to a State perpetrates an act of genocide. Also, ICJ held that responsibility of acts of genocide absorbs that of complicity of genocide. However, acts of genocide do not absorb acts of complicity of genocide since elements of those two types of crime are distinct in many respects. In this case, ICJ could have reviewed whether it is the case of aid or assistance in the commission of an internationally wrongful act of another State under Article 16 of ILC’s Articles on State Responsibility. In this judgement, ICJ did not make clear distinction between criminal liability of individual and responsibility of State. The Court relied on criminal law theory significantly that it has just expanded the criminal liability and applied it directly to States. However, the individual’s obligation not to commit genocide and that of State are distince in different dimensions of criminal law and International Law. In this judgement, ICJ failed to clarify the meaning of State responsibility concerning the Genocide Convention, distinct from criminal liability of individuals.

      • KCI등재

        산청,함양,거창 민간인학살사건에 대한 형사법적 재조명

        이창호 ( Chang Ho Lee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11 민주법학 Vol.0 No.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evelopment of the Genocide against Residents in Sancheong-Hamyang-Geochang Territories during Korean War, to define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it, to examine the problems of the past Geochang Military Trial in 1951 concerning the Genocide, to analyse critically a series of judicial and legislative actions conducted by Korean government after that trial, and to propose rightful solutions for the victims and their bereaved with general principles concerning the purge of the past. Only one day on 7. Feb. 1951, military forces of the 11th Division of the Korean Army killed seven hundreds or more civilians in Sancheong-Hamyang Territories without any justifiable reason, without any fair trial, only for the purpose of successful execution of their plan of operation so-called ``scorched-land strategy.`` And the same troops killed 719 civilians in Geochang Territory, according to the same operation order from the day of 9. Feb. to 11. Feb. 1951. Both can be called ``Genocide against Civilians in Sancheong-Hamyang-Geochang Territories.`` This is a Korean version of Killing Field. Conclusionally I assert that it is a state crime or state terror, and genocide, and it is a crime against humanity and war crime. Korean government should reveal the truth of the whole aspects of ``the Genocide``, and make restitution for all damages of victims and their bereaved, although over a half century has passed. And government should also take all proper measures involving activities of cultivating human rights consciousness among people, to prevent another genocide. For the purpose of fulfilling these objects, it should be preceded to proceed the criminal justice to the offenders.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e legal bases and logics in the perspective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riminal law.

      • KCI등재

        국가(기관)범죄에 의한 피해자

        정지운(Jeong, Ji-Woon) 한국피해자학회 2007 被害者學硏究 Vol.15 No.2

        Usually the study of victim of crime is mean victim of crime by a person. But the state(a government agency) crime has a specially aspect comparative of the other crime. Because of the state(or person in a government agency) act the crime, but they change themselves victim by the people that victim of the state act.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Republic of Korea('TRCK') is constructed for readjust our past history. TRCK received applications of people's difficulties that their experience in past time. The case is 7,539 that the TRCK determine investigation in July. 2007. In recent, TRCK is have five conclusion that concerned of the genocide in Korean War; Dongbakgulja in Naju, Dongchangkyo genocide in Naju, Gumjeonggul in Goyang, Sukdal in Munkeong, 11 division in Hampyong. The case of 'Suji Kim' and the case of 'the committee for reconstruct of Party of revolution by people' that the state act crime win a civil case(compensation for damage). I think that the case of two(civil case) is similar to the victim of the state(a government agency) crime in the Korean War. What is the policy of the victim of killed in the Korean War? I think it is very important part of study and argue now.

      • KCI등재후보

        Review of Genocidal Elements on the Human Rights Abuses in North Korea

        이도은 이화여자대학교 통일학연구원 2016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Vol.6 No.1

        This article started from the question of whether the violations of human rights being carried out in North Korea so far are applicable to genocide. The paper examines the configurable requirements of genocide by four large elements: the objective groups, the extent of destruction, the specific types, and intent to destroy. As a result, the paper has found that the North Korean leadership commits genocide with the intent to destroy religious groups, mainly consisting of Christians and national groups including half-breed children. Considering the tendency of imposing the highest sentence in international courts when the case is determined as genocide, it seems to require active research on the possibilities of ruling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situation as genocide.

      • KCI등재

        인민군 후퇴기 북한 지역 학살 양상 : 한국전쟁범죄조사부 자료를 중심으로

        황윤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3 한국문화연구 Vol.25 No.-

        Korean War Crimes Division was established a part of office of the judge advocate general in Eight Army in October 1950, acted to April 1954 during Korean War. The purpose of KWC was that frist, prosecution for war crimes and collecting and being preserved evidences of war crimes incidents caused by North Korean People's Army and Chinese Peoples Volunteers. This is associated with the 1949 Geneva Convention on prisoners of war by the treatment given to the rights of prisoners of war was reflected. According to the final and historical report of KWC, a total of 1,800 incident cases of war crimes happened during Korean war, and 78 incidents of them were ‘political crimes’ that cased by Home department and State Political security Department in North Korea areas from September to December 1950, after an order to retreat because of UN occupation to north of the 38th parallel. This paper analyzes that the aspects of the content and the occurrence of genocide named ‘political crimes’ in the KWC reports. According to KWC Reports, anti-communist uprising by the planning, implementation, and this process, those involved in the riots and ‘reactionaries’ and civilians were sacrificed from September to October 1950. And the army and the local guerrillas to retreat by the ‘reactionaries’ executions were sporadically. In addition, political criminals in correctional centers and labor camps are ‘appropriate treatment’ organized by the command of the military committee and were executed by the decisions of the camp guards. These show that the cross-sectional nature of the massacre of the victim and the type of political criminals in the name of ‘reactionary’ civilians a period of KAPA retreat. 한국전쟁범죄조사부(KWC)는 1950년 10월 미8군 법무감실 산하에 설치되어 1954년 4월까지 활동하였다. 한국전쟁범죄조사부의 설치 목적은 전쟁범죄 사건들에 대한 책임기소의 관점에서 적국인 북한인민군, 중국인민지원군에 의해 발생한 전쟁범죄 사건에 관한 증거들을 수집, 보존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1949년 전쟁포로대우와 관련한 제네바 협정에 의한 전쟁포로에 부여된 권리를 반영한 것이었다. 조사부가 작성한 최종보고서에 보고된 전쟁범죄 사건은 총 1,800여 건으로 그 가운데 북한 지역에서 발생한 ‘정치범죄’ 사건이 78건이다. 본고는 이 사례들을 분석하여 인민군 후퇴기 북한 지역에서 발생한 민간인 학살 사건의 발생 내용과 양상을 연구한 것이다. KWC 자료에 따르면, 1950년 9월에서 10월 경 북한 지역에서는 유엔군의 진주 소식을 접한 반공단체에 의해 폭동이 계획, 이행되었고, 이 과정에서 폭동관련자와 ‘반동분자’ 등 민간인이 희생되었다. 또한 후퇴하는 인민군과 지역 유격대에 의해 ‘반동분자’에 대한 처형이 산발적으로 있었다. 이와 함께 교화소와 노동수용소의 정치범죄자들은 후퇴기 ‘적절한 처리’ 명령에 의해 전시기 지방에서 조직된 군정위원회와 내무성 경비보안대 소속인 교화소·수용소 간수들의 결정에 의해 처형되었다. 이는 인민군 후퇴와 국군(유엔군) 진주라는 교착기에 ‘반동분자’라는 이름으로 희생된 민간인과 정치범죄자의 유형, 그리고 학살 성격의 단면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